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청소년의 현황과 분석

        임영상(Yim, Young 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1. 고려인 청소년들은 전문직이나 고위관리직에서 일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특히 경제상태가 좋지 않은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전공과 무관하게 한국기업에서 일하고 한국 관련 일을 하고자 한국어 공부에 적극적이었다. 종교는 개신교의 비중이 높았는데, 이는 한국과 미국에서 파송된 한인선교사들의 활발한 선교활동의 결과라고 생각된다. 2.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인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이 높고 가족의 수입도 평균 이상으로 인식했다. 부모의 직업도 전문직과 고위직이 많았으나 자영업과 판매업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제이행 및 중앙아시아 국가의 독립에 따라 많은 고려인 전문직 종사자들이 소규모 비즈니스로 직업을 바꾼 결과가 반영되었을 것이다. 3. 고려인 청소년 부모들은 한국사회에 호의적이며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에 열성이고 한민족끼리 결혼하기를 희망하고 한국음식을 즐겨 먹고 있으나 자녀들과 한국어로 대화하는 것은 극히 소수의 비율에 그쳤다. 소비에트 시민으로 살아온 부모세대들은 이미 한국어 구사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4. 고려인 청소년들에게 한국은 이미 역동적이며 친밀한 나라가 되었다. 한국인에 대한 평가도 높게 나왔다. 그들은 한국어를 유용한 언어로 생각하고 한국방문 및 연수에도 적극적이다. 한국영화와 드라마, 즉 한류(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불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 청소년들의 한국 뉴스에 대한 관심도는 높지 않았다. 5. 고려인 청소년들은 부모님과 생활하며 한민족 고유의 명절과 전통인 설, 한식, 단오, 돌, 환갑 등을 아직까지는 잘 기념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 구사능력을 상실한 그들 부모세대와 달리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적극적으로 배우고 있음이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고 쓰기 능력에 대한 설문에서 확인되었다. 6.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민족의 일원으로서 자긍심을 느끼고 있고 한민족의 역사, 전통, 관습 등에 대해 알려고 노력하고 있다. 높아진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고려인단체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저조한 것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고려인협회의 분열상과 자체 역량 부족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7.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국과의 관계형성 및 교류를 지속적으로 원하고 있으며, 한국 청소년들과의 인터넷사이트를 통한 교류에 적극적이다. 또한 그들은 한국정부의 유학 및 취업지원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정보의 공유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8. 러시아 이주와 관련한 고려인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뿌리와 한민족의 최대 비극인 1937년 강제이주의 역사, 또한 그들의 선조들이 정착한 중앙아시아의 콜호즈 또한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고려인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미래와 관련, 학업을 통한 신분상승과 성공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신들의 미래에 대해서는 많은 기대를 하고 있고 전반적으로 낙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Ethnic Korean young people in CIS hope to work in professions or high-ranking management positions. However, in Central Asia, especially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of Uzbekistan are aggressive in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to work in Korean companies and to get a job related to Korea without any connection to their majors. Protestantism is given more weight on religion. It is the result of vigorous missionary works of Korean missionaries dispatched from Korea and the United States. 2. In the case of Ethnic Korean young people in CIS, the rate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parents is high and they recognize that family's income is above average. A lot of parents work in professions or high-ranking management positions, and the rate of running their own businesses and sales business is relatively high. This status reflects that many ethnic Korean workers in professions changed their jobs into small businesses according to the shift to an open economic system and the independence of Central Asia. 3. Ethnic Korean young people's parents have favorable opinion about Korean society, passion for children's education, hope for marriage among Koreans, and favor with Korean food. However, the rate of talking with their children in Korean is low because parents who have lived as the Soviet citizens have no proficiency in Korean any more. 4. To ethnic Korean young people, Korea is already considered as an active and familiar country, and Koreans are in high opinion. They think the Korean language is very useful. In this reason they are aggressive in visiting Korea and studying in Korea. The Korean Wave from Korean movies and dramas is confirmed, while they give a little attention to Korean news. 5. So far, living with their parents,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celebrating Korean traditional holidays and anniversaries such as Seol(New Year's Day), Hansik(mow the grass and offer sacrificial food at the ancestral tombs), Dano(festival on May 5th), Chuseok(harvest festival), Dol(first birthday), and Hwangab(60th birthday). Unlike their parents who have no proficiency in Korean, they learn Korean eagerly as a foreign language. It is checked by the questionnaire asking about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6.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proud of being members of the Korean race, and try to know about Korean history, traditions, and customs. It has resulted from the fast growing international presence of Korea. However, the poo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ethnic Korean organizations are presumed because of the disruption of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its ability except a few regions. 7. Ethnic Korean young people want continuous interchanges and relations with Korea, and they are aggressive in interacting with Korean young people via internet sites. Also, they show great concerns about the support of Korean government in studying and getting a job in Korea, indicating the lack of sharing information. 8.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not quite sure of their roots, the history of 1937 Diaspora which is the worst Korean tragedy, and kolkhoz in Central Asia where their ancestors settled. 9. Relating to their future, ethnic Korean young people want to succeed and enhance their social standing through studying. They generally expect a lot and take an optimistic view about their future.

      • KCI등재

        한국 사회 청년 세대는 무엇을, 어떻게 꿈꾸고 있는가?: 빈곤 청년과 비빈곤 청년의 꿈 준비 경험을 중심으로

        김지혜,정익중,조윤호,남미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3 한국청소년연구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youth policies and programs by exploring in-depth what the young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dreams of or aspire to, how they are preparing for their dreams, and whether there are gaps and inequalities within the generation in their dreams. To this e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nine people, including five poor young people and four non-poor young people in their early and mid-20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by applying the topic analysis method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contents of the dream itself, it was found that poor young people wanted to live a stable and happy life, but could not afford their dream, and non-poor young people wanted to live a free and helpful life.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path of these dreams, poor young people tended to be struggling alone because there were no family members or adults around them to talk about their careers, and non-poor young people were able to receive dream-related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from their families and acquaintances. Third, as a result of the search for capital to finance their dream, poor young people suffered from economic difficulties, interpersonal difficulties, and lack of dream-related information and support systems, and non-poor young people had increased their confidence that they can achieve their dreams through the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those around them. Finally,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way of reaching these dreams, both poor and non-poor young people were looking for jobs that fit their aptitude and were rewarding, but poor young people also found new dreams that were compromised with their difficult rea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ies to better support young people's dreams and career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 청년 세대가 무엇을 꿈꾸고 있으며, 어떻게 그 꿈을 준비하고 있는지, 청년의 꿈 속에 세대 내 격차와 불평등이 존재하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청년 정책과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대 초중반의 대학생 또는 취업준비생인 빈곤 청년 5명과 비빈곤 청년 4명, 총 9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주제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꿈의 내용 탐색 결과, 빈곤 청년은 안정적이고 행복한 삶을 살기를 원하고 있으나 꿈을 꿀 여유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빈곤 청년은 자유롭고 도움이 되는 삶을 살기를 원하고 있었다. 둘째, 꿈의 경로 탐색 결과, 빈곤 청년은 주위에 진로를 함께 이야기할 가족이나 어른이 없어서 홀로 고군분투하고 있었으며, 비빈곤 청년은 가족과 지인들로부터 꿈 관련 정보와 기회를 얻고 있었다. 셋째, 꿈 자본 탐색 결과 빈곤 청년은 경제적 어려움과 대인관계 어려움,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꿈을 이룰 자신이 없으나 때로는 힘든 시절을 극복한 경험이 힘이 되기도 하였다. 비빈곤 청년들은 주위의 격려와 지지로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이 높아지기도 하였으나 때로 주위와 자신을 비교하면서 위축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꿈의 방식 탐색 결과, 빈곤 청년과 비빈곤 청년 모두 자신의 적성에 맞고 보람 있는 직업을 찾고 있었으나 빈곤 청년은 힘든 현실과 타협한 새로운 꿈을 찾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년의 꿈과 진로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년기본법」 제정의 의의와 청년정책의 방향성 고찰

        전경숙 국회입법조사처 2021 입법과 정책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Basic Act for Young People」 enacted in February 2020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policy for young people. This study focuses on devising policies to promote the act’s effectiveness by analyzing policy improvements that can be raised in the active enforcement’s initial stage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polic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job policy and employment support policy for young people. Second, the policy consideration of the young people’s reality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measures for vulnerable young people, is lacking. Third, patterned project operation type and the projects’ subjects are slanted in favor of people stepping into the society for the first time and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study result, this study proposes a policy direction and tasks to perform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Basic Act for Young People」 as follows: the establishment of public consensus on policy vision and goal, the expansion of areas in the policies for young people from job-centered policy to social and cultural areas, policy development for vulnerable young people and the construction of an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on current policy. 본 연구는 2020년 2월 제정된 「청년기본법」 제정의 의의를 살펴보고, 향후 청년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법 시행 초기 단계에서 제기될 수 있는 정책 개선점을 분석하여 법의 실효성 제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도출된 주요 정책시사점은 첫째, 그간 정부 정책은 주로 청년 일자리와 취업 지원 정책에 집중되었고, 둘째, 청년층의 현실과 특성에 대한 정책적 고려 미흡, 취약계층 청년 대책이 부족하며, 셋째, 정형화된 사업 운영방식, 정책대상이 사회초년생과 대학생 위주로 편향된 점 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정책 비전과 목표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정책 기조 확립, 일자리 중심에서 사회문화 전 영역으로 청년정책 영역 확대, 취약계층 정책개발, 기존 정책에 대한 평가 및 환류 시스템 구축 등을 청년기본법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년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목회 연구

        김성중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8 영산신학저널 Vol.0 No.44

        The crisis of Korean churches is because the number of young people in the church has fallen sharpl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number of young people is rapidly falling, Korean churches are not interested in ministry for young people. Young people are not treated as adults in the church. Not only that, but they are not treated as children who need care. Despite the changing times, still young people are regarded as workers in the church, and they are doing a lot of service work in the church. Korean society is a society where young people are hard to live in. If one passes a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becomes a college student, one should put one’s whole efforts into preparing for employment. After getting a job with difficulty, one should work and work, reading one’s countenance of the boss. There are a lot of young people who have abandoned marriage because the cost of marriage is so high. In this situation, Korean churches should do ministry for young people. More specifically, education ministry for young people should be implemented in Korean churches. Because young people are still in need of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them to learn. The education ministry is that education and ministry are not separated, but education is done in all areas of ministry. In this paper, I have studied systematic education ministry for young people with the theory of education ministry. I looked at the five areas of education ministry: “Kerygma,” “Leitourgia,” “Didache,” “Koinonia,” and “Diakonia.” I am confident that I can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study in regard of the ministry for young people in Korean churches because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is paper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ministry for young people in Korean churches. 요즘 한국교회가 위기라고 말한다. 한국교회의 위기는 교회 안에 청년층의 숫자 가 급감하였기 때문이다. 청년들의 숫자가 급감하는 현실 속에서도 한국교회는 청 년들을 위한 목회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청년들은 교회 안에서 어른으로 대접받 지 못한다. 그렇다고 돌봄이 필요한 아이로 생각하지도 않는다. 시대가 변화되었음 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년들은 교회에서 봉사해야 하는 존재로 여겨지며, 교회 안 에 여러 봉사의 수고를 감당하고 있다. 한국 사회는 청년들이 살기에 힘든 사회이 다. 치열한 대학 입시를 치루고 대학생이 되는 관문을 통과하면, 이내 취업을 위한 준비에 온 힘을 쏟아야 한다. 어렵게 취업에 성공하면 말단 사원으로 이 눈치, 저 눈 치 다 보면서 일하고 또 일해야 한다. 결혼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결혼을 포 기한 청년들도 제법 많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는 청년들에게 더 많 은 관심과 사랑을 쏟아야 한다. 그리고 청년들을 위한 목회를 해야 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청년들을 위한 교육목회를 감당해야 한다. 왜냐하면 청년들은 아직 배 워야 하는, 청년들에게 적합한 교육이 필요한 존재이다. 일반목회에서는 교육이 목 회의 한 영역으로 이해되어지나, 교육목회에서는 교육과 목회가 분리되지 않고, 목회의 전 영역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목회의 이론을 가 지고 청년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목회를 연구했다. 교육목회의 5가지 영역인 “케 리그마,” “레이투르기아,” “디다케,” “코이노니아,” “디아코니아”를 살펴보고 각 영 역에 맞는 청년들을 위한 교육목회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 청년 부에 직접 적용해서 시행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교회 청년목회 연구에 작게 나마 공헌을 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 KCI등재

        참 빛으로 함께 걸어가는 길: 지학순 주교의 가르침 안에서 나타난 현대 청소년 사목 방향에 관한 연구

        이진옥(Lee, Jin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3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중심으로 보편 교회는 청소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인다. 단순히 신앙 교육의 대상이었던 청소년의 주체성(Subjectivity)을 강조하면서 청소년이 능동적으로 교회 선교 사명에 참여하며, 자기 삶 안에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며 살아가길 요청한다. 이러한 보편 교회의 요청은 지학순 주교의 행적과 가르침 안에서도 나타난다. 지학순 주교는 진광학원 설립을 통해 청소년의 지식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전인적인 성장을 지향하며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공동선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인도했다. 또 지학순 주교는 청소년이 인류와 사회의 미래일 뿐만 아니라 교회와 사회를 더욱 젊게 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확신했다. 그래서 1973년 사목 지침 ‘생활 속에서 그리스도를 찾자’에서 지학순 주교는 청년을 모든 활동의 중심에 두었다. 청년회가 중심이 되어 지금까지의 형식적인 신앙 활동에서 벗어나 교회 선교 사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를 바랐다. 이를 통해 그 당시 교회가 영성 생활과 사회 행동에 있어 잃어버린 교회의 청춘을 회복하고, 청년은 교회를 통해 신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사회 정의가 이 사회에 실현되길 바랐다. 지학순 주교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바라는 청소년의 능동적인 참여에서 한발 더 나아가 제15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에서 주장한 대로 청소년은, 교회와 함께 걸으며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공동선에 이바지하며 세상 안에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며 살아가길 바랐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날 보편 교회가 강조하는 공동합의적 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이처럼 지학순 주교의 청소년에 대한 관심은 현대 청소년 사목 방향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direction of modern Youth Ministry base on the teaching of Bishop Tji Hak Soun. The Second Vatican Council was convinced that the youth can help the Church keep herself young. Consequently the subjectivity of young people to evangelizing the world was emphasized. Especially, the Church clearly organized the role of young people to realize the issue of social justice and to aspire for the common good in their daily life. For this, the Council asked young people look upon the Church’s youthful energy. Pope Francis recommended an importance of the positive role of young people for renewal in the Church and society in the Post-Synodal Exhortation 『Cristus Vivit』. In this document, he clearly appeal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youth. The Church needs young people to keep her young and can prevent her from becoming corrupt. In addition, young people can discern their life through the vision of faith. Like this idea of the universal Church can be discovered in the teaching of Bishop Tji Hak Soun. He looked to young people with confidence and with love. He believed that young people are the hope of the Church and society for its renewal. Therefore he stressed their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mission of the Church and what the universal Church expected to young people. This idea can be foun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Jin-Kang Institute and in his pastoral letter of “Find Christ in our daily life” (1973). Bishop Tji, aimed to develop not only their intellectual growth but also their moral and spiritual growth. Moreover, when he tried to implement his pastoral letter, 1973, he put young people at the core of it. He hoped young people would evolve from a formal faith life and find their identity as a good Christian and thereby finally, be involved in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Moreover, they can help the Church keep her young people and vitalize their enthusiasm to build of Kingdom of God into the world. Beside, young people can decide their life towards God through their vision of faith as emphasized from the universal Church and thus realize the understanding of Synodality. From here, we can find the direction of modern Youth Ministry. Obviously, Youth ministry and young people should seek the path of Synodality. Young people is not any more the objective of faith education or formation, but they are the protagonists who have a great responsibility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the Church for evangelization.

      • KCI등재

        현대 한국교회 청년영성을 위한 기독교 영성교육에 대한 고찰

        강문규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8

        Young people including teenagers are the future of the country in any country. Especially, young people are important talents who should support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including churches and play a role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in terms of Christianity. Many Korean churches have recognized such importance of young people and the churches are seeking various measures for educating young people for religious faith. Although those churches may think that they make every effort for young people through keen attention and various education systems, the number of young people in Korean churches is still decreasing and the degree of their reliability on the protestant churches is very low in comparison to other religions. Such circumstances show the uncertainty of Korean churches in future as it is. It is considered that fundamental measures for various prominent issues in modern Korean protestant churches including young people’s distrust against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ity that has accumulated since they left the churches are necessary. Among such measures, the key measure which Korean churches should implement with great interest is the spirituality education for the spirituality of young people. Christian spirituality is not simply the experience of something spiritual or secular, personal asceticism mentioned in other religions or something mysterious.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e spirituality is the reception of God’s salvation including the life ordered by Jesus Christ through the Spirit of God presented in the Bible. In Christianity, spirituality is the life of Jesus Christ displayed in the life of Christians as the example, and it indicates the life of disciple as well as the correct belief as a Christian. Many young Christian people in modern Korean churches display the dualistic Christian faith to separate human body from spirit and isolate God from human being. The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ims at spirituality that God and human being mee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ersonally. Eventually, spirituality can be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growth and maturation with fa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 allow young people in modern Korean churches, who experience confusions and conflicts with Christian faith and leave the church, to reach spiritual maturity, think based on the religious belief, and reflect such acts in their lives. 본 연구는 현대 한국 개신교 기독교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문제들, 즉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면서 쌓인 교회와 기독교에 대한 불신 문제를 비롯한 여러 부분에 대한 것들의 근본 대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한국교회가 제일 핵심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실행해야 할 것으로 청년영성을 위한 영성교육이 그 방안과 해결책이라는 관점에서 논리 전개를 한다. 기독교 영성은 단순히 영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 또는 타종교에서 말하는 개인의 금욕주의나 신비한 체험을 하는 것으로 표현되지 않는다. 개신교 영성은 성경에서 밝히고 있는 성령을 통하여 그리스도께서 명하신 삶을 포함한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구원의 은혜를 받는 것이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영성은 예수의 삶이 기독 신자들의 생활에 모범으로 작용하는 것이며 제자의 삶인 동시에 성도로서 올바른 믿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대 한국교회의 많은 기독 청년들에게는 영과 육을 이원론적으로 분리하고 하나님과 인간을 격리하는 이원론적인 기독 신앙이 보이고 있다. 기독교 영성교육은 하나님과 인간이 인격적으로 만나서 소통하는 영성을 지향한다. 결국 영성은 신앙으로 성장하고 성숙해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독 신앙에 혼란과 갈등을 겪으며 교회를 떠나는 현대 한국교회 청년들의 영적인 성숙과 더불어 그들에게 신앙이 그 출발점이 되어 신앙에 의해 사고하고 그리고 그들의 삶에서 그 행위가 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독교 영성교육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 A Study of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 learning habit, and self-awareness of young people in South Korea

        ( Chanryong Kim ) 한국체육학회 2016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6 No.1

        Purpose: Most of young people (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having experience lack of physical activity, because they were lying in high competitive circumstances for more academic achievement in South Korea. Many previous research show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in young peopl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 learning habit, and self- awareness of young people in South Korea. Hypothesis: First, young people who more get in physical activity have more good emotion. Second, young people who more get in physical activity have more positive learning habit. Third, young people who more get in physical activity have more positive self-awareness. Method: In order to get the results, 7,071 of young people(3 panels including 2,342 of 5<sup>th</sup> grade in elementary school, 2,378 of 2<sup>nd</sup> grade in middle school, 2,351 of 2<sup>nd</sup> grade in high school) were used, Data were collected in 2014 by Korean NYPI Youth and Children Data Archiv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t-test, Duncan test as post-hoc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with SPSS program (version 23.0).

      • Longitudinal Study of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Delinquency of Young People in South Korea

        ( Chan Yong Kim ) 한국체육학회 2015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5 No.1

        Purpose: Can sport and physical activity reduce and prevent delinquency of young people? Many previous researches had evidences of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delinquency in young people (G. Nicole, 2010; Tim Crabbe, 2000).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delinquency of young people by time in South Korea. Method: In order to get the results, 2200 of young people were used, Data were collected same sample with repetitive for 5 years from 2010 to 2014 by Korean NYPI Youth and Children Data Archive for longitudinal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t-test, Duncan test as post-hoc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with SPSS program (version 21.0). Hypothesis: First,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for much time may have less their delinquency than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for less time. Second,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for long time may be reduced their delinquency.

      • KCI등재

        청소년·청년 뉴딜정책

        박선영 ( Park¸ Sun Young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4

        배경: 한국의 뉴딜정책이 추구하는 주요 핵심 영역중의 하나인 청소년교육 불평등 완화와 청년 일자리 확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관심사이다. 코로나 19가 초래한 경제 불평등과 양극화는 모든 세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특히 미래세대인 청소년과 청년에게 미친 부정적인 영향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과 청년이 팬데믹 이후 건강한 성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아쉽게도 한국의 뉴딜 정책에는 청소년 지원을 위한 내용이 교육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의 뉴딜 정책 실현을 위한 영국의 청소년과 청년 대상의 뉴딜정책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목적: 첫째, 청소년 대상의 뉴딜 정책을 기획하고 실시한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이를 통한 한국 뉴딜 정책에 필요한 시사점과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로서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영국은 청소년 대상 뉴딜 정책을 통해 대상을 세분하고 실질적인 교육과 직업관련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학교로 복귀하거나 고용시장에서의 취업으로 연계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팬데믹 상황에서 다시 청소년은 물론 청년의 고용과 일자리 확보, 이를 위한 구체적 훈련지원과 예산지원을 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사점: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의 뉴딜정책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서 청소년 대상 교육 불평등 해소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진로지도와 훈련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며, 청년 대상 정책 중에서도 20대 후반 이후의 청년들 대상의 일자리와 경제적 지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하향 확대하여 청소년을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정책과 사업제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New Deal 2.0 to reform the society, in particular, relive the inequality issues in education for young people and increase of youth employment became a very important agenda n0ow a days. This kind of social reform is common across the co0untries during the pandemic. Covid 19 has bought the inequality issues into many areas, and influenced younger generation more heavily and negatively. Young people need more support than any time in order to have safe transition to the adult life. However, this research realised that Korean New Deal 2.0 does not include enough support for young people’s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 government only provide employment and economic fund, however younger generation should have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potentiality and competence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a good example of support young people to prepare their employment in the UK. Purpose: Firstly,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New Deal Policy in the UK, and then suggest what can be included in the Korean New Deal 2.0 for the younger generation. Methodology: This study cho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document analysis.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New Deal in the UK has the different programme accor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young people. Second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New Deal Policy impact young people’s life and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New Deal programmes, Further, during the pandemic new version of New Deal programme called ‘Build Back Better’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t means young people are key player for the national refor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s: Therefore, if Korean government want to support young people, they should have different levels of programme in order to meet their all different needs.

      • KCI등재후보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장영숙 ( Young Sook Jang ),조정화 ( Jeong Hwa C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과 경기지역의 병설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200명과 그들의 부모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창의적 가정환경 중 풍부한 학습환경과 아동존중, 독립심 자극하기 순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의미있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의 하위변인인 어머니의 호기심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하위변인인 유아의 독특성과 유아의 독립성-인내를 의미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00 young children in six kindergartens and their parents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ve effects of fathers` creative personality, mot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mothers` creative persona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overall creative personality. Second, creative home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positiv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overall creative personality. Thir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was most significantly explained by abundant learning environment, followed by respecting children and stimulating to be independent. Parents` creative personality failed to explain significantly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examination of the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however, showed that young children`s peculiarity and independence-patience was explained by mothers` curio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