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초등체육학회 연구동향 분석연구

        김종원 한국체육과학회 202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1 No.6

        In this study, 200 keywords extracted from 494 papers registered in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rom 2012 to 2022 were used as data to find out the research direction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should advance. Social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entrality of connection between keywords, proximity centrality, mediation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major keywords in the study, a total of 200 keywords were derived. The top keywords wer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results of TF-IDF criticality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ranking of keyword frequency.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sis of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mediation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connection centrality is ‘physical education’, ‘class’,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hool’, ‘education’, etc., proximity centrality is ‘plan’ , ‘model’, ‘learning’, ‘athlete’, ‘experience’, etc., mediating centrality is ‘physic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class’,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hool’, etc., and eigenvector centrality is ‘physical education’ , ‘class’,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had the effect of keywords in the order. In the CONCOR analysis, the major clusters R1, R2, and R3 groups were formed. As a result of the expert meeting, R1 is a study related to student emotions, R2 is a study related to class and teacher learning, and R3 is a research field related to student ability such as experience and exploratio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trends in various fields have progressed.

      • The avoidance from central node of selected routes by centrality measure

        Yoshihiro Kaneko 대한전자공학회 2015 ITC-CSCC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 Vol.2015 No.6

        An ad-hoc network requires no fixed infrastructure, which is composed of terminal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well as transmit data like a router. For load balancing, we have proposed to apply node centrality measure, to one of the most popular routing protocol DSDV. Our proposal idea is to avoid nodes located in the central area as far as possible. We have tested its validity on network simulator ns-3. However, its effectiveness seems yet limited at present. Thus, in order to develop our proposal, we observe properties of obtained routes.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relay nodes on those routes and central node in viewpoint of avoidance. First we locate central nodes by three node centrality measures such as closeness, degree and betweenness. We deal with sixty network models with link density 5 to 10%. As a result, we show that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 always provides single central node. Next we examine how far those obtained routes pass from central node. Finally, of the three measures, we show that closeness centrality-aware routing provides routes whose relay nodes are the most distant on average from central node.

      • KCI등재

        Roles of Distal Centralizer in Cemented Total Hip Arthroplasty

        장준동(Jun-Dong Chang),이상수(Sang-Soo Lee),유제현(Je-Hyun Yoo),서동현(Dong-Hyun Suh),김창영(Chang-Young Kim),전병혁(Byoung-Hyuk J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대퇴 삽입물의 정렬을 향상시켜 시멘트 mantle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하여 centralizer가 이용되고 있으나, 시멘트 mantle이 부적절하게 형성되는 경우들이 있다. 저자들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시멘트 mantle 두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3세대 시멘트 기법을 사용하여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가지 다른 형태의 대퇴인공 삽입물(각 형태당 20명씩)을 사용하였다: Centralign (Zimmer, Warsaw, IN), Precision (Howmedica, Rutherford, NJ), Omnifit (Osteonics, Allendale, NJ), Elite Plus (Depuy, Warsaw, IN). 대퇴 삽입물의 크기, 첨부의 직경, centralizer의 형태 및 크기, 방사선 사진에서의 시멘트mantle의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Barrack 분류에 따라 환자들을 Cl 이상(≥Cl; A, B 및 Cl, 69예)과 C2 (11예)의 두 군으로 나누었을 때, 두 군 간에 나이, 성별, 원인 질환, 사용한 스템의 크기, Dorr ratio, plug까지 시멘트의 길이는 차이가 없었다. 환자들 중 18예에서는 원위부 centralizer의 직경과 스템 첨부 직경의 차이가 2㎜ 미만이었고, 62예에서는 2㎜ 이상이었다. 직경 차이가 2 ㎜ 이상인 환자들에 비해 2㎜ 미만인 환자들에서 C2가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22.2% .vs 11.3%). 그러나 직경 차이가 2㎜ 이상인 경우에서도 centralizer의 모양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centralizer에서 C2가 발생하였다. 결론: 적절한 두께의 cement mantle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위부 centralizer의 직경을 스템 첨부의 직경보다 최소한 2 ㎜ 이상 큰 크기로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비교된 centralizer들은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성공적인 cement mantle 형성을 위해서는 개선된 형태의 centralizer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n cement mantle thickness in cemented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atients were randomly enrolled who received total hip arthroplasty with the third generation cementing technique. Four types of femoral prosthesis (20 patients in each type) were used: Centralign (Zimmer, Warsaw, IN), Precision (Howmedica, Rutherford, NJ), Omnifit (Osteonics, Allendale, NJ), and Elite Plus (Depuy, Warsaw, IN). Size of femoral prosthesis, diameter of stem tip, shape and size of centralizer, and the condition of cement mantle on the radiograph were analyzed.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of same or above C1 (≥C1; A, B, and C1, n=69) and C2 (n=11) by Barrack classifi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sex, underlying disease, size of applied stem, Dorr ratio, and the distance between stem tip and plug. The difference of distal diameter between centralizer and stem was less than 2 ㎜ in 18 patients, and same or above 2 ㎜ in 62 patients. C2 was more frequently 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the diameter difference <2 ㎜ than in patients with the diameter difference ≥2 ㎜ (22.2% vs. 11.3%). However, C2 developed in all types of femoral stems, irrespective of their shapes, even the diameter difference was ≥2 ㎜. Conclusion: The diameter of distal centralizing device should be at least 2 ㎜ larger than that of stem tip for an optimal cement mantle thickness. In addition, centralize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hould be carefully used, and more improved shape of centralizer is required for the successful cement mantle formation.

      • KCI등재

        여성복지조직의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중심성(centrality)과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장연진 ( Yeon Jin J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여성복지조직의 네트워크 중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네트워크 중심성 수준이 개별 조직의 효과성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여성복지 조직들을 대상으로 조직간 네트워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를 도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중심성(연결정도, 근접, 매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네트워크 중심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중심성 유형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조직유형, 자원의존도, 최고관리자의 태도, 설립기간에 따라 서로 달랐고, 세 가지 유형의 네트워크 중심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맥수, 여성주의운동 활동지향점 1순위 여부, 전문인력수로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유형의 네트워크 중심성 중에서는 근접 중심성만이 조직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위치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영향요인이 달라질 수 있으며, 무조건 많은 수의 조직들과 관계를 맺는 것보다는, 핵심조직과의 연계를 통해 얼마나 빨리 네트워크 내의 다른 조직과 연계되는지가 조직효과성 증진에 더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복지조직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실천적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network centrality on women`s welfare organizations, and to investigate how the level of network centrality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women`s welfare organizations in Seoul from March to June, 2009.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sed to get each organization`s network centrality value. Also,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predicting network centrality and effect of network central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were different between three types of centralities with regards to the type of organization, recognition of resource dependency, attitude of top manager, and established year. Second,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three network centralities were the number of informal ties, accepting feminism as the main organizational philosophy, and the number of qualified staffs. Third, only closeness centrality positively predict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three types of centralities. The faster the organization reaches to other organizations in a network,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comes higher, which means high closeness centrality is more important factor than high degree centrality or high betweenness centrality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result shows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hould consider changing inter-organizational network strategy from quantity-focused to quality-focused.

      • KCI등재

        중앙지방협력회의의 내실화를 위한 연구

        최철호(Chol-Ho Choi)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2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2 No.4

        지방자치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의 정책·법령을 입안하거나 실시할 때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정책 등을 두고 중앙정부와 개별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자치단체 협의체 등이 정기적으로 논의하고 결정하는 협의제도를 법제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법제도로서 탄생한 것이 “중앙지방협력회의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중앙지방협력회의법이라고 한다)”이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앞서서 중앙정부를 대표로 하는 장관들과 지방자치단체를 대표하는 지방자치단체 협의체 내지 연합체가 수시로 만나서 각종 현안들을 협의해서 처리하도록 하는 법률을 제정하였는데 이를 “國-地方の協議の場に關する法律”이라 한다. 중앙지방협력회의법에 따라 년 2회 중앙지방협력회의가 개최되는데 제1회 중앙협력회의는 2022년 1월 제1회 중앙지방협력회의가 정부측에서 문재인 대통령, 김부겸 국무총리, 기재부·교육부·행안부장관, 국무조정실장, 법제처장, 자치분권위원장, 국가균형발전위원장등이 참석하였고 지방측에서는 시도지사협의회회장, 전국 시·도지사, 지방협의체의 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제1회 회의에서는 중앙지방협력회의의 운영 방안을 논의하였고 보고안건으로는 지역경제활성화 방안, 초광역협력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자치분권 성과 및 2.0시대 발전과제 등을 보고하고 논의하였다. 회의에서 지방측은 국가발전의 새동력확보를 위해 지방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 의제 발굴, 내용 조정 등 중앙지방협력회의의 모든 심의과정에서 지방의 의견이 반영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지방측은 이를 위해 ① 시도지사협의회에서 지원단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 ② 코로나 19로 어려움이 처해 있는 각 시·도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제 체질 개선과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가고 있다면서, 균형발전 정책이 속도를 내고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점, ③ 초광역 협력에 관해 주민들이 협력과 통합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형식적인 지원이 아닌 과감한 권한 이양과 재정의 포괄적 배분, 소외받는 지역이 없는 균등한 지원 전략을 통해 초광역 협력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 ④ 지방자치권의 본질적 요소인 자치조직권 확대를 위해 지방 4대 협의체, 행정안전부, 관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TF 구성 및 통합적인 정보공개를 기반으로 지방조직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의 제안과 장기적으로는 ⑤ 지방자치제의 근본적 변화를 위해 지역대표형 상원제 도입 등이 포함된 지방분권형 개헌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제2회 협력회의는 2022년 10월 7일 윤석렬 정부 출범이후 처음 개최되었는데, 윤석열 대통령, 한덕수 국무총리, 행안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시도지사협의회장, 시·도지사, 시·군·구청장협의회장, 시·도의회의장협의회장 등 31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지방자치와 균형발전 안건을 논의하고, 지방측에서 지방의 자치조직권·입법권 등을 과감하게 확대해줄 것을 건의했는데 구체적인 내용으로 ⓵ 중앙지방협력회의 운영방안 개정안, ⓶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주요법령 및 법령정비 체계 구축방안, ⓷ ‘지방분권법’-‘균형발전법’ 통합법 제정, ⓸ 지역주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역고용 활성화 계획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제1회 및 제2회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정례적 중앙-지방 간 정책 소통창구가 마련되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데, 중앙부처에서 결정한 사항에 관해서도 지방의 이견이 있을 경우 그 의견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창구가 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 향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속적으로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위한 의제를 논의는 조직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문제점도 다수 노정되었는데 특히 중앙지방협력회의의 회의 방식을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에서 중앙과 지방이 협의해서 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고,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야 하고, 중앙지방협력회의 지원단을 어디에 설치하느냐 하는 문제들이 나타났다. 중앙지방협력회의 지원단을 시도지사협의회에 설치하는 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데 일본의 국가와 지방의 협의의 장에서는 사무국을 전국지사회에서 운영하는 것과 같이 우리의 중앙지방협력회의 지원단도 행정안전부에 설치하는 것보다 시도지사협의회에 이관 내지 위임, 위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국가와 지방의 협의를 국정참가라는 큰 틀에서 이해하고,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의 법령의 입안과정에 참여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여러 제도들 중 일본의 “國-地方の協議の場に關する法律”과 우리나라의 중앙지방협력회의법을 비교검토하여 우리나라 중앙지방협력회의 개최시 발생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지원하는 기구를 어디에 설치, 운영하여야 중앙지방협력회의가 실효성있게 운영될 것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a consultation system in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or local government councils regularly discuss and decide on policies or laws that affect local autonomy, and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Act)”Ida. Prior to Korea, Japan enacted a law requiring ministers representing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councils or associations representing local governments to meet frequently to discuss and deal with various pending issues. According to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and the Enforcement Decree, the first Central Local Cooperation Meeting was held in January 2022 and the second Central Local Cooperation Meeting in October. The 1st and 2nd Central Local Cooperation Meetings can give meaning to the fact that regular central-local policy communication channels have been established, and if there are local differences on decisions made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t can be an opportunity to directly convey their opinions. However, a number of problems were also identified, and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meeting method of the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from the central government-led method to the central and local consultation method, to form a working-level council, and to establish a support group for the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stablishing a support group of the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in the provincial governor's council. In the case of Japan's national and local consult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nsferring, delegating, and entrusting it to the provincial governor's council rather than setting up a secretariat i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Understanding state-local consultations in the framework of state participation, this paper compares Japan's National-Local Consultation Act with Korea's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Act, and examines where the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경영권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식 한국국제회계학회 2018 국제회계연구 Vol.0 No.77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managerial centrality. Owner CEO, CEO ownership, and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from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re used as corporate governance proxies, and the method of Bebchuk et al.(2011) is used as managerial centrality proxy. We use the sample that are listed on KOSPI from 2013 to 2014 and whose compensation for CEOs is over 500 million Korean won, so 333 firm-year are used in our analysis models during sample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owner CEO, family CEO, and CEO ownership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Second, we find that BOD, disclosure, audit, and total score i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which means that managerial centrality is lower as corporate governance is better. Third, interaction between total score and owner CEO (family CEO and CEO ownership) is posi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which suggests that owner CEO increases managerial centrality even though corporate governance is excellent.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test whether there is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shareholder right and managerial centrality and find that there is a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m, which means that high shareholder right is posi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Second, we test interaction effect between family CEO and corporate governance with owner CEO sample only on managerial centrality to demonstrate why largest CEO is insignificant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and find that the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family CEO and all of governance factor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The results in this study imply that CEO is highly likely to allocate lots of effort and internal resources to increase managerial centrality as agent costs are greater, and excellent corporate governance effectively controls managerial centrality.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최고경영자의 경영권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업지배구조는 소유경영기업 여부와 경영자지분율, 그리고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제공하는 기업지배구조점수를 이용하였고, 경영권 집중도는 Bebchuk et al.(2011)이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대표이사의 보수를 5억원 이상으로 공시한 333개 기업-년도를 최종 분석대상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유경영기업과 가족경영기업, 그리고 경영자지분율이 경영권 집중도와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부호를 나타냄으로써 소유경영기업일수록 경영권 집중도가 높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지배구조 질 중에서 이사회, 공시, 감사기구 그리고 총점이 경영권 집중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부호를 나타냄으로써 기업지배구조의 질이 우수할수록 경영권 집중도가 감소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소유경영기업과 가족경영기업, 그리고 경영자지분율이 기업지배구조 총점간의 상호작용변수의 계수에서 모두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부호를 나타냄으로써 기업지배구조의 질이 우수하더라도 소유경영기업의 경영권 집중도는 증가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추가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권 집중도와 주주권리보호간에 비선형관계 여부를 확인한 결과 경영권 집중도와 주주권리보호간에 U자형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즉, 주주권리보호가 우수할수록 경영권 집중도가 감소하지만 일정 점수를 넘어서면 경영권 집중도가 오히려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가족경영기업은 경영권 집중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지만 최대주주경영기업은 경영권 집중도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이유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유경영기업만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 질과 가족경영기업간의 상호작용변수를 포함하여 경영권 집중도와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주주권리보호, 이사회, 공시, 감사기구, 및 기업지배구조 총점과 가족경영기업간의 상호작용변수에서 모두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부호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가족경영기업 등 대리인 비용이 높은 기업일수록 경영권 집중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과 기업 내부자원을 할당할 가능성이 높으며, 기업지배구조의 질이 우수할수록 경영권 집중도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 시・군・구의 네트워크 중심성 측정

        서영창,최원회 한국지도학회 2018 한국지도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measurement of the network centrality of siㆍgunㆍgu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easured the size of centrality between 229 city, county or district areas across the country in the form of score using an origin-destination matrix based upon the commuting data of 229 cities, counties or districts of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nducted by KOSTAT (Korea Statistics) in 2015. In this study the centrality scores of 229 city, county or district areas across the country were measured because previous studies have never conducted a centrality investigation on all 229 city, county or district areas across the country. The centralitie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degree centrality, eigen vector centrality and Bonacich beta centrality. Among these centralities, the Bonacich beta centrality is the generalization of degree centrality and eigen vector centrality. In this study the result values of degree centrality, eigen vector centrality and Bonacich beta centrality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appeared clearl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s was not complementary but competitive unlike previous studies. Especially, if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s is not complementary but competitive, it was found that a result value of centrality with high objectivity is obtained by measuring with the Bonacich beta () centr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시·군·구의 네트워크 중심성 측정’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국 229개 시·군·구 간의중심성 크기를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전국 229개 시·군·구의 통근통행 O-D 행렬을 이용하여 점수 형태로 측정하였다. 본연구에서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중심성 점수를 측정한 것은 기존의 연구 중에는 전국 229개 시·군·구 전체를 대상으로조사한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중심성은 세가지인데, 연결정도 중심성과 고유벡터 중심성, 그리고 연결정도중심성과 고유벡터 중심성을 일반화시킨 보나시치 베타 중심성이 그것들이다. 본 연구에서 연결정도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및 β<0인 보나시치 베타 중심성을 사용하여 전국 229개 시·군·구의 세가지 중심성을 구하고, 이 세가지 중심성의 결과값을비교한 결과, 지역 간 상호관계는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상호보완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경쟁적 관계임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특히, 지역 간 상호관계가 상호경쟁적 관계일 경우 보나시치 베타(β<0) 중심성으로 측정하여야 정확성이 높은 중심성 결과값을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네트워크 중심성 척도가 추천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동원(Dongwon Lee)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1 지능정보연구 Vol.27 No.1

        Collaborative filtering, which is often used in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s, is recognized as a very useful technique to find similar customers and recommend products to them based on their purchase history. However, the traditional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has raised the question of having difficulty calculating the similarity for new customers or products due to the method of calculating similaritiesbased on direct connections and common features among customers. For this reason, a hybrid technique was designed to use content-based filtering techniques together. On the one h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by apply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This applies a method of indirectly calculating similarities through their similar customers placed between them. This means creating a customer’s network based on purchasing data and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based on the features of the network that indirectly connects the two customers within this network. Such similarity can be used as a measure to predict whether the target customer accepts recommendations. The centrality metrics of networks can be utilized for the calculation of these similarities. Different centrality metric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they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recommended performance.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se centrality metrics on the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may vary depending on recommender algorithms. In addition, recommendation techniques using network analysis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recommendation performance even if they apply not only to new customers or products but also to entire customers or products. By considering a customer’s purchase of an item as a link generated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item on the network, the prediction of user acceptance of recommendation is solved as a prediction of whether a new link will be created between them. As the classification models fit the purpose of solving the binary problem of whether the link is engaged or not, decision tree, k-nearest neighbors (KNN), logistic regress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are selected in the research. The data for performance evaluation used order data collected from an online shopping mall over four years and two months. Among them, the previous three years and eight months constitute social networks composed of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organizing the data collected into the social network. The next four months’ records were used to train and evaluate recommender models. Experiments with the centrality metrics applied to each model show that the recommendation acceptance rates of the centrality metrics are different for each algorithm at a meaningful level. In this work, we analyzed only four commonly used centrality metrics: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records the lowest performance in all models except support vector machines.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show similar performance across all models. Degree centrality ranking moderate across overall models while betweenness centrality always ranking higher than degree centrality. Finally, closeness centrality is characterized by distinct differences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model. It ranks first in logistic regress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withnumerically high performance. However, it only records very low rankings in support vector machine and K-neighborhood with low-performance levels. As the experiment results reveal, in a classification model, network centrality metrics over a subnetwork that connects the two nodes can effectively predict the connectivity between two nodes in a social network. Furthermore, each metric has a different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model type. This result implie

      • KCI등재

        부정경쟁방지법 사건도 관할집중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

        박준석 ( Park Jun-seo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대학교 法學 Vol.62 No.4

        2015년 크게 바뀐 우리 관련 법제에 따라 현재 시행 중인 특허소송 등의 관할집중 제도하에서는,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이 ‘특허권등’에 관한 지재권 사건이 아니라 나머지 지재권 사건에 해당하므로 특허 사건·상표법 사건 등과 다르게 고도로 관할을 집중하는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즉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의 1심 단계에서 당사자의 선택에 따라 고등법원이 있는 곳의 지방법원이 경합적인 관할권을 가지게 되었을 뿐이고, 항소심 단계에서는 특허법원이 전국의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을 모두 관할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고등법원들이 여전히 과거처럼 각각 분장하여 관할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볼 때 부정경쟁방지법 사건도 특허 사건·상표법 사건 등과 마찬가지로 고도의 관할집중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글의 문제의식이자 최종결론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의 관할집중 여부를 중심으로 미국·일본·유럽연합·독일, 그리고 중국·대만 등 제 외국의 현황을 순차로 최대한 자세하게 고찰해 보았다. 나아가 그런 비교법적 고찰의 바탕 위에서 과연 한국에서 장차 부정경쟁방지법 사건까지 관할집중의 대상 안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할지 여부에 관해서 1) 관할집중이 곤란하다고 볼만한 근거들, 그에 대비하여 2) 관할집중이 필요한 근거들로 나누어 서로 대조적인 시각에서 차례로 살펴보았다. 위 1)의 근거들 중에서 가장 현실적인 난관이면서도 누구도 간과하기 어려운 점은 만약 한국이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에 관할집중을 도입한다면 주요 국가들의 일반적인 태도와는 상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서 미국·일본·유럽연합 등이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을 관할집중에서 분명히 제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약간 사정이 다른 듯한 독일·중국 역시 관할집중도가 아주 저조하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통일성이 큰 특허·저작권 분야와 달리 부정경쟁방 지법 분야에서는 우리만의 선택의 폭이 크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인식이 전제될 경우, 충분히 우리만의 독자적 입법이 가능함을 이 부분에서 강조하였다. 따라서 위 1)의 근거들 중에서 우리 입법자가 진지하게 검토해 볼 만한 근거는, 주요 국가들의 입법 태도와 상충될 수 있다는 점 이외의 나머지 근거들이다. 즉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의 관할집중이 이루어지면 응소의 불편이나 권리자의 남소가 조장될 우려 역시 발생한다는 점, 포럼쇼핑의 우려도 더욱 커진다는 점, 그리고 한국의 지재분쟁 해결절차에 있어서 특정 법원에 국한시키는 고도의 관할집중이 사법의 본질론에 비추어 과연 궁극적으로 타당한 방향인지에 관한 근본적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특히 마지막 근거에 관해서는 개별 논자들의 찬반 입장을 떠나서, 아울러 비단 이 글이 다루는 이슈를 넘어서 한국 지재권 제도 전반을 대상으로 삼아 모두의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반면 위 2)와 관련한 근거들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의 관할집중이 이루어지면 먼저 질적 측면에서는 특허전문법관이 공정거래법 사건과 일면 비슷한 부정경쟁방지 사건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지재권 보호 대 공정경쟁 사이의 균형감을 쉽게 얻을 수 있고, 양적인 측면에서도 전문법관으로 성장하기에 충분한 관련사건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특허법원 등 지재전문법원의 심리역량 강화측면에서 양적,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상표법과 일반 부정 경쟁행위 법리가 통일적이고 조화롭게 발전할 더 좋은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는 점도 간과될 수 없다. 아울러 기술정보인 영업비밀 관련 사건은, 분쟁해결에 고도의 기술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측면으로 보거나, 혹은 특허법제와의 균형 유지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보거나, 모두 특허 사건과 함께 취급되어야 효율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상표법 사건도 특허 사건처럼 고도의 관할집중 대상으로 인정하고 있는 한국의 특수한 입장이, 궁극적으로 타당한 입장인지는 논외로, 앞으로도 견고하게 지속될 것이라고 전제한다면 부정경쟁방지법 사건도 고도의 관할집중 제도 안에 포섭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이라고 필자는 결론을 내린다. Under the centralized jurisdiction system for patent litigation, etc. currently in effect by our related laws, which have been significantly changed in 2015, a case on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KUCPA) is not a case related to ‘patent rights, etc.’ in the above related laws but is a case of ot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so it is excluded from the subject of the centralized jurisdiction. In other words, at the first trial stage of the KUCPA case, the district court in the same city as the location of the competent high court only can have competing jurisdiction according to the parties’ choice, and at the appeal stage, the general high courts still have separate jurisdictions as in the past instead of that the Korean Patent Court has the exclusive jurisdiction. However, from several aspects, the problematic issue and final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the KUCPA case needs to be subject to a high degree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just like patent case and trademark case. At first in this article, the recent situation of several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the European Union, China and Taiwan were examined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focusing on whether or not the jurisdiction o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case is centralized. Furthermore, on the basis of such comparative legal analysis, as to whether it would be appropriate to include the KUCPA case in the future within the subject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this article reviewed all the arguments with contradictory perspectives for the above problematic issue one by one, while dividing those arguments into two categories as 1) grounds against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and 2) grounds supporting such centralization. Among the grounds in 1) above, one of the most realistic hardships which is difficult to be overlooked before going toward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is that if Korea introduces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in the KUCPA case, it may conflict with the general attitude of major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legal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European Union explicitly exclude suchlike cases from the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while Germany and China, which appear to have slightly different appearance, are also evaluated to have meaningless or very low level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cognize that we do have a wide range of choices in the field of the KUCPA, unlike the patent and copyright field which is very uniform in the world. In this part of this article, it was emphasized that, if such a perception is premised, our own characteristic independent legislation is fully possible. Therefore, among the grounds in 1) above, the grounds that our legislators should seriously consider are other grounds rather than the fact that the above independent legislation may conflict with the legislative attitudes of major countries. In other words, if jurisdiction over the KUCPA case is concentrated, there could be concerns about inconvenience forum for defendants and pouring frivolous lawsuits, concerns about forum shopping will increase, and fundamental doubt about whether higher degree of centralization of jurisdiction where just few specialized courts will control almost all the Korea’s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is ultimately a proper direction in perspective of the unique nature of fair judicial system should be resolved in advance. In particular, regarding the last ground, I think that sincer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by everyone, regardless of the pros and cons of individual commentators, not only to the KUCPA-related issue covered in this article, but also to the overall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On the other hand, in analyzing the grounds related to the above 2), the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in the KUCPA case make, first in the aspect of qualitative improvement, the specialized judges to secure a sense of balance between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fair competition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unfair competition cases similar to the antitrust case while, in the aspect of quantitative improvement, it can also make the IP specialized court such as the Korean Patent Court to strengthen their adaptive capabilities for trial by providing enough relevant cases to bring up more professional judges. In addition,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a better condition will be created for that the trademark law and general unfair competition laws will be more harmoniously developed. In addition, all trade secret cases must be handled together with patent cases to create more effective case handling process because trade secret cases, which are related to technical information, may require a high degree of technical expertise for their dispute resolution and trade secret law demands a sharp balance with the patent law. The conclusion in this article is that it is much more reasonable to include all the KUCPA cases in the high degree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even though the Korea’s peculiar position which recognizes the trademark law case as a very subject of jurisdictional centralization like the patent case is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s discussion and analysis, assuming that such weird position will be firmly kept in the future.

      • KCI등재

        Trade Competence Reinforcement Strategywith Trade Network Analysis: Focused on ASEAN and KOREA

        Chunsu Lee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20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ASEAN 10개국과 한국에 대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교역량 증대로 무역의 발전 가능성 및 경쟁력을 내포하고 있는 연결정도 중심성(DC : Degree Centrality)은 수출에 있어서 싱가포르, 한국, 말레이시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입에 있어서는 싱가포르, 베트남, 한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무역에 있어서 가장 빨리 국제 환경에 적응하고 대비하는 순간적응력인 근접 중심성(CC : Closeness Centrality)을 보면, 수출 과 수입 면에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한국이 모 두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미얀마, 브루나이, 라오스가 무역환경 적응과 대 비가 약한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무역 흐름의 통제력을 나타내는 매개 중심성(BC : Betweenness Centrality)을 통해 중심국과 주 변국과의 영향력을 실증 및 시각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수입과 수출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수출에 있어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한국은 수출매개 중심성이 비슷한 높은 그룹 국가에 속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수출/수입 무역 영향력이 캄보디아, 인도 네시아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루나이, 라오스, 미얀마는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인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토대로 한국과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할 수 있다. 즉, 아세안 국가 중 중심성이 높은 국가를 파악하고 이를 선택하여 우선적으로 공략할 국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중심성이 낮은 국가들은 다양 하고 적절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identified important countries for ASEAN and Korea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in which trade strategies can be selectively and intensively applied. So, This study academically identified countries with high centrality for trade expansion. and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icient and policy analysis data for successful trade insurance with ASEAN countries having high centrality by applying a systematic and analytical social network methodolog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In this study, ASEAN nodes (countries) were obtained from statistical data in Export/Import amounts from the International Trade Center (ITC). Import and export data matrix was made for 10 ASEAN countries for year 2017 and was utilized for network analysis. NetMiner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egree,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Results :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of 10 ASEAN countries and Korea in this study produced following results. In terms of degree centrality,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trade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through increasing trade volume, Singapore, Republic of Korea and Malaysia had the highest centrality in exports in descending order. In imports, Singapore had the highest centrality and Vietnam and Republic of Korea in descending order. Closeness centrality, which reflects the instantaneous adaptation to prepare for and fast adaptation to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trade. Cambodia, Indonesia, Malaysia, the Philippines, Singapore, Thailand, Vietnam and Korea all showed similar levels of export and import closeness centrality. However, Myanmar, Brunei and Laos showed low levels of closeness centrality. In empirical and visual analysis of central nation and its neighboring nations through the betweenness centrality, which represents the control of the trade flow, showed similar results for both imports and exports. Malaysia, Singapore, Thailand, Vietnam and Korea were among the high group countries with similar export betweenness centralities. Cambodia and Indonesia seemed were relatively low in export betweenness centrality. In addition, Brunei, Laos and Myanmar were found to be very low in export betweenness centrality.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network analysis, it will be possible to seek a way to utilize choice and concentration strategy for Korea and ASEAN countries. In other words, countries with high centrality can be identified and then country choice can be made to target first. As for the economic and social expectations of this study, Korea can diversity trade risks and share investment on countries with high centrality and consequently enhancing Korean trade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