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연계 활용방안 제안

        김건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With the accelerated development of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the long-lasting concept of opaque flat based display has been changed. A variety of non-flat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which becomes unified with a shape of object and space is expected to be the center of the next-generation display. However, most studies on display focused on technologies. Some studies on design separated transparent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As a result,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connection of these display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face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form factors on interface of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and thereby to propose the connected activity plans of these displays. Regarding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in order to draw form factors on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face design. After that, the drawn form factors were used as an analysis tool in order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then Low Fidelity Prototype was conducted to propose an idea of connected utilization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drew four common form factors of transparent and flexible interfaces, such as size, distance, directionality, angle and perspective. In terms of connectable individual form factors, the form factor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derived from nine kinds including the superimposition, the use of both sides, and the backside touch. Also, the form factors of flexible display is derived from nine things including curvature, grounding, elasticity, flexibility, and foldable structure. 10 cas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erived form factors. After that, this study proposed 6 ways of utilization methods. 투명(transparent) 및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개발의 가속화로 오랜 기간 유지된 불투명 평판 기반 디스플레이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 사물 및 공간의 형태에 일체화되는 다양한 비 평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대다수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는 기술기반 연구들이며, 일부 디자인 기반 연구들도 투명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각각 분리하여 진행한 연구들로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 이 둘을 연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측면에 대한 형태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둘의 연계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선행 문헌 연구 분석을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요인을 도출한 후 둘의 연계 형태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이를 분석도구로 하여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거나 프로토타입으로 제안되어 있는 국내외 선행사례를 분석한 후 Low Fidelity Prototype 제작을 통해 연계 활용방안의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투명과 플렉서블 인터페이스의 공통 형태요인으로 크기, 거리, 방향성, 각도 및 투시정도의 4가지를 도출하였다. 연계가 가능한 개별 형태요인 중 투명디스플레이의 형태요인으로 중첩성, 양면활용, 후면터치, 투명도를 포함한 9개를 도출하였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태요인으로는 곡률, 접지성, 신축성, 유연성, 폴더블의 접지구조를 포함한 9가지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형태요인을 바탕으로 10개의 사례분석을 진행하였고, 이후 6개의 연계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 The Effect of Surround Condition and Transmission on Color perception of Transparent display

        Sooyeon Lee,Hyeyoung Ha,Semin Oh,Jungmin Im,Youngshin Kwak 대한인간공학회 2014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Objectiv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level of luminance and transmission on display color perception would be analyzed. Background: Various types of display such as flexible, transparent and stretchable display are developed as the display panel technique grows. Displayed images on transparent display ar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urround condition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play. Hence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such as surround condition, haze, transmission are more than others. However the studies for these factors are still in its infancy. Method: It is impossible to conduct this study with various levels of transmission and surround condition by commercial transparent display. Therefore the transparent display was simulated on LCD display. The display was set for sRGB gamut and level of transmission and surround luminance is controlled. Level of surround luminance was 0 to 3 times of peak white for display with 0.5 interval and the transmission were 0, 10, 30, 50 and 70%. 35 combination of transmission and surround luminance was applied to simulated transparent display and the change of display color by each condition was tested. Results: As the result, color gamut is decreased as surround luminance or transmission is increasing. Moreover this increment gives rise to poor image quality as contrast is decreasing. Conclusion: image processing algorithm considering surround condition need to be applied to transparent display. Application: The result of simulation might help to suggest the image quality algorithm.

      • Preference of the Various Primary Colors on the Non-Transparent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Hyeyoung Ha,Youngshin Kwak,Hyosun Kim,Young-jun Seo,Won-Sa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7 AIC 2017 Jeju Vol.2017 No.10

        The preferred primary colors of the transparent display and non-transparent display were investigated under 3000K surround ligh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s (CCTs). The psychophys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24-inch LCD display and two different display (the non-transparent display and 40% transparent display) were simulated to have three different display CCTs (3000, 5000 and 6500K). Red apple, green grass and blue sky images were selected as the test image and each image was manipulated to have various primary chromaticities. About 15, 18, 15 chromaticity coordinates were selected to simulate the red, green and blue primary colors respectively. Twen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sychophysical experiment and they were asked to answer the preference of each image using 7-points Likert-scale. From the psychophysical experiment result, two major findings were discovered. First, the Red primary color having the longer dominance wavelength is preferred regardless of the display CCT and display type. Second, there is no huge image preferenc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parent display and the non-transparent display.

      • 투명 디스플레이 화질 연구

        문승재(Seung - Jae Moon),이종모(Jong - Mo Lee),조영진(Young-Jin Jo),최우영(Woo - Young Choi),한종창(Jong - Chang Han),배병성(Byung Seong Bae)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14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33 No.2

        디스플레이는 진화를 거듭하여 브라운관에서 액정 표시장치로 발전하고 이어서 입체 디스플레이나 투명 디스플 레이 그리고 유연 디스플레이 등으로 계속 발전 되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영화나 기타 매체에 등장하며 관심을 모았고 현재 투명 액정 표시 장치는 광고용 등에 일부 응용이 되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가 잘 활용이 되기 위해서는 투명도가 중요하고 색재현성이나 선명성도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선명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기존 투명 디스플레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편광판의 개선과 배선에 의한 회절 등이 감소되어야 선명성을 높일 수 있다. Display technology have developed to replace CRT (cathode ray tube) by LCD (liauid crystal disolay), and then the 3D(three-dimensional) display, transparent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have been being developed continually. The transparent display got one‘s attention through the movie or other media. Transparent LCDs are being used for advertisement and so on. The color gamut, definition of image, and transparency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transparent display to be used widel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transparent display and analyze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transparent display. The inqjrovement points were discussed and the surface treatment of polarizer and diffraction by the pattern should be reduced for the high definition display..

      • KCI등재

        투명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색상 인지 영향요소에 관한 연구

        심정민(Shim, Jungmin),유승헌(Yoo, Seungh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2

        연구배경 : 투명 디스플레이는 차세대 IT 플랫폼 중 하나로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 요소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는 중첩 환경으로 인해 화상 품질 만족도 및 정보 인지 과정에서 제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첩된 투명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색상 정보가 지각 처리 과정에서 어떠한 요소의 영향을 받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시각정보의 인지과정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을 구성하였다. 배경과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정보의 원본 대비 왜곡 인식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색상 스펙트럼에 따른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절대 색상을 확인하는 컬러칩 실험군은 색상 지각에 해당하고 인지된 색상으로 처리되는 브랜드로고 실험군은 색상 인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후 색상 조건과 후경 환경에 따른 정답률을 분석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색상 재현이 사용자의 인지과정에 미치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 후경 환경과 시각 정보 중첩에 따른 정보 복잡도, 후경 환경의 밝기,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정보의 명도 차이에 따라 색상 인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실험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인지 과정에서 원본 대비 인지 왜곡이 발생하더라도 멘탈모델과 지식 체계에 의한 정보 재구축 과정을 통해 정상적 인지 범위로 해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연구의 결과를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시각 정보의 현출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 시 디스플레이 상의 정보 제공 방식에 관한 실증적 가이드로서 참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Transparent display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experience element for users as one of IT platforms of the next generation. However, the contents showed on transparent display has constraints on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of image quality and the cognition process due to the unexpected noise from its overlaid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 perceptual processing that affect on color recognized by users under overlaid transparent display environment. Methods : The experiment is designed for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factors processes on two pair of overlaid transparent display panels. To analyz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color distortion of transparent display,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rmed by each color group. The color chips- absolute color value group has been assumed to evaluate the equivalent color information of color perception, whereas the brand logos recognized color experimental gap group has been expected to evaluate of color recognition. color recognition factors on transparent display was analyzed by the color condition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under each background environment. Result : As the result of the overlaps of visual information with the background environment, the experiment was delivered that the color recognition i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environment, and the difference of lightness in displayed colors. Also, while users perceive color on a transparent display, color distortion can be corrected the normal range of cognition through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construction delivered by the mental model and the knowledge system. Conclusion : This research will provide an empirical guide when designing transparent display interface considering the saliency of information presented on the display.

      • KCI등재

        투명 디스플레이 텍스트 정보 인지 개선을 위한 시각화 방식 연구

        박여진(Park, Yeojin),유승헌(Yoo, Seungh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1

        연구배경 : 본 연구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배경 중첩시 발생하는 이미지 왜곡 현상을 개선하는 그래픽 보정효과를 제안하였다. 인간은 정확한 색상을 지각하기 보다는 기존 경험이나 시각적 착시 현상에 의해 보정된 색상을 인지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단순한 그래픽 보정 효과적용에 따른 텍스트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연구방법 : 기존 투명 UI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하여 컨트라스트, 아웃라인, 글로우, 블러, 그림자, 5가지 그래픽 보정효과를 선정하고 실험을 통하여 각 효과의 적정 보정 값을 제안하였다. 50자 내외의 문장에 각각의 보정 효과를 6단계의 강도에 따라 적용하였다. 실험 세팅을 위해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중첩한 후, 전경에는 LCD 투명 디스플레이를 배치하여 보정 효과가 적용된 문장을 한 문장씩 표시하였다. 후경에는 55인치 TV를 배치하여 실내 공간 이미지를 표시하였다. 연구결과 : 실험 결과 그래픽 보정 효과 적용에 따른 가독성의 기술 통계적인 우수성이 나타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정 효과 적용 후 초당 평균 0.24글자 더 읽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가지 효과 중 아웃라인 효과가 가독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최적 크기는 텍스트 대비 7.5% 두께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실험을 통해 각 그래픽 보정 효과별 최적 강도 및 투명 디스플레이 상의 타이포 시각화 개선에 도움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검증된 그래픽 보정 효과적용을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의 사용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This research aims to reduce the recognized image distortion effect of text information presented on a transparent display environment by evaluating five graphical correction methods. Users perceive colors biased upon their past experience or optical illusion effects. Therefore, the text legibility on transparent display was expected to improve significantly by applying the simple graphical corrections. Methods : 5 graphical correction methods of contrast, outline, glow, blur, shadow,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transparent UI cas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 result, optimal intensity was presented. Each graphcial correction method was applied with six-different intensities on the written sentences consist of approximately 50 characters. An LCD transparent display was placed on the foregorund, depicting one sentence at once. 55 inch TV was placed on the background, displaying a simulated interior image. Result :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gibility of text with graphical correction methods proved better performance, yet, these differenc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ean legibility of text with graphical correction methods, however, was 0.24 chracters higher. The Outline effect most effectively improved text legibility while taking the optimal stroke thickness 7.5% of the text size displayed on a transparent display. Conclusion : Based on the research data, the optimal intensity of each graphical correction method and the guildline for improving text recognition on a transparent display was presented. Usability improvements on transaprent display is expected to be achieved through the graphical correction methods.

      • 투명 디스플레이 텍스트 정보 인지 개선을 위한 시각화 방식 연구

        박여진(Park, Yeo Jin),유승헌(Yoo, Seung Hun)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 연구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배경 중첩 시 발생하는 이미지 왜곡 현상을 개선하는 그래픽 보정효과를 제안하였다. 보정에 사용된 효과는 컨트라스트, 아웃라인, 블러, 글로우, 그림자 5 가지이다. 실험 결과 어두운 배경에 놓인 텍스트가 밝은 배경에 놓인 텍스트 보다 초당 0.8 글자 더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가지 효과 중 아웃라인 효과가 가독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최적 크기는 텍스트 대비 7.5% 두께 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서 검증된 그래픽 보정 기법을 적용한 UI 는 효과 적용전 UI 대비 만족도 조사 결과 기존 대비 가시성이 향상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reduce the recognized image distortion effect of texts presented on a transparent display environment by testing five graphical correction methods; Contrast, Outline, Blur, Glow and Shadow effects. The result showed the legibility of the text displayed on a dim background image increase by 0.8 characters per second than that of bright background image. The Outline effect most effectively improved text legibility while taking the optimal stroke thickness 7.5% of the text size displayed on a transparent display.

      • KCI등재후보

        매장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사용자 인지 정보 기반 영상 표출 기술 연구

        홍신유,양승연,차재상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

        상업 시설에는 다양한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되고 있어 다양한 상품들 중 특정한 상품을 홍보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홍보하기 위해서는 인쇄물이나 판매사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따라서 매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인터렉티브한 사용자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광고/홍보 영상 표출의 구현을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상업 시설에서 판매/전시되고 있는 특정한 상품을 고객 접점에서 명확한 상품 및 컨텐츠를 홍보하길 원하는 제조업체 또는 광고업체에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디스플레이가 아닌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 하여 광고 영상과 제품의 결합을 통해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 감응형 센서를 적용하여 사용자 인지 유무에 따른 인터렉티브 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지향형 영상 표출 기술을 구현하였다. 이 기술 연구를 통해 다양한 상업시설에서 광고/홍보효 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commercial facilities, it is very difficult in real to promote specific products among various products because various products are displayed and sold.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information on most display products, there is a great tendency to rely on printed matter or salesperson. So, it is focused to display advertising or promotional video based on interactive user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diplay used in the store, and to implement technology considering energy saving. Also it is very utilized for a specific product sold or displayed at a commercial facility to be sent to manufacturer or advertiser who wants to promote specific products and content at customer contacts.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at maximized advertisement effect through the advertisement video and combination of product using transparent display. we implemented User-oriented image display technology to provide an interactive service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user or not.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direction to maximize advertising/public relations effect in various commercial facilities.

      • KCI등재후보

        Development of IGZO TFTs and Their Applications to Next-Generation Flat-Panel Displays

        Hsing-Hung Hsieh,Hsiung-Hsing Lu,Hung-Che Ting,Ching-Sang Chuang,Chia-Yu Chen,Yusin Lin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0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Vol.11 No.4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OLEDs) have shown superior characteristics and are expected to dominate the nextgeneration flat-panel displays. 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displays, however, have stringent demands on the performance of the backplane.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thin-film transistors (TFTs) based on 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on both Gen 1 and 6 glasses, and their decent characteristics, which meet the AMOLED requirements,are shown. Further, several display prototypes (e.g., 2.4” AMOLED, 2.4” transparent AMOLED, and 32” AMLCD) using IGZO TFTs are demonstrated to confirm that they can indeed be strong candidates for the next-generation TFT technology not only of AMOLED but also of AMLCD (active-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 KCI등재

        Evaluation of the legibility of the on-screen contents of in-vehicle transparent displays

        Seong-En Lee,Min Su Sim,Chang-Mo Yang,Choon-Woo Kim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9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Vol.20 No.3

        With regard to the on-screen contents of transparent displays utilized inside vehicles, legi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This paper proposes a quantitative legibility evaluation model of in-vehicle transparent displays. Human visu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imulation of a perceived image. The results of the visual experiments served as qualitative evaluation data of legibility, and were utilized to determine the weights in the proposed model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obtained highe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than those obtained in the previou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