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에 대한 법적 쟁점의 검토

        최승필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7 행정법연구 Vol.- No.51

        새로운 기술혁명사회에서 새로운 재화 및 서비스의 출현으로 인해 정부부처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와의 관계에서 횡적거버넌스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그 기반으로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이 새로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행정정보 공동이용의 개념은 다의적이며, 법적인 쟁점을 다투는 주요대상은 협의의 의미로서 정보의 공동이용으로 개인정보와 일반 공중에게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대상으로 한다. 한편 행정정보의 재산성에 대해서는 행정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는 공공재적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공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전자정부법 제36조 제1항은 행정정보공동이용의 근거규정이다. 그리고 이 법 제37조는 행정정보를 행정기관간 일대일 교환방식이 아닌 데이터베이스 방식으로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나 행정기관간 핵심적인 행정정보의 자유로운 교환은 정책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요인과 타인에 의한 정책오류가능성의 검증에 대한 우려로 인해 여전히 활성화되어 있지는 않다. 행정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핵심은 각 개인에 대한 사항으로 개인정보이다. 따라서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은 개인정보보호와 충돌한다. 개인정보보호법은 수집된 정보의 목적 외 사용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법률에 따라 또는 법률에서 정한 소관업무의 수행을 위해 해당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이 필수적인 경우 등에서는 개인정보의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행정은 끊임없이 이용정보의 확대를 요구하는 반면, 개인은 자기정보결정권이 침해되지 않기를 바란다. 따라서 행정의 효율성과 개인의 정보보호는 여전히 긴장관계에 있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해서는 정보수집 및 활용상 절차적 통제가 필수적이다. MOU 방식을 통한 정보의 공동이용은 가장 빈번히 이용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째, MOU 자체의 구속력이 불명확하다. 둘째, 개인정보를 단순히 MOU를 근거로 타 행정기관에 제공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법에 위반될 수 있다. 셋째, MOU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제공받는 기관이 개별적으로 각 개인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특정영역을 전제로 설치와 활용에 있어 법적근거를 갖춘 행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플랫폼을 검토해볼만 하다. 물론 플랫폼이 대상으로 하는 정보는 원데이터를 포함한다. 개인정보주체의 권리보장은 행정정보로서 개인정보활용의 전제이다. 전자정부법 제42조는 행정정보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주체의 사전동의를 받을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의 최대발현은 개인정보의 활용거부이다. 그러나 오늘날 정보는 공공재라는 면에서 비례의 원칙을 통해 그 범위를 정할 수밖에 없다. 정보관리의 소홀 그리고 이로 인한 유출 및 누설에 대한 벌칙규정의 강화도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에 있어서 제도적 기반이 된다. 따라서 정보의 취급 및 관리ㆍ이용에 대한 내부컴플라이언스도 중요하다. 횡적거버넌스의 달성은 협력적 행정의 기반이며, 그 시작은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에 있다. Due to the emergence of new goods and services in new technological revolution society, horizontal governance became important in a relationship with local governments including government ministries, and for its basis, sha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is magnified as a new issue. The concept of sha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is polysemous, and the legal issue is information sharing with a meaning of consultation, targe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hat hasn'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Information that administrative offices have has characteristic of public goods, but it is hard to be considered to be a government issue. The first clause, Article 36 of Electronic Government Act is the basic regulatio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and Article 37 of the act is the basis of the joint 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not in the way of one to one exchange between ministries, but in the way of a database. However, because of the worries about factors to preoccupy political superiority and about the examination of policy error by others, free exchange of core administrative information between ministries is still not activated. The core of the information that administrative agencies have is an issue about each person, which is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sha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conflicts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hibits the use of collected information with purposes other than its original purpose in principle. However, exceptionally, according to an act or for conducting a matter under the jurisdiction that was designated by the act, if the u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other purpose is essential, utilizing the information is possible. However, since there's a possibility that it can also be limited to use it, the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re in strained relation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 in use is essential. Information sharing in the form of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i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pointed out. First, MOU itself has unclear binding force. Second, presenting personal information to other administrative agency only by MOU may be against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ird, to receive and use the information through MOU, the agency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must get an agreement from each person. Therefore, with a certain field as a premise, making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having a legal basis for installation and use is worth consideration. Guaranteeing rights of the subjec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the premise of using it as administrative information. Article 42 of Electronic Government Act made it a rule to get prior consent from the subject to use it as administrative information. The maximum expression of rights of self-determination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is rejecting to use the information. However, in terms that the information is public goods, set the scope through proportionality is necessary. Reinforcing penal provisions on the carelessness of managing information and spill and leakage due to it can be the institutional basis for sha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Therefore, internal compliance for handling, manag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is important. Achieving horizontal governance is the basis of cooperative administration, and its start is up to sha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Utilizatio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이민영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가천법학 Vol.4 No.3

        Current discussions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ere first raised in the realization process of the administration procedure which purports to secure fairness, transparency and trustworthiness of public service and to guarantee of citizen’s rights.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ims to achieve democracy,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in public service by promoting participation of general public in administrative affairs, so it is essential that the general public gets access to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held by public offices. However, as it becomes possible for an individual to provide administrative information to offices or to get access to it, and/or even to disclose certa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to general public, it is required that proper legal restriction of those uses which by their characters contain private information. Therefore, previous system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and protection which functioned under each related procedures, came to be re-established as a separate set of regulations on the treatmen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Some of the background concerns are tha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established the electronic governmen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digitalized private information by making individual information to be managed electronically as a whole, and that disclosure and sharing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may, by its own character, conflict with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apply and enforce the regulation in a way that does not cause conflict among the Constitutional Right to knowledge, administrative demand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studies appropriateness of restriction on the right of information subjects with respect to personal information as a reverse function of first, sharing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by the computer system and networks through which speed and accuracy of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s secured, geological and time limitation is overcome and paperwork is reduced, and secondly, of the collection of image information by CCTV for the purpose of crime prevention and police force workload reduction. While information privacy is the right to privacy as an object of corresponding categories and power related to personal data and interpreted as a positive means to organize form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legal protection and lawful utilization, it is crucial to form legitimate the legal relationship of rights and obligations free from the fixed idea of denial and disbelief about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such as government or private companies first of all. As a result, it is required to set up a thick layer of protection to be protected and rationally use to be used for establishing institutional framework on redefining information privacy. This article, in this basis, argues the amendment of EGA and IPA with information-related law and data protection principles for constitutional legislative system of information privacy.

      • KCI등재

        행정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Lee, Min-Yeong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가천법학 Vol.4 No.3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종래의 논의는 행정의 공정성·투명성·신뢰성의 확보 및 국민권익의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행정절차의 실현과정에서 제기된 것이다. 행정절차는 국민의 행정참여를 도모하여 행정의 민주화·적정화·능률화를 꾀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바, 여기서 행정청을 포함한 공공기관과 대등한 위치에 당사자로서의 국민을 설정하기 위해공공기관이 보유한 행정정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기관에 행정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용토록 하기도 하고 행정정보를 직접 국민에게 공표하도록 하면서 오히려 그 개념상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밖에 없는 행정정보의 활용에 대한 적절한 제한설정이 요구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적절한 행정절차에 부차적으로 기능하던 기존의 행정상 정보공개 및 정보보호 제도가 정보사회를 수렴하는 행정정보에 관한 규범으로 체계화되기에 이르렀다. 그와 같은 배경에는 전자정부의 출범요인인 정보기술의 발전은 개인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히려 디지털화된 개인정보의 유출 가능성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점과 전자정부의 구현원리이자 운영원칙인 행정정보의 공개 및 공동이용은 대상정보의 성격상 개인정보보호와 상충될 수 있다는 점이 관여한다. 따라서 헌법상 알 권리·행정수요·개인정보의 보호가치가 모순되지 아니하도록 관련 법규범의 조화로운 적용과 실천적인 운용이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컴퓨터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방법으로 정보전달의 신속성·정확성 확보, 지리적·시간적 한계의 극복, 종이문서사용의 절감 등의 효과를 유발하는 행정정보의 공동이용 및 범죄예방이라는 공익적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폐쇄회로텔레비전을 운용함으로써 경찰인력의 소모를 감쇄시킬 수 있는 화상정보의 수집이라는 행정정보의 활용이 지니는 역기능으로서 개인정보에 관한 정보주체의 권리제한의 적합성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지난 해 5월 5일부터 시행된 「전자정부법」은 행정정보 공동이용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는 반면 지난 9월 30일부터 시행된 「개인정보 보호법」은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운용에 관한 제한을 설정하면서도 정보주체의 권리보장을 명시하고 있기에 상호 충돌된 가치에 있으므로 그 향방이 주목될 뿐 아니라 두 쟁점 모두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행정정보 활용에 관한 것이기에, 결국 헌법상 일반원칙에 부합하고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국제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되짚어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와 관련하여 위 두 법률의 상호관련성에서의 바람직한 개정방향의 단초를 짚어보아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장에 관한 헌법합치적 법제도를 타진해본다. Current discussions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ere first raised in the realization process of the administration procedure which purports to secure fairness, transparency and trustworthiness of public service and to guarantee of citizens rights.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ims to achieve democracy,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in public service by promoting participation of general public in administrative affairs, so it is essential that the general public gets access to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held by public offices. However, as it becomes possible for an individual to provide administrative information to offices or to get access to it, and/or even to disclose certa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to general public, it is required that proper legal restriction of those uses which by their characters contain private information. Therefore, previous system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and protection which functioned under each related procedures, came to be re-established as a separate set of regulations on the treatmen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Some of the background concerns are tha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established the electronic governmen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digitalized private information by making individual information to be managed electronically as a whole, and that disclosure and sharing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may, by its own character, conflict with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apply and enforce the regulation in a way that does not cause conflict among the Constitutional Right to knowledge, administrative demand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studies appropriateness of restriction on the right of information subjects with respect to personal information as a reverse function of first, sharing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by the computer system and networks through which speed and accuracy of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s secured, geological and time limitation is overcome and paperwork is reduced, and secondly, of the collection of image information by CCTV for the purpose of crime prevention and police force workload reduction.While information privacy is the right to privacy as an object of corresponding categories and power related to personal data and interpreted as a positive means to organize form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legal protection and lawful utilization, it is crucial to form legitimate the legal relationship of rights and obligations free from the fixed idea of denial and disbelief about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such as government or private companies first of all. As a result, it is required to set up a thick layer of protection to be protected and rationally use to be used for establishing institutional framework on redefining information privacy. This article, in this basis, argues the amendment of EGA and IPA with information-related law and data protection principles for constitutional legislative system of information privacy.

      • KCI등재

        행정정보통신망 이용에 따른 개인정보침해에 관한 고찰

        張校湜(Jang, Kyo-Sik),趙廷恩(Cho, Jung-Eun) 韓國土地公法學會 2010 土地公法硏究 Vol.51 No.-

        전자정부의 구축으로 모든 정보를 디지털로 전환할 수 있게 되면서 국가의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여러 기관들에 의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이란 행정기관이 보유 또는 관리하고 있는 행정정보를 다른 행정기관이 정보통신망에 의하거나 디스켓, 테이프 기타 이와 유사한 매체에 의하여 제공받아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전자정부의 구현과 발전을 위하여 핵심적인 것이 바로 이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으로 인해서 행정서비스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반면, 개인정보의 침해가능성은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정부를 포함한 수많은 공공기관들이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으로 행정정보에 포함된 자신의 개인정보가 언제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 파악하기 어려워 그 침해가 다른 경우보다 훨씬 심각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따라서 행정정보통신망을 통한 정보공동이용으로 인한 개인정보의 침해 가능성과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관련 법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개인정보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 개인정보의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전적 예방 수단으로서 개인정보 사전영향평가제도를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개인정보처리자에게도 의무화하고, 주민등록번호의 대체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기존의 개인정보에 대한 개념을 변화하는 상황에 맞추어 보다 넓게 규정해야 하며, 개인정보의 침해 시에는 법적 처벌의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또한 정부 규제와 자율 규제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계화시대에 걸맞게 개인정보이동에 대한 국제협력을 구체화하여야 한다. The sharing of information among government agencies through the national super-highway information network became available due to construction of e-government.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means that government agencies are provided with managed informations by information network, disk, tape or other similar media and use those informations. It can be at the core of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e-government. Due to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by the way, administrative service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fficiently and the possi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s have been increased at the same time. Especially, the violations can be more serious because it is hard to know how the personal information are used due to inner connection among government agencie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by sharing information through administrative information network and nee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related legislation. Ultimately, the assess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mpact should be imposed as prevention measure and the alternative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should be arranged in order to prevent privacy breaches. And the existing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specified more broadly and the clear evidence of legal punishment should be offered in case of vio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esides, \government regulation should be harmonized with self-regul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bout the m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taken concrete for the age of globalization.

      • KCI등재

        Who Supports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in Kore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Citizens Profile

        박정훈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08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23 No.1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is being promo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an innovative meas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At the same time, public concerns for privacy infringement are escalating. The core controversy is whether the policy can offer strong public goods to offset the cost of the potential infringement of privacy rights. Since it is citizens who will pay the cost of restricted privacy rights, according to the policy, administrative information-sharing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horoughly from the citizens’ 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clarify factors affecting citizens’ policy-supportive attitudes toward administrative information-sharing.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public trust in government, public opinion, policy benefit, and privacy concer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itizens’ support for the policy.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order to draw ou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sharing in Korea.

      • 행정정보공동이용과 정보인권

        장진숙(Jin-Sook Jang)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0 인권복지연구 Vol.- No.6

        본 논문에서는 정보사회의 도래와 전자정부의 등장에 따른 행정정보공동이용으로 인하여 헌법상 보장되는 기본권인 개인정보의 보호와 자기정보관리통제권의 정립가능성을 모색하고, 보장의 내용 및 한계와 제한을 기본권 보장의 체계적 측면에서 구체화하며, 나아가 이러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헌법적 근거와 법률체계의 구체적 내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결과를 토대로 전자정부 구축에 따르는 ‘행정정보공동이용’과 ‘자기정보관리통제권’이라는 서로 상충될 수 있는 두 개의 법적 가치가 각각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법제정비 방안의 도출 및 보다 바람직한 입법방향의 제시를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헌법상 보장되는 정보인권의 보호를 위해서는 개인정보침해를 사전적으로 예방하거나 사후적으로 구제하기 위한 법제의 정비와 이에 못지않은 보안 시스템이나 보안 프로그램의 개발과 같은 기술적 차원의 연구개발도 중요하다. 하지만 여기서는 규범적 차원에서 개인정보보호 및 자기정보관리통제권에 대한 법제도적 보호방안에 주안점을 두고 규범적 방법에 입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 나아가 자기정보관리통제권의 확보를 위해서는 정보주체가 자신의 정보에 대해 익명 또는 삭제를 청구할 수 있는 한편, 정보처리상황에 대해 설명을 들을 권리를 보장하며, 전산화에 의하여 확대되는 조직의 권력을 적절하게 통제하여 개인정보의 남용을 억제하기 위한 외부통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된 개인정보보호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전자정부를 운영함에 있어서는 사전영향평가제가 도입되어 개인정보를 수집하기 전부터 개인정보 침해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국가 예산절감의 효과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ⅰ)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individual's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as fundament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administration information sharing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information society and electronic government, ⅱ) to specify the content of and restrictions on the guarantee of those fundamental rights in a systematic way, ⅲ) to examine the constitutional basis, and the specific contents of and problems of the law system, and thereby, ⅳ)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e legislative system, and more appropriate future direction of legislation so that the two values, 'administr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the individual's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become able to fully function, otherwise they might conflict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electronic government. In order to protect human rights to information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what is most needed is prev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nd improvement of legal system to provide remedy for it. The tech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curity systems and programs is also imperativ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however,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t a normative level, and on the legal ways to secure the individual's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From a more fundamental point of view, to pursue this goal, it is regarded as necessary to set up the independent organiz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plays the role of external security control against personal information abuse by increasingly expanding power of organizations due to computerization. Through the organization, the agent of the information provided would hopefully be guaranteed the right to demand anonymity or deletion of his or her own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be provided with explan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ate. Besides, the introduction of the preliminary examination system of the effect should be considered in operating e-government to keep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from occurring and to reduce the national budget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행정정보 공동이용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정책과제

        김민호(Kim, Min Ho)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1

        Expansion of knowledge indicate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Economist Peter F. Drucker stated in the ‘Post Capitalist Society’ that the ‘knowledge’ would become the 4th essential factor in the new economical society in addition to labor, capital and land. He therefore emphasized that the economical development of society would be “determined by a production factor” called ‘knowledge’. Knowledge already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 generator of a nation surpassing the academic aspect for satisfaction in the literature curiosity. Therefore Government shows a keen interest in using and sharing of public information. The first value of the information is precision. It means there aren’t any errors and it is an essential factor to the decision makers. All decision makers obviously want precise information, but reality at work does not always accord. However, imprecise information is not raised as a serious problem as long as it dose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use of information. The precision of information should always be maintained. Second, there may be relations. Information has their value when making relations with the applicable factors of a decision maker. Information is said to have relation when it is used to fulfill the purpose of need for the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has an actualvalue when making relation with the requirement of the decision maker. Third, appropriate timing is an issue. Information has a periodical value. It only has a value when provided at a time the decision maker requires. However generally public information contains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For reasons of this, we should seek reasonable way how we can share public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how we can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article, my claim is that statute relating to share public information must have to be legislated by congress for sharing public information between administrative organs and executive agencies.

      • KCI우수등재

        행정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법ㆍ규제 분석

        김예진(Taisiya Kim),김보라미(Borami Kim),이봉규(Bong Gyou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1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6 No.3

        스마트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행정정보가 사회ㆍ경제적 가치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부각되고 있다. 행정정보는 수집기관과 분야가 다양하고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공유와 법적 근거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행정정보 활용 시 저촉되는 법ㆍ규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행정정보 공유 프로세스를 유형화하고, 그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법ㆍ규제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행정정보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명백한 입법 기반의 마련이 시급하며 행정정보를 수집ㆍ가공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 연구는 정책적 자료 및 가이드라인으로서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도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appearance of smart devices and cloud computing services, the social and economical value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have been magnified as valuable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better use of various administrative information generated by diverse government organization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formation sharing based on legal systems is essential because of several obstacles including privacy. To suggest practical ways for us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process, and analyzed the regulations and legal systems that are contradictory to the regulations. The result of analysis appears that there is a need of legislative base for well-defined business use of information, and a need of the organizations, that available to collect and manufacture the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make legislation contributions not only for industries, but also by suggesting the policy making and guidelines to protect privacy and improve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 KCI등재

        한국경찰의 융합행정현황과 발전방안

        석청호 한국공안행정학회 201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2 No.3

        최근 미국을 비롯한 서구 선진국들은 공공정책집행이나 공공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부처간의 융합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안전행정부가 중심이 되어 부처관 관련성 있는 업무에 대해 협력을 통해 행정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융합행정을 제도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이 연구는 융합행정과 관련하여 치안행정 분야의 융합행정의 현황과 향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치안행정 분야 융합행정의 대표적인 사례로 실종아동 등 찾기 정보공유,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 112 신고로 전화금융사기 예방 및 신속한 피해회복처리 협력, 자동차 과태료 일괄 압류 해제 납부시스템 구축, 소규모 도서 치안관서 융합행정, 해수욕장 안전관리 통합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치안행정 분야 향후 융합행정이 필요하고 확대ㆍ발전시켜 나야가할 분야를 경찰기능별로 제시하였다. 생활안전 분야에서 경찰업무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주취자에 대한 효율적 처리를 위해 경찰과 소방, 지방자치단체 등과의 융합행정이 필요하다. 수사 분야에서는 형사사법기관별 별도로 운영되기 때문에 기관 상호간 정보공유 마비로 인해 국민을 불안에 떨게 하는 성폭력 등의 흉악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자를 신속하게 검거하기 위한 형사사법기관간의 정보공유에 대한 융합행정을 확대시켜 나갈 것을 제시하였다. 경비ㆍ교통 분야에서는 각종 재난발생시 유관기관 상호간 유기적인 대응을 위한 융합행정과 정보ㆍ보안 분야에서는 최근 북한의 경제적 사정 악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북한 이탈주민들의 국내정착을 지원하는데 있어 융합행정이 요구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방행정 개편관련 향후 자치경찰제가 시행될 것으로 보이지만 지방행정 개편이 아직 미미한 현 단계에서 국가경찰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지역치안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구로 지역치안행정협의회를 활성화시킬 것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치안행정 분야 융합행정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조건들이 필요하다. 첫째, 치안행정 분야 융합행정은 경찰 자체의 노력만으로만 성취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관련기관들 간의 목표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둘째, 융합행정에 참여하는 기관간의 권한과 책임을 명확화 하기 위한 법률의 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융합행정을 통해 예산 등이 절감되고 대국민 서비스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융합행정 성공에 대한 인센티브가 주어지도록 해야 한다. 가령 융합행정 성공에 대한 성과급 보상이나 특별승진 등이 필요하다. Recently the United States and other Western developed countries is emphasized integrated approach in the public policy enforcement and to provide public servic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has been promoted to integrated administration since 2010 through a collaboration between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ve. This study suggested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police integrated administration in Korea. First, the field of public security adminstration as a prime example of integrated administrative find missing children,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CCTV integrated control system, a call to 112 reported fraud prevention and rapid damage recovery process collaboration, a fine batch of cars seized to pay off system, public security authorities in small island administrative convergence, beach safety management and integrated operation are presented. Following integrated administration of police administrative areas requires and expand in future. In the field of Life Safety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police work effectively for the treatment for drunk man police and fire protection, local governments need of integrated administration. Investigation in the field of criminal justice institution operating separately because due to lack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agencies and the people to tremble with anxiety and other serious crimes of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arrest criminals quickly to information sharing among criminal justice agencies for integrated administration by expanding suggested that out. In the field of disaster-related guard and transportation related organization integrated administration is required. Finally, the implementation is not yet local police system at the present time the national police and local governments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the security area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 Community Safety Committee.

      • KCI등재

        감정평가 3법 체제에 있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입법 정책

        홍성진(Hong Sung Ji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6 土地公法硏究 Vol.75 No.-

        2016. 9. 1 시행되는 감정평가 법령은 감정평가 정보체계를 규정하고 있는데, 감정평가 정보체계에 등록하여야 하는 개인정보는 재산권, 사생활 및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런데 감정평가 법령상 개인정보 관련 감정평가 정보체계 규정은 법률유보 원칙 및 비례의 원칙을 위배하고 있고 개인정보 수집범위를 일탈하는 등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침해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정보는 일단 수집되면, 공공기관 관리자의 불법 행위 방지 또는 해킹 방지 등을 위하여 고도의 주의를 기울인다고 하더라도 무단으로 개인정보가 검색 또는 유출되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감정평가 관련 법령에서는 감정평가 정보체계에 수집·등록하는 개인정보에 대하여 법률유보의 원칙 및 비례의 원칙을 준수하도록 개정되어야 하고, 특정한 이용목적 및 필요최소한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및 실질적 동의제도를 마련하는 등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입법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Act on the appraisal and assessment that pre-announcement of legislation is regulate the appraisa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property rights, privacy and safety. But the appraisal information system regulation of the “Act on the Appraisal and assessment” is contrary to both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es and the proportionality and violates the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that deviates from the range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If such personal information, once collected, even though pays highly attention to prevent illegal acts or hacking prevention of public authority manager may be unauthorized personal information is retrieved or spills and then frequently happen to invasion of privacy. Therefore, “Act on the Appraisal and assessment” should be amended to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es and the proportionality to protect of personal information once collected and registered in the appraisal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that will be arranged legislative policy and provided guidelines, effective assent system in a way such as limit within a specific intended use and requires minimal range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