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논문 : 통신자료제공제도(전기통신사업법 제83조 제3항)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ISP에 대한 수사기관의 통신자료제공 요청과 이용자의 정보인권 보장을 중심으로

        김소리 ( So Ri Kim ),이수진 ( Su Jin Lee ),임효준 ( Hyo Jun Im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3 공익과 인권 Vol.13 No.-

        이 연구에서는, 수사기관이 이용자의 인적사항 등을 요청하면 전기통신사업자가 이에 응할 수있도록 한 ‘통신자료제공제도(전기통신사업법 제83조 제3항)’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한다. 이 제도에 대한 논란은 2010년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했으며, 2012년에 있었던 헌법재판소 결정과 고등법원 판결로 인해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통신자료제공제도의 활용 건수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현상의 본질적인 이유는 ISP(인터넷서비스제공자)가 수사기관의 요청에 대해 예외 없이 통신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현행법상으로 통신자료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는 법원이 아닌 ISP다. 그러나 ISP는 이러한 결정을 할 역량이 부족할 뿐더러 거절 시 받게 될 수사기관으로부터의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때문에 통신자료제공제도는 법문상 ‘재량적’으로 규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강제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정보의 유통에 대한 개인의 통제권’을 그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보인권은 새로운 영역의 권리를 보편적 권리로 격상시킨 ‘새로운 인권담론’이며, 동시에 기존의 인권담론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는 ‘기본적 인권’이다. 특히 정보와 관련된 권리들이 기존의 권력관계와 맞물리며 작동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정보인권을 소수자 문제와 연결지어 생각할 필요가 있다. 통신자료제공제도에서 쟁점이 되는 정보인권은 익명표현의 자유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다. 우선 통신자료제공제도는 2012년 위헌 결정이 내려진 ‘제한적 본인확인제(일명 인터넷 실명제)’와 마찬가지로 익명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 이는 익명 표현의 자유라는 이용자의 개인적 권리를 침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용자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을 바탕으로 여론을 형성하는 ISP의 언론의 자유 또한 제한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 외에도 통신자료제공제도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근본적으로 침해한다. ISP가 제공하는 통신자료는 이용자의 개인정보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를 제공함에 있어 정보주체인 이용자의 동의를 요구하는 등의 사전개입절차가 없고, 사후통지절차 또한 미비하다. 민감한 개인정보에 대하여 그 어떤 통제장치도 마련되고 있지 않은 것은 기타 유사한 제도와 비교해 보았을 때도 불합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므로 통신자료제공제도는 폐지 또는 개정되어야 한다. 우선 ‘수사기관의 통신자료 취득행위’를 대상으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함으로써, 부수적 규범통제에 의해 통신자료제공제도 자체에 대한 위헌결정을 받아내는 방법이 있다. 이와 달리 입법론적으로는 이 제도를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우리가 상정하는 새로운 입법안은 영장주의를 기본원칙으로 채택하고, 이용자의 사전개입절차 및 사후통지절차를 마련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통신자료제공제도는 어디까지나 ‘통신비밀 누설 금지 원칙’의 예외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지금과 같이 주객이 전도된 상태가 방치되고 있는 것에는, 정보인권 침해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국가의 잘못이 크다. 국가가 나서지 않는다면 이 제도의 잠정적 피해자인 국민들이라도 나서야 한다. 정보인권이야 말로 새로운 민주주의를 위하여 다시 한 번 쟁취해 내야 할 우리의 ‘인권’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83-3) which allows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to provide users` personal data when requested by investigation agencies. The controversy over this system kicked into high gear in 2010 and became a main social issue after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ruling of the High Court in 2012.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has considerably increased year by year. This trend largely originates from the reality that ISP provides investigation agencies with users` personal data with few exceptions. Under current law, it is not the Court but ISP that decides if providing users` personal data is approved or not. However, ISP does not have enough ability to make such decision; moreover it cannot avoid the pressure that investigation agencies may exert especially when ISP refuses to provide data. Because of this, although the law leaves the provision of user`s personal data ‘to discretion’,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is more likely to be operated ‘by force’. The discourse about information human rights, which defines the individual`s control over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s its core content, has contributed to newly raising the status of information human rights up to the stream of the universal rights. Also it has served as the discourse about ‘fundamental human rights’ which extend the realm of the previous human rights discourse. Especially given that information-related rights are not free from the existing power relations, we have to further consider minority-related issues with regard to information human rights. The freedom of anonymous speech and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re the two issues mainly discussed about information human rights with regard to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First,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can infringe the freedom of anonymous speech, similar to the Restrictive Identification System(the so-called Internet Real-name System) which was ruled unconstitutional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n 2012. This can breach not only the user`s individual rights, the freedom of anonymous speech, but also ISP`s freedom of speech that makes ISP shape public opinion based on users` free expression of opin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fundamentally infringes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The communication data provided by the ISP i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no proceeding for users` prior intervention, such as requesting process for users` consent, nor is there any follow-up proceeding to notify the users. Given the other similar systems, the absence of control system whatsoever on such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roblematic.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should be abolished or revised. The first alternative to the present system is to file a petition in an attempt to get a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on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By filing a constitutional appeal against the investigation agency`s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data, the system can be found unconstitutional through incidental norm control(Incidenter-Kontrolle). Secondly, the statement that this system should be deleted or revised can be supported by the principle of legislation. The new legislation bill projected in this study includes warrant requirement as a basic principle as well as user`s prior intervention proceedings and follow-up notice proceedings. The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has been exempted from the basic principle, ‘prohibition of communication secrets` leakage’. The main reason why this preposterous situation still exist is closely related to the lukewarm attitude of the government toward the information of information right. If the government does not take any measures, then at least the citizens, the potential victims of this system, should do so. Information human rights is the ‘human rights’ that we should strive again to achieve for a new democracy.

      • KCI등재후보

        A Communication-based Planning System for a Modern Information Society: An Innovative Approach to City Management

        Masao Hijikata,Akiyoshi Takagi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0 도시과학국제저널 Vol.14 No.2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modern Japanese city planning system from a social information theory perspective, and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new city planning system for a culture adapted to information society. First, “communication-based” means taking account of human behaviors to express thoughts, feelings, or information as resources for city planning. All of these together, in addition to values chosen with respect to the future, can be considered the source of the city’s dynamism. Furthermore, while the nature of active social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behavioral patterns in a modern information society, it also has a large effect on the city planning method itself, due to the pervasion of communication systems. This paper considers changes in both directions in order to extract the issues in modern city planning. In order to survey these broad trends in city planning, this study summarizes the main values that city planning around the world has focused on in each era, and investigate and summarize current issues in and the state of modern city planning in an information society. Additionally, we discuss the use of an information support system as a new method in city planning. Using the approach taken by Yamato City in Kanagawa Prefecture in Japan as an advanced example, the development of a paradigm shift in city planning is discusse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esents a model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in collaborative city planning based on an open information system, and propose a plan-making support model based o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modern Japanese city planning system from a social information theory perspective, and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new city planning system for a culture adapted to information society. First, “communication-based” means taking account of human behaviors to express thoughts, feelings, or information as resources for city planning. All of these together, in addition to values chosen with respect to the future, can be considered the source of the city’s dynamism. Furthermore, while the nature of active social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behavioral patterns in a modern information society, it also has a large effect on the city planning method itself, due to the pervasion of communication systems. This paper considers changes in both directions in order to extract the issues in modern city planning. In order to survey these broad trends in city planning, this study summarizes the main values that city planning around the world has focused on in each era, and investigate and summarize current issues in and the state of modern city planning in an information society. Additionally, we discuss the use of an information support system as a new method in city planning. Using the approach taken by Yamato City in Kanagawa Prefecture in Japan as an advanced example, the development of a paradigm shift in city planning is discusse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esents a model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in collaborative city planning based on an open information system, and propose a plan-making support model based o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 KCI등재

        환경정보공개제도의 법률상 및 운영상의 문제에 관한 법적 검토

        강하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3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one of the critical rising issue in Korea. It is because we already experienc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on the environmental issues relating to source of pollution, that it is har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a way of central controling method, and thus informing accurate information to the local residents regarding risk information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eople of all social stratum, always admitting the access to the information and an effective process for delivering such information to the person who needs it became very important. In such a series of process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was enacted in 1996 and has been enforced since 1998. Since we have adopted generalized form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e do not have intensified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special areas so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disclosed based on each individual environmental laws. This paper is trying to identify each operational and legal issues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in Korean legal system after analyzing how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operated under gener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Korea and draws improvements in the conclusion. Th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Korea was discussed in terms of comparing American system which is highly evaluated as having successful cases for leading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the area of risk communication. The United States is a country where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carried out most thoroughl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isk communication since the mid-1995. They provided the information in the user stand, and it has firmly established ris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structed the ease of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data consolidation and strictly limited the closed information, which brought the country as the most successful country in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the level of our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identified as staying in the initial step in providing information. We should realize the necessity of applying elements of risk communication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bring about available tasks that can be carried out in each level of risk communication throug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환경 문제가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안으로 등장하는 가운데 환경 정보 공개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국가나 공공기관이 중앙에서 통제하는 방식만으로는 근본적으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스스로 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사회의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바탕으로 위해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주민들에게 알리고 언제라도 그러한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필요로 하는 이해당사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환경정보공개제도이다. 우리나라는 1996년 12월에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1998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인 정보공개제도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특수 분야에 한하여 강화된 형태의 환경정보공개제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다만 개별 환경 법률에서 환경정보공개 규정에 근거하여 환경정보가 공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행정 정보공개제도 바탕 위에 환경정보공개제도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먼저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분석한 후에 법률상⋅운영상의 문제점들을 도출해 보고 그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환경정보공개에 대한 평가는 성공적 사례를 가지고 있는 미국의 제도와 비교⋅분석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우리나라 환경정보공개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부분들을 개선방안에서 논하였다. 우리나라 환경정보공개제도상 지적되는 문제로는 비공개 사유의 불명확성, 정보제공 방식의 문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의 미흡, 위해정보 관리체계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미국은 1995년 중반부터 모든 위해성 관리정책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을 도입하여 가장 철저히 수행하고 있는 국가로 수용자 입장에서 작성된 정보의 제공하고 있으며, 위해정보 관리체계가 확립되어 있고, 데이터 통합화를 통한 정보 접근의 편의성을 구축하는 한편 비공개 정보의 엄격한 제한을 통해 가장 성공적으로 환경정보공개제도를 운영하는 나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국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의 위해정보전달 수준은 정보를 생산하고 제공하는 초기 단계로 파악된다. 우리나라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도입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발전단계별로 우리가 추진 가능한 과제들을 도출하고 향후 정책에 반영하고 위해성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기반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 KCI우수등재

        독일의 휴대전화 위치정보추적수사와 당사자에 대한 통보제도-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이흔재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4

        The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about Mobile Phone needs for efficient control of misuse and abuse of investigation because it entails an infringement of liberty of communication, privacy,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rivate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a serious problem that in the process of tracking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and intimate privacy information of people not related to crime as well as criminals are gathered in investigation agencies.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about some legal provisions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 (1) It was the infringement of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rivate Information that demand only the necessity for investigation as substantive requirements for obtaining the permission of the court in relation to the acquisition of mobile phone’s location information. (2) Notification of Provision of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for Criminal Investigations infring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ly, the Ministry of Justice submitted a revised bill to the National Assembly in 2009 for the revision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German legal system for the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and notification provisions comparatively and examined the revision bill of the Ministry of Justice's the Protection of the Communications Secrets Act.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amendment bill of the Ministry of Justice contains more advanced content than the current the Communications Secrets Act, but I think there are some points to be improved. First,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substantive requirements as a priori control when acquiring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by investigative agency. It is reasonable to allow only for important crimes such as crime subject to communication restrictions. It needs to be considered to ad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importance of individual and concrete matters in addition to the necessity requirements in past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and add subsidiarity principle together with the above requirements for real time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In addition, restrictions on offering period of location information should be newly established. Second, considering the extension of the reason for the notice deferment in the amendment, the court should judge the reason for the notice deferment. In addition, the legal process to appeal against the illegality of procedures of the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s application, permission and execution should be guaranteed by the notified party. Lastly, for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notification system, a fine charge clause should be established for violation of the notification obligation. 휴대전화 위치정보추적수사는 헌법상 기본권인 통신의 자유와 사생활의 자유, 정보자기결정권의 침해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므로 수사권의 오·남용에 대한 효율적인 통제가 필요하다. 더구나, 위치정보 추적 수사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범죄자뿐만 아니라 범죄와 관련 없는 국민들의 개인정보와 내밀한 사생활정보가 수사기관에 수집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헌법재판소는 2018년 통신비밀보호법과 관련하여 ① 휴대전화 위치정보추적자료의 취득과 관련하여 법원의 허가를 받기 위한 실체적 요건으로 수사의 ‘필요성’만을 요건으로 하는 것은 과잉금지원칙에 위반하여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통신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고, ② 통신사실확인자료에 관한 통지조항이 적법절차원칙에 위반되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이유로 헌법 불합치결정을 하였다. 이에 따라 법무부는 2019년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휴대전화에 대한 위치정보추적수사와 통지조항에 대한 독일의 법제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고, 법무부의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평가 결과 법무부의 개정안은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에 비하여 진일보한 내용을 담고 있으나, 몇 가지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수사기관에 의한 통신사실확인자료 취득시 사전적 통제로서 실체적 요건의 강화가 요구된다.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수집은 통신감청대상범죄와 같이 중요범죄에 한하여 이를 허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과거의 위치정보추적자료와 기지국 수사에 있어서는 필요성 요건과 더불어 개별적·구체적 사안의 중대성과 비례의 원칙을 추가하고, 실시간 위치정보추적자료에 대하여는 위 요건과 함께 보충성의 원칙을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위치정보의 제공기간의 제한규정을 신설하여야 한다. 둘째는, 당사자에 대한 통지에 있어서 개정안에서 통지유예의 사유를 대폭 확장한 것을 고려할 때 통지사유에 대한 법원에 의한 통제가 필요하다. 또한, 통지를 받은 당사자 등이 통신사실 확인자료 신청 및 허가절차 및 제공범위의 위법성에 대하여 이의신청할 법적절차가 보장되어야 한다. 아울러, 통지의무위반에 대하여 징계절차와 별도로 과태료 부과조항을 신설하여 통지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KCI우수등재

        독일의 휴대전화 위치정보추적수사와 당사자에 대한 통보제도 -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李炘宰 ( Lee Hunjae )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4

        휴대전화 위치정보추적수사는 헌법상 기본권인 통신의 자유와 사생활의 자유, 정보자기결정권의 침해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므로 수사권의 오·남용에 대한 효율적인 통제가 필요하다. 더구나, 위치정보 추적수사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범죄자뿐만 아니라 범죄와 관련 없는 국민들의 개인정보와 내밀한 사생활정보가 수사기관에 수집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헌법재판소는 2018년 통신비밀보호법과 관련하여 ① 휴대전화 위치정보추적자료의 취득과 관련하여 법원의 허가를 받기 위한 실체적 요건으로 수사의 ‘필요성’만을 요건으로 하는 것은 과잉금지원칙에 위반하여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통신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고, ② 통신사실확인자료에 관한 통지조항이 적법절차원칙에 위반되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이유로 헌법 불합치결정을 하였다. 이에 따라 법무부는 2019년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휴대전화에 대한 위치정보추적수사와 통지조항에 대한 독일의 법제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고, 법무부의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평가 결과 법무부의 개정안은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에 비하여 진일보한 내용을 담고 있으나, 몇 가지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수사기관에 의한 통신사실확인자료 취득시 사전적 통제로서 실체적 요건의 강화가 요구된다.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수집은 통신감청대상범죄와 같이 중요범죄에 한하여 이를 허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과거의 위치정보추적자료와 기지국 수사에 있어서는 필요성 요건과 더불어 개별적·구체적 사안의 중대성과 비례의 원칙을 추가하고, 실시간 위치정보추적자료에 대하여는 위 요건과 함께 보충성의 원칙을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위치정보의 제공기간의 제한규정을 신설하여야 한다. 둘째는, 당사자에 대한 통지에 있어서 개정안에서 통지유예의 사유를 대폭 확장한 것을 고려할 때 통지사유에 대한 법원에 의한 통제가 필요하다. 또한, 통지를 받은 당사자 등이 통신사실 확인자료 신청 및 허가절차 및 제공범위의 위법성에 대하여 이의신청할 법적절차가 보장되어야 한다. 아울러, 통지의무위반에 대하여 징계절차와 별도로 과태료 부과조항을 신설하여 통지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The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about Mobile Phone needs for efficient control of misuse and abuse of investigation because it entails an infringement of liberty of communication, privacy,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rivate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a serious problem that in the process of tracking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and intimate privacy information of people not related to crime as well as criminals are gathered in investigation agencies.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about some legal provisions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 (1) It was the infringement of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rivate Information that demand only the necessity for investigation as substantive requirements for obtaining the permission of the court in relation to the acquisition of mobile phone’s location information. (2) Notification of Provision of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for Criminal Investigations infring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ly, the Ministry of Justice submitted a revised bill to the National Assembly in 2009 for the revision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German legal system for the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and notification provisions comparatively and examined the revision bill of the Ministry of Justice's the Protection of the Communications Secrets Act.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amendment bill of the Ministry of Justice contains more advanced content than the current the Communications Secrets Act, but I think there are some points to be improved. First,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substantive requirements as a priori control when acquiring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by investigative agency. It is reasonable to allow only for important crimes such as crime subject to communication restrictions. It needs to be considered to ad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importance of individual and concrete matters in addition to the necessity requirements in past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and add subsidiarity principle together with the above requirements for real time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In addition, restrictions on offering period of location information should be newly established. Second, considering the extension of the reason for the notice deferment in the amendment, the court should judge the reason for the notice deferment. In addition, the legal process to appeal against the illegality of procedures of the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s application, permission and execution should be guaranteed by the notified party. Lastly, for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notification system, a fine charge clause should be established for violation of the notification obligation.

      • KCI등재

        정보전달구조에 따른 박물관 전시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보영,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times, museums have not only an educational role of preserving and displaying their collections, but the function to meet and communicate with visitors. That function has become so significant. Therefore, communication of exhibition is required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visitors. It is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m. The exhibition should be directed to inform the audience about the subject as contents. In additi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should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continuousness that create, organize, transfer and accept information. Thus, in this study,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is considered as the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based on th information design theory.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exhibi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as an integrated framework and to arrive at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production through it. (Method) First, the theory of information design is studied. It is understoo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information transfer by studying the concept and process of information delivery. Second,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of information desig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is studied as an integrated concept.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is interpreted as it and the type of exhibi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tent radio is presented. It is also analyzed to exhibition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production and viewing. Integrated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mechanism is suggested includ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process. Third, the permanent exhibition of domestic museum is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isplay are analyzed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mechanism. (Results) Information design is the process of structing and organizing data and delivering it as meaningful information. Exhibition communication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design theory. Information can be constructed from a display director and pres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roduction design sends information to the audience receive it. The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has three contexts, as physical approach to inform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and interest of th audience for creating mean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sponse of audience for interrelationship, focusing on audienc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Conclusions)The museum must communicate with audience through exhibitions and deliver information meaningfully to them. Exhibition communication is the process of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that continues in a series and complex structure form production to viewing. Accordingly, exhibition is produced considering an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 cognition of information and interest,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action for mutual relationship. The delivery mechanism of exhibition information will be valuable as a guideline for planning and directing exhibitions for audience.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에 박물관은 소장품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교육적인 역할과 함께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만나고 소통하는 기능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관람객과의 관계를 위한 전시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는데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정보를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전시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로서 관람객에게 유의미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연출되어야 한다. 또한 전시정보전달과정은 정보를 만들고 구성하여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보디자인 이론에 기초하여 전시커뮤니케이션을 정보 전달 과정으로 간주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통합적인 개념으로서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확립하고 그에 따른 전시연출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먼저 정보디자인의 이론을 고찰한다. 정보전달과정의 개념과 프로세스를 연구하여 정보 전달의 매커니즘을 이해한다. 둘째, 정보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 논거로 하여 전시정보전달과정을 통합적인 개념으로 연구한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을 정보전달과정으로 해석하고 정보 함유량 비율에 따른 전시의 유형을 제시하여 전시와 정보디자인의 관련성을 설명한다. 또한 전시정보전달에 관하여 제작과 관람의 각각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정보의 이해 과정까지 포함하여 통합적인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제안하고 전시연출 분석 틀을 마련한다. 셋째, 국내 박물관의 상설 전시를 사례로 선정하고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기반으로 전시연출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정보디자인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정보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정보디자인 이론을 기초하여 전시 정보전달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시연출자에서 정보를 구성하고 연출 디자인이 정보를 수신하는 관람객에게 전송하는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전시 정보전달은 관람객의 정보 수용과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물리적 차원의 정보 접근성, 의미 생성을 위한 관람자의 정보 인지와 관심, 상호적 관계를 위한 관람자의 정보 처리와 반응의 세 가지 맥락을 가진다. (결론) 현대 박물관은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고 전시는 관람객에게 정보를 의미 있게 전달해야 한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전시 정보 전달 과정으로서 전시 제작에서 관람까지 연쇄적이고 복합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전시는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정보에 대한 접근성, 정보의 인지와 관심, 상호적 관계 형성을 위한 정보 처리와 반응을 고려하여 연출되어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한 전시 정보 전달 구조는 관람객을 위한 전시를 계획하고 연출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실천적 가치가 있기를 기대한다.

      • Implementation of VANET-based Warning Generation System using Cellular Networks, GPS, and Passive RFID Tags

        Farhan Aadil,Zeshan Iqbal,Adeel Akr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SmartCR Vol.2 No.6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 are a key part of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while vehicle safety communication is a major target of vehicular communication. Other features that augment vehicular ad hoc networks are enhanced driving experienc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ctive navig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a plethora of other autonomous and automated systems. However, our focus will be warning generation systems, which can help reduce fatalities if deployed in an efficient and fail-safe manner on motorways and highways. This paper describes a collective information system for collection and delivery of traffic information aimed at supporting fast, efficient and secure travel of people and transport of goods. Based on that information, authorities are able to assess vehicles’ sudden motion and movement changes and can generate warning/alert messages (for emergency/police vehicles) for post-accident scenarios. In this paper, the us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for vehicular communication has been proposed and an extended RFID system and infrastructure for vehicle safety communication through emergency phone towers (EPTs) and cell phones is suggested. In order to communicate, vehicles may be equipped with a cellular phone, RFID, and/o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whereas RFID readers may be mounted on EPTs, which are already installed on motorways. It also provides a demonstration on flow of information within the system; the simulation results are also included.

      • 도시철도 정보통신설비 슬림화 방안 연구

        안태기(Tae-Ki AN),김순희(SunHee Kim),김준홍(Joonhong Kim)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5

        도시철도 이용자 및 운영자의 요구사항이 증대되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정보통신설비가 증가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이용한 설비의 슬림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도시철도 정보통신설비에 대한 표준화 및 슬림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도시철도 정보통신설비의 슬림화를 위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형 정보통신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형 정보통신시스템은 도시철도 운영기관 정보통신설비의 설치비와 운영유지보수비를 대폭 절감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ban transi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various equipment. As the demands for users and operators in urban transi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to satisfy them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 is also increased.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slimming dow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using network-based system. However the research on the standard of the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tegrated network-bas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to slim down.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hat the operation company can reduc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of urban transit.

      • The classification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flow of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media

        Jong Min Choe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08 한국로고스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5월

        This study has developed a framework that can identify type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In this stud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rading partners were grouped into two broad types of information: Transac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s (IOSs) and traditional communication media (TCM) on the amount of information exchanged.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the usage of IOSs is the first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exchange of transaction information as well as management information. In examining the impact of the information exchanged on the dimensions of production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seem to influence different dimensions of produ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both the usage level of IOSs or TCM and the types of information exchanged. four form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nd their particula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The four types are: traditional links for coordination, strategic alliances, electronic links for coordination, and virtual organizations.

      • KCI등재

        DSRC 교통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품질관리 기준수립 연구

        황태현,원인수,권장우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1

        A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is a detection system for a section of road using communication between roadside equipment and on-board High-Pass units to collect road traffic information and provide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to driver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that a DSRC system must be supported to pas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 DSRC systems installed in expressways and national highways is started. Currently,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re only managed for maintenance and functional-monitoring purposes, which means that detailed criteria for the operation of a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such as communication range,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d the power of the radio wave, etc., need to be established. In this paper, the criteria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SRC traffic information system are presented for different road types and road environments. The propose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the communication range and communication power of roadside equipment. In addition, installation criteria, such as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d the height and angle of the installed system, are presented for different road types and road environments. The criteria presented were evaluated for DSRC roadside equipment and documented to improve system maintenance and quality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system. DSRC 교통정보시스템은 노변기지국과 차량에 장착된 하이패스 단말기와의 통신을 이용한구간 검지기로서 도로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에게 신뢰성 높은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DSRC 교통정보시스템을 ITS 성능평가 대상으로 고시하였으며, 전국고속도로, 국도 및 지자체에 설치된 DSRC 교통정보시스템에 대한 성능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DSRC 교통정보시스템은 장비 이상에 따른 고장수리 및 제어기부에 대한 상태확인 등단순점검 위주로 관리되고 있어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안테나 방향, 전파세기 등에 관한 세부적인 운영·유지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변기지국별 상이하게 운영되었던 DSRC 교통정보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품질관리기준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품질관리 기준안으로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및 통신출력을 포함하고 안테나의 방향, 설치 높이, 각도 등 물리적인 설치 기준과 다양한 도로 유형별, 환경별 설치 지침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품질관리 기준안은 이동식 DSRC 기지국을 이용하여 설치 기준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