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호사시험 합격자 결정방법의 현황과 과제

        김용섭(Yong-Sup Kim) 한국법학원 2014 저스티스 Vol.- No.142

        변호사시험의 합격자 결정방법과 관련하여 변호사시험법 제10조 제1항에서 “시험의 합격은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 취지를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고만 되어 있을 뿐, 어느 정도의 합격자를 유지해야 하는지, 어떤 방법으로 합격자를 결정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고, 지금까지 로스쿨에서 엄격한 학사관리를 전제로 입학정원 75퍼센트 이상을 합격시켜왔다. 변호사시험은 순수한 자격시험이 아니고 경쟁시험적 성격도 갖고 있다고 볼 것이다. 변호사시험법에 따라 변호사시험 합격자에 대한 변호사시험의 성적을 일체 비공개하는 관계로 다수의 로스쿨생이 지나치게 로스쿨에서의 학점에만 신경을 쓰고 정작 제대로 이수하여야 하는 변호사로 활동함에 중요한 기본과목이나 실무과목을 외면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로스쿨에서 학점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학점개량에 치중하는 기현상의 이면에는 합격자에 대한 변호사시험 성적의 비공개가 있으므로 변호사시험 합격자에 대한 성적 비공개 규정을 철폐하거나 적어도 사례형이나 기록형의 성적은 공개하여 이러한 변호사시험 성적과 학교성적을 재판연구원 등을 선발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향후 변호사시험 합격자결정은 현재와 같은 입학정원 75퍼센트 이상의 합격방식으로는 지속적으로 합격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형평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로스쿨 입학정원의 60%(1,200명)에서 80%(1,600명)의 범위내에서 3-5년간 변호사시험합격자의 최저한도 법률가로서의 능력치를 기준으로 합격자를 정하는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In connection with the method of selecting successful candidates for bar examination, Paragraph 1 of Article 10 of the Act on Bar Examination does not specify how many candidates shall be accepted as qualified and how successful candidates shall be sorted out. It only provides that successful candidates for bar examination shall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s of law school system. Till now, on the precondition law schools shall implement tight education management, more than 75% of an entrance quota has been admitted to newly advance to the bar. This means that the current bar examination is not only a pure qualifying examination, but also a screening examination. As not a record of bar examination shall be disclosed under the Act on Bar Examination, most of law school students do not dig out the fundamental subjects and practicing subjects which are really important for acting as a lawyer in future, but concentrates excessively only on credits at law schools. Such excessive concentration on law school credits stems from the legal provision that records of bar examination shall not be disclosed. Accordingly, the bar examination records non-disclosure rule should be abolished. If it’s difficult, at least records of case study assessments or constructed response assessments should be disclosed. Such disclosure of exam records may be helpful to the government policy for selection and support of right law clinics. The present method of selecting successful candidates for bar examination will continuously drop the rate (currently 75% or more) of law school graduates’ admission to the bar, and also may cause lots of problems in terms of equality. Accordingly, it will be a good alternative to select successful candidates for bar examination within the flexible admission limits ranging from 60% (1,200 persons) to 80% (1,600 persons) of the entrance quota of law schools on the concept those who are considered to come to have the minimum competency of a lawyer in 3-5 years after success in bar examination are allowed to advance to the bar.

      • KCI등재

        변호사시험법안의 문제점 분석

        가정준(Ka, Jungjoo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1

        This article focuses on reasons why a Bill for New Bar Examination was rejected and what problems this Bill has. In February 2009, the Bill for New Bar Examination was initially rejected during the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The legislation process has to start all over again. The main reason why the National Assembly did not pass the Bill is that lawmakers, government, and majoritarian people do not fully understand the purpose and function of 'Law School' and they have a wrongful myth for a current Bar Examination (Sa-bub-go-si). In the YS regime, the idea of 'Law School System' was initially introduced based on the purpos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After the DJ regime, in the MH regime, the U.S.-style law school system was finally introduced to produce more lawyers and make high-quality legal services more affordable. The main function of law school is to stimulate the education of college based on diverse majors of college students. After passing law for law school system in 2007, new graduate level students are allowed to be candidates for lawyers in 2009. The law of New Bar Examination is demanded for such candidates for 2012. The current Bar Examination is considered time-consuming, waste of human resources, and expensive costs to pass it. These characteristics make it difficult for low budget students to prepare and pass the current Bar Examination.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law school system was initiated. However, some lawmakers and majoritarian people believe that qualifying only law school graduates to take the test would be biased against those who cannot afford to pay for an expensive three-year graduate program. They demanded the new bar examination be open to anyone, as it is now. The number of law makers, about 20 percent of the total law makers, is former lawyers. It is likely that they influence National Assembly not to pass Bill for New Bar Examination because of the anticipated increase in the number of lawyers. When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a bill on Law School in 2007, these problems were already dealt. At that time, most of people and lawmakers agreed that legal services would be better and more available by changing the legal education not by changing Bar Examination. Even Ministry of Justice proposing New Bill on Bar Examination is likely to overlook this agreement. I believe that Ministry of Justice does not distinguish a New Bar Examination from a current Bar Examination. I cannot find any difference between new one and old one if considering the function and purpose of a Bill for Bar Examin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법조양성시험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곽창신 ( Chang Shin Kwack ),박영준 ( Young Joon Park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9 No.4

        법과대학과 사법시험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법조인 양성 제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혁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법학전문대학원제도가 우리나라에 2009년 도입되었다. 「법학전문대학원 설치ㆍ운영에 관한 법률」이2007년 7월 27일 국회를 통과하여 공포되고, 이어 2009년 3월부터 운영되어오고 있다. 2012년 1월부터는 기존의 사법시험을 대체하기 위하여 변호사시험이 시행되었고, 사법시험제도는 2017년까지 병행실시된 후 폐지하기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로스쿨 및 변호사시험 제도는 경제적 약자들에게는 법조인이 될 기회를 박탈하는 좋지 않은 제도라는 비판이 있어왔고 이에 따라 국회에서는 사법시험 존치를 위한 여러 건의 법안이 상정되어 있고 입법을 위한 논의가 한창이다. 한편 2015년 12월 3일 법무부가 2017년으로 예정된 사법시험 폐지를 4년간유보하고, 그 안에 법조인 양성 및 선발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 직후 법조계, 법학계는 찬반 양쪽으로 나뉘어 맹렬한 논쟁을 벌였다. 본고는 현재 법조양성시험제도인 변호사시험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고찰을 통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우선적으로 기존 변호사시험에서의 변호사시험의 고정된 합격률 문제, 변호사시험 성적 공개 문제, 변호사시험 합격자들의 사법연수원 등에서의 합동실무연수 등의 문제들이 조속히 개선하여야 한다. (2) 기회의 균등을 위하여 로스쿨을 통하지 않고도 법조인이 될 수 있는 별도의 방법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사법시험을 2017년 이후에도 적절한 정원으로 존치시키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정치적인 측면에서 사법시험의 존치가 어렵다면 일본식 예비시험을 도입하여 로스쿨을 통하지 않고도 변호사시험을 칠 수 있는 길을 확보해둘 필요가 있다. American style law schools were introduced to reform the long-debated problems such as the abnormal legal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course, the excessive competition in the National Bar-examination. Since July, 2007 when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aw School” finally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Korean government approved only small number of law schools nationwide. Twenty-five law schools with 2,000 students in Korea started in march of 2009. In January, 2012, the first new Bar-examination were introduced to replace the National Bar-examination, and the National Bar-examination would be implemented until 2017. But the law school and new Bar-examination system has been criticized as benefiting only those wealthy enough to afford law school, while depriving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of a chance to enter legal circles. The NationalAssembly’s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is currently deliberating on several proposals designed to prolong the existence of the National Bar-examination. In December, 2015, the Ministry of Justice announced that the ministry would delay scrapping the National Bar-examination by four more years until 2021. the Ministry of Justice’s announcement left many confused, as it was unclear whether the bar exam would be abolished or retained after 2021. The ministry’s ambiguous position drew fire from both proponents and opponents of the National Bar-examin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paper aims to find out any problems of the current Bar-examination system and, if there’s any, to solve the problems byconducting a thorough study of the system. This study suggests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Korean Bar-examination system are as follows, (1) it is needed that immediate improvement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such as the low ratio of passing the exam, disclosing the exam scores, and legal practice training at the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2) it is needed that alternative way to become a lawyer without through the law school system for the equality of opportunity. For this reason, it is desirable that either the continuation of the National Bar-examination or the introduction of the modified Japanese style preliminary exam for Bar-examination.

      • 특집 : 변호사시험제도의 개선방안 -형사법 시험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김태명 ( Tea Myeong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12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3 No.1

        지금까지 법무부와 법전원 협의회는 여러 가지 업무로 바쁜 와중에서 도 모두 3차례의 모의시험을 실사하고 모의시험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행정적인 실수없이 제1회 변호사시험까지 무난하게 치러 내었다. 이러한 그간의 노력들은 결코 과소평가되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시험의 내용면에서는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적지 않은 점이 적지 않다. 간단히 정리하면 선택형 문제에서는 특히 단순택일형, 실무에서 거의 쓰이고 있지 않는 순수이론형 문제에서 볼 수 있듯이 과거 사법시험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이 재현되고 있고, 불필요하게 장황한 사실관계를 나열한 문제도 적지 않게 발견된다. 그리고 사례형과 기록형 문제에서는 대립되는 견해를 소개· 비판하는 논증과정을 통해서가 아니라 간단히 법조문이나 판례를 단순히 적용함으로써 풀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1,3회 모의시험이 이론지향적이었던 반면에 2회 모의시험은 실무지향 적이어서 상당한 논란이 야기되었으나, 이반 l회 변호사시험은 이론과 실 무의 어느 한쪽에 편향되었다는 평가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일단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단답형은 법조문과 판례에 내한 단순한 지식만 있으면 맞출 수 있는 문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사례형은 쟁점에 대해 대립하는 견해를 소개· 비판하고 자신의 논지를 전개해 나가 는 것이 야니라 미리 공부한 판례나 이론적 지식을 쓰는 것만으로 족한 문제가 출제되고 있으며, 기록형은 사실인정보다는 법적 판단에 치중하고 있어 사례형문제와 차발성이 없고 게다가 쟁점까지 제시해 주는 경우도 있어 기록형시험의 독자성에 대한 의문까지 제기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법무부와 법전원협의회의 적지 않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정법과 판례에 대한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법률지식을 바탕으로 실제사례에 적용하여 법적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 을 통한 법률가의 양성이라는 법전원의 교육이념과 부합하거나 근접하는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평가하기는 힘들다. 본 논문은 그간 3차례에 걸친 모의고사와 l회 변호사시험의 형사법 문 제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개선방안을 제기하고 있다. Law school system has been has been adopted three years ago in Korea, and first bar examination took place in January this year. Practice tests had been given by Ministry of Justice and Law School Association before the first bar examination. But controversy over type and contents of the bar examination has been around, because it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 law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questions of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e in the practice tests and first bar examination, and to think over some desirable criteria for making questions of bar examination, Bar examination and law school education is related very closely, so the a discussion over the desirable bar examination form is to start from the goal of educationan in law school, The undergraduate law education has been criticised, that the students memorized simply theories and legal texts. But the great emphasis is laid on logical argumentation, critical thinking, creative consideration, humanity and ethical mind in education in law school system. The type and contents of the bar examination of the bar examination should be designed to attain of these goals. And the criminal cases should be utilized education in law school and in bar examination as qualification test, that measures the fundamental ability of lawyers. In my opinion, the great portion of education in law school and of bar examination are to be made on the basis of leading cases. And cases should be utilized in the way, not to memorize it, but to understand them and make use of them in real cases.

      • KCI등재

        변호사 시험에 있어서 헌법 기록형 문제의 출제방향에 관한 연구

        차진아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1

        The professional school system of law has changed the direction of lawyer’production from selecting a few elites by the judicial examination to training law students admitted by G.P.A, LSAT scores, etc. That is why the curriculum of law school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past one, and the bar examination also be different from the judical examination. The performance question, which is a new-typed evaluation and different from the judicial examination, can be especially found in the meaning and role of changed legal education. However, there are much anxiety and concern about the specific content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bar examination scheduled for January, 2012. It is because there is a sharp conflict of opinions on changed legal education in law school like how it will be properly evaluated by the bar examination, how objectivity and fairness of evaluation could be secured, and what level of evaluation and difficulty of the bar examination is reasonable compared to the one of the judicial examination and the JRTI(Judical Research Training Institute) test. The performance question is a focus of present controversy. Unlike the judicial examination, the bar examination adds performance questions which are similar with the JRTI test in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essay questions. The method to set and evaluate performance questions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tters to emphasi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r examination and secure objectivity and accuracy of evaluation by the bar examination. In that sense, the meaning and role of the 1st bar examination scheduled for January, 2012 is very important. It’s because the effect of the bar examination on national law schools is stronger than the judical examination on the College of Law curriculum. Therefore, what is required of us now is as follows: On the one hand, internal stability of externship can be ensured. On the other hand, objective and fair evaluation about externship of law school can be possibl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achieve that, but I hope this article will be the basis for future discussion by giving my opinion on matters which we have agonized over. 법학전문대학원 제도는 소수의 엘리트 선발을 통한 법조인 배출이 아니라 교육을 통한 법조인 양성으로 방향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내용은 과거 법과대학의 교육내용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었고, 이를 평가하는 변호사시험도 사법시험과는 달라질 수밖에없다. 종래 사법시험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유형의 평가방식인 기록형 문제의 의미 내지 도입배경은 이와 같이 달라진 법학교육의 의미 내지 역할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내년 1월로 예정되어 있는 제1회 변호사 시험의 구체적 내용과 평가방식에 대해서 불안과 우려도 적지 않다. 기존의 법학교육과는 달라진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학교육을 변호사시험에서 어떻게 적절하게 평가할 것인지, 또 이러한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나아가 변호사시험의 평가수준 내지 난이도를 기존의 사법시험 내지 사법연수원 시험에 비하여 어떤 정도로 하는것이 합리적인지 등을 둘러싸고 첨예한 견해의 대립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것이 기록형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변호사시험은 기존의 사법시험과는달리 객관식(선택형)과 주관식(사례형)의 문제유형 이외에 사법연수원시험의 패턴과 유사한 기록형 문제를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형 문제를 어떻게 출제하고 평가하느냐는 변호사시험의 구조와 특성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 그리고 변호사 시험에 의한 평가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내년 1월로 예정되어 있는 제1회 변호사시험이 갖는 의미와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제1회 변호사시험은 과거 사법시험의 출제경향이 법과대학의 교과과정에 미쳤던 영향 이상의 강력한 파급효를 전국의 법학전문대학원에 미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금 여기에서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기록형 문제의 구체적인 의미와 역할에 대한 보다폭넓은 합의를 통하여, 한편으로는 실무교육을 내실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법학전문대학원의 실무교육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앞으로도 많은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지만, 당장의 문제를 위하여 그동안 고민했던 부분들에 대한 개인적 의견을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논의를 위한 작은 받침돌이 될 수 있었으면 한다.

      • KCI등재

        현행 변호사시험의 문제점과 과제 - 형사법에 착안하여 -

        이승준 ( Lee Seung-ju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8 法과 政策 Vol.24 No.3

        충분한 준비 없이 개원한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로스쿨’이라 함)이 출범 10주 년을 맞이하였다. 개원 당시 법조계와 교육계 모두의 우려 섞인 목소리가 터져 나왔으나, 법학전문대학원은 지난 10년간 사법시험과 기존 법과대학의 폐해를 극복하고 적지 않은 성과를 보여 왔다. 이 과정에서 1기 입학생부터 7기 입학생들이 제7회의 변호사시험을 치루었다. 변호사시험은 로스쿨 교육의 내용과 깊이, 교육방법 등 다방면에 영향을 미쳐 결국 로스쿨의 내실화와 정상화를 결정짓는다. 그러나 7회에 걸쳐 시행된 변호사시험이 좋은 전문가가 될 수 있는 법조인을 양성하는 교육에 기여하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변호사시험 합격과 이후 취업경쟁은 로스쿨 재학생들 간에 감정적이고 소모적이고 기회주의적 경쟁주의의 팽배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 변호사시험 문제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나치게 광범위한 시험범위, 복잡하지만 차별성이 사라진 문제 유형, 판례 위주의 단순 암기형 문제, 인위적이고 부자연스러운 통합형 문제, 지나치게 긴 지문과 쪼개진 소문, 평가 의미를 상실한 전문적 법률분야 과목의 시험 등을 꼽을 수 있다. 선진적 변호사시험이 선진적 로스쿨을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교육을 통한 법조인의 양성이라는 로스쿨의 취지와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행 변호사시험의 개선이 불가피하다. 우선 변호사시험 문제는 선택형, 사례형, 기록형으로 구분된 시험유형별 고유의 기능과 취지를 회복해야 하며, 다음으로 속독속기 경쟁이 되지 않도록 문항 수를 축소하고 지문의 단순화가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단순 암기위주로 출제되는 판례 문제를 축소하고 과목별 판례의 출제 범위를 한정하여 사법시험의 폐해를 극복해야 한다. 또한 통합형 출제의 의무감이나 강박감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운 통합형 문제는 지양하여야 한다. 아울러 기록형 문제의 출제 유형을 제한하고 법률실무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기록형 문제가 출제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가의 의미가 퇴색된 선택법 과목은 폐지 후 과목 이수 체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변호사시험은 결코 과거 사법시험처럼 떨어뜨리는 시험이 아며, 통상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하였는지를 검증하고 그 결과가 로스쿨의 법학교육에 충실히 환류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점은 변호사시험이 ‘변시낭인’이라는 새로운 고시낭인을 양산하지 않아야 하며 법학교육을 다시 황폐화하도록 만들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변호사시험 합격률이 로스쿨 교육의 모든 면을 집어 삼키는 블랙홀이 되는 것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The law school, which was opened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celebrated its 10th anniversary. At the time of the opening of the school, the voices of both the lawyers and the education professions burst out, but the law school has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s over the past decade. Bar examinations affect many aspects of law school education, such as content, depth, and education methods, which ultimately determine the normalization and strengthening of law school. However, I have to wonder if the seven-time Bar examinations contribute to the training of law students who can become good experts. This is because the passing of the bar exam and the subsequent competition for employment are pointed out as causes of emotional, exhaustive and opportunistic competition among students. The problem of the current bar examination problem can be seen in detail as follows : an overly broad range, problem type with no differentiation, precedent-oriented problem, artificial and unnatural integrated problem, overly long fingerprint and cleaved problem, And examinations of specialized legal field subjects. Because the advanced bar examination leads to the advanced law school, it is inevitable to improve the current bar examin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and goal of law school education through education. First, the bar exam questions should be restored to the function and purpose specific to each type of test. Next, the number of questions should be reduced and fingerprints should be simplifi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narrow down the precedent cases focused on simple memorization and limiting the scope of the cases. In addition, the unnecessary integration problems due to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the integration type should be avoi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types of questions of practical problems and to make practical problems. Finally,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a form in which the meaning of the evaluation is faded and the elective course is taken after the abolition. Bar examination is never a test to drop like past bar examination. It should be verified that the examinee has completed the normal course and the result should be faithfully returned to the legal education of the law school.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the bar exam should not produce a new “bar exam retakers” and should not make law education devastate again. It should not be neglected that the passing rate of the bar exam becomes a black hole that swallows all aspects of law school education.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의 조화 및 변호사시험

        김동호 대한변호사협회 201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06

        1.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의 조화법과대학이나 법학전문대학원이나 법학이 실용학문에 속하는 이상 실무지향적이어야 했다. 일반적으로 과거 법학을 수료한 학생들은 간단한 소장도 작성할 수 없었다. 이러한 실무교육의 부재는 마땅히 비난받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거의 법률교육은 강단법학을 면하지 못했다.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은 실용적인고려 없이 채용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수요가 무시되고 교육 공급자로서의 교수들의 여건과 생각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였다. 때로는 실용적이지 못한 주제들을 다루면서 한 학기의 대부분을 보내버리기도 했다. 학생들은 단지 이론교과서를 읽는 것만으로 교수의 설명을 듣지 않더라도 법률개념과 법률이론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사고가 지금 법학전문대학원 시대에 있어서도 남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는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과 변호사시험제도가 실무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과목간의 융합적 교육이 요구되고 있고, 실무가 출신 교수들이 현저히 많아졌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은, 3년이라는 짧은 교육기간 내에, 법률전문가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수준으로 일반적인 법률이론에 관한능력뿐만 아니라 법률전문가로서의 능력까지도 습득되도록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미국 로스쿨의 것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입함으로써 우리의 전통적인 것들을 바꾸어 버리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법률이론 과목에 있어서 사례와 판례가 교육내용으로 사용되고 문답식 방법이 교육방법으로 채택되는 것이 대표적으로 잘못된 예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몇 가지 이유로, 그러한 것들은 우리의 법률이론 과목에는 적합하지 않다. 법률이론 과목에 있어서 미국 로스쿨에서의 교육내용과 방법들은 부수적으로 고려되면 충분하다. 사례와 판례는 강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서 적당한 정도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문답식 방법은 우리나라 법의 원리와 체계를 이해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강의실 내에서의 이론교육은 교과서나 법조문들을 읽는 것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을 선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그것을 이해시키는 데에 활용되어야 한다. 3년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기본적인 법률과목의 기본적인 지식이 습득되려면, 법률이론 교과서는 볼륨이 적고 체계성을 갖추도록 학생들 편익의 관점에서 재작성되어야 한다. 2. 변호사시험제도변호사시험제도는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재 변호사시험을 주관하는 당국자들은 실무능력을 강조하고 있고, 그러한 방향설정은 옳다. 특히 논술시험에 있어서 기록형 문제를 모든 기본법 분야에 설정해 놓은 매우 놀랍고도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실무가 출신 교수들과 법률실무가들의 적극적이고 희생적인 기여가 전제되어 있다. 선택과목 시험이 논술형으로 된 것은 이해할 수 없다. 변호사시험 과목에 그것을 포함한 것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볼 때에는 더욱 그렇다. 선택과목의 시험은 과거 사법시험 제도에 있어서와 같이 선택형시험으로 지속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변호사시험 과목에서 아예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고 생각한다. 한편, 변호사시험에 관한 정보제공에 있어서는, 변호사 자격시험으로서의 시험 성격, 법학전문대학원의 목적 및 과거 사법시험 제도의 반성을 ... 1.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of law for the harmony at Korean law-schools The law faculty belong to practical study, it had to be practice-oriented either at law-college or law schools in our country. Generally, a law student did not create a simple civil complaint in the past. This lack of practical training is to blame. As far as this point, the original law education should not be an entirely legal pulpit. In choosing a topic or teaching method, practical considerations were not oriented. These results grew out of the fact that students’ demands were ignored and out of the fact that the circumstances and thoughts of professors as the providers were absolutely influencing. With impractical subjects, sometimes they spent most of one semester. Now even in the time of law school, I think, it is residual the thought that the law students can understand the legal concepts and the legal theories enough, only by reading the legal text books, without legal professors’ explaining. Now the law school courses and the bar examination system are requiring practical training in our country. Moreover, the congruous education are required between each subjects, and the practice-experienced professors become remarkable. Thus,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must be equiped and improved enough, to achieve not only the legal capacity of general theory as well as legal expertise, at the minimum level required for legal experts, within a short period of three years. But we should not import uncritically the things of American law schools to change our traditional things that should not be changed. The typically wrong examples are just the trend that cases or precedents are chosen as contents and that the Socratic method is chosen as the method, at the legal education of theoretical subjects. I am thinking so. Pointed out above, due to several reasons, those do not fit the our legal education of theoretical subjects. Those are only the secondary ones at the legal education of theoretical subjects. Cases and precedents should be used by the appropriate leve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lecture. The Socratic method can not be an effective way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system of our laws. The theoretical education in the classroom has to be utiliz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selected things that could not be understood only by reading textbooks or provisions. Within a shorter period of 3 years, basic knowledge of basic legal subjects to be learned, the text book of legal theory should be reorganized for the benefits of students by reducing the volume and by enhancing systematical character. 2. Korean bar examination system The bar examination system directly affects the education in law schools. Now the authorities of bar-examination placed emphasis on the working skills, and that is the right direction. Especially, it is significant and desirable very much that the records type essay-exam are set for all of the basic law subjects. But here is the premise of the active contribution and sacrifice of the practice-experienced professors and the practicing lawyers.It cannot be understandable that the testing way of electives is essay type. Considering the criticism of including that in bar examination subjects, it is more so. It is desirable, I think, that selection-type-test of electives should be kept as in the past bar examination system, otherwise, elective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bar examination. Meanwhile, i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bar examination, when I synthesize the examination’s nature as the qualification test of a lawyer, the purposes of korean law school and the reflection of past bar exam system, and when I interpret the Korean Bar examination law §18②, finally I can make sure that the informations about the grades or rankings of individual subjects and about the overall position is to provide not for the passed but for the non-passed.

      • 서강대 법조인동문 대상 설문조사 연구

        김평우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서강법학 Vol.9 No.1

        Recently Sogang University is try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who will pass the bar examination. In 2006 Sogang University increased the number of students of law department that is one hundred per a scholastic year, and since 2007 law department has been a college. But these efforts are just for readying to introduce the law school system, actually they are not of help. So to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who will pass the bar examination, as many lawyer alumni said, the increase of support for bar examination class is necessary. And the difficulty that candidates for bar examination have during the beginning is insufficiency of information about bar examination. Especially, non-college of law students have a little information about barl examination, and college of law students who don't have interaction with seniors also have a little information about bar examination. To solve this problem, establishing the consultation office of bar examination and home page will be effective. By this way, candidates for bar examination will have many information about the examination.

      • KCI등재

        변호사시험에서 헌법판례의 출제방식

        박종보 ( Jong Bo Park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1 No.2

        The new system of Korean law school was designed to switch from “selecting lawyers through examination” to “training lawyers through education.” Accordingly the character of the bar examination has been changed. While there had not been any qualification for the former “judicial examination,” only law school graduates are qualified for the new “bar examination” under the new law school system. The purpose of the former judicial examination could have been regarded as failing most of the applicants, but that of the new bar exa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passing most of the applicants and rejecting only a few of the applicants. The curriculum of a law school should certainly be enough to develop the students’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in lawyering. But the bar examination has only to measure the basic capacity for lawyering. Law school students must be prevented from focusing on preparation for the bar exam instead of developing themselves into competent lawyers. Question form of the bar examin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achieve that goal. Korean bar examination is made up of three question forms: multiple-choice, case form, performance test. Constitutional law cases are inevitable material for multiple-choice questions as well as case form and performance test. Since the time of former judicial examination, it has been criticized that multiple-choice questions rely too much upon judicial precedents. In my personal opinion, the high level of reliance on precedents is less problematic than selection of precedents and composition of the questions. It must be evaded to set questions from peripheral cases instead of standard cases including significant legal rules. And it must also be avoided extracting facts from rare cases without universal phenomenon. In setting questions from standard precedents, it must also be sublated to ask only the holding of a specific case. because such questions test only memory for black letter law, but not the ability to analyze given facts and to apply rules to the facts. On the contrary,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questions by excluding immaterial facts irrelevant to the holding of a precedent.

      • KCI등재

        변호사시험 출제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변호사시험의 출제위탁을 중심으로 ―

        김재봉 ( Jaebong Kim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4

        법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도입된 후 한동안 사법시험 존치에 대한 방어에 치중하느라 올바른 법전원제도의 정착에는 소홀한 측면이 있었다. 현재 법학전문대학원과 관련해서 학생 선발, 학사일정, 커리큘럼, 학생 평가방법, 졸업시험, 변호사시험 등 여러 사항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낮은 변호사시험 합격률로 인해 대부분 법전원이 변호사시험 준비에 매진하느라 국민의 다양한 기대와 요청에 부응하고 건전한 직업윤리관를 갖는 법조인의 양성이라는 법학전문대학원 본연의 역할에는 소홀했고 변호사시험의 합격에 도움이 되지 않는 국제화 및 특성화, 리걸클리닉 등은 점차 형해화되고 있다. 그동안 변호사시험에 대한 다양한 문제제기와 개선방안이 제시되었지만 주로 변호사시험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것들이었다. 시험과목의 타당성, 선택형, 사례형, 기록형 등 문제유형의 타당성 등 다양한 문제제기와 검토가 있었고 필자도 이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다만 그동안 변호사시험의 출제절차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변호사시험의 출제과정과 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위탁출제의 가능성과 방법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대다수 논문에서 제시하는 변호사시험의 개선방안은 크게 새로운 것은 아니고 법학전문대학원 출범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변호사시험이 본래의 구상에 부합하는 방향에서 출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선방향은 대다수가 공감하면서도 변화를 위한 움직임은 더디기만 하다. 이 상황에서 하나의 돌파구를 마련해 보려는 취지에서 필자는 변호사시험 출제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변호사시험의 출제를 더 이상 행정관료와 출제위원의 양식에 맡겨 놓을 수 없다는 생각에서 출제절차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문제은행 관리, 출제위원 위촉, 출제의 전문화 등을 제시했지만 이 또한 실현되기에 여러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필자는 전문출제기관에 대한 출제위탁에서 돌파구를 찾고자 하였다. After the law school system was introduced, for a while, the focus was on the defense of the bar exam, so there was a neglect of the establishment of a proper law school system. Currently, several issues are being raised regarding student selection, academic calendar, curriculum, student evaluation methods, graduation exams, and bar exams related to the Law School. In particular, due to the low passing rate of the bar exam, most of the law schools were focused on preparing for the bar exam, so they neglected the original role of the law school of cultivating lawyers with sound professional ethics and meeting the various expectations and requests of the public. Internationalization, specialization, and legal clinics that do not help to pass the bar exam are gradually becoming more common. In the meantime, various problems have been raised and improvement plans have been proposed for the bar exam, but mainly the content and format of the bar exam. There were various questions raised and reviewed, such as the validity of test subjects and the validity of question types, and I fully agree with them.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discussion about the problems with the bar exam questioning procedure.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bar exam questioning process and procedure are examined, and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and method of the commissioned examination are to be examined. Currently,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bar exam suggested in most of the papers is not very new, and it is to return to the original intention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School. The bar exam should be presented in a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idea. Although most people agree with this improvement direction, the movement for change is only slow. In order to make a breakthrough in this situation, I mentioned the problems of the bar exam questioning procedure and ways to improve it. Since the questions of the bar exam can no longer be left to the forms of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exam committee members, I looked at ways to improve the exam procedure. In detail,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question bank, appoint a member of the question paper, and to specialize the questions, but the way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at this time is to entrust the questioning to a specialized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