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 시대, 중등 진로 교육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연구

        이찬,전혜린,박복미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4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8 No.1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f online career content for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utilize the A Company platform, which is used by learners who specialize in corporate education within the S Corporation group. This content, which has been underway since April 2023,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web-based materials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he study explores the value of career education at this point becaus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online content for career education as a result of digital transformation (DX) and the effects of COVID-19, especially in light of the impending decisions that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ill make regarding their high school enrollment and career paths. To develop the online content for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reviewed bo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irection and the 2022 revised direction. The analysis included a review of the themes in the middle school [Career and Occupation] textbooks, extracting key topics and essential learning elements. Based on the findings, lesson plans and content development were carried out.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ed designing a prototype based on content development strategies and stage-specific learning strategies. The developed prototype underwent quality reviews from academic experts and professionals in the field. As consequently, the study's conclusions included research findings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career education content for young people that take the changing labor market into account.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분석: G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남상숙(Sangsook Nam),강혜영(Hyeyoung K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에 종사하는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를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는 어떠한가?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G공공기관의 온라인 직업상담사이다. 먼저, 문헌연구와 개방형 질문, 그리고 전문가 평정을 통해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내용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교육내용에 대해 실행도와 중요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t검정을 실시하였고, Borich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를 중복 확인하여 교육요구의 최우선 순위군과 차우선 순위군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으로는 총 4개 범주와 40개의 세부교육내용이 도출되었다. 교육요구의 최우선 순위군은 ‘비자발적 소극적 내담자에 대한 상담 유도’, ‘비언어적 메시지 파악’,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 등 10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의 차우선 순위군은 ‘상담협력관계형성’, ‘내담자의 호소문제 파악’ 등 7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supporting employment for career-interrupted women and to confirm the decision of the education priority. Accordingly, firs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on what educational contents are needed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and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The sample was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supporting the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 G-public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subjects, and found out the necessary education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in G-public organization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lso, 5 expert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educational contents and survey questionnaires. As statistical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o screen the tendency of needs. Borich 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used to decide priority of the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contents required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were constructed 40 items in 4 competency groups. The highest priority among needs was 10 items and the second priority was 7 it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 학생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와의 관계 분석

        김영주(kim, Yeong-Ju),강진형(Kang, Jin-Hyung) 대한검도학회 2022 대한검도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는 학생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생 검도 선수들의 교육과 훈련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검도회 한국대학검도연맹에 등록된 검도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176명의 자료를 연구결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 분산분석과 Duncan방법을 이용한 다중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 변인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하였다. 셋째, 대학 검도 선수들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 만족이 진로행동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에 대한 해석은 p<.05에서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진로행동준비에 대한 차이를 검증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 전공 만족, 진로행동준비의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직막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인 공감성, 확신성, 전공 만족의 하위 요인인 진로만족은 진로행동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guidance of student kumdo player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of 176 Kumdo players registered in the Korea kumdo Association Korea University Kumdo Federation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Data analysis is SP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18.0 program. Fir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of college kumdo playe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using Duncan method were performed.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variables of college kumdo player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kumdo players on career action prepar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determined at p<.05.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ction prepara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empathy, certainty, and career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career action preparation.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의 온라인 진로활동과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김재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생의 온라인 진로활동 여부에 따른 진로개발역량과 자기주도학습의 차이를 분석하고, 온라인 진로활동이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ㆍ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6~2019년 초ㆍ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중학생 및 고등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독립변수인 온라인 진로활동은 진로정보탐색과 직업정보탐색 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을 통해 진로정보탐색 및 직업정보탐색 활동을 하는 중ㆍ고등학생 비율은 2016~2019년 동안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진로정보탐색 활동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활용 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자기주도학습 수 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정보탐색 활동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활용 학생이 진로개발역량은 높지만, 자기주도학습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진로정 보탐색은 중ㆍ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온라인 직업정보탐색은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ㆍ고등학생이 온라인 진로ㆍ직업정보탐색 활동을 통하여 진로개발역량과 자기 주도학습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진로교육 관련 교육적ㆍ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DC) and Self-Directed Learning (SDL) according to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it examines the effect of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on CDC and SDL. The study use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ata for analysis from 2016~2019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The independent variable,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lassify into Educational Information Search (EIS) and Job Information Search (JIS) activit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use online for EIS and JIS have increased from 2016 to 2019. Second, the student group that uses the online for EIS has a higher CDC and SDL level than the offline use group. However, the student group who uses the online for JIS has a higher CDC level and a lower SDL level than the offline use group. Third, the online EIS activity positively affects the CDC and SDL. However, online JIS activity negatively influences student’s CDC and SD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online EIS and JIS activities.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시대를 대비하는 자기명료화를 위한 온라인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탐색적 접근

        김영미(Kim Young-mi),윤재성(Yun Jea-soung),김봉환(Kim Bong-wha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자기명료화 진로교육 프로그램(My Career Story)을 개발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근간이 되는 진로구성 이론에서 기초 원리와 전략을 도출하고, 실제 온라인에서 운영한 후 학습 경험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구성 이론의 내러티브 정체성 원리를 토대로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핵심 주제를 파악하고, 메타 성찰을 도움으로써 삶의 의미와 목적에 비추어 자기명료화를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의 내용적 요소와 교수학습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검토 및 평정을 받았고, 구글 드라이브를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P 시의 고등학교 3학년 227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운영한 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학습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만족도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활동은 핵심가치를 찾는 활동이었고, 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정체성 강화’, ‘진로 목표와 방향성 설정’, ‘긍정 정서의 향상’, ‘진로정보 탐색 행동’으로 테마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구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자기명료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basic principles and strategies from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apply online teaching principle to analyze learner’s experience and learning experiences after operating online in real life, in order to develop online self-clarification program(My Career Story). To this end, the goal was to identify key topics related to one’s career through self-reporting writing based on the narratives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to make self-clarification with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by helping to reflect meta-reflect on oneself. To verify the content elements of this program and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learning model, we received reviews and evaluations from a group of experts, and we used Google drives to establish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fter running the developed program for six weeks on 227 high school seniors in P city, participant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its learning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satisfying activities were found to be those seeking core values, a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they could be categorized into ‘strengthening identity’, ‘setting career goals and direction’, ‘improvement of positive emotions’ and ‘action to seek career information’. Through this study, we hav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are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theory of career construction and expect them to be used as a model in developing blended online and offline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생 진로ㆍ취업교육을 위한 비대면 수업 사례 연구: 퍼소나 기반 시나리오 방법론을 중심으로

        임상훈 ( Sanghoon 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대학생 진로ㆍ취업교육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각 대학은 진로ㆍ취업교육을 위한 전문부서를 설치하고 교과 및 비교과 차원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교과 차원에서 진로ㆍ취업교육은 학생들에게 입사서류 및 면접 준비와 같은 단발적 처방이 아니라 졸업 후 미래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진로 설계를 도울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도가 높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사태 이후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이러한 진로ㆍ취업교육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충청에 있는 A대학교에서 진행된 <취업전략> 수업의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 수업은 퍼소나 기반 시나리오 방법론을 바탕으로 문제해결 방법론을 일부 적용하는 형태로 개발되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에 보편적으로 존재할만한 가상의 인물을 퍼소나의 형태로 도출하고, 그 퍼소나를 취업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할 것인지 제시하였다. 이 과정은 LMS, 실시간 화상회의 도구, 메신저 등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수행되었다. 한 학기 수업이 종료된 이후 성찰일지를 통해 수업의 성과를 질적으로 확인하였다. 비대면이라는 상황적 한계가 있었지만,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은 대체로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였으며, 자신이 취업을 위한 준비가 잘 되어 있지 않음을 깨닫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별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전공별로도 차별화되지 못한 채로 천편일률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진로ㆍ취업교육 교과목에 대한 재고를 요구한다. 내용적 측면에서 비교과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수업, 방법적 측면에서 학생 스스로 자신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기반으로 능동적인 진로 개척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s interest in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ncreases, each university establishes a specialized department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and operate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t the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level. In particula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is of high importance in that it can help students design a systematic career based on reflection on their future after graduation, rather than single-step prescriptions such as job documents and interview prepara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how these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classes can b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non-face-to-face classes after the COVID-19 incident in the case of the “employment strategy” class held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This class was developed and operated based on the Persona-based scenario method. Students drew a fictional character that would be universally present in their majors in the form of Persona and suggested what strategies would be needed to get the persona employed. The process was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LMS, real-time video conference tools, and instant messaging using online communication tools. After the end of one semester, the results of the class were confirmed qualitatively through the reflection log. Although there was a limited number of non-face-to-face situations,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generally responded satisfactorily, realizing that they were not well prepared to get a job, and making new resolutions. This study requires reconsideration of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subjects that are being conducted uniformly withou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nd being differentiated by major. In terms of content, students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ctively pursue career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themselves in terms of extracurriculum programs, differentiated classes, and methodologies.

      • KCI등재

        조리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조리진로체험교육을 중심으로 -

        황포순,김형일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2 호텔리조트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online cooking-related career experience education platform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job confidence of culinary job seeke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are currently taking cooking classes at a professional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 that operates an online cooking education platform across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mentoring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lso,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mentoring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onfid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system quality and mentoring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job confidence. As a result, the culinary education platform manager and manager can construct a platform that allows them to receive non-face-to-face cooking education applications as conveniently and quickly as possible, and by spreading and expanding the mentoring system after training, increas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rainees and increase their self-confidence in finding employment. will have to improve.

      • KCI등재후보

        상담 사례를 통한 하이브리드 진로지도 모델 개발

        백진욱 ( Jinwook Baek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3

        최근, 코비드 환경은 대학의 교육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대학의 재학률과 취업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학생의 진로지도 방법은 코비드 환경에서 변할 수밖에 없다. 기존의 진로지도 활동은 오프라인 상담 방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코비드 환경에서의 진로지도 활동은 온라인 상담 방법을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온라인과 오프라인) 진로지도 모델을 제안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특성을 가진 하이브리드 제안 모델은 코비드 환경에서도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모델을 실제 상담 사례에 적용하여 제안 모델의 유용성을 보였다. Recently, the COVID environment has had a serious impact on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Career guidance methods of students,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rollment and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should be changed in the COVID environment. While a traditional career guidance activity mainly use offline counseling methods, it should consider online counseling methods more seriously in the COVID environment. In this paper, I propose a hybrid(online and offline) career guidance model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both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environments. The proposed hybrid model,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and offline, can effectively guide college students even in the COVID environment. In this paper, I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odel by applying it to a real-world counseling case.

      • KCI등재

        방송통신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요구조사

        양희인 ( Hee In Yang ),강성국 ( Seong Guk Kang ),금지헌 ( Ji Heon Keum ),손찬희 ( Chan Hee Son ),이은철 ( Eun Cul Lee ),김동심 ( Dong Sim Kim ),송신지 ( Shin Ji S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1

        방송통신고등학교는 고등학교 학력이 없는 학습자의 학력취득을 목적으로 현재, 42개 일반고등학교에서 부설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일반고등학교와 동일한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편성되고 있으나, 최근 10대 학습자의 증가와 성인학습자들의 학업부담 감소 등을 이유로 진로교육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단계 진로교육 및 온라인교육 정책, 방송고 정책 및 현황을 분석하여,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진로교육 요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진로교육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생 428명, 교사는 1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는 진로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소외계층이 자립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예산을 지원 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생에게도 이런 지원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특성에 적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요구가 높은 경영정보과정, 보육과정, 조리과정을 중심으로 한 방송통신고등학교 전문교과의 편성이 확대되어야 한다. The open high school has been offered an opportunity of secondary education, such as online classes, attending classes and correction guidance to practical use, for 40 years since school opened. Recently, the open high school is interested in career education for increase in teenage student and adult learner’s learning burd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to meet career education that is needed in open high school. For this study, 428 students and 108 teachers at open high school in Korea completed online surveys in the fall semester of 2013.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government of the nation in a process of providing the opportunity for career education and offering programs to support budget for the independence of neglected class. Second, a proper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national support above should be provided to individual open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open hig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vocational subjects in. particular information management courses, to child care courses and cooking courses

      • KCI등재

        비대면 교육서비스 품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관계연구 - 전시산업분야로의 진로를 희망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현지,왕새롬 한국무역전시학회 2022 무역전시연구 Vol.1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pursuing career in exhibition industr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 items that measure th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services are classified into physical quality, academic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on. Second, academic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physical quality of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