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산 전개법에 의한 주파수-시간 영역 변환

        조인기 ( In Ky Cho ),김래영 ( Rae Yeong Kim ),고광범 ( Kwang Beom Ko ),유영준 ( Young June You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4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7 No.3

        전자 탐사는 신호원의 파형에 따라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법으로 나누어진다.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은 수학적으로 Fourier 변환 관계에 있으므로, 주파수 영역 자료를 Fourier 변환하여 시간 영역 자료를 얻어낼 수 있다. 즉, 시간영역 전자 탐사의 모델링 자료는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한 모델링 자료의 적절한 변환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시간 영역 변환은 전자 탐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분산 전개법(DEM)은 신속하고 효과적인 주파수-시간 영역변환 기법 중의 하나이다. 분산 전개법에서는 전자기장은 분산 함수와 분산 시간의 급수로 전개하며, 분산 시간은 주어진 주파수 자료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적정 분산 시간의 설정은 분산 전개법의 정확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다. 이 연구에서는 급수 전개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 영역 자료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적정 분산 시간의 설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반무한 공간 및 2층 구조 모델에 대하여 이 방법을 적용한 결과, 분산 전개법은 상당히 넓은 시간 대역에서 정확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Electromagnetic (EM) methods are generally divided into frequency-domain EM (FDEM) and time-domain EM(TDEM) methods, depending on the source waveform. The FDEM and TDEM fields are mathematically related by the Fourier transformation, and the TDEM field can thus be obtained as the Fourier transformation of FDEM data. Formodeling in time-domain, we can use fast frequency-domain modeling codes and then convert the results to the time domain with a suitable numerical method. Thus, frequency-to-time transformations are of interest to EM methods, which is generally attained through fast Fourier transform. However, faster frequency-to-time transformation is required for the3D inversion of TDEM data or for the processing of vast air-borne TDEM data. The diffusion expansion method (DEM)is one of smart frequency-to-time transformation methods. In DEM, the EM field is expanded into a sequence of diffusion functions with a known frequency dependence, but with unknown diffusion-times that must be chosen based on the data to be transformed. Especially, accuracy of DEM is sensitive to the diffusion-tim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um range of diffusion-time values, minimizing the RMS error of the frequency-domain data approximated by the diffusion expansion. We confirmed that this method produces accurate results over a wider time range for a homogeneous half-space and two-layered model.

      • KCI등재

        일반 노인들의 시간사용 실태 분석 : 체계적 고찰

        강재원,박지혁,박혜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2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들의 시간사용 실태 조사에 사용된 자료에서 제시되고 있는 작업 영역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작업영역 별로 노인들의 시간사용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Embase, PubMed, Cochrane, Web of Science, KISS, NDSL, KMbase, RISS를 사용하여 2001년부터 2016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 “elderly” OR “older adult” OR “senior” AND “time use” OR “use of time” OR “time allocation” OR “time usage” OR “time management”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포함기준에 적합한 11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11개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간사용 측정도구들은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여가를 측정하였지만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에 의한 작업영역 8가지를 모두 평가한 도구는 없었다. 휴식 및 수면을 제외하고 노인들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과 여가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또한 국내 노인들은 국외 노인들에 비해 여가시간이 적었으며 무급노동일을 하며 보내는 시간이 많았다. 결론 : 노인들은 주로 집에서 정적인 활동을 하며 하루를 보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들은 노인들에게 다양한 신체적 활동 프로그램과 사회참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에서 사용 하고 있는 작업영역 개념을 사용하여 활동들을 분류한 후 시간사용량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노인의 시간 사용을 이해하는데 있어 작업치료사에게 유용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examining time use in healthy elderly and to provide evidence to aid the elderly to find the meaning of their lives. Methods : Using research databases(Embase, PubMed, Cochrane, Web of Science, KISS, NDSL, KMbase, RISS), the main keyword search terms were “elderly” OR “older adult” OR “senior” AND “time use” OR “use of time” OR “time allocation” OR “time usage” OR “time management”. We have collected a data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6. Results : The study showed that domains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leisure were the most used to assess the time use of healthy elderly. Also, the elderly in Korea had less time for the leisure and spent more time on unpaid works than the elderly in other countries. Conclusion : Elderly spent their time at home and did static activity, so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provide them with a variety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and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could be useful evidence to occupational therapists to understand time use in healthy elderly because we analyzed data after categorizing in occupation domains which are a concept used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Comparison of HRV Time and Frequency Domain Features for Myocardial Ischemia Detection

        전설위(Xue-Wei Tian),장진흥(Zhen-Xing Zhang),이상홍(Sang-Hong Lee),임준식(Joon S.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3

        심박 변이도 (HRV) 분석은 심근허혈 (MI)를 평가하기 위한 편리한 도구이다. HRV에 대한 분석법은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분석으로 나눠질 수 있다. 본 논문은 단기간의 HRV 분석에 있어서 웨이블릿 변환을 주파수 영역 분석과 시간 영역 분석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ST-T와 정상 에피소드는 각각 European ST-T 데이터베이스와 MIT-BIH Normal Sinus Rhythm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수집되었다. 한 에피소드는 32개 연속하는 RR 간격으로 나눠질 수 있다. 18개 HRV 특징은 시간과 주파수 영역 분석을 통하여 추출된다. 가종 퍼지소속함수 신경망 (NEWFM)은 추출된 18개의 특징을 이용하여 심근허혈을 진단하였다. 결과는 보여주는 평균 정확도로부터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의 특징은 각각 75.29%와 80.93%이다.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alysis is a convenient tool to assess Myocardial Ischemia (MI). The analysis methods of HRV can be divided into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This paper uses wavelet transform as frequency domain analysis in contrast to time domain analysis in short term HRV analysis. ST-T and normal episodes are collected from the European ST-T database and the MIT-BIH Normal Sinus Rhythm database, respectively. An episode can be divided into several segments, each of which is formed by 32 successive RR intervals. Eighteen HRV features are extracted from each segment by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To diagnose MI, the 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NEWFM) is used with the extracted 18 features.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accuracy from time and frequency domain features is 75.29% and 80.93%, respectively.

      • KCI등재

        현대중국어 동사 ‘開’의 의미확장 분석 – 힘 역학 원리에 기반하여

        이운재 한국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文學 Vol.117 No.-

        본 논문에서는 힘 역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동사 ‘开’의 의미확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시각화한 의미도식을 제시하였다. 동사 ‘开’의 원형의미는 ‘开门’으로, 이 동작은 닫혀있던 그릇의 덮개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서 그릇을 열린 상태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가리킨다. 그릇도식의 관점에서 ‘开门’은 그릇, 덮개, 내용물의 3가지 요소를 함축하는데, 이들 간의 힘의 상호작용이 동사 ‘开’의 의미확장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본고에서는 힘 역학적 관점에서 동사 ‘开’는 공간영역과 시간영역의 두 가지 차원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공간영역은 감정·인지영역으로 의미확장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동사 ‘开’의 공간영역에서 열림에서 닫힘으로의 공간적 변화는 분리와 개방의 순차적 경로를 통해 실현되며, 이러한 분리와 개방을 토대로 각각 ‘발급·지급’, ‘(공간적) 확장’과 ‘해제’, ‘확산’으로 의미확장된다. 동사 ‘开’의 시간영역은 그릇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고 활동이 시작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동사 ‘开’는 ‘시작’의 시간개념을 함축하게 된다. 동사 ‘开’의 시간영역은 ‘시작’ 의미에서 ‘개최·개설’과 ‘작동’ 의미로 확장되는데 ‘개최·개설’ 의미는 활동, 행사, 이벤트 등을 개시하거나 시작하는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작동’ 의미의 경우 자동차, 선박, 전자 기기와 같이 엔진 또는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기를 조작하는 언어표현에서 사용된다. 동사 ‘开’의 감정·인지영역은 공간영역의 ‘확산’ 의미에서 전이되었으며, 이 영역에서 동사 ‘开’와 공기를 이루는 신체명사는 경험의 그릇으로 간주되어 비유적인 의미를 생성하는 데 기여한다. 본 논문에서는 힘 역학 원리를 기반으로 동사 ‘開’의 의미확장에 대해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논의하였다. 더불어, 의미영역 간의 개념적 연결을 시각화한 의미도식을 제시함으로써 동사 ‘開’의 의미확장에 대한 논의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verb ‘开’(kāi) based on the principles of force dynamics and provides a visual representation of its meaning. The original meaning of ‘kai’ is 'to open a door,' representing the action of opening a door. This action involves applying physical force to a cover or lid to separate it and transform a closed container into an open state. The paper considers Talmy's force dynamics principle as the cognitive mechanism underlying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verb ‘kai’ and discusses this in detail. In the main discussion, the paper divides the spatial and temporal domains of the verb ‘kai’ based on force dynamics. The spatial domain tends to extend into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s. The spatial changes of the verb ‘kai’ are realized through a sequential path of separation and opening, which is explained as a process where actions of separation or opening expand into ‘spatial expansion’ and ‘separation,’ ‘release’' and ‘diffusion’. The temporal domain of the verb ‘kai’ is related to the contents of a container flowing out and the initiation of an activity, hence ‘kai’ implies the concept of ‘beginning’. This temporal domain extends into meanings related to ‘operation’ and ‘hold·open’, such as when operating devices powered by engines or electricity or when initiating activities, ceremonies, or events. The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 of the verb ‘kai’ extends from the concept of ‘diffusion’ in the spatial domain. In this domain, ‘kai’ metaphorically associates emotions and vision with containers and is used in language expressions. In the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 nouns referring to the body are primarily used, and these body nouns are considered as containers of experience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metaphorical meanings. In this paper, the extension of the verb ‘kai’ in the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 is discussed based on force dynamic patterns, and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is extension is presented through a semantic diagram.

      • KCI등재

        효과적인 복소 스펙트럼 기반 음성 향상을 위한 시간과 주파수 영역 손실함수 조합에 관한 연구

        정재희,김우일 한국음향학회 2022 韓國音響學會誌 Vol.41 No.1

        Speech enhancement is performed to improve intelligibility and quality of the noise-corrupted speech. In this paper, speech enhancement performance was compared using different loss function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This study proposes a combination of loss functions to utilize advantage of each domain by considering both the details of spectrum and the speech waveform. In our study, Scale Invariant-Source to Noise Ratio (SI-SNR) is used for the time domain loss function, and Mean Squared Error (MSE) is used for the frequency domain, which is calculated over the complex-valued spectrum and magnitude spectrum. The phase loss is obtained using the sin function. Speech enhancement result is evaluated using Source-to-Distortion Ratio (SDR),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 and Short-Time Objective Intelligibility (STOI).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 of speech enhancement, resulting spectrograms are also compared. The experimental results over the TIMIT database show the highest performance when using combination of SI-SNR and magnitude loss functions. 잡음에 오염된 음성의 명료도와 음질을 향상시키고자 음성 향상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소값 스펙트럼을 이용한 마스크기반 음성 향상에서 시간 영역 손실함수와 주파수 영역 손실함수에 따른 학습 결과를 비교하였다. 시간 영역의 음성 파형과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의 세부정보를 고려해 두 영역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손실함수 조합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간 영역 손실함수는 Scale Invariant-Source to Noise Ratio(SI-SNR)을 이용해 계산하고, 주파수 영역 손실함수는 복소값 스펙트럼과 크기 스펙트럼을 Mean Squared Error(MSE)로 계산하여 사용하였고, sin 함수를 이용해 위상에 대한 손실함수를 계산하였다. 손실함수 조합은 시간 영역 손실함수인 SI-SNR과 각 주파수 영역손실함수를 조합하였다. 또한 크기 값과 위상 값을 모두 고려할 수 있도록 SI-SNR과 크기 스펙트럼, 위상에 관련된 손실함수들도 조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음성 향상 결과는 Source-to-Distortion Ratio(SDR),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PESQ), Short-Time Objective Intelligibility(STOI)를이용해 성능 비교 평가를 진행하였다. 음성 향상 결과를 확인해보기 위해 스펙트럼 상에서 비교를 진행하였다. TIMIT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험 결과, 시간 영역또는 주파수 영역 손실함수보다 SI-SNR과 크기 스펙트럼을 조합한 손실함수를 사용하여 음성 향상을 학습했을 때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

        시간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분포형 구동기의 형상최적화에 관한 연구

        석진영(Jinyoung Suk),김유단(Youdan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0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3 No.9

        시간유한요소법은 시간영역을 고정시키고 행렬 미분방정식 형태의 공간전파 관계식을 풂으로써 시간과 공간에 대한 동적 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공간이산화 유한요소법이나 시/공간 동시이산화 유한요소법에 비해 공간에 관한 자유도가 발생하는 것 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이를 이용하여 분포형 구동기의 공간에 따른 특성을 최적화하는 데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초기조건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태변수 벡터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간영역에서 이산화하고, 공간영역에서 전파관계식 및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공간전파 관계식을 형성하였다. 이 때 구동기의 공간에 따른 형상 분포는 설계되어야 할 변수의 함수이고, 시간반응은 형상함수를 이용하여 이산화 하였다. 포텐셜 에너지 및 운동에너지를 구조물의 변위제어에 적절한 최적의 성능지수로 설정하고, 이를 최소화하도록 미지의 함수인 구동기의 분포형상을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은 임의의 초기조건에서 외란을 받게 되나, 본 연구에서는 구현가능한 제어법칙을 이용하여 최종시간에서 안정화(rest)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였다. 구동기 분포형상 최적화를 위해 상태/준상태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서브행렬 재형상화와 시/공간 경계조건을 통해 상태변수와 준상태변수에 대한 Ricatti 미분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구동기 분포형상 최적화를 구현하였으며,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절한 구동기의 분포형상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보였다. A dynamic analysis method that freezes a time domain by discretization and solves the spatial propagation equation has a unique feature that provides a degree of freedom on spatial domain compared with the space discretization or space-time discretization finite element method. Using this feature, the time finite element analysi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optimi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istributed type actuators. In this research, the time domain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discretize the model. A state variable vector was used in the discretization to include arbitrary initial conditions. A performance index was proposed on spatial domain to consider both potential and vibrational energy, so that the resulting shape of the distributed actuator was optimized for dynamic control of the structure. It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 satisfies the final rest condition using the realizable control scheme although the initial disturbance can affect the system response. Both equations on states and costates were derived based on the selected performance index and structural model. Ricatti matrix differential equations on state and costate variables were derived by the reconfiguration of the sub-matrices and application of time/space boundary conditions, and finally optimal actuator distribution was obtained.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validated the proposed actuator shape optimization scheme.

      • KCI등재

        Cole-Cole 모델에 대한 시간영역 유도분극 반응의 계산

        김연정 ( Yeon-jung Kim ),조인기 ( In-ky Cho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21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4 No.4

        Cole-Cole 모델에 대한 주파수영역 유도분극 반응은 닫힌 형태의 간단한 수식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시간영역 유도분극 반응은 닫힌 형태로 표현되지 않아 Cole-Cole 모델이나 다른 완화모델에 대한 반응을 계산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Cole-Cole 모델에 대한 시간영역 유도분극 반응을 계산하는 세 가지 방법, 즉 급수 전개법, 선형 필터링법 및 푸리에 변환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치 실험 결과 급수 전개법은 안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할 뿐 아니라 수렴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형 필터링법은 후기 시간에서 만족할 만한 정밀도를 보이지 못 하였다. 푸리에 변환법은 계산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나 다른 방법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frequency-domain induced polarization (IP) response based on Cole-Cole model is expressed as a simple equation in close form.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pute the time-domain IP response based on Cole-Cole model or any other relaxation model because it cannot be written in closed form. In this study, using numerical experiments, we compared three numerical methods for calculating the time-domain IP response of the Cole-Cole model asymptotically: series expansion, digital linear filtering and Fourier transform. The series expansion method is inadequately accurate for certain time values and converges very slowly. A digital linear filter specially designed to calculate the time-domain IP response does not present the desired accuracy, especially at later times. The Fourier transform method can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esent the time-domain IP response with adequate accuracy for all time values, even though more computing time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변동풍속의 공간분포와 비정상공기력의 주파수 의존성을 동시에 고려한 사장교의 시간영역 공탄성 해석

        김호경,안동희,서정인 한국풍공학회 2009 한국풍공학회지 Vol.13 No.2

        A time-domain analysis procedure is proposed for the estimation of aeroelastic responses of a cable-stayed bridge due to up-coming wind velocity fluctuation. Two important issues in a time-domain analysis are considered. One of the issues is a spatially correlated wind velocity fluctuation that is generated artificially, and the other is a frequency-dependency of unsteady aeroelastic force. Even though these two issues were investigated separately in previous papers, this study is intended to integrate both issues so as to produce much closer results of time domain buffeting analysis in estimating bridge responses. The time-domain responses are calculated for an actual bridge and compared with those by the frequency-domain analysi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he proposed time-domain platform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vibration controls and/or nonlinear aeroelastic analysis for long-span bridges. 변동풍속 하에서 사장교의 공탄성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 시간영역 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시간영역 해석법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두 가지 사항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첫째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변동풍속의 공간분포 특성이며 둘째는 비정상 공기력의 주파수 의존성이다. 이 두 특성은 기존 논문에서도 개별적으로 검토된 바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를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기존 개별 논문에 비하여 시간영역 공탄성 해석 결과가 실교량의 거동을 보다 정확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교량을 대상으로 이와 같이 두 특성을 고려한 시간영역 해석결과를 도출한 뒤, 이 두 특성을 비교적 쉽게 반영할 수 있는 주파수영역 해석법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공탄성 해석법이 타당한 결과를 줌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장대교량의 제진 설계나 비선형 공탄성해석에 활용될 수 있는 시간영역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모니터링을 위한 주파수영역 역시간 구조보정 기반 4차원 시간경과 탄성파 기술의 적용성 검토

        박세은,김대식,오주원,민동주,김병엽 한국자원공학회 2021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8 No.5

        2013년부터 포항 영일만에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 프로젝트가 시작되었고, 2017년 초 소규모 이산화탄소 주입에 성공하였지만, 같은 해 11월에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인해 모니터링 실증단계는 수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주파수영역 역시간 구조보정을 기반으로 한 4차원 시간경과 탄성파 모니터링 기술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프로젝트에서 계획했던 모니터링 탐사를 가정한 수치모델링을 통해 인공합성 탐사자료를 획득하였다. 이산화탄소 주입을 총 3차로 가정한 속도 모델에서 획득한 인공합성 모니터링 탐사자료에 주파수영역 역시간 구조보정 기반의 4차원 탄성파 모니터링 기술 적용 결과, 포항 영일만 지중저장 프로젝트에서 40개의 수신기를 이용해 설계되었던 모니터링 시스템을 반영하여 주입 이산화탄소에 의한저장층에서의 진폭 변화 감지가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2 geosequestration has been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s a solutio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South Korea, the Pohang CCS demonstration project started in 2013. Although a small amount of CO2 was successfully injected in early 2017, the demonstration stage for geophysical monitoring could no longer continue because of the Pohang earthquake that occurred in November 2017.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4D seismic time-lapse monitoring technology based on frequency-domain reverse-time migration to synthetic 4D time-lapse seismic data considering monitoring acquisition, which is planned for application in the Pohang CCS demonstration project. Assuming that the velocity drops because of injected CO2 in the three monitoring stages, the amplitude variations caused by injected CO2 are detected well using the planned monitoring system in the Pohang CCS demonstration project.

      • KCI등재

        수평다층구조에 대한 시간영역 전자기장의 계산법

        장한길로 ( Han Gil Ro Jang ),김희준 ( Hee Joon Kim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3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6 No.3

        유한길이의 다중 송수신 쌍극자에 의한 수평다층구조의 시간영역 전자기장을 계산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개발하였다. 시간영역 반응은 주파수영역에서 계산된 값에 빠른 역푸리에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먼저 대수영역에서 등간격으로 한 decade 당 10개의 주파수영역 반응을 구한 후 FFT를 적용시키기 위해 3차 스플라인 사이채움(cubic spline interpolation)을 실시한다. 이 때 위상의 경우에는 스플라인 사이채움 이전에 위상곡선을 연속적으로 만들어 주는 과정이 추가된다. 스플라인 사이채움된 자료들은 송신전류파형과 곱말기(convolution)를 한 후 FFT를 통해 시간영역 자료로 만들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step-off 파형만 고려하였다. 개발된시간영역 프로그램은 해석해와 해양 탄화수소 저류층 모델에 대한 반응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충분히 정확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 computer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estimate time-domain electromagnetic (EM) responses for a one-dimensional model with multiple source and receiver dipoles that are finite in length. The time-domain solution can be obtained by applying an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FFT) to frequency-domain fields for efficiency. Frequency-domain responses are first obtained for 10 logarithmically equidistant frequencies per decade, and then cubic spline interpolated to get the FFT input. In the case of phases, the phase curve must be made to be continuous prior to the spline interpolation. The spline interpolated data are convolved with a source current waveform prior to FFT. In this paper, only a step-off waveform is considered. This time-domain code is verified with an analytic solution and EM response sfor a marine hydrocarbon reservoir model. Through these comparisons, we can confirm that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program is fairly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