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성격타입(A/B), 정신력과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김인수(Kim In-Soo),최정아(Choi Jeang-a)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A/B 타입 성격과 정신력, 운동몰입 간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축구선수로 등록된 236명과 중학교 축구 선수 110명을 대상으로 A/B 타입 성격척도, 정신력 척도, 운동몰입척도를 사용하여 집단 간 t-test 및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위해 A/B 타입 성격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정신력과 운동몰입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델을 설정하고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A/B 타입 성격 간 비교에서A 타입 성격소유자가 B타입 성격소유자에 비해 정신력과 운동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경력유무집단 간 비교에서 입상경력이 있는 선수는 그렇지 못한 선수에 비해 A 타입 성격, 정신력, 운동몰입이 높았다. 초등학교 축구선수와 중학교 축구선수 간 비교에서는 성격타입, 정신력, 운동몰입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기한 결과 A/B 타입 성격, 정신력, 운동몰입 간에는 서로 유의한(p<.01) 상관이 있었다. 셋째, 변인 간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A/B 타입 성격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정신력과 운동몰입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형은 이론모델로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χ2=20.13, df=7, Q=2.88, RMR=.01, GFI=.97, TLI=.94, NFI=.96, CFI=.97, RMSEA=.08) 세부 구조경로에서는 A/B타입 성격 → 정신력, 정신력 → 운동몰입의 경로가 유의한(p<.01)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하면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경우 A타입 성격 성향이 강할수록 정신력과 운동몰입 수준이 높으며 지방대회 3위 이상의 입상경력을 가진 선수는 그렇지 않는 선수에 비해 A 타입 성격 성향이 강하고, 정신력과 운동몰입 수준이 높다. 또한, A/B 성격 성향은 정신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정신력은 운동몰입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운동몰입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정신력의 강화가 필요함을 제시해 주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structural relation among A/B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of elementary school soccer players. Methods: This study set up a structur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s as A/B type behavior pattern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of soccer players. The participants were 236 elementary school and 110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who lived in G city and J province. This study used A/B type behavior pattern scale, Mental toughness scale and commitment scale. Results: In analysis of t-test, A type players show higher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than those of B type. The players who had experienced more 3rd place in province soccer competition show higher A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behavioral commitment than those of the oth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players and middle school players in A/B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In analysis of cor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A/B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I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χ2=20.13, df=7, Q=2.88, RMR=.01, GFI=.97, TLI=.94, NFI=.96, CFI=.97, RMSEA=.08).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A/B type behavior pattern → mental toughness, mental toughness → sport commitment. Conclusion: In this study define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B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To approve sport commitment of elementary school soccer players, players kept up A type behavior pattern and make strong mental toughness.

      • KCI우수등재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과 정신적 강인함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안효연,소영호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julsil, mental toughness, and resilience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s. Participant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on the julsil, mental toughness, and resilience. With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23.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ulsil had an positively influenced the prediction of mental toughness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Second, the julsil had an positively influenced the prediction of resilience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Third, the mental toughness had an positively influenced the prediction of resilience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Fourth, the mental toughness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lsil and resilience. These results mean that the mental toughness and resilience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julsil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and that resilience can be effectively explained by mental toughness. In addition, the julsil had an indirect effect on resilience through the mental toughness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이 연구는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과 정신적 강인함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체육고등학교 선수 249명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절실함, 정신적 강인함, 회복탄력성을 수집하여 SPSS 23.0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은정신적 강인함을 예측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은 회복탄력성을 예측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정신적 강인함은 회복탄력성을 예측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정신적 강인함은 절실함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는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을 통해 정신적 강인함과 회복탄력성이 설명될 수 있고, 정신적 강인함에 의해서도 회복탄력성이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절실함은 정신적 강인함을 통해 회복탄력성을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다는것이 시사되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엘리트 학생선수의 지각된 통제적 코칭행동과 정신적 강인함 및 운동 탈진의 구조적 관계

        소영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5 No.1

        목적: 이 연구는 엘리트 학생선수가 지각하고 있는 지도자의 통제적 코칭행동과 정신적 강인함 및 운동 탈진의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엘리트 학생선수 236명이었으며, 통제적 코칭행동과 정신적 강인함 및 운동 탈진에 대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통제적 코칭행동은 운동 탈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통제적 코칭행동은정신적 강인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정신적 강인함은 운동 탈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정신적 강인함은 통제적 코칭행동과 운동 탈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엘리트 학생선수가 지각하는 통제적 코칭행동은 운동 탈진을 증가시키고, 정신적 강인함을 감소시키며, 정신적 강인함은 운동 탈진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제적 코칭행동은 정신적 강인함을 통해 운동탈진을 감소시키는 특성이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수행을 위한 제언에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mental toughness, and athlete burnout in elite student athlet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6 elite student athletes. Participant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on the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mental toughness, and athlete burnout. With the col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by AMOS 22.0. Results: First, the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impacts positively(+) influence on athlete burnout. Second, the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impacts negatively(-) influence on mental toughness. Third, the mental toughness impacts negatively(-) influence on athlete burnout. Fourth, the mental toughness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and athlete burnout. Conclusion: These results that increased their athlete burnout through the percetived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of elite student athletes, and the reductions mental toughness, but the found that mental toughness can prevent athlete burnout. In addition, the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had an indirect effect on athlete burnout through the mental toughness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엘리트 선수들의 운동 대처기술과 자신감의 관계에서 정신력의 역할

        신정택,황재욱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3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l structural instructor’sAthletic Coping Skills, Mental Toughness Confidence perceived by Elite Athletes. Methods: 324 Elite Athletes participated in the study. Explorat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Using AMOS, SEM, Multi-group path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hletic Coping Skills positively affected Mental Toughness(t=3.123, p<.01) and Mental Toughness positively affected Confidence(t=2.365, p<.05). Also,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Mental Toughness was found in the path from Athletic Coping Skills to Confidence. finally, there are no game classification difference in 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Conclusion: Athletic Coping Skills is a key variable to increase Mental Toughness. Mental Toughness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hletic Coping Skills and Confidenc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수의 대처기술, 정신력, 스포츠 자신감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대처기술과 자신감의 관계에서 정신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엘리트 운동선수 324명이 참여했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해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처기술은 정신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6.936, p<.001), 정신력은 자신감에 정적인 인과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380, p<.001). 아울러 대처기술과 자신감의 경로에서 정신력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운동종목 유형(구기종목, 투기종목, 기록종목)에 따라 집단 간 경로계수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운동종목 유형에 따라 경로계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대처기술은 정신력과 향상시키는 핵심 변인이 되고, 정신력은 대처기술과 자신감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축구선수 정신적 강인함의 발달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선수-지도자 상호작용 과정 및 인식 차이 탐색

        장도진,이도흥,전현수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2

        PURPOSE This study comprehensively compared the perception and interaction of player–coach in the development of mental toughness in socc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from 12 participants (6 athletes and 6 coaches),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 and they were compared to the group of athletes and coaches, respectively.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th athletes and coaches recognized that the experience of coping with the pressure present in competition was a central phenomenon in the development of mental toughness. (2) Regarding the situation and condition that lead to coping with pressure, the athletes emphasized the individual's goal orientation in the context of competitive situ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hile the coaches emphasized the athletic attitude toward competition and development in childhood. (3) The athlete–coach interaction was identified as an intervening condition affecting the experience of coping with pressure. (4) As the action–reaction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mental toughness, the optimistic thinking was emphasized for athlete and achievement-oriented thinking for coach; thus, it differed in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toughnes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results of an integrated comparison of mental toughness, which can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ual specificity (soccer) and the subject of perception (athlete– coach), especially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player–coach interact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strategy to be used in mental toughness development. [목적] 축구선수 정신적 강인함(발달과 특성)에 대한 선수-지도자의 체험을 통합적으로 비교하고, 그 현상에서 나타나는 선수와 지도자의 상호작용 과정 및 인식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총 12명의 참여자(선수 6명, 지도자 6명)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인 면담을 실시하고,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접근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선수와 지도자 집단의 결과를 각각 도출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선수와 지도자 모두 경쟁 맥락에서 요구되는 압박에 대한 대처 경험이 정신적 강인함 발달의 중심현상이라고 인식했다. 둘째, 축구선수에게 압박에 대한 대처 경험을 일으키는 상황 및 조건과 관련해서, 선수는 경쟁적 상황에서지각하는 요구와 집단환경의 조건에서 형성되는 개인의 목표 성향을, 지도자는 축구선수가 경험하는 경쟁과 발달의 과정에서 형성되는 태도의 측면을 강조했다. 셋째, 선수-지도자의 상호작용은 축구선수가 압박-대처 경험으로부터 정신적 강인함을 형성시키는 중재 조건으로 확인되었으며, 선수는 지도자의 관계 및 지도자로부터의 신뢰를, 지도자는 코칭에 관한 철학 및 이에 대한 선수의 반응이 이를 조절한다고 인식했다. 넷째, 축구선수의 정신적 강인함 발달을 위해 요구되는 상호전략으로는, 선수는 낙관적 사고를 강조하고 지도자는 성취지향적 사고를 강조했으며, 두 집단 모두 인내와극복을 중심 특성으로 강조하지만, 선수는 자기확신과 탄력성의 측면에서, 지도자는 자기절제와 헌신의 측면에서 정신적 강인함을 인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종목의 특수성(축구) 및 인식의 주체(선수-지도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정신적 강인함에 대한 통합적 비교를 근거이론으로 제시하였며, 특히 주요 결과인 현상에 대한 상호작용방식은 스포츠 현장의 선수와 지도자에게정신적 강인함 발달을 위한 유용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In the pursuit of Mental Toughness

        Frank Owusu-Sekyere,Misia Gervis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Coaching Science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lite youth football coaches understanding of mental toughness and the methods used by them to develop it. Semi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elite youth football coaches and analysed using content analysis. Data revealed that all coaches identified mental toughness as a key ingredient to a successful sporting career and actively sought to create environments, which they believed would enhance the mental toughness of their players. All coaches engaged in or witnessed the use of a range of emotionally abusive behaviours, perceived as legitimate methods of developing mental toughness. Methods included deliberately creating harsh training environments through humiliation, intimidation, belittling and forced physical exertion.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of the use of behaviours that may be considered emotionally abusive in elite youth sport. Findings also suggest that such behaviours are performed in the pursuit of developing mentally tough players.

      • KCI등재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다차원완벽주의가 탈진 및 정신력에 미치는 영향

        김성훈(Kim, Sung-Hoon),신정택(Shin, Jung-Taek) 세계태권도문화학회 2018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n their burnout and mental toughness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275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who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participated in doing survey and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others’ expecta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burnout. Secondly, significant others’ expec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mental toughness. Thirdly, significant others’ pressure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mental toughness. Finally, personal standards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mental toughness.

      • KCI등재

        태권도지도자의 대응가치리더십이 스포츠정서 정신력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서보훈(Seo, Bo-Hoon),최성범(Choi, Seong-Beom),김상규(Kim, Sang-Gyu)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eam results and leadership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competing leadership, sports emotion, mental toughness, and perceived performance. 382 Taekwondo player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and the results from the data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eam with higher leadership efficiency showed higher team result compared with the team with lower leadership efficiency that showed lower team result. Secondly, in the role of Taekwondo coach’s leadership, the role of mental support showed the highest parts in the leadership, and the role of creative study and the role of absolute order were higher than the role of intermediate spokesman and the role of analyzing manager. Thirdly, in the relation analysis among competing leadership, sports emotion, mental toughness, and perceived performance,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5 roles of leadership. However,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absolute order and sports emo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and the sport emotion factor was the intermediate factor with the leadership and mental toughness. Also, the mental toughness factor was the intermediate factor with sport emo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 KCI등재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와 인지된 수행의 관계에서 정신력의 매개효과

        정연성 ( Yeon Sung Jung ) 대한무도학회 2013 대한무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가 인지된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정신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72부의 자료를 본 조사의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통계분석 방법은 SPSS 20.0와 AMOS 20.0 Graphic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Cronbach``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elf-management, mental toughness and perecived performance of high school Taekwondo players. In addition, it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toughness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ecived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a participants of high school Taekwondo play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region was selected. A total of 272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results for this study by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and bootstrapping using SPSS 20.0 and AMOS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influenced on mental toughness. Second, self-management influenced on perecived performance. Third, mental toughness influenced on perecived performance. Fourth, self-management had directly influences on perceived performance, but it had more influence on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of mental toughness.

      • KCI등재

        베이지안 추정(Bayesian Estimation)을 활용한 정신력(Mental Toughness)의 개념구조 확인 및 한국어척도 개발

        송용관,김태규,최형준,황승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0 No.4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mental toughness inventory (K-MTI). K-MTI consists of seven factors with 21 items—namely, self-belief (3 items), emotion regulation (3 items), attention regulation (3 items), success mind-set (3 items), context knowledge (3 items), buoyancy (3 items) and optimism (4 items). One hundred fifty-six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validate 21-item seven-factor K-MTI in sport context. The K-MTI demonstrated good internal validity,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bayesian estimation was used to test factorial structure and its validity. As results, K-MTI showed good factorial validity by structuring seven dimensions of multiple mental toughness. Overall, the Korean version of MTI demonstrated good internal, factorial, and predictive validity,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The conceptualization of multiple MTI is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nd directions are made concerning the usage of the K-MTI in the sport context. 이 연구는 Gucciardi, Hanton, Gordon, Mallett & Temby(2015)가 개발한 다차원적 정신력 척도(Mental Toughness Inventory; MTI)가 국내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정신력 척도는 자기신념(self-belief), 주의조절(attention regulation), 정서조절(emotion regulation), 성공설정(success mind-set), 상황지식(context knowledge), 회복력(buoyancy), 낙관주의(optimism) 등 7가지 요인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차원적 정신력 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대학교에 소속된 156명의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7요인 21문항에 대한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베이지안 추정 방법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신력 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적합한 요인부하량 및 타당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베이지안 추정 결과에서도 정신력 척도는 우수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드러났다. 향후 한국형 다차원적 정신력 척도는 국내 운동선수들의 정신력을 진단하고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정신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및 결과변인에 대한 연구와 중재 프로그램 연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