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Non-Proliferation Regime

        ( James M. Act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8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13 No.2

        The non-proliferation regime currently faces an unprecedented challenge: managing growing demands for nuclear disarmament at a time when nuclear energy is expected to spread widely. Although superficially unrelated, the tension between these two objectives is much greater than generally recognized. Specifically, recent cases of non-compliance, North Korea and Iran most notably, have demonstrated serious weaknesses in the existing non-proliferation regime. If new and more robust rules are not enacted to prevent nuclear facilities, materials and knowledge being subverted for military ends,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will become ever more likely. In turn, nuclear weapon states will become even more reluctant than they currently are to work toward the elimination of their nuclear arsenals. Many non-nuclear weapon states, however, state that they will only assist in strengthening the regime after the weapons states have fulfilled their promise to work in good faith toward disarmament. Breaking this circularity will be a considerable challenge.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that disarmament has to play. A vital component of an effective non-proliferation strategy is to increase the willingness of the vast majority of non-nuclear weapon states-those that are in compliance with their international obligations and not seeking nuclear weapons-to agree to tougher non-proliferation rules. However, many non-nuclear weapon states view such rules as an unnecessary burden and so co-opting them will require a quid pro quo, namely fulfillment of the pledge made in article VI of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to work in good faith toward the eventual abolition of nuclear weapons. A key issue in pursuing a policy of `disarmament for non-proliferation` is ensuring that the nuclear weapon states do get credit for the disarmament actions they take. They must convince non-nuclear weapon states that their actions are part of a long-term effort aimed at eventually eliminating nuclear weapons. One way of achieving this is for all states to initiate a serious conversation on the challenges of abolishing nuclear weapons and their potential solutions. Such a conversation would also help non-nuclear weapon states to realize the roll that they have to play in creating a security architecture robust enough to enable nuclear weapons to be safely prohibited. Such a conversation would need to include India, Israel and Pakistan and facilitating it will involve creating a new forum-probably on the non-governmental level. The paper concludes by discussing two examples of the challenges with which states will have to engage if they are truly to take disarmament seriously: the role of extended deterrence in preventing proliferation and the future of the civilian nuclear industry.

      • KCI등재

        핵군축 거버넌스와 시민사회: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와 국제NGO의 역할

        김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INGOs) contributed to the 2010 Non-Proliferation Treaty(NPT) Review Conference in order to explore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nuclear disarmament governance. As a background case,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INGOs in the 2000 NPT Review Conference. In the case of the 2000 Review Conference, INGOs largely contributed to setting the issue of nuclear disarmament again on the agenda of international security governance. They also took part in promoting the international norm of nuclear disarmament. In addition,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aching a substantial agreement on nuclear disarmament among member states in the Conference by actively engaging in advocacy and lobbying activities designed to support and advertise the position of the New Agenda Coalition in favor of global nuclear disarmament. In the case of the 2010 Review Conference, INGOs drafted a Nuclear Weapons Convention as a starting point toward its conclusion, This role contributed to forming a basis on which to promote the norm of nuclear disarmament and to develop it into an international regime. They also took part in inducing member states to adopt the issue of a nuclear weapons convention as one of the key agenda in the conference and to actively negotiate with each other. Furthermore, INGOs successfully pushed member states to include the term, ‘nuclear weapons convention’ and its related content in the final document of the conference. In addition, INGOs played a role in causing member states to reach a concrete agreement on a nuclear free zone in Middle East. 이 논문은 핵군축 거버넌스에 있어 시민사회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와 관련하여 국제NGO들이 어떠한 역할과 기여를 해왔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의 배경사례로서 2000년 NPT 평가회의도 분석한다. 우선 2000년 평가회의와 관련해서 국제NGO들은 초국적 네트워크를 결성하여 핵군축문제를 주요 의제로 재설정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또한 핵군축 국제규범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핵군축을 추진하는 신의제연합(NAC)의 입장을 지지하고 홍보하는 주창활동과 자국 정부들이 NAC의 입장을 지지하도록 설득하는 로비활동을 통해서 핵군축에 관한 최종합의를 이끌어내는데 기여하였다. 2010년 평가회의에서는 국제NGO들은 궁극적으로 핵무기금지협약이 창출되기 위한 시발점으로서 협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마련함으로써 핵무기금지 규범을 촉진하고 국제레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처음으로 회원국들이 평가회의에서 핵무기금지협약을 주요 의제로 채택하여 집중적으로 협상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핵무기금지협약을 NPT 평가회의 역사상 처음으로 최종문서에 언급하며 관련내용을 명시하는데 일조하였다. 게다가 국제NGO들은 중동 비핵지대에 관한 구체적인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북한 핵문제와 우주군축

        노동영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7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2 No.2

        Nuclear issue is a good example showing globalization of the international regime. The history showed nuclear weapons may cause the extinction of human races when the first nuclear bombs fell down to Japan in August, 1945 and people became increasingly eager to achieve peace. Military buildup for national security is a matter of existenc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disarmament or arms control to secure international peace and safety which is also the purpose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may be the most important task for us to realize peace of the mankind. Today, disarmament, together with amicabl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conflicts and collective security system, is an important means to maintain and promote international peace and safety. It might be our permanent task to realize complete disarmament but, as the Preamble of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PT) expressed general and complete disarmament,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clarified its effort for complete disarmament. Thus, taking a look into the international regime on the nuclear issue and progress related to the nuclear issue in North Korea, the study was intended to introduce the globalization of the nuclear issue, review the international effort for nuclear disarmament based on the concept of the ‘common heritage of the mankind’ and with respect to the 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COPUOS) and controls over nuclear weapons, and then evaluat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hich is in direct relation with South Korea and international laws, in terms of the space law and disarmament acts. The collective security system along with policies to prevent dissemination of nuclear weapons should also be emphasized and implemented to cope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핵문제는 국제레짐(resime)의 지구화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1945년 8월 일본에 최초로 핵폭탄이 투하되면서 핵무기가 인류를 절멸시킬 수 있다는 역사를 통해 평화에 대한 갈망은 더욱 절실해졌다. 자국의 안보를 위한 군비증강은 국제사회에서 자존의 문제이지만, UN헌장의 목적이기도 한 국제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군축 또는 군비통제는 전 인류의 평화 실현과 직결된 가장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오늘날 군축은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집단안전보장제도와 함께 국제평화와 안전을 유지·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완전한 군축 실현이 항구적인 인류의 과제일 수는 있으나, NPT 서문에서 일반적이고 완전한 군축이 표현된 것처럼 국제사회는 완전 군축을 위한 노력을 천명하고 있다. 따라서 핵문제에 대한 국제레짐과 북한의 핵문제에 대한 주요 경과를 살펴봄으로써 핵문제의 지구화 현상을 소개하고, 핵 군축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인류의 공동유산’개념과 우주공간 평화이용위원회 및 핵무기의 통제를 중심으로 검토한 후, 대한민국과 국제법에 직결된 사안인 북한의 핵문제를 우주법 내지 군축법적인 관점에서 평가해 보고자 한다. 또한 북한의 핵문제를 위해서는 비확산·반확산정책과 함께 집단안전보장제도가 지속적으로 강조·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핵안보정상회의와 핵 없는 세상

        박정은(Jung-Eun, Park),구갑우(Kab-Woo, Koo)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4

        평화연구와 평화운동의 시각에서 핵 없는 사회를 지향하는 이 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제기한 핵무기 없는 세상의 담론이 핵안보 정책과 담론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핵억지력과 핵안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핵안보의 개념이 모순임을 드러낸다. 둘째, 서울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를 평가한다. 핵안보정상회의가 핵무기 없는 세상은 물론 핵안보 그 자체의 실현을 위해서도 한계적이었음을 지적한다. 셋째, 핵무기 없는 세상의 실현을 위한 기초인 핵군축과 관련한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들의 유엔에서의 투표성향을 분석한다. 넷째, 핵 없는 세상을 지향하는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을 분석한다. 환경운동과 평화운동의 접합에 주목한다. 다섯째, 핵안보를 넘어서서 핵 없는 세상의 실현을 위한 평화연구와 운동의 과제를 제시한다. This article seeks to take a perspective of peace studies and peace movements in pursuit of a nuclear-free world. First, how the discourse on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developed into nuclear security policy and discourse is analyzed. The article attempts to expose the self-conflicting nature of nuclear deterrence and nuclear safety which are simultaneously contained in the nuclear security concept. Second, the Seoul Nuclear Summit is evaluated. Highlighted are the limitations inherent in the Summit both in terms or realizing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as well as nuclear security itself. Third, the article analyzes voting trends of the U.S. and other major nations in the United Nations with regards to nuclear disarmament, a base for realizing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Fourth, a review is made on the Korea"s civil society movements that are committed to a nuclear free world. Fifth, peace studies and peace movements are presented with future challenges on how to reach beyond nuclear security towards a nuclear-free world.

      • KCI등재

        국제 핵질서와 일본의 군축 및 비확산 정책

        박영준 ( Young June Par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9 국방연구 Vol.52 No.3

        The nuclear order in the early 21st century can be characterized as ambivalent tension between the disarmament trend among the nuclear-possessed countries and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which has been occurred in North Korea and Iran. Perceived the potential threat from the development of nuclear warhead by North Korea, Japan has pursued the disarmament and non-nuclear proliferation policy by actively taking part in diverse non-nuclear regimes. Japan has been the regular member of the NPT, CTBT and IAEA all of which are organized to prevent the further spread of nuclear arsenals. In addition, Japan also has propelled the activities of the CWC and BWC to deter the spread of chemical-biological weapons. To prevent the expansion of missile technology, Japan has vigorously participated in the MTCR and HCOC. Furthermore, Japan has proposed the non-nuclear proposals in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with the collaboration of the U.S.A. Even after taking the political power, Hatoyama administration suggested the so-called the idea of Nuclear Free-Zone in the Northeast Asia. Such a non-nuclear policy by Japan can be a strategic assets for South Korea to implement the non-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 KCI등재

        현대 국제군축법의 구조와 한계

        이용호(LEE Yongho) 대한국제법학회 2015 國際法學會論叢 Vol.60 No.2

        현대적 의미에서 군축의 중요성이 강조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이래의 일이며, 특히 원자탄이 등장한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는 군축을 국제사회가 해결해야 할 필연적 실천과제로 인식해 오고 있다. 이러한 군축의 중요성에 부응하여, 유엔총회와 제네바 군축회의(ConferenceonDisarmament) 를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는 군축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으며, 그 결과 약 40개의 군축조약이 체결되는 결실을 가져 왔다. 한편 상기의 군축조약을 비롯하여 유엔헌장 상의 군축 관련 조항, 유엔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의 군축 관련 결의, 무기 및 군사기술을 둘러싼 다자간 수출통제체제(the multilateral weapon and technology expert control regime)의 각종 지침, 일국의 일방적 군축조치에 관한 선언문 등을 망라해서 국제군축법이라고 명명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것들은 군축의 실현을 위한 법적 토대가 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러한 국제군축법이라는 학문영역이 이미 오래 전에 확립되어 발전해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적으로는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군축 관련 현안에 대한 국제법적 평가 즉 국제군축법에 관한 다방면에서의 연구와 노력이 국내적으로도 절실히 필요한 상황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논문에서는 다의적 의미로 이해되는 군축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동시에 국제군축법의 내용전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 하에서,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몇 가지 측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군축의 개념 및 국제법과의 관계에 관해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현대 국제군축법의 주요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그 구조를 소개하고자 한다. 셋째 현대 국제군축법의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결론에 갈음하여 현대 국제군축법의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국제군축법의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크고 작은 전쟁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특히 일부 국가에 의한 핵개발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군축은 국제사회가 실현하여야 할 우선적 과제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군축이라는 것은 각국의 안보적 · 전략적 · 정치적 이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군축의 실현은 많은 장애에 직면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군축의 실현을 위해서는 국가 간 신뢰관계의 형성이 선결적으로 요청된다고 하겠다. 둘째 어렵게 군축조약이 체결된 경우에도 그 내용면에서 살펴보면 아직 그 성과가 미비하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체결된 국제군축법의 주요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기존의 무기를 적극적으로 감축 또는 폐기하는 적극적 군축에 관한 합의는 많지 않으며, 또한 합의된 결실도 주로 구형무기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군축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군비를 적극적으로 감축 또는 폐기하는 합의의 확대와 함께 신형무기에 대한 국제법적 통제가 보다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국제군축법은 실효성 확보가 곤란하다는 점이다. 군축 관련 유엔총회결의와 무기 등의 수출통제체제의 지침은 그 자체 법적 구속력이 없는 권고적 내지 자발적 조치에 지나지 않으며, 그나마 법적 구속력 있는 군축조약의 경우에도 각 당사국이 당해 조약상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조약의무의 이행이 자국의 안보전략과 맞물려 있으며, 특정조약의 이행 시에 수반되는 과다한 이행비용문제 내지 검증체제의 불비에 따른 조약이행의 불확실성문제 등과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무기의 폐기에는 최소한 그 생산비용의 2배 이상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군축 관련 유엔총회결의와 무기 등의 수출통제체제의 지침을 법적 구속력 있는 조약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단계적으로 이어져야 함은 물론, 각종 군축조약에서 채택하고 있는 검증체제를 강화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효과적인 군축의 실현을 위해서는 상기의 다양한 한계들이 하나씩 해결되어질때 비로소 가능하다고 하겠으나, 가장 본질적인 것은 국가 간의 상호신뢰의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우선시 된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상호신뢰가 확립되지 않는 한, 어떤 국가도 자국의 군사력을 줄이는데 동의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군사자료의 공개 등을 통한 각국 간 상호신뢰를 높이는 일이 군축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첩경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modern sense, the importance of disarmament was emphasized since the first World War. Especially, after the second World War when the first atomic bombs were exploded, disarmament was realized as an inevitable task that international society must solve. According to the significance of disarmament matters, international society centering around the UN General Assembly and the Conference of Disarmament in Geneva has done a continuous effort to fulfill the disarmament, and in result about 40 disarmament treaties were concluded.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disarmament law is composed of the disarmament provisions of the UN Charter, the resolutions of the General Assembly and the Security Council, the guidelines of the multilateral weapon and technology expert control regime, including above the disarmament treaties. And they are a legal framework for the promotion of the cause of disarmament. Internationally, even though the field of international disarmament law was established long ago and is developing, the research of international disarmament law in our country is still at primary level. Therefore it is time much of the research and effort about international disarmament law is performed in our country. For these reasons, this article is going to consider following aspects. First, to examine a conception of disarma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disarmament. Second, to introduce main contents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disarmament law which is organized systematic. Third, to analyze the limits of international disarmament law, and to prospect the directions of it in the future. Going through these studies, to propose the directions of international disarmament law in the future is like this. First, because disarmament is in relation with secure, strategic, military and political interests in each country, the fulfillment of disarmament is facing many difficulties. Therefore for the effective fulfillments of disarmament, making confidence among countries is requested preferentially. Second, in case that disarmament treaty was concluded with difficulties, the treaty is mere controling only old type of weapons. So, if we want to achieve goal of disarmament that to accomplish international peace and safety, we should conclude the treaties to control a new type of weapons or to reduce armaments positively. Third, every disarmament treaty is having a verification regime for itself. But the regimes have so many shortage and limit. So to ensure effectiveness of tire treaties, every disarmament treaty has to be equipped effectual verification regime. Eventually, for tire effective fulfillment of disarmament, it is possible when the limits mentioned in this article are solved one by on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open the military data of each country. At any rate, the most essential thing is building conditions of trust among countries through the opening military data and so on.

      • KCI등재

        The ‘-Pacific’ part of ‘Asia-Pacific’: Oceanic diplomacy in the 2017 treaty for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

        Matthew Bolton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8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26 No.3

        The 2017 Treatyfor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 (TPNW) was negotiated at the UN over the objections of nuclear-armed and -allied states and established a global categorical ban on nuclear weapons framed in terms of humanitarianism,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ism. The TPNW also placed ‘positive obligations’ on states to assist victims of nuclear weapons use and testing and remediate contaminated environments. States and NGOs from the Pacific region advocated for a strong treaty text, particularly its positive obligations. They were influenced by the region’s history as a site of nuclear weapons testing in Marshall Islands, Kiribati and French Polynesia/Te Ao Maohi; the 1985 South Pacific Nuclear Free Zone’s precedent; and earlier diplomatic efforts and activism linking denuclearization with decolonization. In doing so, Pacific and other formerly colonized states flipped the ‘standard of civilization’ script embedded in humanitarian disarmament law and applied it to their former colonizers. The paper demonstrates the agency of small states—the ‘-Pacific’ part of ‘Asia-Pacific’—in multilateral policymaking on peace and security, often overlook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scholarship. It draws on my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Nobel Peace Prize-winning advocacy of the International Campaign to Abolish Nuclear Weapons (ICAN) during the TPNW negotiations.

      • KCI등재

        북한 비핵화를 위한 우크라이나 사례의 교훈: 비핵화 과정을 중심으로

        박휘락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1

        This paper is written to shed a light on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using the case of Ukraine nuclear disarmament. It intends to identify key issues to achieve expected results on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process as a result. For this purpose, it revisits the concept, theories and processes on denuclearization and compares the North Korean case with the Ukraine one. It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in conclus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Ukraine situation and North Korean one regarding denuclearization. North Korea developed its nuclear weapons on its own, while Ukraine was provided them by the USSR. North Korea has big allies such as China and Russia, whereas Ukraine did not. However, this paper found some implications for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First, South Korea should ask North Korea to make a clear internal decision for its denuclearization before continuing further negotiation. Second, it should demand the transportation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out of North Korea for the dismantlement. Third, it needs to pursue action-to-action implementation with North Korea based on value equivalence. Fourth, South Korea need to heed on North Korean domestic politics in order to prevent the resumption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development. 본 논문은 우크라이나의 핵무기 폐기 사례로부터 북한의 비핵화에 관한 교훈을 도출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비핵화의 개념, 이론, 과정을 정리하여 먼저 제시하고, 이에 근거하여 우크라이나와 북한의 비핵화 사례를 비핵화 과정을 중심으로 비교한 후 한국에게 유용할 수 있는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하였다. 우크라이나는 핵무기를 소련으로부터 물려받았고, 북한은 스스로가 개발한 것이며, 우크라이나와 달리 북한에게는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력한 후원국이 존재하는 것이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의 사례는 북한의 비핵화에 유용한 몇 가지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 즉 첫째는 북한이 내부적으로 먼저 핵무기를 폐기한다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고, 핵무기의 해외반출이 매우 중요하며, 행동대 행동으로 신뢰를 강화하되 등가성을 유지해야하고, 북한의 핵무기 개발 재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북한 국내정치도 변화시켜야 한다. 북한의 비핵화가 어려움에 봉착할수록 다양한 사례로부터 교훈을 수집하여 개선책을 마련해 나가야할 것이다.

      • KCI등재

        국제안보에 있어 중견국(middle power)외교

        김현(Kim, Hy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7개 중견국의 연합체인 신의제연합(NAC)이 1998년 6월에 결성된 이후부터 2005년 NPT 평가회의에 이르는 기간 동안에 국제 핵군축을 달성하기 위해 전개한 중견국 외교의 추진요인들을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중견국 외교가 2000년 NPT 평가회의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둔 이유들과 2005년 NPT 평가회의에서 아무런 성과 없이 실패한 이유들을 효과적인 중견국 외교의 네 가지 조건인 (1) 적절한 기회, (2) 외교적 역량, (3) 지적 리더십과 창의성, (4) 신뢰성 등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연구의 결과로서 2000년 평가회의에서의 NAC 외교의 성과는 NPT의 강화 필요성의 인식, 효과적인 NAC의 외교방식과 NGO들의 압도적 지지, 핵철폐 규범의 촉진자로서 NAC의 지적 리더십과 실용적인 핵군축 방안의 제시, 핵보유국과 비보유국간의 입장을 조정할 수 있는 NAC의 위상과 신뢰의 확보 등의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2005년 평가회의에서 실패할 이유는 핵보유국들의 핵군축 이행의 거부, NAC의 내부적 분열과 리더십의 부재, 핵보유국들의 핵강화정책으로 인한 핵철폐 규범의 약화, 핵비보유국들의 신뢰와 지지를 받지 못한 점 등의 요인들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d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middle power diplomacy conducted by the New Agenda Coalition (NAC) as a coalition of seven middle powers for international nuclear disarmament. It also explains the reasons for the achievements and failure of the NAC’s middle power diplomacy of the NAC at the 2000 and 2005 NPT Review Conference, respectively as well as for its failure at the 2005 NPT Review Conference. These reasons Such explanations are provided given by applying four conditions for effective middle power diplomacy to the two conference cases: (1) proper opportunity,(2) diplomatic capacity, (3) intellectual leadership and creativity, and (4) credibility. NAC’s diplomatic achievements of the NAC at the 2000 conference were attributable to such factors as the perceived need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NPT, effective diplomatic means of the NAC, overwhelming support from the NGO community, the leadership of the NAC leadership as an entrepreneur of the nuclear abolition norm, and credibility gained from both nuclear-weapon and non-nuclear- weapon states. NAC’s. The diplomatic failure of the NAC at the 2005 conference resulted from the following factors: nuclear-weapon states' refusal to implement their commitments to nuclear disarmament, divisions and the absence of leadership within the NAC, the weakened nuclear abolition norm, and NAC’s the lack of support and credibility of the NAC.

      • The Effectiveness of the Six-Party Talks on the North Korea’s Nuclear Disarmament: Security and Economic Implications

        유장희,김홍우 대한민국 학술원 2011 학술원논문집 : 인문, 사회과학편 Vol.50 No.1

        In 2003, the U.S. initiated the launch of the Six-Party Talks to deal with the issue of North Korea’s nuclear disarmament. Whether such an initiative will have a tangible effect on North Korea’s nuclear abandonment is debated between two views : optimistic and pessimistic. Whichever view dominates, one thing which is very clear is that countries give up nuclear weapons only when significant economic assistance is provided by the concerned parties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rom reviewing carefully six precedents - Ukraine, South Africa, Libya, Pakistan, India, Israel -, this study reaches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first to convince Kim Jung-Il that nuclear dismantlement will not pose a threat to the current reg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s inviting Ukraine, South Africa and Libya as guest members to Talks and demonstrate a practical scenario that a large-scale economic assistance should follow as evidenced by the three success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