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교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근거 이론

        김한성 ( Han Seung Ki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0 복음과 선교 Vol.13 No.-

        This study seeks to introduce grounded theory as a missi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e last three years, two major Korean academic jounals for missions studies have published only two articles that were based on field research, Barney G, Glaser and Anselm L. Strauss explained that grounded theory discovers theory from data systematically obtained from social research.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grounded theory be a methodology that is sustainable and does not demand too much time and resources. Grounded theory was introduced by Glaser and Strauss in 1967. Since then, this methodology was widely used, including nursing,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theory was introduced to Korea in 1987. From then on, this theory was used various disciplines. And yet, the usage of this theory in missions study in the Korean language was not found. This study explains the key concepts of grounded theory: theoretical sampling, theoretical sensitivity, theoretical saturation, memoing and coding. This study, then, talks about the process of the theory. This study, then, provides benefits and limitation of grounded theory as a missiological research method.

      • KCI등재

        근거이론을 통한 인과순환지도 구축 : 근거시스템이론(GST)의 모색

        김동환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23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24 No.2

        Grounded theory, which has recently gained popularity in the social sciences, can be an excellent method for providing empirical support for system dynamics research. Several effor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 grounded theory and system dynamics for this purpose. However, previous integration attempts have primarily focused on system dynamics and have not incorporated the paradigm model of Strauss and Corbin, widely used in the social sciences. This paper introduces ‘grounded system theory (GST)’, aiming to integrate systems thinking an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 The grounded systems theory approach involve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loop coding. The application of ‘grounded system theory’ was discussed by utilizing interview data on ‘the dilemm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grounded systems theory’ proposed in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procedure for using qualitative data to construct a causal loop diagram, thereby serving as a bridge between grounded theory and system dynamics.

      • KCI등재

        우리나라 정보시스템 연구에서 근거이론방법론 현황 분석과 적용 지침 제시

        이웅규 ( Lee Woong-kyu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0 情報시스템硏究 Vol.2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n Korea information systems studies and to suggest its application strateg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is study reviewed 16 papers which adopted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analyzed these papers by two ways,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dopted from grounded theory methodology: Main characteristics in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re selected as main criteria in analysis such as data collection method, constant comparison, software use, coding ways, suggested model, proposition suggestion etc., while subject, theory/practice orientation, and role of prior knowledge are included in research contents. Findings Based on the review and analysis, this paper suggested four guidelines for adopt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o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in Korea: First, division of research methodology into stages. Second, explicit documentation of research process. Third, pursuit of diversity in research topics. Fourth, strengthening scale up and theoretical integration.

      • KCI등재

        근거이론적 방법의 이론화 논리에 대한 이해: 한국행정학의 비맥락성과 방법론적 편향성 문제를 중심으로

        권향원,최도림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1

        본 연구는 한국행정학의 비맥락성과 방법론적 편향성의 문제에 대한 방법론적 대답의 하나로 ‘근거이론적 방법(grounded theory method)’의 이론적 논리구조를 고찰하였다. 논의에 있어서 초점은 방법론에 대한 지침서적인 혹은 연혁적인 소개가 아닌 근거이론적 방법이 정초하고 있는 인식론적 구조와 실질적인 활용 모델에 두었다. 최근 근거이론적 방법을 활용한 경험적 연구 및 시도들이 행정학에 있어서도 조금씩 선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용성을 높이고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론의 인식론적 정당화 논리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 및 제시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방법이 다른 질적 이론과 구분되는 가장 주요한 특징인 ‘이론의 귀납적-질적 생성’이라는 아이디어의 인식론적 정당화 논리를 분석하고, 행정조직 및 정책연구에서 활용방안과 유용성, 그리고 실행상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logic structure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as a means to answer the question of the decontextualization and methodological bia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The focus of discussion is not upon the guidance or introduction of the methodology, but upon the practical application model and epistemological structure upon which the grounded theory method is based. Although some empirical studies emplo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have recently appeare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an in-depth exploration into and suggestions about the epistemological justification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ch research is necessary to increase acceptance and maximize application of the theor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logic of the epistemological justification of “the inductive-qualitative production of theory,”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distinguish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from other qualitative methods. The application,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the method are then discussed.

      • KCI등재

        질적 연구의 심화와 확장: 한국 정치학 연구에서의 근거이론 방법 적용 가능성

        박나라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2

        This article examines grounded theory, one of the most preferr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to help open a new horizon in the field of political methodology in Korea. A survey of Korean political science research in recent decades shows that despite the increasing predominance of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a number of studies still used non-quantitative methods, among which only a few followed qualitative methodology in the strict sense. In addition, there has not been much scholarly discuss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regard, the grounded theory method, aiming at constructing theory grounded in data under the qualitative-inductive paradigm, would be able to bring balance to the methodological spectrum, which is dominated by the quantitative-deductive paradigm, to test existing theories. Ultimately, grounded theory will contribute to addressing the gap between grand theory and reality and to contextualizing middle-range theories, especially in Korean politics, comparative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research. 본 논문은 한국 정치학 연구 방법론 논의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대표적인 사회과학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최근 한국 정치학 연구에서 계량적, 통계적 방법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계량적 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상당수를 차지하지만, 질적 연구 방법(methods)에 의거하여 자료를 분석한 논문은 많지 않으며, 질적 연구방법론(methodology)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질적-귀납적 패러다임 하에서 “자료에 근거한 이론 창출”을 목표로 하는 근거이론 방법(grounded theory method)은 기존 이론에 대한 검증을 금과옥조로 삼는 양적-연역적 패러다임의 다른 한 쪽에서 방법론적 균형을 가져올 것이다. 궁극적으로 근거이론은, 특히 한국정치, 비교정치, 국제정치 등의 분야에서, 거대이론과 현실 세계를 이어주는 중범위이론이 한국적 맥락에서 생성되도록 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근거이론적 방법이 교육행정학 연구방법론 확장에서 가지는 의미

        변기용,이인수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expan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examining and discussing an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 for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is study first shows that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is philosophically located in the 3rd area inbetween traditional positivism and constructivism; and also demonstrates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s an newly introduc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part based on positivism, by contrasting it with (1) a dominant constructivist/interpretivist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2)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a positivistic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can play a role not only to facilitate a mixed-,method research methodology which physically combine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but also to introduce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chemically integrate the two research methodologies.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방법이 가지는 과학철학적 토대와 연구방법론으로서 특징을 심층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사이에 놓여 있는 이분법적 배타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행정학 연구방법론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 근거이론적 방법이 실증주의와 구성주의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는 제3영역의 과학철학관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히는 한편, (2) 이를 기존의 구성(해석)주의적 질적 연구, 양적 연구와 대비함으로써 실증주의적 질적 연구로서 근거이론적 방법의 연구방법론적 특징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방법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물리적 결합을 촉진하는 혼합 연구를 촉진하는 기제로서의 역할 뿐만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존재론·인식론적 기반을 화학적으로 결합한 대안적 연구방법으로서 가능성도 함께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학부모학(學父母學) 분야에서 근거이론의 연구 방법론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최유희(Choi, Yoo-hee)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학 분야에서 등장한 새로운 탐구영역인 학부모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서 이 분야 연구에 근거이론의 방법론을 적용·활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는 데 있다. 근거이론은 질적 연구방법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많은 관심과 실천적 적용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사회과학인 간호학, 사회학, 행정학, 사회복지학 등의 분야에서는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질적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장이론의 생성이라는 근거이론의 본래 연구인 인식론적 관점에서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 모형이 어떤 방식으로 적용·활용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에 타당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근거이론의 개념과 취지, 분석 과정, 의미 도출 등과 같은 이론적, 방법론적 가정을 정리하였다. 그런 다음 교육학 방면의 연구에서 이 연구 패러다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학부모학에서 근거이론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되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고,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parental studies, which are new research areas that have recently emerged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in this field research. The grounded theor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sense that it can supplement the weakness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particular,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s such as nursing, sociology,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research using grounded theory forms a major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paper, I tried to suggest a reasonable research direction after critically examining how Strauss and Corbin s paradigm model are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research epistemology of the grounded theory of the creation of field theory. For this, methodological assumptions such as the concept and purpose of grounded theory, analysis process, and meaning derivation were summarized. Then, by understanding how this research paradigm is being used in the study of pedagogy, we discussed how the grounded theory should be developed in parental studies, and suggested some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선교학 영역의 연구 방법론 확장을 위한 근거이론의 적용

        배아론(Aaron Bae),이현철(Hyunchul, Lee)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8 No.-

        본 연구는 선교학 연구 방법론의 확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론 중에 하나인 근거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연구 전반부에서는 선교학의개념, 특징, 그리고 연구방법의 한계를 분석한다. 선교학은 신학과 사회과학과 연결점을 공유하는 실천신학의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타 실천신학과의 차이점은 다문화 상황을 학문적 전제로 하며 또한 선교학이 현장중심의 학문임에도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는 사회과학적인 도구보다 문헌연구에 치중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연구 중반에는 이런 상황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을 소개하는데 근거이론의 개념과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하였는지 서술한다. 연구 마지막 파트에서는 근거이론의 적용을 통한 4가지의 구체적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선교 지역과 대상자별 맞춤형 선교 전략 및 이론도출의 가능성 2. 문헌연구 탈피((脫皮)를 통한 현장성 회복의 가능성 3. 현장 분석을 위한 명료한 연구 절차 수행 가능성 4. 컴퓨터 질적 자료 분석 프로그램(CAQDAS: Computer 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적용의 가능성. 이러한 가능성들은 선교 지역과 대상자별 맞춤형 선교 전략과 이론 도출의 가능성을 담보해주는 과정이 될 것이며 선교 현장 분석을 위한 명료한 연구 절차 수행 및 과정의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기여 할 것이며 방대한 현장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여 독자들에게 보다 동의를 얻을 수 있는 연구 분석 과정으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grounded theory in order to examine the extension of the missi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In the first half of the study,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method were analyzed. Missiology shares a connection point with theology in general and social sciences, but the difference from other practical theological departments is that it presupposes a multicultural context as an academic discipline.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research methodology is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rather than social science tools. In the middle part of the study, grounded theory, one of social scientific research methods,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option. This part included the concept of grounded theory and how it developed historically was described. In the last part of the study, four specific research possibilities were presen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which are as follows: 1. Possibility of deriving customized mission strategies and theories 2. Possibility of recovering field oriented studies 3. Possibility of performing clear research procedures for field analysis 4. Possibility of applying Computer 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se possibilities will guarantee the customized mission strategies and theories for each mission area and target, and will contribute to conducting a clear research procedure for mission field analysis and securing the validity of the process. In addition, this will be meaningful as a research analysis process that can obtain more consent from readers by enabling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vast field data.

      • KCI등재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의 활용

        김성곤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applicable possibility and an understanding of the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in sport pedagogy studie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s the experience of physical activities is based on subjective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student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tc.), there are many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to presenting a quantification of these aspects in the scientific method based on objectivistic paradigms. The main focus of the grounded theory is the development of a substantive theory. Grounded theory adduces theoretically formal results with respect to a matter of substance based on subjective materials (suggested and various evidence through the individual experiential process) by somewhat complicative systematic and deep analytic processes. The grounded theoretic approach can therefore be a very useful implement in physical education studies, which has strong subjective characteristics for identifying the research problem and its formalization of theory. Especially, grounded theory is an alternative for minimizing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problems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e. This approach lays the foundation for academic identity and diversity in sport pedagogy studies through the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 development of academic capabilities. 체육 교육의 장에서 신체 활동의 경험은 참여 주체의 주관적 체험과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현재까지 체육학 분야에 있어서 활용되어온 질적 연구 방법으로는 문화기술적 연구(ethnographic study), 사례 연구(case study), 담론 분석(discourse analysis),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등 다양한 방법들이 활용되어 왔으나, 질적 연구의 한 형태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의 활용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근거이론의 주요 목적은 실제에서 이론을 발달시켜 가는 과정으로 실체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근거이론에서는 이와 같이 주관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다소 복잡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 과정을 거침으로써 그 실체를 이론적으로 공식화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따라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은 신체 활동을 배우고 익히는 주관적 성격이 강한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연구 문제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실체 이론을 정형화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자가 정립한 이론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집되는 자료와의 지속적인 비교분석이 중요한 개념이 된다는 점에서 현재 체육 교과 교육학 분야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연구’와 ‘실제’의 간격을 좁히는 문제와 연구 패러다임의 다각화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과 같은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개인이나 소집단의 특별한 경험을 보다 총체적·심층적·체계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하나의 이론을 정립해가는 노력은 체육 교과교육학 연구 패러다임의 다각화와 함께 학문적 정체성 및 다양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토대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근거이론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모델 제안

        이성신 한국문헌정보학회 20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servic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fter interviewing twelv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er coded the data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entire coding processes, this study constructed the library servic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the following ten factors are important when explaining library servic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e information users' environment, other people, users' experiences, recognition of information sources, information provided, memory, a need-cre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gathering, information use, and satisfaction and/or dissatisfaction. 본 연구는 도서관 서비스이용자와의 인터뷰자료를 근거이론방법론을 기초로 분석하여 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상의 특성을 파악하고자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모델에 따르면 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음의 열 가지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이용자의 환경, 의미 있는 주변인, 정보제공, 정보원의 인지, 개인의 과거경험, 기억, 정보수집, 요구를 발생시키는 사건 혹은 환경의 발생, 정보이용, 만족 혹은 불만족의 경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