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선의 가시성과 욕망의 재현 : 영화 <베스트 오퍼>를 중심으로

        서곡숙 한국영화학회 2023 영화연구 Vol.- No.98

        시선은 눈의 시각이 향하는 방향을 통해서 객체와 주체를 연결하는 선이 되어사회적 상호작용의 가능성 혹은 잠재적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현대의 스펙터클사회, 즉 시각 중심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시선에 대한 선행연구는 시선에 대한 분석보다는 젠더, 정신분석, 사회연구를 논의하면서 시선을 언급하고 있어서 시선과 인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하는 본고의 문제의식과는다소 차이가 있다. 연구의 대상은 시선의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측면에서 흥미로운 텍스트이면서 선행연구가 거의 없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영화인 <베스트 오퍼>이다. 본고의 연구 방법은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을 구별하며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에 주목하는 미셸 푸코의 ‘시선의 가시성’ 개념이다. 본고에서 영화 <베스트 오퍼>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관계의 재현’, ‘구도의중심’, ‘정보의 권력’이라는 세부 주제를 통해 연구 주제인 ‘시선의 가시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스트 오퍼>에서 일방향의 시선은 재현과 신비에 대한 시선, 가시성/비가시성의 딜레마, 욕망ㆍ노스탤지어ㆍ타자에서의 시선변화를 통해 재현의 가시성과 관계의 변화를 나타낸다. 둘째, <베스트 오퍼>에서훔쳐보는 시선은 욕망의 변화, 가시성의 전능함, 외부자의 관음증을 통해 표면/이면의 구도와 질서 중심의 전이를 보여준다. 셋째, <베스트 오퍼>에서 조작된 시선은 욕망의 실패와 시선의 불일치, 이중적 비가시성, 가시성의 문턱, 수동성/능동성의 전도를 통해 정보의 불확실성과 권력의 전도를 드러낸다. 이렇듯 <베스트 오퍼>는 시선의 가시성에서 일방향의 시선, 훔쳐보는 시선, 조작된 시선을 통해 관계의 변화, 전능함의 전이, 권력의 전도를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선의 가시성이 관계의 능동성/수동성, 중심의 핵심/주변, 정보의 인지/무지 등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주체/객체, 질서/저항, 권력/소외 사이의 역설적 관계를 보여준다는 함의를 내포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세 가지, 즉 시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시선의 실천적 양상을 고찰한 점, 가시성의 역설을 통해 재현, 욕망, 권력의 모순을 알리는 점, 가시성의 우위와 질서 중심의 뒤집힘을 제기한점이다. 본고의 기대효과는 재현, 욕망, 권력의 문제를 제기하여 후속 연구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Gaze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modern spectacular society, that is, the visual-centered society, in that the visual direction of the eye becomes a possible or potential threat to social interaction by connecting subjects and objects. Prior research on gaze refers to vision when discussing gender, psychoanalysis, and social research rather than analysis of gaze, which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heme sensitivity of this paper that specificall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gaze and character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Best Offer, which is an interesting text in terms of visibility and non-visibility of the gaze and a film that presents the need for research with little prior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is Michel Foucault’s concept of ‘visibility of gaze’, that is, to distinguish between visual and non-visual, and pay attention to its views. The results of this paper’s consideration of ‘visibility of gaze’ through detailed topics such as ‘representation of a relationship’, ‘the center of composition’, and ‘the power of information’ with the film The Best Offer as the object of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search topic of ‘visibility of gaze’ through detailed topics such as relationship representation, composition center, and information power with the film <Best Offer> as the subject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he Best Offer, one-way gaze represents visibility of representation and change of relationship through the gaze on representation and mystery, the dilemma of visibility/invisibility, and change of gaze in desire, nostalgic and others. Second, in The Best Offer, peeping eyes shows the composition of the surface/back and transition in the center of order through change of desire, almighty of visibility, and voyeurism of outsider. Third, in The Best Offer, manipulated gaze reveals uncertainty of information and conversion of power through failure of desire and disagreement of gaze, double invisibility, threshold of visibility, and conversion of passiveness and activeness. As such, The Best Offer shows change of relationship, transference of omnipotence, and conversion of power through one-way gaze, peeping eyes, and manipulated gaze in visibility of ga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visibility of gaze raises issues such as active/passive, central/peripheral, cognitive/ignorant of information and embodies the meaning of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subject/object, order/resistance and power/alien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ree things: to review the practical aspects of gaze by specifically analyzing the gaze, to report contradictions between representation, desire and power through the paradox of visibility, and to raise the superiority of visibility and order-oriented overturning. The expected effect of this paper is to raise the problems of representation, desire and power, which can play a leading role in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Forward Scattering Meter 측정에 의한 부산의 하계 시정 특성

        김유근,배주현,이수현 한국환경과학회 200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9 No.5

        Visibility reduction is a barometer of air pollution, which people can notice easily. First of all, we need to measure quantified visibility continuously in order to examine visibility reduction. Prevailing visibility is not practical to measure visibility depending on observer's expertness. Scattering visibility using Forward Scattering Meter (Belfort Visibility Sensor 6230) has been measured at Kwangan-Dong in Pusan and analysed since July, 1998.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prevailing visibility and scattering visibility was 0.7235. The visibility appeared that each frequency of poor visibility (under 6㎞) and good visibility(over 25㎞) was 10.6%, 9.7% on summertime in Pusan and the visibility range from 10km to 20km ranked high frequency as a half of whole ranges. The order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visibility and air pollutants are ranking CO, PM_10 and NO_2, that values are 0.5878, 0.5369, 0.5284 respectively. In meteorological factor, the case of poor visibility presented more weakly wind speed and higher relative humidity than the case of good visi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lculated visibility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observed visibility was 0.7215. But the trend of calculated and observed visibility variation was similar with the exception of several good visibility cases.

      • KCI등재

        시정계 자료 특성을 고려한 시정계 자료 품질검사 기법 개발

        오유주,서명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5

        In this study, a decision tree type of quality control (QC) method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temporal-spatial representation and accuracy of the visibility data being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quality of the developed QC method was evaluated through the application to the 3 years (2016.03-2019.02) of 290 stations visibility data.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QC method, visibility and naked-eye data provided by the KMA and QC method of the Norwegian Meteorological Institute (NMI) were used. Firstly, if the sum of missing and abnormal data exceeds 10% of the total data, the corresponding point was removed. In the 2nd step, a temporal continuity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visibility changes continuously in time. In this process, the threshold was dynamically set considering the different temporal variability depending on the visibility. In the 3rd step, the spatial continuity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of spatial continuity for visibility. Finally, the 10-minute visibility data was calculated using weighted average method, considering that the accuracy of the visibility meter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isibility. As results, about 10% of the data were removed in the first step due to the large temporal-spatial variability of visibility. In addition, because the spatial variability was significant, especially around the fog area, the 3rd step was not applied. Through the quantitative verification results, it suggested that the QC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QC tool for visibility data.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상청에서 운용중인 시정계 자료의 시공간대표성 및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단계 결정나무 품질검사(decision tree QC) 방법을 개발하고 3년간(2016.03-2019.02) 시정계 자료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QC 방법의 정성적 및 정량적 검증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시정계 자료 및 목측 자료 그리고 노르웨이 기상청의 QC 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물리적 범위 초과 및 결측 검사를 수행하여 결측 및 비정상 자료의 합이 총 자료의 10%를 초과하면 해당 지점은 다음 QC에서 제거하였다. 2단계에서는 시정이 시간적으로 연속성 있게 변한다는 가정하에 시간적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고, 임계값을 동적으로 설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시정이 공간적으로 연속성 있게 변한다는 가정하에 공간적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다. 4단계에서는시정계의 정확도가 시정에 반비례한 점을 고려한 가중평균법으로 10분 주기 시정자료를 산출하였다. 시정계가 처음으로 도입 운용되는 점으로 인해 전체 시정계 자료 중 약 10% 정도가 1단계에서 제거되었다. 또한 안개발생 주변 지역에서는 시정의 공간적 변동성이 연속성 검사를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3단계는 적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QC 방법을 정성적, 정량적 검증한 결과, 초기 자료에 포함된 이상치들이 상당부분 제거되고 시정의 순간적 변동성이 완화됨을 보였다. 또한 목측자료 및 노르웨이 기상청 QC 방법을 이용한 간접적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QC 방법이 시정계 자료 품질검사기법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계제한 시 국내 항만의 출항통제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온성욱,권유민,최정연 한국해양경찰학회 2021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1 No.3

        항만 내 기항 선박의 증가와 고속화, 대형화됨에 따라 제한적인 항만 내의 해상교 통은 더욱 혼잡해지고, 해상사고의 위험도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해상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자 일정한 시계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선박의 출항을 통제하고 있다. 국내 시계제한에 따른 출항통제는 500m이나 이에 대한 규정은 명확하지 않으며 선박의 크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선종 및 크기와 관계없이 동 일한 시계 조건에서 출항 통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크기에 따른 시계제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크기별 조종성능에 따른 Reach와 선박 에 설치된 항해등의 광학적 광달거리를 검토하여 충돌회피 여유거리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시계 500m 상황에서 전부 마스트등을 목측으로 식별할 수 있는 거리는 1,019m로 분석이 되었다. 이 때 각 크기별 대상선박이 타선과 마주치는 상태로 조우 상황에서 타선 등화를 식별한 순간으로부터 Reach에 따른 충돌회피 거리는 길이 223m까지의 모든 선박은 타선을 조우하더라도 충돌회피 여유거리가 최소 47.6m의 여유거리를 두고 통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길이 255m 이상의 선박의 경 우 시계 500m 조건에서 전타 회피 조종으로 인한 Reach 거리에 따른 충돌 회피 여 유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현재의 시계제한 기준인 500m 보 다 상향된 1,000m 시계 조건에서는 등화의 광학적 광달거리가 1,574m로 증가되므로 길이 255m~340m 이하 범위의 선박은 최소 318m부터 최대 460m의 충돌 회피 여유거리가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충돌 회피 여유거리에 대한 산출 결과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조종성능에 따라 길이 255m 이상의 선박은 현 행의 500m 시계제한 통제기준보다 강화된 시계제한 기준을 적용하여야 하고 길이 223m 미만의 선박은 500m 시계제한 상황에서 항만의 여러 안전 여건이 확보될 때 운항 허가를 재고할 수 있을 것이라 제시하였다. 이는 제한된 시계 내에서 상대선의 전부 마스트등을 육안으로 초인하는 거리 및 선박별 Reach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된 자선 및 타선 간의 충돌회피 여유거리가 선 박 크기별로 각기 다르므로 선박 길이에 따라 시계제한 통제기준을 달리 적용할 필 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단, 마스트등의 광달거리 및 연구범위 내 부두를 기항하는 선박의 크기를 분석 기 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향후 선종에 따른 조종성능 변수 및 화물 적재여부에 따른 Reach의 거리 변화 등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As a increase, speed-up and enlargement of ships for calling ships in ports,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has became more congested, and the risk of maritime accidents increased in restrictive ports. Accordingly, when visibility is restricted, the ship is under control to prevent marine accidents. The departure control under the domestic visibility restriction is 500m, but the regulations are not clear and applied to same standar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hips Although it would be safest to control for departure under the same visibility conditions regardless of ship type and size,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pose the criteria for restricted visibi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ssel, the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was calculated a thorough review the reach according to the maneuverability of each size and the luminous distance of the navigation light installed on the ships. As a result, in the 500m visibility situation, the distance at which the masthead lightcan be observed by a officer was 1,019m. At this time, the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reach from the moment when the target ship’s masthead lights are identified in the encounter head-on situation, up to 223m in length of ships have a minimum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of 47.6m, even if they encounter other ships. On the other hand, for ships longer than 255m in length, it was not possible to obtain a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reach distance due to the hard-over turning avoidance control under the condition of 500m visibility. However, under the condition of 1,000m visibility, which is higher than the current visibility limit of 500m, the luminous range of the light is increased to 1,574m. Therefore, ships with a length of 255m to 340m or less had a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of 318m to 460m when encountering each oth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this study suggested that ships with a length of 255m or longer should apply a strengthened standard of the visibility limit than the current 500m of visibility limit. It was also suggested that ships with a length of 223m or less will be able to reconsider their navigational permits when various safety conditions at the port are met under the 500m visibility limit. It is imply that it was necessary to apply different visibility limit control standard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hip, as the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between ships based on the reach distance for each ship and the distance to visually identify the masthead light of the other ships in the restricted visibility. Since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visibility of masthead light and the size of ships calling at target ports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uture, such as the variability of ship maneuverability by the types of the ships and the change in the reach dista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cargo is loaded.

      • KCI등재

        공급사슬 통합이 공급사슬 가시성과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찬권,김채복,박성민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經營硏究 Vol.33 No.2

        There have been a number of normative studies on supply chain integration that can improve supply chain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how supply chain integration can enhance supply chain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capabilities of the supply cha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y chain integration on supply chain visibility as a supply chain capability and the effect of supply chain visibility on supply chain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supply chain visibility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between thes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as a test of hypothesis H1, internal integration has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both supply chain visibility. As a test of hypothesis H2, supplier integration also has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both supply chain visibility. As hypothesis H3 tests, customer integration appears to have a positive (+) only effect on detection visibility and adjustment visibility. And as a test of hypothesis H4, the detection visibility has a positive (+) effect on all of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As a test of hypothesis H5, learning visibility has a positive (but not significant) effe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As a test of hypothesis H6, adjusted visib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both supply chain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is test, it is confirmed that the enhancement of supply chain integration can enhance supply chain visibility as a supply chain competence and enhance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integration, supply chain visibility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Respectively. 공급사슬 통합이 공급사슬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다는 규범적인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었지만 공급사슬 통합이 공급사슬의 어떤 역량을 제고시킴으로서 공급사슬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일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사슬 통합이 공급사슬 역량으로서 공급사슬 가시성에 미치는 영향과 공급사슬 가시성이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나아가 공급사슬 통합과 공급사슬 가시성, 공급사슬 성과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들 요인들 간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설 H1의 검정으로서 내부통합은 공급사슬 가시성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가설 H2의 검정으로서 공급자통합 역시 공급사슬 가시성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가설 H3의 검정으로서 고객통합은 감지가시성과 조정가시성에만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설 H4의 검정으로서 감지가시성은 공급사슬 성과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가설 H5의 검정으로서 학습가시성은 공급사슬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정되었다. 가설 H6의 검정으로서 조정가시성은 공급사슬 성과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공급사슬 통합을 제고하는 것이 공급사슬 역량으로서 공급사슬 가시성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공급사슬 성과까지 제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공급사슬 통합, 공급사슬 가시성, 공급사슬 성과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였다.

      • KCI등재

        공급사슬지향성과 공급사슬 가시성, SCM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반응적 공급사슬을 중심으로

        박찬권 ( Chankwon Park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7 로지스틱스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적 공급사슬에서의 전략적 및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공급사슬 가시성으로서 감지가시성, 학습가시성, 조정가시성 및 SCM 성과로서 경제적 성과와 고객만족 성과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들 사이의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은 감지가시성, 학습가시성과 조정가시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은 감지가시성, 학습가시성, 조정가시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감지가시성은 경제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학습가시성은 경제적 성과와 고객만족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조정가시성은 경제적 성과에만 정(+)의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공급사슬 가시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므로 반응적 공급사슬에서 공급사슬지향성을 제고하는 것은 공급사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SCM 성과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여 공급사슬지향성, 공급사슬 가시성, SCM 성과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erforma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performance as SCM performance and sensing visibility, learning visibility, coordinating visibility as supply chain visibility and strategic and structural supply chain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s follows. First, strategic supply chain orientation has no positive effect on sensing visibility, learning visibility and coordinating visibility, and structural supply chain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ensing visibility, learning visibility, and coordinating visibility. Sensing visibility affects economic performance positively, learning visibility affects economic performa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performance positively, and coordinating visibility affects economic performance positively.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upply chain visibility has proved to have some mediating effect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orientation, supply chain visibility, and SCM performance is integrated by suggesting that improving supply chain orientation can ensure supply chain visibility and can lead to SCM performance.

      • KCI등재

        명활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관리를 위한 시곡면(示曲面)과 누적가시도(累積可視度)분석기법 연구

        김충식 ( Choong Sik Kim ),이재용 ( Jae Yong Lee ),김영모 ( Young Mo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4

        산성의 복원과정에서 조망 확보를 위해 산림경관에 대한 정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산성에 대한 조망확보를 위한 산림경관 관리방안이 제시되었다. 관리방안의 검증을 위해 GIS를 이용한 시곡면과 누적가시도 분석이 이용되었다. 경주 명활산성에 대해 경관 분석과 산림정비계획 수립,수목 제거사업 등의 결과가 비교되었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의 주요 조망점에서 명활산성에 대한 누적가시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산성에서 우수가시구간의 선정이 가능하였다. 6개의 우수가시구간은 총 길이가 1,937m(전체 구간의 41.2%)이다. 둘째, 우수가시구간에 대해 수목의 평균높이와 우점종인 소나무의 최대 성장높이를 반영한 시곡면 분석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수목의 평균높이를 반영하는 것이 최대 성장높이를 반영한 것보다 식생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산성의 가시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도출된 정비구역 중에서 가시빈도가 높은 A구역이 타당성 검토를 위해 선정되었다. 주요 조망점에서의 가시 여부를 검토하면서 A구역에 대한 수목 제거작업이 수행되었다. 비교결과, 정비계획(10,935m2)과 제거지역(11,296m2)은 미미한 차이(3.3%)가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정비를 위한 누적가시도와 시곡면 분석법의 효용성이 검증되었다. The recovering of historical mountain fortress needs the maintenance of forest scape for achieving visibility. In the study, the methods for the maintenance of the forest around the fortress were proposed.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and Multiple Sight Surface Analysis were tested to verify the methods using GIS on the Myeong-hwal Fortress in Kyungj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was made on the Myeong-hwal Fortress from surrounding major viewpoints.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enables the selection of excellent visibility sectors on the fortress. The 6 excellent visibility sectors were l,937m(which occupied 41.2% of the area). Second. two cases of pine tree height were compared in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One used the average height of pines and the other used the maximum growth height. The comparativ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case of average heigh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deciding the pine removal zone as well as achieving visibility to the mountain fortress. Thir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management method, the tree removal plan and removal execution were compared on the A zone which showed high visibility frequency. Asa comparative result, there was insignificant difference(3.3%) in area between the tree removal plan(lO,935m2) and removal execution(l1,296m2). This study proved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and Multiple Sight Surface Analysis to be effective for forest scape maintenance around a mountain fortress.

      • 눈의 정보수용 특성에 따른 차량의 시계평가에 관한 기초연구 : 차량 시계성의 주관평가

        Yongwook Jeon,Sungyong An,Poem Park,Sangkyu Kim,Jungpil Choi 대한인간공학회 201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

        Objecti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subjective evaluation with relation to the visibility of vehicle, and proposed an evaluating method for vehicle visibility. Background: The visibility of automotiv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sign a vehicle since a driver obtains most information through vision. Method: We classified domestic and foreign vehicles into four groups by similar properties of visibility, and selected the representative vehicles to evaluate from the classified each groups. Eighteen drivers evaluated the visibility of each vehicle with respect to visual directions (front view, sides view, upper-front view, lower-front view, and rear view) by self-reported assessment. Results: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ront view of the vehicle considerably related to the upper-front and sides view. However, the lower-front view of did not have any influences on the visibility with compared to other visual directions.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 data of vehicles and the results of subjective evaluation was not always consistent. Application: This research would be valuable to the design of a vehicle reflecting drivers' subjective point of view and proposed a visibility evaluating method.

      • KCI등재후보

        이동영역 필터와 영상대비를 이용한 실시간 시정측정

        김봉근,Kim, Bong-Keu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0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3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시정측정은 인간의 시정 감각과 유사하고 현실성 있는 시정자료를 획득할 수 있으며 기존 고가의 광학기기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방식이다. 영상으로부터 깊이정보나 3차원 구조의 추출 등을 통해 시정을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단순하고 빠른 처리가 요구되는 실시간 시정측정과 이동물체가 많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정의 감소는 영상에서 지수적인 대비의 감소로 나타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영상으로부터 이동영역 필터를 이용하여 대비를 추출하고 영상대비와 시정간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시정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영역 필터는 영상으로부터 시정측정에 영향을 주는 하늘과 물체의 이동영역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안된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실시간 시정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로와 같이 차량의 이동이 많은 경우에도 안정적인 시정측정이 가능하다. Realtime visibility measurement using camera is a new method which can collect some realtime visibility data similar to those of the human eyes, and can replace the existing methods using the expensive optical equipment. There have been a few attempts to measure visibility by extracting depth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under bad weather conditions. However, if there are many movements of objects in the image, these approaches seem to be inappropriate. In addition, the realtime visibility measurement will require a relatively simple and fast processing. Typically the contrast degrades exponentially in the bad weather.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asy and quick method that extract contrast from images using a moving area filter and measure visibility by mathematically modell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contrast and visibility. The moving area filter is used for removing the area of the sky and moving objects that affect visibility measurement on images. The method proposed here can make possible not only realtime visibility measurement from images taken by CCD cameras, but also steady visibility measurement by using the moving area filter in case of much traffic on the road.

      • KCI등재

        Visibility Degradation and Its Contributors at an Urban Site in Korea

        Chang-Jin Ma,Cheol-Soo Lim,Gong-Unn Kang,Sun-A Jung,Mi-Ra Jo 한국대기환경학회 2020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AJAE) Vol.14 No.4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knowledge of visibility degradation during the PM2.5 event day (episodic high PM2.5 level, hereafter called as “event day”),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ility and the chemical species of PM2.5 measured in Gwangju, Korea was estimated. Moreover, a visibility forecasting model was constructed by a statistical approach. The diurnal variation of visibility and PM2.5 concentration on the event day indicated that as the concentration of PM2.5 increased, more light was absorbed and scattered, resulting in visibility deterioration. The averaged visibility during the event day was 7.9 km, which was almost three times lower than that observed during a non-event day. Although the hygroscopic growth of aerosol was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it has been proved that NH4NO3 and organics dominantly contributed to the light scattering during the PM2.5 event day in Gwangju, Korea. The visibility determined in this study had also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M10, nitrate, relative humidity, EC, OC, and sulfate. Meanwhile, visibility was positively linked with wind speed and temperature. The results of interrelationship an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suggest that among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temperature was the main variable that influenced vi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