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스팅 기법을 활용한 공정 및 일정 통합 시뮬레이션 시스템

        이창용(Yi Chang-Yong),이동은(Lee Dong-Eun) 대한건축학회 200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5 No.9

        Simulation applications for analyzing th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operations at operation level and project schedules at project level are crucial methods in project management. The application at two different levels should be very tightly linked to each other in practice. However, appropriate integration at the levels is not achieved in that existing systems do not support to integrate operation models into a schedule model. This paper presents a new approach named to Discrete Event Simulation-Nesting modeling approach, which supports not only productivity analysis at operation level but also schedule management at a project level. The system developed by the authors allows creating operation models at the operation level, maintaining them in operation model library, executing sensitivity analysis to find the behaviors of the operation models when different combination of resources are used as existing DES systems do. On top of the conventional functions, the new system facilitates to find the optimum solution of resource combinations which satisfy the user’s interest by computing the hourly productivity and the hourly cost of the operation. The operation models are integrated into an activity of the schedule model. When a complete schedule model is established by nesting operation models into the schedule model, stochastic simulation based scheduling is executed. A case study is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new simulation system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system.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따른 일반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모델 개발

        강은영,박윤정,서효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ecial class curriculum operation model for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general school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credit system policy. Method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eight secondary special teachers andsupervisors who had experience about the credit system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model.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survey to collect expert opinions on the directionof model construction, first, the core elements to be considered when promoting the high school creditsystem, including career guidance, were included as a propulsion system. Second, regarding the typeof operation,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name depending on the overallmeaning, the clarific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subject support type and cooperative teachingtype, and the possibility of opening open type courses that reflect the demand of students withoutdisabilities. The compositions of the model are an overview of the model, presenting the vision,operation goal, and promotion strategy. Moreover, the operation type is inclusion implementation type(subject support type, cooperative teaching type, open type) and special class independent type(independent type, visiting type, association type). As for the propulsion system, content elementsrelated to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career and study design guidance, classes andevaluation, school culture and operation innovation, and credit system creation were develop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easibility review of this operation model, implications of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pecial class credit system curriculum for students who need specialeducation in general schools were discussed. 연구목적 연구는 고교학점제 정책 도입 및 시행에 따라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 관련 경력 및 운영 경험이 있는 중등 특수교사 및 장학사 총 8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운영 모델 구성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모델 구성의 방향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진로지도를 포함한 고교학점제 추진 시 고려해야 하는 핵심 요소를 추진 체계로 포함하였다. 둘째, 운영 유형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의미에 따른 명칭의 적절성, 과목지원형과 협력교수형의 구분 명료화, 개방형의 비장애 학생 수요 반영 과목 개설의 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운영 모델의 구성은 모델에 대한 개관으로 비전, 운영 목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운영 유형으로는 통합교육 실행형(과목지원형, 협력교수형, 개방형) 및 특수학급 독립형(단독형, 방문형, 연합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추진 체계로는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진로 및 학업 설계 지도, 수업 및 평가, 학교 문화 및 운영 혁신, 학점제형 공간 조성 관련 내용 요소로 개발하였다. 결론 이러한 운영 모델의 타당성 검토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일반학교에서의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특수학급 학점제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마련 등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운용 형태별 원샷 시스템의 신뢰도 예측 모델 제안

        서양우(Yang-Woo Seo),엄천섭(Chun-Sup Um),남현우(Hyun-Woo Nam),전동주(Dong-Ju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논문에서는 운용 형태별 원샷 시스템의 신뢰도 예측 모델을 제시하였다. 운용개념에 따른 운용 형태별 원샷 시스템의 신뢰도 예측 모델을 제시한 후 신뢰도 예측을 위한 절차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신뢰도 모델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모델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Operational Model, Mixing Model, Storage Model 순으로 운용환경 조건이 가혹하기 때문에 고장률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운용 시간이 대부분인 원샷 시스템의 고장률은 상당히 적게 산출되기 때문에 운용개념에 따라 세분화하여 신뢰도를 산출해야 한다. 이 결과들을 활용하여 신뢰도 80% 이상 목표 값이 주어질 때 각각의 신뢰도 예측 모델별로 점검 시점을 확인하였다. 운용탄에서는 1년, 혼용탄에서는 1.3년, 저장탄에서는 5.6년 시점에서 점검을 수행해야 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운용 형태별 원샷시스템의 신뢰도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정확한 신뢰도 예측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떠한 원샷 시스템이든 신뢰도 예측시 모델 기반으로 활용 가능하다. 현 시점에서의 모델들을 한국군 데이터 기반의 모델이 아니라는 제한사항이 있기에 향후에는 한국형 고장데이터를 포함한 보완된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proposed a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of One-shot systems by operational mode. The procedure for reliability prediction was proposed after presenting the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for each operational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concept. The differences between models were analyzed through case analysis for the proposed reliability prediction. It was confirmed from the analysis that the failure rate was higher because the opera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harsh. Harshness was low for the operational model, followed by the mixing and storage models in the same order. Since the failure rate of the One-shot system, which has most of the non-operating time, is calculated to be quite small, reliability should be calculated by subdividing it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concept. Subsequently, each reliability prediction model"s inspection timing was checked using the results of the calculations when a target value of 80% or more reliability is given.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inspection had to be performed every one year for the operational missile, 1.3 years for the mixed missile, and 5.6 years for the storage missile. It is also concluded that accurate reliability predic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of the One-shot system by operational mode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del base while predicting the reliability of any One-shot system. Since the models presently used are not Korean military data-based models,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supplemented model including Korean-style failure data in the future.

      • SCISCIESCOPUS

        Modeling of oxide reduction in repeated-batch pyroprocessing

        Lee, Hyo Jik,Im, Hun Suk,Park, Geun Il Pergamon Press 2016 Annals of nuclear energy Vol.88 No.-

        <P><B>Abstract</B></P> <P>Pyroprocessing is a complicated batch-type operation, involving a highly complex material flow logic with a huge number of unit processes. Discrete event system modeling was used to create an integrated operation model for which simulation showed that dynamic material flow could be accomplished to provide considerable insight into the process operation. In the model simulation, the amount of material transported upstream and downstream in the process satisfies a mass balance equation while considering the hold-up incurred by every batch operation. This study also simulated, in detail, an oxide reduction group process embracing electrolytic reduction, cathode processing, and salt purification. Based on the default operation scenario, it showed that complex material flows could be precisely simulated in terms of the mass balance. Specifically, the amount of high-heat elements remaining in the molten salt bath is analyzed to evaluate the operation scenario.</P> <P><B>Highlights</B></P> <P> <UL> <LI> Pyroprocessing is a complicated batch-type operation. </LI> <LI> Discrete event system modeling was used to create an integrated operation model. </LI> <LI> Simulation showed that could be accomplished. </LI> <LI> The dynamic material flow helps us understand the process operation. </LI> <LI> We showed that complex material flow could be simulated in terms of mass balance. </LI> </UL> </P>

      •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의 표준운영모형에 의한 비교연구

        조주복(趙周福) 한국지방자치학회 201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7 No.4

        지방정부의 재정운영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주민참여예산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되는 시점에서 운영실태의 평가가 요구되고 있지만 표준운영모델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자치단체의 정치구도에 따라 우수한 운영조례 조차 주민들의 참여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운영조례 개정을 시도하는 등의 혼란이 예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운영모델을 토대로 표준 운영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광주 북구와 강원 원주의 운영 실태를 비교하였다. 표준 운명모델에 가까운 광주 북구의 운영성과는 전국 100 여개 자치단체의 조례 제정의 모델이 되었고, 지속적인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14년 9월 안전행정부가 전국 244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방재정 균형집행 중간평가에서 69개 자치구중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반면에 강원 원주시의 경우 형식적인 운영으로 참여위원들의 관심부족으로 전체 참여예산위원회 위원 70명 중 전체회의에 참석인원은 1차 36명, 2차 33명, 3차 29명으로 참여율이 50% 이하로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토론회 등을 주관할 수 있는 ‘지역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등의 참여기구와 집행부의 대표와 주민의 대표가 참여하여 수렴된 주민들의 의견을 예산으로 반영하기 위해 심의.의결하는 ‘민관협의회’와 같은 참여기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지방재정법에 명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예산제도로서 참여자인 공무원들의 관심과 시민참여위원들의 참여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제안한 의견들에 대한 토론회나 설명회 등에는 반드시 담당공무원들이 참석하여 예산방향과 중점사항을 설명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내실화와 정착화를 통해 지방재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행정자치부에서 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우수하게 운영한 자치단체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10 years have passed after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was introduced in oder to ensure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ng status are required, but the situation is not even a standard operating model. Moreover, the confusion of trying to amend such regulations even superi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political composition of governments have been foreseen. This study presents a standard operating model based on the operational model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compared them based on the operating status of Gwangju Buk-gu and Gangwon Wonju. Operating performance in Gwangju Buk-gu standard model became the fate of the regulations enacted in 100 municipalities nationwide model, it has been the subject of an ongoing benchmarking. In the case of Wonju, Gangwon,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in this meeting due to lack of interest of the participating members in the form of operating problems may appear poorl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participation mechanisms, such as "Regional meetings",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Committee”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people and organizing debates and such as "public-private councils" representatives of the residents and executives to join together to review and confirm people"s opinions in order to reflect the residents" opinions converge to the budget, will need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by mandatory through Provincial Finance Act amendment. Second, responsible officials to attend suc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on the opinion residents proposed have to explain the focus direction and budgetary requirements in order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citizen participation committee and participant officials. Third, we will need to provide a variety of incentives to municipalities governments excellently operated through an assessment of the operation of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rough the substantiality and Settl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budgeting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ocal finances.

      • KCI등재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장은규,김정호,정연철 한국해양경찰학회 2019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key competency model of Vessel Traffic Services(VTS) operators as a preliminary step to develop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e demystified competency modeling method was used. First,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what are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a successful VTS operators to perform their duti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the job analysi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VTS operators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ng and Lighthouse Authorities (IALA) recommendati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etency model presented in the NCS and IALA recommendations lacks a detailed analysis of the competency of the operators. Also, the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untries was found to be inadequate to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ency requirements of VTS operators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s of experts based on NCS and IALA competency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competency requirements analysis, a new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Next, the competency model was defined as a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The competency model was established by evaluating the adequacy of competency definition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rough a delphi survey and a questionnaire on the provisional competence model. The competency model of the VTS oper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reflects the assessment of the competency level of the VTS operators and the educational nee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veloped competency model will be able to quickly reflect the needs of competences required by the organization,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the training to improve the various expertise of VTS operators, such as newly, supervisors and refresher training.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this competency model will help strengthen the capacity of VTS organization. 본 연구는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 도출을 위한 방법론으로 단축형 역량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였다. 해상교통관제사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동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해상관제 국가기술직무표준(NCS)과 국제항로표지협회(IALA) 권고서에 제시되어있는 해상교통관제사의 직무분석 및 분류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상관제 NCS와 IALA의 권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역량모델은 관제사의 역량에 대한 세부 분석과 개별 국가의 환경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관제조직의 비전과 핵심가치를 반영한 관제사의 역량 수준에 대한 평가와 교육필요도를 반영하지 못하다는 한계를 갖고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관제 NCS와 IALA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 요구도를 분석하고, 역량요구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역량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역량모델을 잠재적 역량모델로 정의하고, 잠재적 역량모델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역량정의와 행동지표의 적합도를 평정하여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역량모델은 조직이 필요로 하는 역량에 대한 요구를 빠르게 반영하여 교육할 수 있게 되므로 신임해상교통관제사 또는 선임해상교통관제사 및 보수교육 등 다양한 해상교통관제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시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동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시행은 해상교통관제 조직의 역량강화에 도움을 줄 것이다.

      • 이중외피 파사드의 운전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박유영,조재훈,여명석,김광우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peration model of the double-skin facade for energy conservation and user comfort. This study proposes development process of the operation model in three steps. A case study is us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cess. The G building in Kungkido is chosen.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operation objectives and standards are established. And the operation facto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and standards. 2) Correlation of the operation factors are clarified. And Individual models. The operation model is essential to building which has the double-skin facade and logical operation would be improved by this model.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operation model, it will be needed to connect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스마트그린 어촌 표준모델 수립 및 적용 방안 연구

        조성수,백효진,안영웅,김희영,임윤택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mart and green service for the standard model focused on fishing villages and to suggest an application plan. The standard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pread and disseminated to fishing villages New Deal areas. This model was designed to enable sustainable management as well as integrating the service model and operating model. The service model was composed of a general service for solving general problems in fishing villages and a customized (specialized) service for solving problems in targeting site. The operational standard model was designed as a circulatory structure for discovering new services and improving standard model services through feedback as well as operation/management of the entire data lifecycle such as collection, storag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data derived from the service standard model. The application plan of the smart and green fishing village was prepared through the standard mode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roadmap according to phase such as project preparation phase (short-term), implementation phase (medium-term), and plan spread phase (long-term).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smart region to revitalize the smart and green fishing village plan which is to utilize the smart infrastructure of local governments(e.g. eup, myun, si, gun and gu) to provide and manage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어촌에 적합한 스마트그린 표준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스마트그린 표준모델은 전국 어촌뉴딜 지역에 확산 및보급 가능하며, 서비스모델과 운영모델을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써 서비스의 제공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운영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서비스 모델은 어촌 일반문제 해결을 위한일반서비스와 대상지 문제 해결형 맞춤(특화)서비스로 구성하였다. 운영 표준모델은 서비스 표준모델에서 도출된 서비스의 데이터 수집 및 저장, 가공, 활용 등 데이터 전주기 운영/관리와피드백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발굴 및 표준모델 서비스 개선의 선순환 구조로 설계하였다. 스마트그린 어촌 적용 방안은 사업준비단계(단기), 실행단계(중기), 확산단계(장기)에 따라 표준모델정립과 확산 로드맵을 통해 마련되었다. 특히, 스마트그린 어촌의 효율적인 활성화를 위해 읍ㆍ 면(또는 시ㆍ군ㆍ구)의 중심의 인프라 거점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지역화 개념을 제시하였다.

      • 와든의 ‘5개 동심원 모델’에 대한 한국적 적용 가능성 검토

        김태영 ( Kim Taeyeong ),김인승 ( Kim Inseung ) 공군사관학교 2022 空士論文集 Vol.73 No.2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그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해 최단시간 내에 최소한의 피해로 군사작전이 완료되는 속전속결의 형태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의 전쟁 수행을 위한 핵심전력 중 하나가 항공력이며, 그 대표적인 운영방식으로 거론되었던 것이 바로 와든의 ‘5개 동심원 모델’이다. 와든의 모델이 속전속결의 핵심인 병행전과 마비전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공군이 차용할 항공전략으로 여전한 유용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한반도 작전환경의 특수성으로 인해 ‘5개 동심원 모델’을 한국 공군의 작전운용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은폐와 엄폐가 유리한 한반도 특유의 산악지형과 종심이 짧고 수도권에 인구 및 인프라가 집중된 남한의 상황, 그리고 효과적인 병행작전 수행에 있어 불충분한 한국군의 전력수준으로 인해 와든의 5개 동심원 모델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5개 동심원 모델의 한 국적 적용을 위해서는 한반도 작전환경 적합한 수정 및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모델에서 중심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가정하고 있던 ‘공세효과’에 더해 ‘방어효과’ 개념을 추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북한의 표적을 ‘방어효과’와 ‘공세효과’라는 두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그 우선순위를 재선정하였다. 특히, 북한에 의한 남한 본토 타격 위협이 직접적으로 존재하는 한반도 작전환경 상 ‘공세효과’ 보다는 ‘방어효과’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해 한국형 동심원 모델을 재구성했다. War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operated in the form of blitzkrieg tactics in which military operations are completed with minimal damage in the shortest time due to its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Also, one of the core power for carrying out this type of war is aviation power, and it is Warden's five concentric model that has been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method of the air operation. This is because Warden's concentric model still has usefulness as an aviation strategy to be borrowed by the Korean Air Force, given that it applies the concepts of parallel warfare and paralysis, which are the point of the blitzkrieg tactics. The problem is that the five concentric model cannot be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Korean Air Force without alteration,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Warden's five concentric models can cause problems if it is applied without alteration, due to the unique mountainous terrai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hort range of military operations, population and infrastructure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insufficient level of Korean military power for effective parallel operations. In other words, for the Korean application of the five concentric model, it is necessary to 'modify' and review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defense effect' was added in addition to the 'offensive effect' assumed as a criterion for identifying high payoff target in the existing model. Based on this, the priority of North Korea's targets was reset based on two criteria: 'defense effect' and 'offensive effect'. In particular, the South Korean concentric circle model was reconstructed by giving higher priority to the defense effect than the offensive effect due to reflecting operation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threat of striking the South Korean mainland by North Korea directly exists.

      • NASA의 Space Operations Cost Model을 이용한 지구 저궤도 위성의 운영비용 추정

        정인식 ( Insik Jung ) 공군사관학교 2016 空士論文集 Vol.67 No.2

        하나의 인공위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 먼저 그 인공위성이 수행하게 될 임무의 개념을 정하고 그 개념에 맞는 임무 설계 및 수행 방법 등을 결정한 후에 위성의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이 논문에서는 위성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이전 단계에서 결정되는 사항들을 바탕으로 그 위성이 임무를 수행할 때 필요한 운영비용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NASA에서 개발한 Space Operations Cost Model(SOCM)을 활용하였고 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수치들을 현재의 자료에 맞게 최신화하여 운영비용을 추정하였다. 임무 설계가 시작되면 개략적인 위성의 사양이 결정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30% 정도의 정확도를 가진 운영비용을 추정하고, 향후 위성이 개발되면서 결정되는 좀 더 자세한 위성의 사양을 통해 이전에 추정한 비용을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20%의 정확도를 가진 운영비용을 추정할 수 있다. 결과 검증을 위해 현재 운영 중에 있는 여러 지상국의 연간 운영비용과 비교하였다. A few steps are needed to develop one satellite. First of all, we should decide a mission architecture, and then, mission design and process planning is followed. After theses decision, satellite development is started. This paper presents operations cost estimation method during the satellite operation phase basis of a few input data before development phase. Using the Space Operations Cost Model(SOCM) that developed by NASA, and customizing the date of the model, the operations cost is estimated. When the mission design is started, satellite specification`s outline is decided, using these data, we can estimate the operations cost that has ±30% error. Using the more detailed specifications after a few development steps, we can correct estimated operations cost to more precise one that has ±20% error. For the validate the result of estimation, some ground stations annual budget is com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