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 담화와 언어 학습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김태은 ( Tae Eu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4 외국어교육연구 Vol.2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교실 담화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하고 교실 담화가 어떻게 언어 학습과 학생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다음의 네 가지의 질문에 관한 답을 탐구하였다: (1) 교실에서의 의사소통능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 교실 담화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다양한 해석들이 교실 담화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가, (3) 교실 담화에서 참여 구조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4) 의사소통의 문화기술법이 교실 담화 연구에 왜 도움이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이란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담화에 참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특히 영어학습자가 수업 내 다양한 말하기 상황에서 참여하여 적절하게 언어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외국어학습 환경에서의 교실 담화 분석을 통해, 여러 학자가 제안한 교실 담화 정의에 따른 구성 간 균형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점으로 교실 담화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어떻게 다른 유형의 수업에서 기인한 상이한 참여 구조가 교실 담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해야 하겠다. 본 논문은 연구의 제언과 교육학적 의미를 논하며 끝을 매듭지으면서, 관련 전문가와 연구자들에게 교실 담화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를 강조하는 데 그 의의를 내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wh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lassroom discourse is important as well as explore how the classroom discourse affects student learning and participation. A body of related literature was reviewed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queries: (a) what communicative competence in classrooms means, (b) what classroom discourse means and how various interpretations have been made on the concept of classroom discourse, (c) what roles participation structure plays in the classroom discourse, and (d) why the approach of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can be beneficial in the study of classroom discourse. The article ends by drawing some research suggestion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may invoke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classroom discourse and ongoing research in relation to classroom discourse.

      • KCI등재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rooms in Different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 Modes for Building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Phil Seok Oh ),( Todd Campbell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explored how teachers and students in different countries discursively interact to build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the knowledge generate situatedly 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classroom. Data came from publicly released 8th grade science classroom videos of five na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TIMSS (Trend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video study. A total of ten video-recorded science lessons and their verbatim transcrip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framework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a range of discourse modes were utilized and these modes were often sequentially connected to build CSK in the science classrooms. Although dominant discourse modes and their sequences varied among different lessons or different countries, the study identified three salient patterns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teacher-guided negotiation and the sequences of exploring - building on the shared and retrieving - elaborating. These pattern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m the discursive features commonly witnessed in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scientists and interpreted as implying the existence of unique epistemic cultures shared in science classrooms of different countrie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reveal characteristics of these epistemic cultures of science classrooms, as well as to confirm whether any cultural traits inherently shape the differences in science classroom discourse among different nations.

      • KCI등재

        Foucault, Gee 그리고 Wertsch의 '디스코스(Discourse)' 개념이 교실담화분석에 주는 시사점

        박동섭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3

        본고에서는 교실담화의 사회, 문화, 역사적 특질을 상세하게 탐구하기 위해 먼저 철학자 Foucault의 담화에 대한 개념 정의를 간략히 소개하고, 그 Foucault의 시점을 디스코스 분석에 통합한 사회언어학자 Gee의 이론을 소개하였다. Gee는 담화 활동을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담화 활동의 정치성에 주목하였던 사회언어학자이다. 그리고 교실담화분석의 정교화를 도모하기 위해 Gee의 디스코스 개념과 맥을 같이하는 심리학자 Wertsch의 특권화 개념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Foucault, Gee 그리고 Wertsch의 디스코스에 대한 논의로부터 얻은 지견(知見)에 기초하여 실제 교실담화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를 탐구하기 위해 교실에서 일어난 담화를 제시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같은 다층적인 작업에 기초하여 본고는 교실담화를 분석하는 연구자에게 줄 수 있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디스코스'와 '특권화'라는 개념은 첫째, 복수의 디스코스 간의 충돌과 갈등을 연구자가 자각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다양한 활동장면에서 보통은 '당연한' 혹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간주되는 담화 형태를 연구자가 비판적으로 음미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디스코스의 '자기언급성(self-reference)'을 연구자가 자각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학교의 특수성 나아가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말하기 방식의 특수성'을 부각시켜 준다. 마지막으로 디스코스 공동체인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말하기 방식이 얼마나 일상의 말하기 방식과 다르게 독특하며 그것과 동떨어져 있는지를 가시화한다. 또한 '디스코스'와 '특권화' 개념은 더 나아가 특정한 학교에서만 통용되는 '말하기 방식'이 특정한 이데올로기와 가치관을 유지하고 재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essay, I introduced philosopher Foucault's perspective to examine the social-cultural-historical nature of classroom discourse in detail. And I also introduced Gee's perspective in which he suggests that Discours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form of individual identity, focusing on the politics of the Discourse through incorporating Foucault's perspective into discourse analysis. And I discussed Wertsch's notion of 'privileging', which is resonant with Gee's notion of 'Discourse' to elaborate classroom discourse. Finally, based upon some ideas gained from discussing Gee and Wertsch's perspectives, I introduced some actual classroom discourses and analyzed them to inquire how we should analyze classroom discourse. Through introducing and discussing the two scholars) perspectives and analyzing some actual classroom discourses, I came to gain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at can be useful to the researchers of classroom discourse. First, the both concepts, such as Discourse and privileging allow the researchers to be aware of the collision and conflict among multiple Discourses. Second, the both concepts might be useful tools for examining a certain discourse pattern regarded as granted or natural because we use it unconsciously in a variety of activity settings; We tend to view a certain way of saying in a certain situation as granted or natural. Third, the both concepts might be helpful to let us realize that doing discourse analysis is a special Discourse; I'd like to call this perspective self-reference of Discourse. Although a researcher doing discourse analysis is not free from the particular Discourse and thus surely influenced by it, we tend to tacitly believe that he/she is a transcendental being. In fact, if we do discourse, we are bound to strengthen and reproduce a particular discourse, but we tend to be unaware of it. To avoid falling into a loss of self-reflection on our discourse,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at discourse analysis amounts to a certain discourse, so called a self-referential activity. Fourth, the both concepts speak volume for how different or distant the way of saying in the discourse community of school is from daily lives'. And the both concepts allow us to realize that such a special way of saying, which is unique in schools, maintains and reproduces a certain ideology and value.

      • KCI등재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Lesson Play의 분석-

        이지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학교수학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 identify how preservice teachers conceive feedbacks and subsequent classroom discourses, and b) compare them with those in reform-oriented mathematics classroom video for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classroom discourse. This article analyzes feedback patterns and subsequent classroom discourses in preservice teachers’ imaginary classroom scripts (lesson plays)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in the reform-oriented classroom video dealing with the same teaching situation.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feedbacks focused the evaluation of students’ responses and transmission of meaning (univocal function), whereas the teacher’s feedback in the reform-oriented classroom allowed the whole class to validate or challenge the answers, thereby facilitating students’ generation of meaning (dialogic function). Th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univocal discourse in a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y and the dialogical discourse in the reform-oriented classroom video shows that teacher feedback serves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main function of classroom discourse and the levels of students’ cognitive participation, and also as a variable that determines and changes them.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room discours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need experience of perceiving the variety of feedback patterns available in specific teaching contexts and exploring ways to balance the univocal and dialogical functioning in their feedback move during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이 연구는 a)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의 대답에 대한 피드백 패턴 및 교실 담화 양상을 확인하고, b) 예비교사들의 피드백 패턴과 교실 담화를 개혁 지향적인 수업 동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교실 담화에 대한 교수전문성의 신장 방안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일한 교수 상황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가상적 교실 담화인 lesson play와 개혁 지향적 수업에 나타난 교사 피드백 패턴을 분석하여, 네 가지 피드백 패턴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교실 담화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생각했던 교사 피드백은 주로 학생의 대답을 평가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univocal function)을 수행하는 것이었으나, 개혁 지향적 수업은 학생 전체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정당화-반박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의미 생성을 촉진하는 대화적 기능(dialogical function)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있었다. lesson play의 단성적 담화와 수업 동영상의 대화적 담화의 비교 분석은, 교사의 피드백 발화가 교실 담화의 주 기능과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이자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들이 높은 질의 교실 담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들이 구체적인 담화 맥락에서 선택할 수 있는 피드백의 다양한 가능성을 인지하고, 피드백 발화에서 ‘의미 전달’과 ‘의미 생성’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Discourse Markers in the L2 Classroom: From Rationale to Practice

        Kim, Yoon-Kyu(김윤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담화표지어는 발화의 단위를 표시해주는 독특한 언어 요소이다. 담화-화용 능력의 범주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 언어 요소는 생략 가능하며, 발화의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발화들을 연결하여 일관적(coherence) 관계를 형성해 주는 중요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Fraser, 1999; Fuller, 2003a, 2003b; Schourup, 1999). 담화표지어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그 기능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담화표지어의 교수와 방법은 제2언어/외국어 교수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담화표지어를 언어 학습 교실에서 가르쳐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담화표지어의 교수를 위한 실질적 접근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담화표지어의 정의, 제2언어/외국어 상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관련 연구의 고찰, 그리고 나아가 담화표 지어를 제2언어/외국어 교실에서 다루어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심도 있게 논하였다. Discourse markers are unique language elements deployed to mark units of talk. They are characterized by features of being optional, not affecting the propositional content, and being used to link utterances to establish coherence between the utterances they connect (Fraser, 1999; Fuller, 2003a, 2003b; Schourup, 1999). Despite the functional import these markers carry,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need for instruction and how the teaching of these markers may be approached have remained distant from the priority in L2 instruction. This paper attempts to help resolve these issues by delineating the rationale for teaching discourse markers in the language classroom, and more importantly, aims to present practical suggestions for how instruction of these elements can be approached. The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definition of discourse markers and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the topic in the L2 context. The arguments further discuss the questions of why discourse markers need to be taught and how they may be dealt with in the L2 classroom.

      • KCI등재

        Using Cultural Categories in Language Classroom Discourse

        이요안 담화·인지언어학회 2010 담화와 인지 Vol.17 No.2

        Lee, Yoan. 2010. Using cultural categories in language classroom discourse. Discourse and Cognition 17.2, 69-94. Culture is a constant companion in the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t is an important object of teaching while teaching itself can be considered cultural. The question is to what extent cultural phenomena can be described analytically from within the local contingency of classroom interaction; after all, it is through social interaction that we encounter, act on, and thus experience culture. In prior research, language classrooms are analyzed in reference to underlying cultural categories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nonnative identities of the students. This line of research, however, takes for granted the detailed ways in which the participants discover and act on cultural categories. Building on Harvey Sacks’ revolutionary work on membership categories (1972) in conversation analysis (CA),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e parties to classroom interactions recognize and produce categories in their talk and their categorical works influence the discourse forms they use. Based on the transcribed talk exchange in college classrooms in USA and Korea, this paper offers an alternative way to examine how categories are used in classroom interaction and what forms of discourse are generated (Sogang University)

      • KCI등재

        교실 담화의 차이를 식별하기

        이지현(Jihy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전통적 교실의 권위적 담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그 대안으로서의 대화적 담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권위적 및 대화적 담화 사례를 대조하는 교수학습활동을 설계하여 예비수학교사 18명에게 적용하고, 학습과정 및 결과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안내된 사례 대조 활동’을 통하여, a)교실 담화의 차이를 적극적으로 식별하고, b)담화 차이와 관련하여 교수학습에 대한 여러 가정, 신념과 가치를 표출하고 토론하였다. 사례 대조 활동의 과정과 사후 인식에 대한 내용 분석 결과는, 교실 담화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민감성과 의식성을 함양하며 토론과 탐구의 맥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교실 담화에 대한 반성적, 비판적인 교사 교육 방안으로서의 사례 대조 활동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Using contrasting cases of classroom discourse, I designed activities to critically examine authoritative discourse in traditional classrooms an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dialogical discourse. Through ‘guided contrasting cases activity’, pre-service teachers a) differentiated authoritative discourse from dialogical discourse, b) raised, shared and discussed assumptions, beliefs and value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underlying the contrasting features of classroom discourse.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learning processes and outcomes shows two things; one of which is that the contrasting cases activity stimulated the sensitivity for and awareness of the essentials of a classroom discourse, and the other is that the contrasting cases provided the context of discussion as well as pedagogical inquiry. This suggests the educational possibility of contrasting cases activity for reflective and critica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Chosun Ilbo'sㅣ

        서덕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03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푸코의 담론이론과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공교육의 위기담론, 특히 "교실붕괴"라는 하나의 ‘담론적 사건’을 일으킨 조선일보 기사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실붕괴"가 하나의 담론으로써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것이 신보수주의적 신자유주의 담론과 어떻게 접합되는지를 푸코의 거시적 문제의식을 미시적 담론분석과 결합한 N.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접근을 원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일보의 "교실붕괴" 기사들이 공교육의 위기를 담보로 교육의 자율적 담론을 ‘시장화’하고, 그것을 일상의 교육담론으로는 유포하는 사회적 실천을 수행하였음을 드러내었다. 담론의 현실 구성력을 생각해 볼 때, 교육의 가치를 모든 사람들이 향유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상의 교육담론에 접합되어 있는 ‘시장화’된 요소들을 탈접합하는 비판적 분석과 함께 적극적으로 교육의 본질을 드러내는 이론적 실천이 교육학도의 중요한 임무라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From a viewpoint of Foucault’s discour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hosun Ilbo’s reports on "Classroom Collapse" which have become a discursive event for "Classroom Collapse" discourse. The formative process of "Classroom Collapse" discourse and its articulative process with ‘neoliberalism’ and ‘neoconservatism’ discourse on education have been analyzed with 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 of which the purpose i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microand macro- discourse analysis. It has been revealed that "Classroom Collapse" reports have been ‘marketizing’ the autonomous discourse of education, and have been spreading the marketized discourse to everyday lives. With consideration of constructive capability of discourse, it has been emphasized that it is crucial for educational researchers to perform the critical analysis on everyday lives’ discourse of education, and to make theoretical practice of revealing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for the sake of everyone relishing the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 KCI등재

        More than Language: Influential Factors on Language Classroom Practice

        장선미 대한언어학회 2006 언어학 Vol.14 No.3

        Chang, Sunmee. 2006. More than Language: Influential Factors on Language classroom practice.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4(3), 71-93. From the underlying sociocultural perspective, this paper dealt with L2 learning situations in many countries in the world. The concept of L2 (Second Language) here encompassed that of FL (foreign Language), too. In this paper, by reviewing articles and books, and building up ideas around selected themes, I discussed on some factors that were considered possible to impose influence on the practice in the classroom. First of all, with an assumption that each of the participants in a L2 classroom has individual cultural background, their social identity, socioeconomic status, teaching and learning style, and prior experience or knowledge that they bring in were considered the first category of major influential factors in the classroom. The second category was put under classroom interaction. Classroom interaction was discussed in two aspects,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The final category put emphasis on the teacher, focusing on the knowledge and beliefs he/she has as a teacher during classroom practice. Even though the role of the teacher is huge, the practice in the classroom is not just done by the teacher alone.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teacher is a necessary partner for the learners in the interaction to coach the learners in their process of learning, thinking, listening, and speaking toward the ultimate goal: L2 acquisi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상황에서 교사 담화의 양상과 교육적 함의

        추갑식(Choo Kap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discourse analysis of teachers in schools considering the need to access social and cultural orientation of students in classrooms. First, the result shows teachers generally use more discourses with male students in which instructive-pattern discourses are more frequent than non-instructive pattern discourses. Second, while teachers used more of discourses of thoughts and accommodative feelings in non-instructive discourses, the content is a discourse of a simple pattern that clarifies thoughts and feelings of students. Regardless of discourse patterns, all instructive discourses controlled students behaviors in which the content repeats and informs rules that are set by teachers. Third, while most teachers unobtrusively use the discourse of feelings, acceptance of thinking, praise or encour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teachers, the pattern forms the power of teachers as a hidden language and is used as a tool to control and oppress students. 본 연구는 교실에서 학생들의 사회, 문화성을 고려한 접근의 필요성에 따라 수업에서의 교사의 담화를 분석을 통해 그 교육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남학생에게 더 많은 담화를 사용하며 비지시형태의 담화보다 지시형태의 담화를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둘째, 비지시형 담화에서 교사는 생각 및 감정의 수용의 담화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지만, 그 내용은 학생의 생각과 감정을 명료화하는 단순한 형태의 담화였으며, 담화 유형에 상관없이 지시형 담화 모두는 학생의 행동을 통제하고교사가 원하는 규칙을 반복하고 알려주는 내용이었다. 셋째, 교사들은 대부분 교사의 입장에서 감정이나 생각수용 혹은 칭찬과 격려 등의 담화를 사용하면서도 드러나지않지만 숨겨진 언어로써 교사의 권력을 형성하여 학생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도구로 사용한다는 것도 찾아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