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통합교과에서 KDB 모형의 TO DO 요소 분석

        추갑식 ( Kapsik Choo ),신재한 ( Jae Han Si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5 통합교육과정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주제중심의 탈학문적 접근 방식에 바탕을 두고 있는 2009 개정 통합교과 내에서 Drake(2007)가 개발한 KDB 모형 중 To Do의 유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바른생활은 갈등해결하기와 감정조절하기의 비중이 1학년의 경우9.1%, 2학년의 경우 0%에 불과하였다. 슬기로운생활은 1학년의 경우 관계망그리기와 모형만들기가 5%에 불과하고, 2학년에서는 관계망그리기와 흐름만들기가 8.6%에 불과하였다. 즐거운생활은 1학년의 경우 공연하기와 감상하기가 2.8%에 해당되고, 2학년에서는 감상하기, 모방하기, 공연하기가 6.8%에 그치고 있다. 또한 바른생활의 경우 스스로하기, 협동하기, 친해지기, 갈등해결하기, 감정조절하기는 1학년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계획하기는 2학년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슬기로운생활에서 살펴보기, 조사발표하기는 1학년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관계망그리기는 2학년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과 목표로서 ‘학생들이 갖추기를 바라는 인성’(to be)에 적합한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to do)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통합교과에서 가르치는 ‘학생들이 알아야 할 것’(to know)과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to do)은 내용 요소와 기능의 특성을 고려하여 균형 있게 제시해야 한다. 셋째, 통합교과에서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to do)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해야 한다. The study analyzed the pattern of "To Do" of the KDB model developed by Drake (2007) using 2009 integrated curriculum revision, which based on subject-oriented de-academic approaching method.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conflict resolution and emotional control of the discipline-life was merely 9.1% in the case of the 1st grade and 9% in the 2nd grade. In the case of the 1st grade, the social-network drawing and model making of intelligent life was merely 5%, while the 2nd grade in the social-network drawing and flow making was merely 8.6%. In the case of the 1st grade, performing and appreciating in the pleasant life was only 2.8%, while the 2nd grade is just 6.8% in appreciating, imitating, and performing. While the 1st grade demonstrate most in doing oneself, cooperation, becoming friends, 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controlling in the case of the disciple life, planning was more prevalent in the 2nd grade. In the intelligent life, examination and investigation presentation were more prevalent in the 1st grade, while social-network drawing was more prevalent in the 2nd grade.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s the goal of integrated curriculum, we need to select "something students can do" (to do) appropriate for "tenacity required for students"(to be). Second, the "something that students need to know"(to know) and "something that students can do"(to do) taught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suggested in a balanc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content elements and features. Third, most of all, teachers should reconstruct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effective teaching of "something students can do"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 KCI등재

        PLC를 통한 주제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추갑식 ( Kapsik Cho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3

        교육과정 재구성은 통제와 보상을 통한 교사들을 대상화시키는 전략으로는 교사 성장의 한계 속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 일명 PLC(Professional Learning Comunity)를 통해 학교의 변화의 실천의 핵심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PLC의 확산은 학교 내부적으로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서 학교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정하는 계기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PLC 집단의 협력적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를 협력적 교육과정의 재구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세부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하는 것을 넘어 교사들에 의한 자발적 전문성 신장과 더불어 학교의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발전적 형태의 모습을 제시할 수 있을것이다. A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a strategy that objectifies teachers through control and compensation, which is in a core of practices and changes of a school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r PLC, amid a limit of growth of teachers.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of the PLC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change schools with its internal and voluntary efforts. The study, therefore, analyzed factors of features, purport, and cooperativ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collaborative curriculum of the PLC.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suggest a progressive strategy for voluntary professional growth of a teacher along with growth of voluntary and cooperative professionalism of schools beyond diversification of the content and methods of curriculums.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상황에서 교사 담화의 양상과 교육적 함의

        추갑식(Choo Kap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discourse analysis of teachers in schools considering the need to access social and cultural orientation of students in classrooms. First, the result shows teachers generally use more discourses with male students in which instructive-pattern discourses are more frequent than non-instructive pattern discourses. Second, while teachers used more of discourses of thoughts and accommodative feelings in non-instructive discourses, the content is a discourse of a simple pattern that clarifies thoughts and feelings of students. Regardless of discourse patterns, all instructive discourses controlled students behaviors in which the content repeats and informs rules that are set by teachers. Third, while most teachers unobtrusively use the discourse of feelings, acceptance of thinking, praise or encour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teachers, the pattern forms the power of teachers as a hidden language and is used as a tool to control and oppress students. 본 연구는 교실에서 학생들의 사회, 문화성을 고려한 접근의 필요성에 따라 수업에서의 교사의 담화를 분석을 통해 그 교육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남학생에게 더 많은 담화를 사용하며 비지시형태의 담화보다 지시형태의 담화를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둘째, 비지시형 담화에서 교사는 생각 및 감정의 수용의 담화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지만, 그 내용은 학생의 생각과 감정을 명료화하는 단순한 형태의 담화였으며, 담화 유형에 상관없이 지시형 담화 모두는 학생의 행동을 통제하고교사가 원하는 규칙을 반복하고 알려주는 내용이었다. 셋째, 교사들은 대부분 교사의 입장에서 감정이나 생각수용 혹은 칭찬과 격려 등의 담화를 사용하면서도 드러나지않지만 숨겨진 언어로써 교사의 권력을 형성하여 학생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도구로 사용한다는 것도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

        09 개정 국어과 성취기준을 통한 전래동화 지도방향 탐색

        곽은미(Kwak EunMi),추갑식(Choo Kap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문학이라는 장르에서 전래동화를 선정하고 전래동화의 특성의 입장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육적 측면에서 성취기준을 분석해봄으로써 전래동화의 바람직한 지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전래동화는 우리 조상들이 남겨 준 문화유산으로 다양한 가치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문학교육을 위한 교재 또는 언어기능신장을 위한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 문학교육 고유의 가치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 모두를 충족시킬 때 전래동화는 문학 교육 교재로서 적합 을 지닌다. 이에 바람직한 문학 교육을 위한 전래동화 특성의 측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살펴보기 위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전래동화의 주제 유형과 그 지도 방향, 그리고 전래동화가 수록되어 있는 단원과 차시의 영역별, 내용별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교사는 전래동화가 수록된 단원과 차시의 지도에 있어 해당 전래동화의 주제유형과 성격, 이야기 속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이해와 해석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전래동화의 문학적 특성을 살리고 교육과정 성취 기준의 달성을 위한 바람직한 수업 설계 방향을 모색하여 실제 수업지도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lect fairly tales in the literary genre and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in the educational aspects for the perspective of fairy tale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desirable ways of teaching fairy tales. Fairy tales are cultural inheritance handed down from our ancestors that embody a variety of values in literature, and they should not be used as textbooks for literary education or tools for language enhancements. Fairy tales can be suitable literary education materials when they satisfy achievement standards suggested by curriculum and unique value of literary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fairy tale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standards for literature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and suggested types of themes of fairy tales and instruction decisions contained in textbooks, including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areas and contents of units and instruction units that feature fairy tale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is absolutely vital for teachers in teaching units and instruction units and types of themes and characters of the relevant fairy tales and various elements of stories. The study also examined desirable instructional directions for curriculum achievement, while emphasizing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fairy tales, thereby proposing actual teaching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