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자주체별 매매동향과 가격선도력

        고강석(Koh Gahng Sohk)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경영연구 Vol.22 No.1

          주식시장에는 외국인, 기관, 개인 등 여러 투자주체가 참여하며, 이들의 주식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반영한 거래는 주가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 가운데 정보능력, 자금력, 평판 등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투자주체가 가격을 변화시키게 되면 다른 투자주체들은 그 가격을 새로운 균형가격으로 받아들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시장에서 가격을 주도적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을 ‘가격선도력’(price leadership)이라고 정의하고, ‘가격변동기여도’라는 새로운 지표를 활용하여 가격선 도력을 구체적으로 측정한다.<BR>  1995년 1월 초부터 2005년 12월말까지의 일별 종합주가지수와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일 평균 가격변동기여도는 외국인투자자 0.2007%, 기관투자자 0.1392%, 개인투자자 -0.292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석기간 중 외국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가 가격선도자(price leader)였던 반면 개인은 가격추종자(price follower)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국내 기관투자자 중에서는 투자신탁과 증권의 일 평균 가격변동기여도가 각각 0.0786%와 0.0847%를 기록하여 나름대로 가격선도력을 갖춘 것으로 보여진다. 시기별로 보면 IMF 외환위기 이전에는 개인투자자가 가격선도자였고, 기관투자자는 가격추종자였으나 외환위기 이후 외국인투자자와 기관, 특히 투신의 가격선도력이 크게 강화되고 개인은 가격선도력을 완전히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BR>  월별 자료를 사용하여 외국인투자자의 가격선도력 원천을 분석한 결과 IMF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의 외국인투자자의 가격변동기여도 행태가 크게 달라져서 단순한 계량적 변수 이외의 원인이 있었음을 추정하게 한다. 아울러 외국인투자자의 주식보유비중 변동이 외국인투자자의 가격선도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외국인투자자의 순매수비율 변동 및 거래비중 변동 등은 외국인투자자의 가격선도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e issue of price leadership in the Korean stock market. Price leadership in the financial market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change and maintain the market price by utilizing the investor"s superiority in information, availability of fund, and/or reputation as a price leader."<BR>  A measure is developed to directly evaluate the degree of price leadership of each investor group. In particular, the CPC(investor i"s contribution to price change) is computed by allocating the price change of each day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excess demand by each investor group. Excess demand is estimated by Dratio, which is the ratio of net buy amount to the total transaction amount of each investor.<BR>  The dataset employed in the empirical analysis includes the daily KOSPI data and the daily investor activities data from January 3, 1995 to December 29, 2005.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oreign investors have the largest price leadership, followed by institutional investors. Individual investors turn out to be a price follower. Among institutional investors, investment trust companies and securities companies emerge as price leaders.<BR>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foreign investors" ownership in the Korean stock market helps explain the change in the price leadership of foreign investors. There is also a strong evidence that the price leadership of foreign investors was established in the wake of the foreign exchange crisis of Korea in 1997.

      • 투자집단의 유형화와 투자의사결정 성격요인에 관한 연구

        이재은(Lee, Jae-Eun),김갑종(Kim, Kab-Jong) 한국전통상학회 2007 韓國傳統商學硏究 Vol.2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s making and proposed how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and among investor types and investor behavior.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factors that influence individual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 making, such as, investor's personality(openness, conscientiousness, self-monitoring). And investor type segmentation are classified by their investment behavior such as, stable investor, aggressive investor and growth investor segment.

      • KCI등재

        투자자피해구제기금의 비교법적 검토 및 시사점 - 제도설계를 위한 試論 -

        안수현 한국경영법률학회 2016 經營法律 Vol.26 No.2

        There are many institutional methods to increase investor's confidence in the capital market including conduct regulation and prudential regulation of financial investment providers. Among them, investor compensation fund is a determinant of investor confidence in the capital market. If investors are protected adequately, they can have confidence in the market and this leads to grow financial market. However, now the confidence of investors in capital market in Korea is very low and there is doubts as to the ability of protection of investors. This has arisen due to the inability of investor compensation fund in Korea. The investors who suffer as a result of unfair sales practices of some investment providers could not compensate their damages easily. To be compensated, they should go to the court. In other hands, they can use administrative ADR(Dispute Resolution Committee) managed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However decisions led by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has no finality power. If the investment provider company would not follow the Dispute Resolution Committee's decision, there is no way but go to the court for harmed investors. In my view, proper protection of investors requires compensation fund and reduces the exposure of investors to losses caused by unfair sales. Effective oversight by regulators through active on-site and off-site supervision promotes regulatory requirements being met in practice. However, regulation, no matter how pervasive, cannot prevent totally eliminate the risk of lossess to investors especially when the intermediary fails. Compensation fund is intended to fill this gap in investor protection that the financial regulatory requirements cannot eliminate. The primary purpose of compensation fund it to maintain investor confidence in the marketplace by compensating investors from the damages by violated intermediaries. Some critics argue this kind of compensation fund is not useful in the reason that in Korea all investor's securities and cash under the adminstration of investment firms are required to be held at a third party custodian that is a regulated as a financial institution. In addition, some argue against adopting compensation fun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st would be outweighed by the benefits. It is true that operating a compensation fund will entail certain costs for administration and it is not easy to design to satisfy all considerations and establish. However, If investor confidence were lost, the capital market could not function. In considering this aim and practical difficulties, it is useful to undertake gradual approach to establish the investor compensation fund. As a first step, the investor compensation fund compensate to an investor who suffer a loss arising from bad investment advice, poor investment management, misrepresentation or fraud. from the money collected by financial penalty. As a second step, where a claimant is compensated under the investor compensation fund, its rights against the firm with which it dealt are assigned to compensation fund which can pursue recovery. 이 논문은 투자자의 사후적 보호조치로 기능하는 투자자피해구제기금제도가 국내에서는 정비되어 있지못한 것이 투자자의 투자심리를 제약하는 요인 중의 하나로 보고 그 극복방안으로서 투자자피해구제기금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국내에서의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그간 국내에서 논의된 투자자 보호방안은 크게 사전적·사후적으로 제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제도적 개선방안들이 투자자들의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기여를 한 점이 없지 않지만, 근본적으로 투자심리 제약에 노출된 투자자들을 시장에 계속 참여시키는 방안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즉 투자자들을 시장에 계속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피해 발생시 신속하게 구제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 손해를 본 투자자를 직접적으로 신속하게 구제하는 것은 투자자의 보호는 물론, 자본시장의 신뢰 제고를 위해서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투자자피해구제기금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찬반으로 입장이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사견으로는 소액이지만 그 피해구제가 절실한 일반투자자의 신속한 구제필요성 및 금융산업과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 강화차원에서 투자자피해구제기금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만 투자자피해구제기금의 설치를 전제로 할 때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누가 제도를 운영할 것인지, 적격대상자와 대상상품의 범위 및 보상금액의 한도 설정, 절차진행의 공정성 확보 등 현실적으로 고려할 사항이 적지 않다. 제도설계가 정치하지 못할 경우 투자자의 모럴해저드로 인한 부작용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투자자가 입은 피해에 대한 기금을 통한 사후적 보호조치는 우리의 경우 파산에 대비한 투자자예탁금의 분리예치 외에는 특별히 마련되어 있지 않아 외국과 비교해 볼 때 크게 미흡한 편이다. 더욱이 국제적인 수준에서 투자자를 사전·사후적으로 충실하게 보호하는 조치들이 검토되고 있는 현 상황이고 특히 자본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의 이탈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는 국내 현실을 고려할 때 조기에 투자자피해구제기금의 의의와 역할을 명확히 하고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피해자구제기금을 설치하되 대상자와 대상거래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접근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1단계로 행정제재금인 과태료와 과징금을 재원으로 투자자피해구제기금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2단계로 금융투자업자의 파산시 이전의 위법행위로 인한 피해액을 보상받게 하는 것이 그것이다.

      • KCI등재

        투자자 관심(Investor Attention)과 기대수익률

        채준,이은정,이유경 한국파생상품학회 2019 선물연구 Vol.27 No.1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investor attention level on expected return in the Korean stock market by investor type. We find that the risk-adjusted excess returns in the next period ar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s attention is high. In other words, investment strategies that buy stocks in higher attention groups and sell those in lower attention groups provide significant excess returns. This result is in contrast to the argument that the market operates more competitively and moves more efficiently as the number of investors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d investor attention. Next, we examine how the degree of attention of institutional, individual, and foreign investors affects each other.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attention of individual investors affects the attention of institutional investors in the next period, and vice versa. In addition, as a result of 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size of company and stock price, we find that the investor's attention affects the mark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investors and stock price level. 본 논문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투자자들의 관심 정도가 기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투자자 타입별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기관 및 외국인투자자의 관심 정도가 높은 경우에 그다음 기의 위험조정초과수익률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즉, 기관 및 외국인투자자의 관심이 높은 그룹의 주식을 매수하고 관심이 낮은 그룹을 매도하는 투자전략은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자 관심이 증가하여 투자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시장이 경쟁적으로 작동하여 보다 더 효율적으로 움직인다는 주장과는 반대의 결과이다. 다음으로 기관, 개인, 그리고 외국인투자자의 관심 정도가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는데, 개인투자자의 관심 정도와 기관투자자의 관심 정도는 양방향 선도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규모 및 주가수준에 따라 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투자자의 관심이 각 투자자의 타입과 주식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매도와 주가수익률 변동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시용(Shi Yong)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본 연구에서는 2007년 1월부터 2012년 11월까지의 한국거래소(KRX)의 개별 주가수익률, 주식별 투자자별 거래대금, 주식별 투자자별 공매도대금 등의 일별자료들을 활용해서,공매도거래활동과 변동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코스피 수익률의 변동성과 시장 전체 공매도활동 간의 관계를 살펴볼 결과, 일별 시장전체 공매도금액은 일중변동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투자자별로 살펴보면, 개인투자자의 공매금액의 경우, 일중변동성과 변동성지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기관투자자의 공매도금액은 역사적변동성, 일중 변동성, 변동성지수 등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인 투자자의 공매도거래금액은 변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매도금지기간 더미변수의 경우, 공매도금지기간1(2008년 10월 1일부터 8개월 간)의 경우 전반적으로 정(+)의 값을 나타낸 반면, 공매도금지기간2(2011년 8월 10일부터 3개월)의 경우 전반적으로 부(-)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공매도금지정책이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확정적이지는 않다.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는 변동성을 증가시키고 기관투자자는 변동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공매도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의 공매는 변동성을 감소시키고 기관투자자의 공매거래는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전체 공매도거래 중 개인투자자 비중이 3% 정도밖에 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매도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개인투자자의 정보우위성을 암묵적으로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는 한국의 개인투자자의 공매거래가 변동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Jung et al.(2013)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그리고 외국인투자자는 일반적인주식거래뿐만 아니라 공매도거래활동에서도 변동성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공매도거래활동은 변동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매도거래활동을 허용하는 것이 시장안정화 측면에서는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selling activities and stock return volatilities in Korean stock markets, by using daily data such as individual stock returns, stock trading volume by investors, short selling by investors. The sample period ranges from January 2007 to November 2012. There are three types of traders: individual investors,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We use several volatility measures such as historical volatility, range-based volatility (Garman-Klass volatility), and implied volatility (VKOSPI). As a major explanatory variable, we use three kinds of short selling activity measures: money value of short selling volume, short selling/stock trading volume ratio, and share of short selling volume by trader types. It is found that daily short selling trading volum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volatility of the KOSPI index return. By classifying short selling trading volume by trader types, it is observed that short selling volume of individual investors stabilizes daily range-based volatility and volatility index (VKOSPI), whereas institutional investors’ short selling volume destabilizes volatility measures such as historical volatility, range-based volatility, and VKOSPI. And foreign investors’ short selling volume does not increase any volatility. Regarding two short sale ban periods, the first short sale ban period (2008 October - 2009 May) has higher volatility level, however, the second short sale ban period (10 August 2011 - 9 November 2011) has a lower volatility level. This implies that the policy measures of short sale ban does not have deterministic effects on volatilities. It is an interesting finding that in the short selling market, individual investors stabilize the stock market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increase the stock market volatility, whereas in the stock trading they do the opposite. This implies that individual investors in the short selling trading have informational advantage, considering that their share in the short selling trading volume in the market is just 3%.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 of Jung et al.(2013) that short-selling trading activities of individual investors do not increase the stock market volatility in Korea. At the portfolio level, it is found that foreign investors’ short-selling activity tend to stabilize the volatility. As a policy implication, it is helpful to allow short-selling activity, because the short-selling activity tends to stabilize the stock market volatility.

      • KCI등재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에 따른 이익지속성과 시장의 반응

        유성용 한국회계정보학회 2008 회계정보연구 Vol.26 No.1

        I investigate the foreign investors' roles in indicating the persistence of earnings, accruals, and cash flows for one-year ahead earnings. I also examine whether the levels of foreign investors' share holdings influence investors' assessments of future earnings persistence. Prior research reveals that the accrual component of earnings is less persistent than the cash flow component, and that investors fail to fully appreciate their differing implications for future profitability(Sloan 1996) and numerous accounting studies(Sloan 1996; Xie 2001, and Hanlon 2005) claim that investors fail to rationally price accrual-related information and that investors are functionally fixated. I analyze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as of December 31 of each year for the 1999 ~ 2006 period. To test hypothesis we used the multiple regression and the Mishkin(1983)-test method which Sloan(1996), Xie(2001), and Hanlon(2005) employed. My results indicate that earnings persiste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oreign investors' share-holdings, and the cash flow and the accrual component of earnings are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foreign investors' share-hold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eign investors contribute to mitigating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investors and managers. When I investigate investors' expectations of future earnings for firm-years with the large foreign investors' share-holdings, the evidences suggest that investors irrationally overprice the persistence, or one-year ahead earnings implications of earnings, cash flows, and accruals in Korean stock market. 회계정보가 시장에서 합리적으로 평가되고 있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회계이익 및 회계이익의 구성요소에 대한 지속성이 다르고, 이러한 지속성의 차이를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적절히 평가하지 못하여 회계이익 및 그 구성요소가 과대평가되고 있다는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다른 투자자 유형에 비해 정보 분석능력이 우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투자대상의 선정과정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움직임은 다른 투자자들에게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확장하여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에 따라 이익 및 이익 구성요소의 지속성에 차이를 보이는지와 이러한 차별적인 지속성을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이 합리적으로 가치평가하고 있는지를 Mishkin(1983)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이 높을수록 이익 및 이익의 구성요소로서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지속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익의 질이 높은 기업을 투자대상으로 선호하는 것을 암시한다. 둘째,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이 높은 기업에서는 이익의 지속성 및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지속성에 대해 시장에서 과대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정보 분석능력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지나치게 높게 형성되고 있는 것을 암시한다. 셋째,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이 낮은 기업 및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하지 않는 기업에서는 이익 및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지속성에 대해 과대평거나 과소평가되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우리나라 시장의 투자자들이 회계정보의 질을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회계정보에 대한 정보비대칭 완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외국인 투자자들의 역할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다른 투자자들이 외국인들의 역할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Hospitality기업의 기관투자자 지분율 및 외국인투자자 지분율과 기업가치 간의 비선형관계 검증

        정유리,안윤영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8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institutional investor and foreign investor on firm value and identify whether the relationship among institutional investor, foreign investor and firm value is linear or nonlinear. The financial information used in the research was collected from listed hospitality companies’ annual reports, the DART system, the Kis-Value and the Kiwoom Home Trading System data base from the first quarter of 2011 to the fourth quarter of 2017 covering a period of seven years. A total of 532 firm-quart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nineteen listed hospitality firms, and 363 firm-quarterly data were selected as the final valid sampl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firm value increases as the ratio of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 ratio increases. This indicates that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s played roles as effective outside monitors. Second, the level term of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irm value, but the square term of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firm value.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among institutional investor, foreign investor and firm value is nonlinear and ∩ shaped.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exists an optimal ownership ratio of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 which maximizes the firm value. Finally, we found the reflection point (optimal ownership ratio) through piece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ethod. It suggests that firm value only increases within the optimal ownership ratio range of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 Therefore, individual investors have to consider the information of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 ownership ratio for maximizing investment returns. 본 연구는 Hospitality상장기업의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투자자 지분율과 기업가치 간의 영향관계에이써서 비선형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총 19개 Hospitality 상장기업의 2011년 1분기부터2017년 4분기까지 7년 동안의 연구기간을 대상으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사업보고서및 Kis-Value, 키움 증권의 홈트레이딩 시스템으로부터 기업재무정보와 주가정보를 수집하여 분석에활용하였다. 기업별-분기별로 532개가 추출되었으나, 결측치 및 극단치를 제거한 후 363개가 최종유효 표본으로 채택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투자자지분율과 외국인지분율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는 증가하였다. 이는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가 기업가치 제고에 공헌하는 투자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Hospitality기업의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투자자 지분율의 제곱 항을 추가로 투입하여 회귀분석 한 결과, 기업가치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미쳤다. 즉, 특정 지분율까지는 우상향의 기울기를 보고하지만, 특정 지분율을 초과하면 우하향의 기울기를 보고함을 알 수 있다.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투자자 지분율과 기업가치 간의 ∩자 형 비선형관계는 기업가치가 극대화되는 최적 지분율 수준(변곡점)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셋째, piecewise 선형회귀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여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투자자 지분율과 기업가치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우상향의 기울기에서 우하향으로 변화하는 변곡점이 어느 지분율 구간에서 발생하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Hospitality 기업에 투자하여 투자수익률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개인투자자들에게 그들의 투자의사결정에 있어서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투자자의 최적 지분율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본시장에서의 “정통한 투자자” (sophisticated investor)의 개념과 역할- 미국법상의 “인정투자자”를 중심으로 -

        김성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16 經營法律 Vol.26 No.3

        Historically many country's Act has treated the sophisticated investors differently from general investors. Typical nation was USA, which from early capital market era exempted them from registration of offering because it was not thought as a public offering. In USA the sophisticated investors has been called as the "accredited investors" whereas as the "professional investors" in EU. The Regulatory Agency thought that by eliminating the effort to protect the "professional investors" they can focus their effort on the protection of the rest investors-so called "general investors". At the early time in fact The Rich had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financial market almost exclusively, so such idea had reasonable grounds. However today it is common that everyone can acquire high level education without too much wealth. Furthermore The Middle Class has grown steadily for decades due to a economic expansion. Above of all even though he or she is a sophisticated investor, all investors must be protected by the Regulatory Agency from frauds. In conclusion it is anymore not appropriate to distinguish the sophisticated investors from the other investors just only due to the reason that they are rich or well educated. 오래전부터 각국의 입법은 금융거래에 정통한 자에 대해서는 규제를 완화하여 국가의 간섭을 자제하였다. 대표적인 나라는 미국으로서 자본시장이 성립하던 초기부터 정통한 투자자를 일반투자자와 구분하여 감독기관에의 등록을 면제할 수 있는 펀드로 취급하였다. 이로써 일반투자자 보호에 집중하고 시장에 대한 규제를 억제할 수 있다는 논리가 그 근거였다. 또 그 당시에는 부(wealth)를 소유하는 자가 금융투자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동시에 독점하였으므로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두 가지 점에서 비판된다. 첫째는 현대는 지속적인 자본주의의 발전으로 인하여 부를 축적한 투자자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므로 부가 보편화되었고 지식 역시 대중적으로 보유된다는 점이다. 둘째는 비록 정통한 투자자를 인정한다고 하여도 현재와 같이 부를 기준으로 구분하는 방식은 매우 비현실적이라는 점이다. 재산이나 수입, 투자금액 등은 국가가 보호를 배제할 만큼 설득력이 적기 때문이다. 부와 상관없이 모든 투자자는 시장에서 보호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상 특정투자자제도에 관한 고찰

        오성근(Sung-Keun O) 한국비교사법학회 2010 비교사법 Vol.17 No.2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of Korea adopts the so-called professional investor system and defines an investor who is not a professional investor as a “non-professional investor(Provision 6 of Article 9)”. This approach of dividing investors into different groups to regulate capital markets is not unique to the Korean system. Similar approaches have already been taken by the EU's Markets in Financial Instruments Directive (MiFID), Britain's Conduct of Business Sourcebook (COBS) and Japan's Financial Instruments and Exchange Law. In efforts to better regulate financial markets and better protect individual investors, the EU's MiFID and Britain's COBS even divide investors into three separate groups - retail clients, professional clients and eligible counterparties. But this approach of trisecting investors makes it rather difficult for any one to compare these systems to the Korean system in such subjects as scope of professional investor and regulations on conduct of business, simply because the Korean law divides investors into only two groups. Japan's Financial Instruments and Exchange Law, however, employs the same “dichotomy” concept of distinguishing investors as the Korean system since it divides them into two groups - professional investor and general investor. It is from this context that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examining the similarities in and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law and the Korean law, although the EU's MiFID and Britain's COBS are also briefly discussed in further discussion. Part II reviews the background and purpose for introducing the professional investor system as well as similar concepts and scope. Part III lists types of investor status conversion, conditions and requirements for each type of conversion including cases where an investor can change his or her investor status or vice versa, conversion procedures, term of validity and effects of conversion. Part IV analyzes the conduct of business regulations with respect to areas of application and exemption, exemptions from duty of report/disclosure and civil liabilities, regulations on general investment solicitation of acquiring securities, and regulations called for due to the opening of the market exclusively for professionals. And the final part of the study looks at the similarities in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s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and the EU's MiFID.

      • KCI등재

        기업 IR에 대한 인식차이 : 투자자 유형의 효과

        임동철(Lim Dong-Chul),박성용(Park Seong Yong),나준희(Na June-Hee)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IR활동에 대한 투자자의 인식을 투자자 유형으로 구분하여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동일한 정보라 할지라도 관점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주식시장에서 투자자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러한 유형이 어떠한 투자의사결정 및 정보처리과정을 거쳐 투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BR>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이 제공하는 IR정보에서 투자자가 어떠한 것을 중시하는 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신뢰성 및 이용정도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업이 어떤 정보를 제공해야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에 파악하고자 하였다. 투자자의 유형은 주식투자성향에 대한 응답과 투자자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성향(단기투자자 vs. 장기투자자)이 일치하는 투자자를 단기투자자와 장기투자자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BR>  분석결과, IR이 포함하고 있는 각종 정보들에 대한 인식정도, 신뢰도 및 이용정도에 있어서 단기투자자와 장기투자자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아울러 정보의 활용측면에서 장기투자자는 단기투자자에 비해 정보의 활용도가 더욱 높았다. 특히 장기투자자는 기술력, 연구개발 등 기업의 자산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중시하는 반면 단기투자자는 실시간 주가, 과거주가 등 주가와 관련된 정보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firm"s IR activities exist by investor types.. Since it is possible that the same information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oth the identification of the investor types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n the behaviors through the decision ma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are very important. For those regards,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investor"s focuses on the IR information of the firms, and investigate the degrees of trust and use of IR information. This will allow for firms to identify the roles of information that firms should provide to investors.<BR>  In the empirical research, we divided investors into short-term investors and long-term investors based on the two criteria: :one is based on the stock investor tendencies questions and the other one is based on the respondent"s own views on the investor types. We selected samples in which met two criteria and compared those two groups. Empirical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erceptions on various IR information, trust, and use intention between long-term investors and short-term investors. Long-term investors tend to emphasis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than short-term investors. In particular, long-term investors tend to emphasize asset value informations 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short-term investors have tendencies to focus on price information on the real-time stock price and past pr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