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TML5 기반의 편집 가능한 독자 참여형 전자책 시스템

        최종명,김익수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9 No.4

        The existing e-books allow only authors to provide information or contents to people, but they do not allow people to participate in making contents in the e-books. However, in some books including observation diary and experiment diary, people need to write down some contents or information in the books, and keep and manage the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kind of e-book concept, in which people can participate in making e-book and add new text, pictures taken by camera builtin the e-book reader systems, and other information such as sensor data to the published e-books. We draw some requirements for the e-book and introduce its system architecture and its document format. The document should include "placeholder" for contents created by people and "trigger" for activating people's participation. We also introduce our prototype system, which allows people to add camera pictures and sensor data to the published e-books. We adopt HTML5 and Web technologies to build the prototype because those technologies have advantages such as ease of implementation, extensibility, and compatibility. Our work is very meaningful in e-book research because we introduce a new concept of e-book, people participating e-book, and we show the e-book systems direction by showing the possibility of HTML5 based e-book system.

      • KCI등재

        전자책의 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동화와 독서치료를 중심으로

        최준호 ( Jun Ho Choi ),최원태 ( Won Tae Cho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6 No.-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의 개념,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독서치료에서 전자책의 기능과 서비스를 구분하고 어떻게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전자책은 디지털로 변환되며 개인화, 저작기능,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연계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독서치료에 전자책을 활용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독서치료에 종이책을 대신하여 기존에 출판된 전자책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보관과 휴대의 용이, 개인화된 독서 환경 지원, 사전 및 검색 지원 등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독서치료에 전자책이 가지고 있는 개인화 및 저작,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연계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용자에게 적합한 독서 환경 지원, 멀티미디어 기술 활용, 상호작용을 통한 내용의 전개,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의 공유 등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독서치료를 위한 전자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자책에 적합한 독서치료 모델과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전자책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및 장비뿐만 아니라 시스템 및 솔루션이 함께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program of bibliotherapy and provides an overview of how bibliotherapy can utilize e-books` functions and services. E-books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formats and have features such as personalization, authoring, multimedia, interaction, and connectivity functions. In bibliotherapy, the application of e-book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existing e-books can replace the paper books as the tools in bibliotherapy. Bibliotherapy can take advantage of e-books` features such as the ease of storage and portability, personalized reading experience, dictionary, and search features in e-books. Second, in bibliotherapy, e-books will offer features such as personalized reading environment and authoring, multimedia, interactivity, and connectivity functions. Users can enjoy features such as personalized reading experience, advantages of multimedia technology, interactive content development, and specific interest or activity sharing. Third, the development of e-books for bibliotherapy requires changes to the model and program of bibliotherapy to be compatible e-books. Also, it requires an in-depth research into the bibliotherapy model and program, as well as various possibilities and future role of e-books. A wide variety of contents and equipments, as well as with systems and solutions are required to support the various functions of e-books.

      • KCI등재

        e-Book 이용실태와 발전 전망

        정종원(Jong-Won Je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1 No.-

        이 연구에서는 전자책 수용자조사 자료를 통해 전자책에 대한 이용실태와 나아가 수용자들이 전자책의 향후 발전 전망을 어떻게 진단하고 있는지 밝혀보고자 했다. 그리고 전자책의 향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전자책 이용자의 저변확대는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전자책은 아직 수용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고 주로 무료사이트를 이용하는 수준에 머물러 이용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전자책의 이용경험 유무가 이용행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전자책 수용자들은 전자책의 발전전망을 종이책보다 훨씬 밝게 보았고, 전자책 이용경험이 있는 수용자가 경험이 없는 수용자보다 전자책의 발전전망을 밝게 진단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자책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자책에 대한 접근성 제고 홍보의 강화, 내용에 대한 신뢰성 제고, 가격의 인하, 다양한 컨텐츠 개발,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편집체제 변화, 눈의 피로를 막을 수 있는 화면의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current use of e-books through a survey of e-book audiences and a diagnosis of the development perspective of e-book audiences. In addition, we present some effective methods to promote e-books in the future. The study shows that e-book users have increased. However, e-books are not well-known to the audience. Mainly, audiences use free web sites; consequently, the use of e-books is not well-promoted. Whether people have used e-book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attern of their use and e-book audiences prospect that the future of e-books is brighter than paper books. However, people who have used e-books prospect the brighter future for e-books than people who have never used them. Therefore, we should reconsider the accessibility to e-books, promote publicity, research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s, reduce the price, develop various contents, change layout for better readability, and develop the screen for the less eye fatigue to promote e-books.

      • KCI등재

        Analysis of User Preferences for Management and Search Features in E-book Reader Libraries in Smartphone Environments

        김미혜 한국콘텐츠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1 No.4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paradigm shift in the book industry from print to digital, with the increased use of electronic books (ebooks) on e-book readers. The major online booksellers and publishers are devoting their energies to the growth of the e-book market, resulting in an upward spiral in e-book usage, and a result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ownloaded e-books in an e-book reader library. However, there are comparatively few features for e-book management and search in most e-book reader libraries, particularly in smartphone environments.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s of e-book management in e-book readers are highly diverse, which has led to major usability issues. In this paper, we analyze user preferences for e-book management and search in the libraries of the five most commonly used e-readers for the Android smartphone platform via a questionnaire survey. Then, we suggest ideal alternatives in addition to user-friendly features based on user preferences for managing e-book libraries, to allow users to more easily browse collections, thereby enhancing the usability of e-book readers.

      • 코멘트 분석을 통해 본 소셜 e-book의 성공 가능성

        이세연(Seyeon Lee),시정곤(Chung-Kon Shi)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e-book은 원문 뿐 아니라 다른 독자들의 코멘트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책 안에서 독자 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소셜 e-book이 일반 독자들에게 어려운 장르인 인문고전 장르의 독서에 새로운 기회를 주는 협력 학습의 도구가 될 수 있을 지 알아보고자 했으며, 소셜 e-book을 이용한 "논어 소셜 리딩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독자들의 코멘트(주석)의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사회적 상호작용 중심의 텍스트 이해 모형"에 따라 프로젝트 동안 생성된 289개 독자들의 코멘트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주관적인 관점이 반영된 코멘트가 많았으며, 텍스트 "해석 단계" 보다는 "이해 단계"의 코멘트가 더 주를 이루었다. 또한 소셜 e-book을 통해 텍스트의 일정 부분에 대한 세밀한 토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는 소셜 e-book에서 독자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기 위한 좀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A social e-book provides not only the original text but also other readers‘ comments, and it enables social interactions inside the book. We posited that a social e-book could be a useful tool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it could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classic humanities texts. The research objective is to find the tendencies of reader generated annotations during a social reading project, "the Analects of Confucius" using a social e-book. For theoretical background, "the significance of the text - social interaction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and we classified 289 user generated annotations into four different types. As a result, participants had a tendency to write many subjective perspective annotations and make more annotations about thei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han regarding text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social e-book can promote fine-grained interactions. For future study, more specific ways to improve interest and understanding will be examined for effective collaborative reading experiences through the social e-book.

      • KCI등재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을 활용한 e-Book 콘텐츠 개발 연구

        유명환,성영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5 No.1

        디지털미디어시대가 가속화되면서 인간적인 가치를 찾고자 하는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이 적용되는 분야가 많아지고 있다. 아날로그 감성이란 디지털 기술로는 충족될 수 없는 내적 가치로써, 인간 본연의 감성과 인간 중심의 사고를 뜻하며, 따뜻함과 편안함, 여유로움, 안정 등과 같은 정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디지털시대를 지향하는 사회에 대한 부담감과 부가된 경제적 박탈감과 열등감 그리고 문화의 특수성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결과물이 바로 아날로그 감성이다.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은 잃어버렸던 인간적인 가치를 되찾고자 하는 모습이 바로 본질이며 핸드메이드 패션이나 손뜨개질, 십자수 같은 기법, 수공예적 기법의 디자인 도입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즉, 다양한 디지털미디어에 인간적인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감성디자인이 표현된 것이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이다. 특히 출판 분야에서는 종이책 대신 e-Book이 점차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고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e-Book 콘텐츠디자인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e-Book은 가격이 종이책 보다 저렴하고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이동하기 편리하고, 저장이 용이하여 PDA나 휴대폰 등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 간편하고 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경쟁력 있는 다양한 콘텐츠가 부족하고 이에 따르는 콘텐츠디자인도 개발 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인쇄물 형태의 아날로그적 정보환경에 익숙한 이용자들에게 손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e-Book의 개발방향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 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e-Book 콘텐츠 디자인에 인간적인 가치를 반영할 수 있는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e-Book과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e-Book에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e-Book에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의 적용 방법으로는 첫째 디자인 북 형태의 메타포를 차용하는 것과 둘째, 팝업 북 형태의 메타포 활용 그리고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e-Book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아날로그적 감성디자인을 활용한 e-Book 콘텐츠 개발은 이전의 e-Book에서 보여주었던 인위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이미지를 훨씬 뛰어넘어 보다 경쟁력 있고 인간의 감성적인 디자인을 자극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콘텐츠가 될 것이다. As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accelerating, fields that can apply analogue emotional design are increasing. Analogue emotional design is expressed as human oriented thoughts & human being’s natural emotions such as warmth & comforts, relaxations and stability. It also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s of repress of digital media, financial pressure and inferiori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Emotional design is an effort to find human’s value in a way of analogue as opposed to digital media world which is missing people oriented emotions, like hand-made fashion, hand-knitting and hand-craft can be translated as human-touch design adoption. Analogue emotional design is a touch of emotional design in various fields of digital media in an effort of searching for people oriented perspectives. Especially in publication fields, e-Book market is expected to be prosperous that eBook contents development is highly demanded to meet this market trend. e-book is more convenient to carry and to read whenever & wherever using electronic devices like PDA, mobiles thanks to its characteristics of being less voluminous vs traditional paper book, being portable and being economical, however, not various contents and its designs are available in current market. Thus contents development for those who are rather familiar with analogue printings are needed to reach out to these potential e-Book readers. In this research,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s to e-Book contents in order to express human’s value is suggested. Researches are including as following; e-Book, theory of analogue emotional design, and case studies of analogue emotional design based on the theory It suggests how to apply analogue emotional design in e-Book based on the research above as following. 1. using metaphor, design book type 2. metaphor as pop-up book type 3. mutual communication e-Book e-Book with analogue emotional design is to be competitive as human-oriented emotional contents surpassing current e-Book which is perceived as artificial and unnatural.

      • KCI등재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기능 GUI의 사용성 평가 및 분석 연구 -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메모기능 사례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

        김정아 ( Kim Jeong Ah ),김준교 ( Kim Jun Ky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9 No.-

        새로운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오늘날 전자책이라는 새로운 책의 형태가 등장했다. 이 전자책에는 메모라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독서를 하면서 중요한 내용이나 생각을 적어놓을 수 있는 UI가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전자책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사용 인구가 증가하는데 비해, 메모 기능은 그 용도나 쓰임이 많은 것에 비해 관심이 적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메모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 많이 쓰여지는 전자책 및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알아보았으며, 그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장착된 메모 기능에 대한 설문조사와 사용성 테스트를 통한 비교 조사 및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사람들의 평소 메모의 사용 행태 및 습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평소의 사용 행태 및 습관이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메모 GUI에 반영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좀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전문적인 사용성 테스트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전문적인 사용성 테스트를 시행하였으며 빈도 분석 및 Anova 분석을 통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비교 했던 5가지의 e-book 어플리케이션 중 iBook의 사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UI 시각적 요소를 평가 요소에 대입하여, 5가지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각 평가 요소에서의 사용성이 높은 요소들과 낮은 요소에 대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has brought about the emergence of new form of book called e-Book. In e-Book is contained a memo function that provides UI to users to take down notes of important contents of the book or their ideas. However, contrary to the fact that more people are using e-Books and the scope of its use is expanding, there seems to be a little interest in memo functions in terms of usage. The idea of a memo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 kinds of applications and electronic books often used these days within the country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surveys. As well, comparative surveys and research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usability tests to determine the memo functions installed in each application. These surveys have revealed people`s normal memo use and habits.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memo use, in terms of behavior and habits, is not reflected in e-book applications` memo GUI, and the need for more specialized usability tests on this point was deduced. Accordingly, specialized usability tests were implemented and results were deduced from frequency analysis as well as Anova analysis. Among the five e-book applications that were compared in the results, the iBook`s usability appeared the highest, and when GUI elements were compared, those that were most and least useful among the five applications could be deduced.

      • iPhone e-Book 리더기 BookShelf의 활용에 관한 연구

        우원택(Woo, Won-Taek) 한국의사결정학회 2016 의사결정학연구 Vol.24 No.1

        닷컴의 붕괴와 함께 침체에 빠졌던 전자출판 시장을 2007년 아마존 ‘킨들’이 부활시키면서 전 세계 e-Book 시장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 단말이 e-Book 시장 확산을 이끌고 있으며 닌텐도 등 게임업체의 e-Book 시장 진입도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과 태블랫 시대의 최대 수혜시장으로 기대되고 있는 e-Book의 활성화에 발맞추어 iPhone 에서 제공되고 있는 BookShelf e-Book Reader의 기능과 설치 및 활용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스마트폰에서의 e-Book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amazon kindle, launched in 2007, has excited the growth of the global e-book market and revitalized the depressed electronic publishing market after dot com crash. Recently,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further pushed the growth of the e-book market and even game console makers such as Nintendo began to visualize ways to get into the e-book r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atures, installation and application of BookShelf, the iPhone e-book rea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t easy to use an e-book on mobile devices to keep pace with the proliferation of electronic media on smartphone and tablets.

      • KCI등재

        디지털 기술 발전과 전자책 진화 단계 연구

        조정미,공병훈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6

        This paper analyzes three steps in the process that traditional publications are digitized and evolves into e-book publishing. In first step, the paper book is digital reproduction. A free text-based e-book making activity was conducted, and on the business side PC-based e-book software and e-book terminals in various formats were released. In second step, Publishers and authors begin to use e-book publishing actively. From 2007 to 2010,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the emergence of electronic book standards called e-pubs, the activation of e-book platforms, and the popularization of authoring tools and distribution tools are spreading. In third step, e-books go beyond paper books and evolve into new multimedia publishing. In an environment where e-books and the web are merged, e-books are published as multimedia contents that are newly created and developed. Therefore, various actors such as developers, video creators, and creative users participate in e-book publishing. The e-book that started with the digital reproduction and restoration of the paper book abandons the form of the paper book itself. E-books are evolving to adapting to the technical environment while choosing the attributes and functions of digital contents. Based on ‘comparative and historical research’ and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evolution of e-books was made in the process of the new ecosystem of publishing being formed in the changed environment formed by the technical environment. And the research shows that e-books are undergoing a qualitative change in the publishing paradigm of ‘democratization of publishing and creation’ ranging from creation, editing, design, publishing, and distribution. 본 논문은 20세기 말 디지털 기술의 도입 이후 전통적인 종이책 출판이 디지털화되고 전자책 출판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세 단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기존 종이책이 디지털로재현되는 단계이다. 텍스트 기반의 무료 전자책 제작 운동이 벌어졌고,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다양한 포맷의 PC기반 전자책 소프트웨어와 전자책 단말기가 출시되었으며 이 단계에서 전자책의 출판의 특징은 도서의 디지털 재현 중심이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출판사와 저자들이 전자책 출판을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2007년에서 2010년을 전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 이퍼브라는 전자책 표준의 출현, 전자책 플랫폼의 활성화, 저작 도구와 유통 도구의 대중화 현상이나타난다. 세 번째는 전자책이 종이책의 재현을 넘어서 새로운 멀티미디어 출판으로 진화하는 단계이다. 전자책과 웹이 융합되는 환경에서 전자책은 새롭게 창작, 개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로서출판된다. 따라서 개발자, 영상 창작자, 창조적 사용자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전자책 출판에 참여하게 된다. 종이책의 디지털 재현과 복원으로부터 시작한 전자책이 종이책의 형식 자체를 넘어서 디지털 콘텐츠가 지닌 속성과 기능을 선택하면서 기술적 환경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비교역사분석과 사례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 이 연구는 디지털 기술혁신의 변화된 환경에서 출판 생태계가 새롭게 형성되는 과정에서 전자책의 진화가 이루어졌으며 창작·편집·디자인·출판·유통에 이르는 ‘창작과 출판의 민주화(democratization of publishing and creation)’라는 출판 패러다임의 질적인 변화를 겪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Analysis of User Preferences for Management and Search Features in E-book Reader Libraries in Smartphone Environments

        Kim, Mihy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1 No.4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paradigm shift in the book industry from print to digital, with the increased use of electronic books (e-books) on e-book readers. The major online booksellers and publishers are devoting their energies to the growth of the e-book market, resulting in an upward spiral in e-book usage, and a result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ownloaded e-books in an e-book reader library. However, there are comparatively few features for e-book management and search in most e-book reader libraries, particularly in smartphone environments.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s of e-book management in e-book readers are highly diverse, which has led to major usability issues. In this paper, we analyze user preferences for e-book management and search in the libraries of the five most commonly used e-readers for the Android smartphone platform via a questionnaire survey. Then, we suggest ideal alternatives in addition to user-friendly features based on user preferences for managing e-book libraries, to allow users to more easily browse collections, thereby enhancing the usability of e-book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