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엘리엇의 Music Matters 제2판의 기본 논점에 나타난 듀이의 견해 탐색

        김기수 ( Kim Gi Su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엘리엇 「Music Matters」 (제2판)의 기본 논점에 나타난 듀이의 견해 탐색을 통해 엘리엇 음악교육철학의 이해 증진과 음악교육철학의 발전과 연구를 도모하는 데 있다. 듀이는 미국을 대표하는 프래그머티즘 철학자로서 그의 교육철학은 아동 중심의 교육철학으로, 그의 예술철학은 경험으로서의 예술로 특징지어진다. 엘리엇 「Music Matters」 (제2판)의 기본 논점에는 철학의 중요 과제와 목적, 철학과 음악교육, 음악, 교육, 인간다움 등의 주제가 다루어진다. 듀이의 철학적 견해는 주제마다 인용된다. 이러한 주제에서 소개되는 듀이의 인용 정도는 다른 철학자에 비해 두드러지게 많이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듀이의 철학이 엘리엇 음악교육철학의 기초에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그런 만큼, 엘리엇의 음악 교육철학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듀이의 철학적 견해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엘리엇 음악교육철학의 이해 증진뿐 아니라 현행 음악교육의 목적과 방향, 내용과 방법, 나아가 음악교육의 가치에 건설적인 철학적 방안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Elliott’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research in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exploration of Dewey’s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the foundational matters proposed in Music Matters second edition. Dewey is a representative Pragmatist philosopher in the United States, whose educational philosophy is characterized by a child-centered educational philosophy, and art as experience is the main focus of the John Dewey theory of art. The foundational matters proposed in Music Matters second edition concern some serious tasks of philosophy and the top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music education, music, education, personhood, etc. Dewey’s philosophical views are cited on each subject. Dewey’s work in discussions about these subjects has been cited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philosophers. This is proof that Dewey’s philosophy plays a big part in the foundation of Elliott’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Elliott’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in-depth research on Dewey’s philosophical views is needed. This study not only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Elliott’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but also presents constructive philosophical measures for the purpose and direction, content and method of current music education.

      • KCI등재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과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의 비판적 조망

        최은식 ( Choi Eunshik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3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 철학과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 철학은 20세기 중반에서 현 재에 이르기까지 세계 학교 음악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 담론들이다. 경 험중심 음악교육 철학으로 불리는 리머의 철학은 3회에 걸친 저술의 개정을 통하여 음악에 대한 전통 미학적 관점을 발전시켰고, 리머의 미적 관점에 대한 실천주의적 대안을 제시한 엘리엇은 2회에 걸친 저술의 개정을 통해 음악교육의 사회·윤리적 관점을 더욱 정교하게 발 전시켰다. 이 두 관점은 인간의 본질, 음악의 본질, 그리고 음악교육의 본질에 대해 매우 상 충하는 것처럼 보이는 논증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충은 어느 하나의 관점이 절대 적으로 옳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과 음악, 그리고 음악교육의 다층적 속성을 상호보완적으로 설명해주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인간, 음악, 그리고 음악교육에는 리머가 주장하는 바 대로의 객관적, 보편적 본질이 존재할 뿐 아니라, 엘리엇의 주장하는 바 대로의 문화적, 맥락적, 그리고 실천적 본질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악교육자 들은 이 두 관점이 가지고 있는 음악교육 철학으로서의 장단점을 비판적이면서 동시에 통합 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Bennett Reimer’s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and Elliott’s praxial music education philosophy are representative viewpoints that provide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school music education from the lat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Reimer's philosophy, which is called the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represents traditional aesthetic perspective on the nature and values of music and music education. On the other hand, David Elliott has developed the socio-ethical perspective on music and music education through the first publication and the revision of his book ‘Music Matters’. These two perspectives seem to contain very conflicting arguments about the nature of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However, this conflict seems to be complementary, due to multi-layered nature of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That is, for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not only the objective and universal qualities that Reimer claims exist, but also the cultural, contextual, and praxial qualities that Elliott claims exist at the same time. Therefore, music educators need to critically look a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two perspectives, and to understand these two perspectives in an integrated way.

      • KCI등재

        디지털 프로슈머 시대에 음악교육 철학의 방향성 재고

        최진경 ( Choi Jin Ky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비자와 생산자로 이분화되었던 음악 향유의 전통적 구조가 음악을 생산하며 소비하는 디지털 프로슈머로 통합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국면에서 음악교육의 철학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 가지 명증한 음악교육 철학을 찾거나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프로슈머 시대의 혼란스러운 음악 양상에서 현대 음악교육 철학의 중심이 되는 심미적 음악교육과 실천적 음악교육이 각각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갖는지를 탐색함으로써, 음악교육 철학에 대한 새로운 담론의 장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은 소비자와 생산자의 양성이 분리되었던 음악교육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디지털 음악의 성격과 특징을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에 심미적 음악교육 철학과 실천적 음악교육 철학이 각각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갖는지 탐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프로슈머 시대는 참여와 소통 그리고 음악 그 자체로서의 본질 사이에서 ‘시대가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우리를 일깨운다. In keeping with the progress of digital technology,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music enjoyment, which used to be dichotomized into consumers and producers, has been being integrated into the structure of digital prosumers who produce and consume music, and thus it is time for philosophical discussion about music education in the new p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and praxial music education, which are central to the contemporary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midst the confused aspects of music in the digital prosumer era, not to find or suggest one clear music education philosophy, thereby preparing a new forum for discourses on music education philosophy. Research methods consist of examining diachronically the history of music education in which consumers and producers were divided, and explor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philosophy and praxial music education philosophy in the digital era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digital music. In conclusion, the digital prosumer era reminds us of the question of “What does the era demand?” betwee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the essence of music itself.

      • KCI등재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에 입각한 『매직핑거 피아노』 교재 분석

        배수영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gic Finger Piano’ method books based on Elliott's praxi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16 books of ‘Magic Finger Piano’ method series were sele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extent to which Elliott's praxi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was reflected in the method books, first, the requisites for piano method books based on praxi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were analyzed. Music education in a cultural context, learning musical knowledges through musicing, and developing critical musical thinking are the requisites emphasized in praxi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thod books according to the requisites emphasized in praxi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agic Finger Piano’ method books clearly reflect Elliott's praxi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in that it contains songs that Korean students can develop musicality in Kore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ormal music knowledge such as score reading, meter, rhythm, form, and phrasing and informal music knowledge such as technique were designed to be developed through musicing; an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improvisation and use of recorded accompaniments for ensemble which enables the development of critical musical thinking were presented. In conclusion, the ‘Magic Finger Piano’ method books clearly reflect Elliott's praxi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에 입각하여 『매직핑거 피아노』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피아노 교재의 새로운 동향과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매직핑거 피아노』 레슨교재 8권과 레퍼토리교재 8권, 총 16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에서 강조하는 문화적 맥락 속에서의 음악교육, 음악하기를 통한 음악적 지식의 학습, 비평적 음악적 사고의 계발을 바탕으로 교재에 수록된 악곡, 학습내용, 학습과정,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매직핑거 피아노』 교재에는 국내(구전)동요, 영화·광고·게임음악, K-Pop 음악 등 우리나라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음악하기를 통한 음악성을 계발할 수 있는 악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독보, 조성, 박자, 리듬, 형식, 프레이징과 같은 형식적 음악지식과 테크닉과 같은 비형식적 음악지식이 실제 음악하기를 통한 과정적 지식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었다. 또한 즉흥연주와 녹음된 음원을 활용한 앙상블 연주 활동 등 비평적 음악적 사고를 계발할 수 있는 학습활동이 제시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매직핑거 피아노』 교재는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이 뚜렷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음악교육의 관점 변화와 현대 교과교육에서의 수용

        주대창 한국서양음악학회 2008 서양음악학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together and compare educational concepts of music in the change of times. There were several aims of music education in the past. What has the oldest tradition is the use of music education for ruling a country in oder to realize a sound society. But controlling contents of music education in public school can possibly lead to a danger of subordinating musical instruction to certain ideology. The recent researches in educational value of teaching music show the dispute between aesthetic music education and praxial music education. Giving consideration for students as the principal body taking in music instr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construction of reasonable goals which can be set common obligatory music classes in public school. So, open aesthetical viewpoint related to music education is regarded as a contribution to our reality of the democratic society based on liberty as well as beauty and equality.

      • KCI등재

        현대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본 쉴러의 미적 교육

        주대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0

        Aesthetic education is essential also in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because music education these days comes into action by providing effective musical experience to cultivate core competences which seem to be related to the musical beauty. However it is still not clear in the modern music educational field to confirm what is the original intention of core competence education. Even aesthetic education in the school music education is one of hot issues to promote converging competences of students which aim for the futur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es in the new 2015 curriculum for music class and philosophical frames of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who was the inventor of this term ‘aesthetic education'. His idea on aesthetic education was founded on the concept to develope the sound society by means of sound individuals. Accordingly today's music education in school should not rely on instructing only musical ability but go forward to make progress for aesthetic education that enhances a bond of social sympathy resulted from individual freedom. 오늘날의 음악교육에서 미적 교육은 필수적 사항으로 나타난다. 아름다움을 체험함으로써 인간의 성숙을 이끌어내는 음악교육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이는 2015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밝히고 있는 핵심 역량의 신장에도 나타난다. 하지만 미적 교육이 본래 어떤 의도에서 나온 것이며 새롭게 제기되는 역량 교육이 그것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 교과에서 역량 교육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 그것을 미적 교육의 지향점에 투영시켜 시사하는 바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적 교육의 원래 의도에 따르면 인간은 아름다움으로 자유를 향유하고 이러한 품성의 인재에 의하여 아름다운 사회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미적 교육은 현대 역량 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맥을 같이하며, 미적 교육으로 역량 교육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역량 중심의 현대 학교 음악교육은 아름다움의 체험이 개인을 위한 학습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기여를 위한 품성으로 발전하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음악의 지각과 의미 형성의 과정: 존 듀이 예술철학에 기초하여

        김기수 ( Gi Su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음악교육의 주요 과제인 음악의 지각과 의미 형성에 관한 논의를 존 듀이 예술철학에 기초한것이다. 듀이는 경험주의 철학자로서 그의 철학을 ‘경험으로서의 예술’로서 완성하고 있다. 그의 예술철학의 핵심은 미적 경험이고, 그것의 획득은 유기체성 생명체의 센스에 기초한다. 생명체의 센스는 인간 유기체의 살아있음을 가장 잘 드러내고, 그것은 그들의 일상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므로 센스는 자연의 생명 기운인 미적 기운을 가장 잘 지각하는 능력임과 동시에 음악의 지각과 의미 형성을 하게 함으로써 음악작품을 창출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이 센스는 일상의 미적 경험에서 음악의 미적 상황을 만들고 하나의 음악 작품을 만들게 한다. 그런 만큼, 이 미적 경험은 일상에서 출현하는 것이 되고, 음악과 연속성을 지닌다. 음악작품의 창작 과정 또한 일상의 미적 경험과 연속성을 지닌다. 음악의 지각과 의미 형성 과정의 단계는 미적 대상과 만남의 단계, 미적 대상과 상호교류작용의 단계, 미적 질서와 통일성 발견의 단계, 음악의 리듬 획득의 단계, 그리고 음악적 의미 형성의 단계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음악의 창작과 수용 적 차원에서 음악교육의 원론적인 접근과 방법론적인 방안의 일면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discussion that is based on John Dewey``s art philosophy about perception of music and process of making meaning of Music that is the main subjects in music education. John Dewey as empirical philosophy completes his philosophy with ‘art as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is the hard core in his philosophy, it is based on sense of organic vitality. The sense of organic vitality reveals the aliveness of man``s organic vitality, it is being from ordinary. Therefor the sense is not only the most percept-ability getting the life energy of nature, but also the motive power for making music works as perception of music and process of making meaning of music. Thus Aesthetic experience appears from ordinary, and has the continuity with music. Also the process for creating music works has the continuity with an ordinary aesthetic experience. The stages of perception of music and process of making meaning of music are the meeting with aesthetic object, the transaction with aesthetic object, the discovering of order and unity, the acquiring a rhythm of music, and the making Meaning of Music. These processes could bring up the aspect of an approach for a theory and a method for music education in the creation and the accommodation of music.

      • KCI등재

        체화인지로 바라본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치와 한계

        최진경 ( Choi Jin Kyo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3

        실천적 음악교육의 중심에 있는 데이빗 엘리엇은 Music Matters(2015)에서 인간이 음악을 어떻게 경험하고 배우는지, 음악이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기 위하여 체화인지(embodied cognition)를 언급하고 있다. 인지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유기체와 환경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인지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하는 체화인지는 광범위한 학문에 걸쳐 토론과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명확한 개념으로 정리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연구자는 체화인지의 개념과 의미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치와 한계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체화인지의 개념을 정리하고, 체화인지가 실천적 음악교육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치와 한계를 도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실천적 음악교육은 체화인지를 토대로 이론과 실천을 통합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고, 4차산업혁명 시대의 음악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며, 음악교육의 가치를 윤리적인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지만, 음악 인지의 고차원적 단계라 할 수 있는 음악의 상징, 추상에 대한 가치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 학교 음악보다는 지역 사회 음악교육(community music education)에 더욱 적합하다는 점, 교사 역량에 지나치게 의존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D. Elliott, the leader of praxial music education, mentions embodied cognition in Music Matters (2015) in order to explain how human beings experience and learn music and how music affects human beings. The embodied cognition, which is a new paradigm of cognitive science and suggests that dynamic interaction between an organism and environment becomes the basis of cognition, has aroused discussions and controversies across a wide range of disciplines; however, it has not yet been defined clearly as a concept.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searcher intends to define the concept and meaning of embodied cognition, and to explore the value and limitations of praxial music education on the basis thereof. Research methodology consists of defining the concept of embodied cognition, analyzing how embodied cognition is applied to praxial music education, and finally deriving the value and limitations of praxial music education. In conclusion, praxial music education can suggest alternative methods for integrating theories and practices on the basis of embodied cognition,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for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pand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to the ethical domain; however, praxial music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that it has difficulty in explaining the value of musical symbols and abstraction, which may be regarded as the high-dimensional phases of music cognition, that it is more suitable for community music education rather than school music, and that it should excessively depend on a teacher’s competence.

      • KCI등재

        유가의 악론으로 본 국악교육철학 연구

        김영욱 민족음악학회 2010 음악과 민족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priate some idea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by resorting to Confucius‘s music theo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the deficiency in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Korea today is attributed to the lack of indebt discourses or efforts to establish theories about it. With the development of our own educational philosophy, we will be able to put the unlikely reality and policy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to perspectives. Many problems inherent in the current curriculums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re caused not only by instructors of Korean classical music, but also by the policy makers and authors of textbooks who lack a solid educational philosophy.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will affect the minds of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Second, Korean classical music must be taught in schools today according to some guiding credo that could offer the bases for teaching activities. Why must Korean classical music be taught in schools and what kind of materials must be used and how should they be instructed? A serious thought should be given to these questions. In the current textbooks for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orea, 90% of their contents are concerned with folk music (popular Korean music). This alarming phenomenon must be remedied.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eaching materials of national Korean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should not be overlooked. This idea is in accordance with Confucius's philosophy that music exert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human disposition. Third, in order for the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to prepare and execute their curriculums properly and without adhering excessively to the conventional ideas or their own impulses, they need to accomodate the traditional and Asian perspectives of music and applying them selectively. This study expect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ing of balanced music textbooks and proper teaching methodology for Korean classical music and Korean folk music.

      • KCI등재

        크리스토퍼 스몰(Christopher Small)의 “뮤지킹(Musicking)”과 음악교육의 방향성

        김지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3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people, and between people who mediate music and society has been on the rise in music education, this study reflects on current music education based on Musicking(1998) written by Christopher Small and its follow-up studies. To discuss this study, the musicking was redefined by comparing the musicking of Christopher Small with musicing of David J. Elliot, and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was suggested based on musicking of Small. Small stressed on the concept of experiences to focus on the musical behaviors while the musicing of Elliot was concentrated on the musical experiences which is “doing something.” Even though the fields of life, society, and living experience in music education have been emphasized, it is still necessary to look back on whether the current music education is just more focused on the result or efficiency of education, or life has a gap with music.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redefi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music in modern society and suggestion for the direction of current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