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관념사(觀念史) 연구에서 데이터베이스 방법론이 지니는 의의

        류칭펑 ( Qing Feng Liu ),김민정(번역)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2 No.2

        1950년대 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을 예증하기 위해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가 주요 키워드들의 역사적 의미 변화를 분석하는 접근 방식을 확립한 이래 키워드의 역사적 의미분석은 관념사 연구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이 글은 중국근대 정치사상의 기원과 변천을 연구하는 데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법을 소개한다. 이 연구 과정에서 우리는 관념에 대한 새로운 해석, 즉 관념(idea)은 키워드들을 통한 사고의 표현이라는 것을 제안하고, 또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통한 관념사 연구방법을 주로 제시할 것이다. 여기에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념의 표현으로서의 핵심어 확정과 사람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통한 예문검색, 문장의 의미분석을 통한 키워드의 사전적·문맥적인 의미의 확인, 키워드의 의미 유형에 대한 분석과 통계, 그리고 키워드를 포함한 문장들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포함된다. 우리는 위 사항들에 근거해 사상의 기원과 변형을 연구하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관념사 연구가 경험을 통해 검증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통한 관념사와 지성사의 연구는 인문학의 주제를 다룬 연구에서 일대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이는 관념의 변천이 가진 내적 논리를 보다 세부적으로 조사하고 기존의 관념들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들(예를 들면 언어연구, 철학 등) 간의 협력을 위한 새롭고 강력한 도구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중국, 일본, 한국의 근대적 관념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에서도 그들의 동일한 언어적 근원, 단기적인 시간의 틀, 문헌의 상대적 집중 그리고 밀접한 상호 영향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이용한 동아시아 관념사 연구는 점점 강점을 갖게 될 것이다. Since the 1950s when Raymond Williams established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meanings of key terms as a means of trac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ture,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keywords has become the main theme of the study of history of ideas. This essay introduces our basic technique of making use of the database system to study the origin of Chinese modern political thoughts and its transformation. In our study, we propose a new interpretation of ideas: we understand an idea to be the expression of thoughts by means of keywords, and we also primarily conclude that the best method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ideas is the database system. This system requires the building of a database, identifying the keywords used to express the ideas in question, and retrieving sample sentences through human-computer interaction, confirming the dictionary and textual meanings of keywords by analyzing the meaning of each sentence, analyzing and computing the meanings and connotations of the keywords, and, hence, building up the database of sentences which contain the keywords being studied. Our study of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ideas is founded on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nd we believe that, through this method, the study of the history of ideas is open to practical examination and we can build on our experience. The study of history of ideas and of intellectual history through the use of the database system will lead to a huge revolution in the study of the humanities. Besides investigating the internal logic of the transformation of ideas in more details, and examining existing ideas, it will provide a new and powerful tool for co-operation between many subjects (including language study, philosophy, etc.). In addition, due to shared language sources in China, Japan and Korea, where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ideas is concerned, as well as the short time-frame involved and the comparatively limited number of historical texts and their close interaction, the advantages of using the database system in the study of history of ideas in East Asia will be all the greater.

      • KCI등재

        『예기』의 군왕 복상제도(服喪制度)에 나타난 존왕사상(尊王思想) 연구

        정병섭 한국유교학회 202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5

        본 논문의 주제는 예기 에 기록된 상례제도 중 군왕에 대한 복상제도(服喪制度)를 연구하는 것이며, 세부적으로는 복상제도에 나타난 존왕사상(尊王思想)이란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초기 유가에서 주장했던 상례는 어디까지나 혈연관계 속에서 이뤄지는 가족관계 내에서의 예제(禮制)였고, 군신관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전국시대에는 점차 전제왕권이 강화되고 통일왕조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군왕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과 존숭의식이 형성되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바로 존왕사상이다. 유가는 이러한 존왕사상의 영향을 받아, 군왕에 대한 각종 제도와 사상들을 만들어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군왕에 대한 복상제도이다. 이러한 복상제도는 기본 전제가 군왕을 부모와 동일시하여 군왕에 대해서도 삼년상을 치른다는 것으로, 이것은 군부일치(君父一致)의식을 보여준다. 또 유가는 혈연과 관련없는 군신관계를 상복제도로 편입시키기 위해 존귀한 자를 존귀하게 대하는 존존의식(尊尊意識)을 고안해냈고, 이것을 복술(服術) 규정으로 정착시킨다. 이에 따라 군왕에 대한 복상제도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 군왕은 계급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군왕을 중심으로 한 차등적 제도들을 고안해냈고, 각종 변례(變禮) 조항들을 만들어내어, 군왕 중심의 상례제도를 수립하게 되는데, 여기에 나타나는 특징은 부모에 대한 상사(喪事)보다는 군왕의 상사를 우선시하는 것으로, 이것은 효보다는 충을 앞세우는 선충후효(先忠後孝)의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전국말기와 전한초기 유가사상의 특징인 존왕사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The topic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uneral system for the king among the records of "Liji". In particular, it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 that respects the emperor in this funeral system. The funeral system, which was claimed in the early days of studying abroad, was carried out in a blood relationship and was implemented within a family relationship. Therefore, it was not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However, during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royal authority was strengthened, and absolute obedience to the king was strengthened. This is the idea that respects the emperor. Confucian scholars accepted these ideas and created systems and ideas for the king. One of them is the funeral system for the king. This system identified the king with the parents of the servant, and also followed the funeral system of the servant's parents for the king. In addition, Confucian scholars incorpo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s and subjects not related to blood relations into the funeral system. In the process, a new funeral system was devised. This appears to be a king-centered discriminatory funeral system. The subjects came to value the king's funeral more than the funeral for their parents. This is an idea that prioritizes loyalty to the state over filial piety to parents. And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that emerged at the end of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early Han Dynasty.

      • KCI등재

        중국 사회 근대적 전환의 역사단계 -키워드 중심의 관념사 연구

        진관타오 ( Guan Tao Jin ),이기윤(역)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2 No.2

        이 글은 근대 중국 사상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가 낳은 성과를 데이터베이스기법을 통해 소개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관념사의 파노라마 안에서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을 논의할 수 있다. 우리는 관념사 연구가 중국 사회 전환의 초안정시스템의 역사관을 확증하며, 이를 통해 관념사 연구에서 아서 러브조이(Arthur O. Lovejoy)가 언급한 기본적인 이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우선 근대성과 직접 관련되는 100여 개의 주요 핵심어들을 선별했다. 이 핵심어들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근대성의 세 가지 기본 요소들(개인의 권리, 도구적 합리성, 민족 정체성)의 기원과 변모를 논의했다. 우리는 근대적 가치들을 중국이 수용하는 과정이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1840~1894년에 해당하는데, 이 단계는 유교를 통한 근대 서구사상의 선택적 수용이 특징이다. 유교에 존재하지 않는 가치들은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거부되었다. 근대 서구사상을 학습하는 단계는 청일전쟁(1894~1895) 이후이다. 중국과 서구의 구분을 뒷받침하는 이원론적 이데올로기가 형성되었던 이 두 번째 단계, 특히 1900~1914년의 시기에 개인의 권리, 도구적 합리성, 문화적 민족주의는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을 야기하는 데 막대한 위력을 갖게 되었다. 이는 또한 중국의 정치사상이 서구에 근접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1915년에 재구성의 단계가 이전 학습단계를 대체했는데, 이것이 신문화운동(1915~1924) 이후 계속 이어지는 세 번째 단계의 시작이다. 이 단계에서는 서구로부터 학습된 근대적 개념들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겪는다. 그러한 재구성이 낳은 것이 우리가 당대사상이라 부르는 중국식 근대적 관념으로 이 관념은 5·4운동 이후 중국에서의 혁명과 당-국가 체제의 성립을 지배하였다. 근대성은 서구에서 유래하였다. 일반적으로 전통 사회의 근대적 전환은 민족국가를 확립하기 위해 서구의 근대적 가치들을 학습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하지만 중국에서 서구로부터의 학습단계는 매우 짧아서 20년이 채 안 된다. 중국의 전통적인 사고 방식의 영향력이 중국식 근대적 관념 형성에 중요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는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이 중국 전통 사회의 작동 양식에 의해 지배되었다는 점과 역사 속의 문화 통합 양식, 즉 역사 속의 초안정시스템은 여전히 붕괴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초안정시스템은 고대와 근대의 중국 역사를 설명하는 데 시스템론(system theory)을 이용하기 위해 우리가 제안한 양식이다. 이 양식은 불변하는 심층 구조의 사고 방식 때문에 유효성을 갖는다. 『중국 근대 사상의 기원: 초안정구조의 관점에서 본 중국 정치 문화의 변천』에서 우리는 심층 구조의 사고 방식을 논의했다. 100여 개의 개념들에 대한 우리의 검토는 불변하는 심층 구조의 사고방식의 존재에 대한 증거이다. 비록 1930년대 초 아서 러브조이는 이미 관념이 장기 지속적이고 변화하기 어려운 사고 방식이라고 믿었지만 그의 관점은 역사 연구에서 결코 입증된 적이 없었다.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에 대한 관념사 연구는 러브조이의 관점에 대한 시험이다. 이는 관념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새로운 연구영역을 열어놓는다. This essay presents an overview of our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 of modern Chinese thought by using the database method, and addresses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ideas. We believe that studies in the history of ideas verify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ultra-stable system of China`s social transformation, and can solve the basic theoretical problems in this field mentioned by Arthur O. Lovejoy. First of all, we chose approximately one hundred significant keywords directly related to modernity. By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es of their historical meanings, we discussed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 of three basic elements of modernity: personal right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national identity in China. We discovered that China`s adoption of modern values can be divided chronologically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from 1840 to 1894, was characterized by the selective absorption of modern Western thought by Confucianism. Values not compatible with Confucianism were treated with indifference, or rejected. The stage in which modern Western thought was learnt took place after the Sino-Japanese War of 1894-95. This second stage, especially from 1900 to 1914, was also marked by the formation of a dualistic ideology, which maintained a demarcation between China and the West; personal right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cultural nationalism played an immense role in motivating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t was also a period in which Chinese political thought came closest to the West. From 1915, a stage of reconstruction replaced the former stage of learning or adoption of Western values; this third stage started with the New Culture Movement (1915-1924) and onwards. It is then that modern concepts learnt from the West underwent some transformation. Such changes gave birth to the Chinese style of modern thought, which we call contemporary Chinese thought, and which dominated the revolutions and the formation of the party-state system in China after May Fourth. Modernity originated in the West. Generally,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societies was accomplished by learning modern Western values to establish a nation-state. But the stage of learning from the West in China was very short: less than twenty years, in fact. Traditional Chinese ways of thinking were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Chinese modern thought. This illustrates that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was dominated by the pattern of traditional Chinese society and the cultural-integration pattern in history; the ultra-stable system in history is as-yet unbroken. It is the pattern we suggested, to use the system theory in explaining ancient and modern Chinese history. Such a pattern is valid due to its constant and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In Origins of Modern Chinese Thought: the Evolution of Chinese Politic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ltra-Stable Structure, we discussed the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Our examination of those one hundred concepts provided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the constant and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Though early in the 1930s, Arthur O. Lovejoy already believed that ideas are ways of thinking which are of long duration and difficult to change, his view had never been proven in historical studies. This history-of-ideas study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s a test of Lovejoy`s point of view, and it marks the beginning of a new field of research of the interaction between ideas and society.

      • KCI등재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지상파방송의 기능과 규제의 한계

        최우정(Woo Jeong Choi) 한국언론법학회 2011 언론과 법 Vol.10 No.1

        기술의 발달은 방송과 통신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융합화 시켰으며 이에 따른 규제법체계의 변혁을 초래하였다. 종래의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융합화가 이루어져 더 이상 기존의 입법을 통한 규제가 곤란하게 되었고 수평적 규제체계에 따른 법체계의 정비 및 입법이 논의되게 되었고 세계의 각국은 방송ㆍ통신의 법제도의 형성에서 이러한 추세의 과정에 놓여있다. 수평적 규제체계의 큰 흐름속에서 하나의 중대한 문제가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의 문제이며 이 경우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는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규제를 분리시켜 고려되어야 하고 이 경우 각각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을 분리해 각각의 설립의 목적에 부합되는 범위내에서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영방송의 콘텐츠계층에 대한 허용은 공영방송의 기본공급의무와 존속 및 발전보장의 범위속에서 폭넓게 인정되어야 하지만 공영방송의 법적 성격을 본질적으로 침해하는 방송외의 사업으로의 확장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전송계층에의 진입 및 운영에 있어서도 공영방송은 방송의 공적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민영방송의 경우는 공영방송과 다르다. 민영방송은 공영방송보다 법리적인 측면에서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진입 및 운영에 있어서 훨씬 더 포괄적이고 개방적인 성격을 가진다. 다만 방송의 특수한 영향력으로 인해 시장지배적인 여론형성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여론독과점의 규제 및 제한에 기속되며 설립의 근거인 상법상의 규제에 기속되게 된다. 결론적으로 수평적 규제체계하에서의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는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분리규제로 나가야 한다. 이 경우에도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에 대한 이러한 규제는 헌법상 방송의 자유보장과 공적ㆍ사적 의사형성을 통한 민주적 기본질서에 이바지한다는 방송의 공적인 기능에 부합되는 방향에서의 절차와 제도를 통한 규제라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There has been a convergence in the area of soft and hardwear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broadcastings and telecommunications and it has caused the paradigmatic change of legal system. With the unexpected convergence, the traditional legal regulation system to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has lost its effective regulation and there needed a new legal regulative system. It is a new tendency on our current society. The newly needed legal regulative system is expected especially in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In this case the regulative system is applied with the different platform, named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At the same time this regulation is applied with the different dens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broadcasting system each other.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is limites its competent to the guarantee of basic and development(Grund- und Entwicklungsgarantie) in the area of contents platform and is not allowed its competent which is not suitable with the goal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contents platform,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has the competent to the in and out of the transmission platform market which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al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To the contrast with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the private broadcasting has a different situation. The private broadcasting has a broad competent in the area of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But the private broadcasting is ruled by the Anti Trust and Monopoly Act for the prohibiting the occupying the market of ideas. Consequently in the area of horizontal regulative system the legal regulation to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is divided to the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With this change of legal 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setup the regulation through the process and institution for the guarantee of freedom of market of ideas and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예비 과학 교사들의 시스템 사고력의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박경숙 ( Park Kyungsuk ),정현도 ( Jeong Hyungdo ),전재돈 ( Jeon Jaedon ),이효녕 ( Lee Hyony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사고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사범대학 과학교육계열 학부생2-4학년 17명이며, 이들에게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시스템 사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스템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투입 전·후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학생들에 대해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시스템 사고 검사에 대해서는 95%의 신뢰수준에서 단일집단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시스템 사고 질적 검사는 5인의 예비 과학 교사를 선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프로그램에서 적용한 ‘Dynamic RC 비행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시스템 사고 향상에 초점을 두고 수정·보완을 거쳐 개발하였다. 둘째,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과학 교사들의 시스템사고 능력이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사고 양적 검사 결과에 따르면 시스템사고 하위 요인에서 95%의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시스템 사고 질적 검사에서도 예비 교사들은 시스템의 순환을 인지하게 되고 특정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향상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시스템 사고를 학교 현장에서 직접 실천하게 될 예비 교사들의 시스템 사고력을 향상 시키고 관련 영역에 대한 이해를 증진을 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ystem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on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skills. Literature, related programs,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develop the program. A total of 17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at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e-post t-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o the program. Data was collected using causal maps, drawing analyses, word association, and system thinking instrument to investigate students’ students thinking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with the theme of ‘RC Airplane’ was developed to increas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ystem thinking skill. Second, the STEAM educational program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udents’ system thinking skills. In conclusion, the STEAM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affect students’ system thinking skills significantly and meaningfully.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for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and enhanced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s and perceptions within the STEM field.

      • KCI등재

        효율적인 액션연기를 위한 ‘무예武藝연기술시스템’의 논의

        김수남(Suna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무예武藝연기술시스템’은 전통무예 원리를 바탕으로 무예연기술시스템의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무예연기술을 필요로 하는 배우들이 액션연기에 대한 두려움없이 무예연기를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무예훈련 방법론을 제시한 ‘무예武藝연기술시스템’의 내용은 온몸때리기와 복식호흡 수련으로 강화된 단전의 내공을 바탕으로 낙법, 태권도, 택견, 한검, 장봉술 등 외공을 강화시키는 기초 무예수련을 소개하였다. 배우의 몸놀림을 춤처럼 부드러우면서도 격한 운동처럼 강하게 발산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무예武藝연기술시스템’은 전통 무예의 정수를 도입하였다. 또한 현 한국 무예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인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효율적인 액션연기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정통적인 현대연기술의 연기메소드와 ‘할리우드 신체기술’(영화연기메소드)의 차이성을 언급하였다. 무예연기술과 카 메라 워킹과 연계한 신체연기의 테크닉에 대해 논의하면서 관객의 존재를 강조하는 메이어홀드의 양식주의 연기 개념을 적용한 ‘할리우드 신체기술’을 무예연기술론으로 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무예연기는 진실한 감정을 내세우는 영화연기술의 고유성인 ‘아메리카 메소드 액팅’의 일반 연기의 개념과 달리 안정된 폼을 잡는 자세를 중요시 한다. 본 연구는 배우들의 심리적, 신체적 안전성의 도모와 무예연기를 일반연기와 다른 관점에서 훈련함을 목표로 무예연기술시스템을 소개한다. This paper will concentrates on martialarts acting system. I will sugest a kind of actors training system for the safe method of action acting. In this study I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what is main factors to interfere with performer to act and how do they get rid of factors. Second, what is very economic and effective challenge to develope the new acting system for action acting performers. For this discussion I studied four parts. The first, I gives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safe for martialarts actor. The second, I traces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idea of acting such as Stanislavsky and Meyerhold. The third I introduces Korean martialarts training system. The last I conclude which refer to effective action acting by result of training Korean traditional martialarts acting system.

      • A Knowledge based Interaction idea Categorizer for Electronic Meeting Systems

        Kim, Jae-Kyeong,Lee, Jae-Kwang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2000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6 No.2

        Research on group decisions and electroinc meeting system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according to the widespread of Internet technology. Although various issues have been raised in empirical research, we will try to solve an issue on idea categorizing in the group decision making process of elecronic meeting systems. Idea categorizing used at existing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s was performed in a top-down procedure and mostly participants\` by manual work. This resulted in tacking as long in idea categorizing as it does for idea generating, clustering an idea in multiple categories, and identifying almost similar redundant categories. However such methods have critical limitation in the electronic meeting systems, we suggest an intelligent idea categorizing methodology which is a bottom-up approach. This method consists of steps to present idea using keywords, identifying keywords\` affinity, computing similarity among ideas, and clustering ideas. This methodology allows participants to interact iteratively for clear manifestation of ambiguous ideas. We also developed a prototype system, IIC (intelligent idea categorizer)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using the comparision experimetn with other systems. IIC is not a general purposed system, but it produces a good result in a given specific domain.

      • 중국 사회 근대적 전환의 역사단계 - 키워드 중심의 관념사 연구 -

        진관타오(金觀濤)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0 No.4

        이 글은 근대 중국 사상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가 낳은 성과를 데이터베이스기법을 통해 소개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관념사의 파노라마 안에서 중국 사회의근대적 전환을 논의할 수 있다. 우리는 관념사 연구가 중국 사회 전환의 초안정시스템의 역사관을 확증하며, 이를 통해 관념사 연구에서 아서 러브조이(Arthur O. Lovejoy)가 언급한 기본적인 이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우선 근대성과 직접 관련되는 100여 개의 주요 핵심어들을 선별했다. 이핵심어들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근대성의 세 가지기본 요소들(개인의 권리, 도구적 합리성, 민족 정체성)의 기원과 변모를 논의했다. 우리는 근대적 가치들을 중국이 수용하는 과정이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알게 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1840~1894년에 해당하는데, 이 단계는 유교를 통한근대 서구사상의 선택적 수용이 특징이다. 유교에 존재하지 않는 가치들은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거부되었다. 근대 서구사상을 학습하는 단계는 청일전쟁(1894~1895)이후이다. 중국과 서구의 구분을 뒷받침하는 이원론적 이데올로기가 형성되었던 이두 번째 단계, 특히 1900~1914년의 시기에 개인의 권리, 도구적 합리성, 문화적민족주의는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을 야기하는 데 막대한 위력을 갖게 되었다. 이는 또한 중국의 정치사상이 서구에 근접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1915년에 재구성의 단계가 이전 학습단계를 대체했는데, 이것이 신문화운동(1915~1924) 이후 계속이어지는 세 번째 단계의 시작이다. 이 단계에서는 서구로부터 학습된 근대적 개념들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겪는다. 그러한 재구성이 낳은 것이 우리가 당대사상이라부르는 중국식 근대적 관념으로 이 관념은 5ㆍ4운동 이후 중국에서의 혁명과 당-국가 체제의 성립을 지배하였다. 근대성은 서구에서 유래하였다. 일반적으로 전통 사회의 근대적 전환은 민족국가를 확립하기 위해 서구의 근대적 가치들을 학습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하지만 중국에서 서구로부터의 학습단계는 매우 짧아서 20년이 채 안 된다. 중국의 전통적인사고 방식의 영향력이 중국식 근대적 관념 형성에 중요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바는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이 중국 전통 사회의 작동 양식에 의해 지배되었다는 점과 역사 속의 문화 통합 양식, 즉 역사 속의 초안정시스템은 여전히 붕괴하지않았다는 점이다. 초안정시스템은 고대와 근대의 중국 역사를 설명하는 데 시스템론(system theory)을 이용하기 위해 우리가 제안한 양식이다. 이 양식은 불변하는심층 구조의 사고 방식 때문에 유효성을 갖는다. 『중국 근대 사상의 기원: 초안정구조의 관점에서 본 중국 정치 문화의 변천』에서 우리는 심층 구조의 사고 방식을논의했다. 100여 개의 개념들에 대한 우리의 검토는 불변하는 심층 구조의 사고방식의 존재에 대한 증거이다. 비록 1930년대 초 아서 러브조이는 이미 관념이 장기 지속적이고 변화하기 어려운 사고 방식이라고 믿었지만 그의 관점은 역사 연구에서 결코 입증된 적이 없었다. 중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에 대한 관념사 연구는 러브조이의 관점에 대한 시험이다. 이는 관념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새로운연구영역을 열어놓는다. This essay presents an overview of our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origins and transformation of modern Chinese thought by using the databasemethod, and addresses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from the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ideas. We believe that studies in the history of ideasverify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ultra-stable system of China’s socialtransformation, and can solve the basic theoretical problems in this fieldmentioned by Arthur O. Lovejoy. First of all, we chose approximately one hundred significant keywords directlyrelated to modernity. By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es of their historicalmeanings, we discussed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 of three basic elementsof modernity: personal right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national identity inChina. We discovered that China’s adoption of modern values can be dividedchronologically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from 1840 to 1894, wascharacterized by the selective absorption of modern Western thought byConfucianism. Values not compatible with Confucianism were treated withindifference, or rejected. The stage in which modern Western thought was learnttook place after the Sino-Japanese War of 1894-95. This second stage, especiallyfrom 1900 to 1914, was also marked by the formation of a dualistic ideology,which maintained a demarcation between China and the West; personal rights,instrumental rationality, and cultural nationalism played an immense role inmotivating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t was also a period inwhich Chinese political thought came closest to the West. From 1915, a stage ofreconstruction replaced the former stage of learning or adoption of Westernvalues; this third stage started with the New Culture Movement (1915-1924) andonwards. It is then that modern concepts learnt from the West underwent sometransformation. Such changes gave birth to the Chinese style of modern thought,which we call contemporary Chinese thought, and which dominated therevolutions and the formation of the party-state system in China after MayFourth. Modernity originated in the West. Generally, the modern transformation oftraditional societies was accomplished by learning modern Western values toestablish a nation-state. But the stage of learning from the West in China wasvery short: less than twenty years, in fact. Traditional Chinese ways of thinkingwere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Chinese modern thought. This illustrates that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was dominated by the pattern oftraditional Chinese society and the cultural-integration pattern in history; theultra-stable system in history is as-yet unbroken. It is the pattern we suggested,to use the system theory in explaining ancient and modern Chinese history. Sucha pattern is valid due to its constant and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InOrigins of Modern Chinese Thought: the Evolution of Chinese Political Culturefrom the Perspective of the Ultra-Stable Structure, we discussed the deeply-structured ways of thinking. Our examination of those one hundred conceptsprovided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the constant and deeply-structured waysof thinking. Though early in the 1930s, Arthur O. Lovejoy already believed thatideas are ways of thinking which are of long duration and difficult to change, hisview had never been proven in historical studies. This history-of-ideas study of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ety is a test of Lovejoy’s point of view,and it marks the beginning of a new field of research of the interaction betweenideas and society.

      • KCI등재후보

        국제통화금융체제에 대한 케인스주의적 개혁 논의의 비교검토

        김의동(Eui-Dong Kim) 한국무역연구원 2011 무역연구 Vol.7 No.2

        The emergence of global imbalances and the consequent global economic crisis are key symptoms of International financial system (IFS) incoherence. Reforming the IFS are imperatives to be achieved. This article is looking into the reforming ideas of international Keynesians which is searching the alternative system for new IFS. It is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ideas of Stiglitz, Davidson and Montbio. We will look into the background and issue on international Keynesian's IMF reforming Debate. Also we will see the contents and differences between international Keynesian's discussions of reforming of IFS.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the discussion about reforming of IFS after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is still holding back at the point of partial amendment of former Bretton-Woods system. In other words, fundamental restructuring is not performed successfully. Thus, there still exists a possibility that financial crisis will happen again. This thesis emphasizes the need of effort to overcome the obstacles by considering whether the application of Keynes's international clearing union is available, so as to prevent the reoccurrence of the crisis.

      • KCI등재

        전산지원 시스템엔지니어링 자동화 환경을 이용한 한국형 경항공모함 설계조합 및 최적대안 산출 기술 연구

        박진원,이광기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Naval ship concept design largely consists of concept exploration and concept development. The concept exploration starts with the operational requirements and produces a rough level of dimensions and performance prediction, which serve as an initial baseline for the next design stage. The subsequent design follows a gradual process in which dimensions and performance are further specified. This study develops the Integrated Design Environment by Automation for Ship (IDEAS) as a computer-aided systems engineering tool to support the systems engineering framework that has been established for application in naval ships. This framework was applied to an example case of the concept exploration of aircraft carrier experiment, which has recently receiv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attention. The results of this example study confirmed that reliable and meaningful results could be obtained using IDEAS at a reasonable cost and time. The accuracy and fidelity of IDEAS provide satisfaction in the purpose and level of the early-phase ship design. This observation is based on the good predictions of IDEAS compared with the data of US and British aircraft carriers and the results of an independent CVX concept design. 함정 개념설계는 크게 개념탐색과 개념개발로 구분된다. 개념탐색은 최초 운용요구조건으로부터 시작하여 함정의 개략적인 제원 및 성능을 예측하며, 이는 실제 다음 단계의 초기 기준선 역할을 한다. 이후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제원과 성능이 구체화되는 점진적인 프로세스를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적용 사례를 보유한 현업의 시스템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전산지원 자동화 설계도구(IDEAS)를 개발하고자 한다. 검증 케이스로 최근 국내/외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한국형 경항공모함의 개념탐색에 이를 적용하여 합리적인 비용과 시간 투입만으로도 신뢰할 수 있고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DEAS의 정확성과 정교성은 미국과 영국의 항공모함 데이터와의 비교 그리고 자체 CVX 개념설계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원래 목표로 하였던 초기단계 설계의 목적과 수준에서 만족스러운 능력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