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research on Interactive Design Approaches of Editorial Design

        Kang, Tae Yim(강태임)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4

        Cipe Pineles is the first woman admitted to the New York Art Directors Club. It is breaking the code of the male dominated professional design societies across the country. She used graphic elements to move readers’ eyes around pages, and the effects of attractive design influences modern design for both computer based and print media. In this study, Cipe Pineles’ designs are reviewed by analyzing interactive design approaches in editorial design.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s of fundamental design elements of editorial design. According to the researched information about Cipe Pineles, understanding the different approaches based on promotional and educational design will help to communicate with readers more interactively. For the scope of this research, Cipe Pineles’ editorial design for magazines and annual books are chose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for looking closer to get some ideas about the current design aspects in editorial design by design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ggest new interactive approaches to editorial design. The analyzed cases will help to review Cipe Pineles’ editorial design.

      • KCI등재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활용한 편집디자인단계적 학습프로그램 연구

        서승연 ( Suh Seung Yo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5 No.-

        “미디어가 확장시킨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은 커뮤니케이션의 범위, 전달 속도 그리고 정보량의 측면에서 가히 혁명적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정보의 다각화가 이루어지며 인쇄매체는 갈 곳을 잃은 듯 했고, 선각자들은 인쇄매체의 종말과 더불어 e-book의 탄생을 예고했다. 그러나 인쇄매체는 사라지지 않았고 아직도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며 독립적 분야로서 그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출판디자인 분야는 지식의 메카로서 지금도 다양한 디자인의 편집물을 선보이며 시각디자인의 중요한 분야로서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편집디자인은 타이포그래피, 사진, 일러스트, 심볼 등의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유용하면서도 아름다운 형태나 구조로 가공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즉, 주어진 메시지를 시각적인 방법으로 독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편집디자인의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편집디자인의 기초과정을 접하는 학생들에게 교육 효과를 높이고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구성능력을 기를 수 있는 학습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편집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깊이 있고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해 줌으로써, 다수의 참여자가 자신의 견해를 공유 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갖게 해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본 논문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활용한 편집 디자인 교육의 단계적 학습프로그램을 통해 교육 효과를 높이고 견실한 디자인과 더불어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능력을 갖춘 편집 디자이너로서 총체적 능력을 갖춘 디자인을 양성하는데 좋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It may really be said that the abilities of human communication expanded by media are revolutionary in terms of its scope, transmitting speed and amount of information." The printing media seemed to be lost where to go as the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is accomplished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forerunners predicted the birth of e-book along with an end of the printing media. However, the printing media have not disappeared and still keep themselves solidly in place for independent fields as they suggest various methodologies in design. The publishing design business still produces a variety of books in design as Mecca of knowledge and plays an important part of visual design. It is required to have the abilities of processing complicated and diverse information, such as typography, photography, illustrator, symbol, etc., into a useful and beautiful form or structure in the editorial design. In other words, the editorial design aims at delivering the given messages most effectively to the audience in a visual way. Consequently, it is ardently required to have a learning method to develop more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 abilities of construction as well as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for students introduced to the basic courses of editorial design. The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facilitates a learning environment possible of having an in-depth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n the editorial design education, so that it has the characteristics ensuring multiple participants to have various viewpoints through a process of sharing one`s own opinion.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scheme good enough to foster design having comprehensive abilities as an editorial designer with creative and experimental abilities along with solid design, as well as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a step-by-step learning program for the editorial design education by utilizing the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 정보의 재생산과 편집디자인의 관계 : 2007 삼성중공업 Annual Report제작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서경원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9 淸大學術論集 Vol.14 No.-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the procedure through which data information is selected; proposed; and how editorial design is affected based on the agreed upon keyword and content by illustrating the process of designing ‘2007 Samsung Heavy Industries Annual Report.’ This research seeks to suggest the following. Providing a method on how to edit and reproduce information with the given RFP(Request for Proposal;)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on whether rational steps were taken; and verifying and sharing the experience of the effects and control drawn by clearing separating editing and editorial design. There can be various methods to obtain complete works of editorial design that everyone can relate to. The effort to illustrate the relational approach of reprocessing information and editorial design was made to suggest one way to secure a complete end product. At times, intuition or a designer’s experience and inclination can create results. However, the probability that such an approach will be effective in successfully producing a publication is low. Therefore, one way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ly creating a product is to analyze and present procedural processes as this research intends. The degree to which content and design coincide is the issue of the day in editorial design. Design is ultimately a matter of language and visual communication. Precise process can be a rational approach to design. Presenting efficient design through reprocessing information and attractive keyword can play a decisive role in providing clues to visual language. The added contribution of the designer’s intuition and creativity will heighten the probability of communicating rationally and visually with the readers and the clients.

      • KCI등재

        초등학교 3,4학년 미술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문영 ( Moon Young Kim ),백진경 ( Jin Kyung Pai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교과서란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 학습을 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서, 교육 매체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학생들은 학습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참고서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지식과 정보를 스스로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내용전달과 더불어 학습동기를 고취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고려해야 하며, 그 중 하나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편집디자인이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과서 편찬기에 처음으로 교과서에 디자인의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편집 체제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의 사례에 따르면 초등학교 미술교과서는 편집디자인에 있어서 레이아웃에서 비례와 균형감 등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개정교육에 따른 교과서가 2009년부터 학년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적용시기상 이전까지의 선행연구가 미미한 것으로 사료되며, 미술교과서는 시각중심 교과라는 특수성 때문에 시각적 제시 기능이 강조되므로 현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분석을 통한 발전방향을 모색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에 대한 현직 초등학교 교사와 디자이너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문제점을 정리하여 차기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extbooks are basic materials for teaching-learning according to curriculums, and it needs to consider proper methods to deliver contents and inspire learning motivation for the creation of textbooks. In particular, there is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editorial design. Textbooks have been applied step by step since 2009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education, and the precedent study is considered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application period so that it needs to seek for the improvement method of textbook editorial design by analyzing editorial design of current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desirable direction to extract problem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and develop future textboo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ird and fourth graders` art textbook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hat were revised in 2009 and have been applied, elementary school new generation science textbook seeking for a new direction of editorial design, elementary school design textbook in Seoul which is the Korea`s first elementary school design textbook, and editorial design of American art textbooks having a direct effect on Japanese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with the similar editorial publication process as the overseas cas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students and teachers and researched visual elements of editorial design that students prefer in order to seek for the desirable direction that art textbook editorial design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will have to aim.

      • KCI등재

        디자인 보호제도의 현황과 발전을 위한 제언

        이상정 한국지식재산학회 2012 産業財産權 Vol.- No.38

        Design Protection in Korea began from 1908. But how many and what kinds of designs were protected by that Decree is not well known. After World War Ⅱ, we adopted the design-patent system like US. In 1961 sui generis Design Act was legislated and registered designs were protected. In 1987 applied art was exampled as copyrightable work, whereas the 1957 Act only protected the hand-craft. Even though copyright act was revised, the court ruled as before. That is applied art can be protected only in exceptional cases. After the supreme court's judgement Design Act was amended and adopted the Non-Substantive Examination System (NSES). But in 2000 the copyright act was amended and pronounced expressly that design is protected by copyright law on the condition that it can be identified separately from, and are capable of existing independently of the article. In 2004 the shape of article began to be protected by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re exist 3 main acts to protect the design. This paper studies how those acts apply to the 7 kinds of designs: those are Textile Design, Fashion Design, Type face Design, Editorial Design, Screen Display Design, Package Design, Graphic Character Design. After surveying practices in the KIPO and cases in the courts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and suggests what to be revised for the improvements. Those are as follows:1) In the area of design protection act, it is more preferable to abolish the dual system and the Non-Substantive Examination System be expanded extensively to cover the all the classes of products. 2) In the area of copyright act, the definition of applied arts must be revised. The definition of U.S. copyright act is a good example. 3) In the area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requirements to be protected by that law need to be reconsidered, and that provision should not be the barrier to free competition. In future it is preferable that all acts would be combined into one act and the subject matter and the requirements to be protected by that law must be prescribed expressly.

      • KCI등재후보

        국내 번역 유아그림책의 편집디자인 현황 분석 :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김정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글로벌 시대로 들어서면서 예전에는 접하기 힘들었던 외국 작가들의 도서들이 국내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심지어는 해외 유명책이 출판되면 한국에서 동시에 번역까지 된 번역본으로 시중에 나와 있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이는 유아들의 동화책 시장에서 무엇보다도 활발하게 진행 중인데. 해외작가들의 다양한 작품과 장르로 이루어진 동화책이 국내선호도가 높기 때문이다.1) 그러나 유아용 번역 동화책은 교과서가 아니므로 자유롭게 디자인, 번역되어서 출판되고 있으므로 원본과의 연계성, 그림과의 조화 및 한글 번역시에 오는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이 원작 출판물과 비교시 다른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 Top3 인터넷 서점에서 유아용 베스트셀러 상위 20권 중 번역 동화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이러한 유아 번역 동화책 디자인에서 번역시 발생하는 원본과의 연계성, 해외언어를 중심으로 디자인된 동화책 포맷이 한글 번역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레이아웃과 타이포의 타입 선정에 따른 디자인 변화 현황을 살펴본다. 여기서 타겟으로 선정된 유아계층의 간략한 특징을 토대로 노출되는 타이포그래피의 중요성과 그리고 유아가 접하는 동화책에서 고려해야할 점 등을 타이포그래피를 중점으로 살펴보고 이를 번역 동화책과 비교한다. 원본과 연계성은 타이포그래피에서는 대체적으로 잘 되지 않았고 가독성 보다는 판독성과 그림과의 조화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포맷부터 다른 경우와 넘기는 방향성의 차이에서 오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초반과 재 출판시 타이포그래피와 레이아웃을 계속 달리하여 수정 보완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디자인 분석은 Kress"s grammar of visual design의 분석틀을 기본으로 하며, 원유흥의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를 참고로 하였으며 타겟 유아층의 FGI도 겸하였다. 본 논문의 편집 디자인 현황조사는 유아 번역 동화책 제작 시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기획시 참고가 되고자 한다. Under global era it is become easy to get children"s picture book with Korean in our country then before. Our book market prefers foreign various artist’s books then ours. The translated books of these foreign artists are translated and designed with out rules cause they are not textbooks for schools. So there is possible to find design gab between original books design and translated book"s design with layout, typographic, balance to pictures. This paper’s subjects are the best-selling translated Top7 children"s books at Internet bookstores then focused on typographic. Research about related balance with original book design, harmony with pictures, layout gap then find difference between original and translated book design. Also study on target’s character and what is important to children’s book design module to target. There are lot’s of gap between original book design and translated one"s readability is not priority issue. There is some format issues come from different reading way such as Japan’s book which has opposite direction to read. Using analysis framework is Kress"s grammar of visual design’s frame and using Won, you-hung’s Chenilyawha as guidance. And have FGI to target. This paper’s present-condition investigation of editorial design at children’s book especially typographic can be reference to translated children’s book design plans.

      • KCI등재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과서 편집디자인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장창식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5 No.-

        국제 정세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국가 간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는 현시점에서 교육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 다는 사회적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의 필수 도구로서 교수, 학습을 매개하는 교과서의 역할 은 갈수록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교과서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초등학교 4학년 국어 교과서의 편집디자 인 요소를 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편집디자인의 선행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를 정 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국어 교과서의 현황 및 편집디자인의 요소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학생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 8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국어 교과서 의 디자인 형태 및 단원별로 적용된 디자인 요소, 일관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서체에 대 한 질문에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은 반면 부정적인 의견도 있어 부분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이미 지에 관한 질문에는 일러스트레이션 및 사진 이미지 사용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이 많은 반면 그래픽 요소의 사용에 대해 부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응답이 다소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설문사례 분석을 종합하면 전반적인 편집디자인 구 성요소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으나 예체능 계열 검인정 교과서에 비해 아직도 미흡한 면이 많아 개정 교과서에서는 좀 더 과감한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향후 이러한 현업에 있는 교사들의 실질적인 의사를 반영한 교과서 편집디자인 분석 연구들이 보편화 되어 개정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t a time whe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s rapidly changing day by day and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is becoming more intense, the social need to secure future competitiveness through education is becoming more urgent. As an essential educational tool for nurturing talent, the role of textbooks in mediating teaching and learning is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ditorial design elemen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effective learning from textbooks. To this end, the components were organiz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cases of editorial design. Based on this,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nd the analysis of elements of editorial desig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87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ctually teach studen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esign form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design elements applied to each unit, and consistency. Second, there were many posi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 about the font, but there were also negative opinions, so it was found that it would need to be partially supplemented. Third, in the question about visual images, there were many positive opinions about the use of illustrations and photographic images, but there were some responses about the use of graphic elements that said they were being used inappropriately, so improvement appears to be necessary. Summarizing the survey case analysis,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to the overall editorial design components, but there are still many shortcomings compared 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pproved textbooks, so it seems that more drastic changes are needed in the revised textbook.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extbook editing design analysis studies that reflect the practical intentions of teachers in the field will become common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vised textbook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교과서 편집디자인의 현황 조사 연구

        김문영(Kim, Moonyoung),백진경(Paik, Jinky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9 No.2

        교과서란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 학습을 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서, 교육 매체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내용전달과 더불어 학습동기를 고취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고려해야 하며, 그 중 하나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편집디자인이다. 2007년 개정교육에 따른 교과서가 2009년부터 학년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고, 특히 미술교과서는 시각중심 교과라는 특수성 때문에 현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분석을 통한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모색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미술교과서인 2007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를 분석한다. 이를 정책 및 외형의 변천에 따른 변화를 보기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의 이전 교육과정인 제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여 적용시키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차세대 과학교과서,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초등학교 디자인교과서인 서울시의 초등학교 5학년 디자인교과서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해외사례의 경우 교과서 편찬 발행과정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일본과,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미국의 미술교과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과서를 외적 편집, 내적 편집으로 나누어 분석, 평가하였다. 초등학교 편집디자인의 현황 및 비교분석 결과 외적체제의 개선으로 현 2007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는 이전 교육과정인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해 판형이 커져 시각자료를 배치하기에 용이하고, 서체의 자율적인 사용이 눈에 띄며,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일러스트사용 등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으나, 이미지의 배열이 복잡하며 일관적이지 못함과 동시에 그리드와 단이 정리되어 있지 못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상의 문제점은 그리드의 복잡성과 시각요소의 지나친 양식의 남용으로 정리된다.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서울시의 디자인교과서, 미국 미술교과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좋은 선행사례로 사료된다. Textbooks are basic materials for teaching-learning according to curriculums, and it needs to consider proper methods to deliver contents and inspire learning motivation for the creation of textbooks. In particular, there is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editorial design. Textbooks have been applied step by step since 2009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education, and the precedent study is considered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application period so that it needs to seek for the improvement method of textbook editorial design by analyzing editorial design of current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desirable direction to extract problem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and develop future textboo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ird and fourth graders’ art textbook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hat were revised in 2009 and have been applied, elementary school new generation science textbook seeking for a new direction of editorial design, elementary school design textbook in Seoul which is the Korea’s first elementary school design textbook, and editorial design of American art textbooks having a direct effect on Japanese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with the similar editorial publication process as the overseas cas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urrent art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re easy to arrange visual materials as they have become bigger compared to the previous art textbook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format. In addition, various fonts were used due to the autonomous use of fonts, and many changes such as the use of illustration that can attract students’ interest were found. As to grid, the current textbook were well aligned compared to previous art textbook, but they had more inefficient and monotonous types in using grid and layout rather than the textbooks to compare so that the screen seemed complex and it was hard to read information.

      • 사보의 편집디자인에 있어서 아트 디렉션의 적용 실태조사

        금진우 ( Jin Woo Keu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0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4 No.-

        여러 인쇄물 중에서도 디자인 분야에서 아트 디렉션 제도의 도입으로 가장 큰 발전과 변화를 이룬 것이 잡지이다. 오늘날 잡지의 성공적인 변화는 `읽는 것`에서 `보는 것`으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트 디렉션을 통해 시각 이미지의 차별화를 이루어 독창적인 잡지로 변화했음을 뜻한다. 잡지는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시각적 요소를 가장 다양하게 포함하는 매체이다. 이러한 잡지와 가장 유사한 매체는 사보이다. 사보의 편집디자인은 기획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디자인 계획이며, 시각적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 원리와 원칙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아트 디렉션의 활용이다. 하지만, 다양한 조직 및 계층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하는 사보의 경우, 여전히 아트 디렉션의 활용에 대해 적극적이지 못하다. 더구나 사보 담당자들이 아트 디렉션의 기능과 영향에 대해서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면 이의 해결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국내 사보 담당자들의 아트 디렉션에 대한 인식과 활용 여부를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① 사보 담당 부서의 유무와 그 인적 구성. ② 사보 제작 시, 편집디자인을 대행하는 기획사 활용 여부와 업무 계약 기간. ③ 기획사 선정 시, 디자인의 비중. ④ 아트 디렉션의 개념과 아트 디렉터 업무 이해 정도. ⑤ 편집디자인에서 아트 디렉션의 필요성. ⑥ 사보에서 디자인의 영향력 정도.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Art Direction in various printings, one of the most advanced developments made in the field of design is in the field of magazine publishing. The successfu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agazines is the development from `something to read` to `something to watch`. This means that, with the help of Art Direction, the field of design has developed as an independent field of design by characterizing various visual images. Magazines are one of the media which employ many visual elements. House Organ share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magazines. The editorial design of House Organ is a design plan which should be dealt with in the scope of a long-term design plan, and it contains visu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hould be dealt with by a consistent design principles and regulations. The most effective way to achieve this purpose is to make use of Art Direction. House Organ, whose purpose i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various organizations and levels of people, has not shown any active application of Art Direction. In case that the director of House Organ does not have a considerable amount of knowledge on the function and effect of Art Direction, the application of Art Direction in this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s study surveyed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rt Direction by the director of House Organ. The detail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① The existence of the department of House Organ publishing and the composition of personnels. ② The use of outsourcing editorial designers and the contract periods. ③ The importance of design in selecting design agents. ④ The knowledge of the concept of Art Direc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asks. ⑤ The necessity of Art Direction in editorial design. ⑥ The extent of the influence of design in House Organ.

      • KCI등재

        안상수체의 조형적 특징을 활용한 교과서 표지디자인 연구 - 고등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하림 ( Lee Ha-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

        교과서의 표지 디자인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서 발달에 도움을 주고 참고 작품의 역할을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 하므로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에 따라 선정·조직된 내용을 단순화하여 교과목의 특징을 담아내고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과 가독성을 높이는 것을 교과서 표지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삼아야 한다. 특히 국어교과서는 민족과 국가의 중추를 이루고 있는 민족어이자 전통문자인 한글을 통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따라서 여타 과목보다 가장 민족적이며 두드러진 표지 디자인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 한글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 요소로 정하였고 한글을 세계적 디자인 요소로 부각시킨 안상수체를 선정하여 연구 범위를 집약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전개하였다. 첫째, 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구성요소와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개괄적인 이론배경을 서술하였다. 구성요소를 ①레이아웃 ②타이포그래피 ③일러스트레이션, 사진 ④색채 네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기본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사항들을 기존 표지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디자인의 흐름과 색상 및 레이아웃을 시각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둘째, 표지디자인의 구성요소로 대입하여 중점적으로 다룰 안상수체의 조형적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안상수체의 어문인 한글의 조형적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안상수체의 객관적인 디자인요소와 정체성을 강조하여 국가적 정체성이 높은 표지디자인 안을 마련하였다. 셋째, 언급한 국어교과서의 구성요소와 7차 교육과정까지의 변천과정에서 보여진 표지디자인의 흐름을 바탕으로 안상수체를 응용한 실험디자인을 제시·분석하여 객관적 사항을 바탕으로 새로운 표지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제시한 실험디자인과 객관적 요소를 결합한 특색있는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레이아웃과 정체성이 담긴 이미지, 한글의 가독성이 깊이 요구되는 국어 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안상수체를 활용하여 제시한 실험 디자인의 적절성을 정리하여 앞으로 새롭게 편찬될 국어 교과서 표지 디자인에 대한 시사점과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ver design of a textbook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education because it plays various roles such as providing visual enjoyment, helping to develop emotion, and being references. So it must be regarded do the simplification the contents to be selected·organized according to education course and catch the feature of curriculums, a study motive induction of students and the thing to make the ability to read as most important function of a textbook cover design. Especially, Korean textbook is putting teachings through the Hangul which are consisting the center of the race and nation which are the race language and are the tradition letter. So Most national and prominent cover design is required than different subject. In this thesis, we decided high school korean textbook and a design factor of our own letter Hangul to an analysis factor, and selected An Sang-soo style that made hangul a global design factor and condensed research range and evolved shown in the below. First, we described general theory background look into the change course with the component of a textbook cover design. We deduced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as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to a layout a typography a illustration, photography and color. We made the opportunity to visual grope the flow of the design, color, layout as presenting the things deduced to existing cover design. Second, we described about a moulding feature of An Sang-soo style substitute to the component of cover design and to be treated minutely. We emphasized a objective design factor of An Sang-soo style and identity, prepared a case of cover design which a national identity high as presenting Hangul`s moulding feature which is the text with the speaking of An Sang-soo style. Third, we preseted the experiment design to apply An Sang-soo style the essence the flow of design seen in a component of Korean textbook and change course of seventh curriculum and proposed new cover design plan to essence the objective thing. At the end, We presented a development direction of specific textbook which combines experiment design with objective factor to present in the main discourse. By mainly analyzing visual component of Korean textbook cover design which layout, image with the identity and the ability to read of Hangul is required deeply. and arranging the suitability of an experimental design using An Sang-soo style. We try to show suggestion and possibility of newly editing Korean textbook cover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