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 학생의 공학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진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교육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학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교 육대학 학생의 공학기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함양을 통해 공학기술 교육 수준의 향상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 내 용은 공학기술의 특성, 공학기술의 내용,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이다. 조사대상은 D교육대학의 2학년이며, 설문지는 315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보리치 공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에서 교양과정 및 전공과정의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중에서 공학기술 교육이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고, 실과 심화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내용에 맞추어 목공작, 전기⋅전자, 재배, 컴퓨터, 발명, 동물 등으 로 편성되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학기술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는 실과뿐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공학기술과 관련한 모든 항목에서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자신의 능력수준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공학기술의 특성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 ‘공학기술적 사고와 창의성’ 항목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고, 공학기술의 내용에서 제조 영역은 ‘안전사고 방지’ 항목이, 건설 영역은 ‘주거공간 이해하기’ 항목, 에너지⋅ 수송 영역은 ‘에너지 문제 해결 방안’ 항목, 정보통신 영역은 ‘간단한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항목, 생명 영 역은 ‘유전공학의 이해’ 항목, 전기⋅전자와 기계 영역은 ‘로봇의 이해와 간단한 로봇 조립’ 항목, 발명 영역은 ‘발명 과 창의성 계발’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는 ‘공학기술 내용의 실습 제작’ 항목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영역별로 교육요구도가 큰 항목은 교육대학에서 수업시에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improving the level of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through the cultiva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tudents' engineering technology. For this, it analyzed educational needs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by 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educational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Subjects were sophomore in D university of education, questionnaire collected statistics 315 cases, and the educational need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s formula.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follows;1. The university of education carried into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partly out of required subjects and optional subjects of liberal courses and major courses. Department of practical arts operated the wood manufacture, the electric⋅electronic, the cultivation, the computer, the invention, the animal area, etc in connection with practical arts contents of elementary. 2. Only practical arts subject is very closed to engineering technology. 3. All items relating engineering technology showed high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4. In the educational needs of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engineering techno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as high.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safety accident prevention' out of manufacture area was high, and 'the housing space understanding' out of construction area, 'the energy problem solving plan' out of energy⋅transportation area, 'the simple multimedia making' ou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a, 'the genetic engineering understanding' out of life area, 'the robot understanding and simple robot assembling' out of electric⋅electronic and machine area, 'the invention and creativity development' out of invention area. In the educational needs of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practise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was high. Therefore, when university of education instructs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it considered about the items that the educational needs at each areas were high.

      • KCI등재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의 입학 동기 및 중‧고등학교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김성일,김기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about recognition of secondary schools' technology lesson and admission motive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The 30 questionnaires of 6 parts (admission motive, recognition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before admission, recognition of technology teachers, technology laboratory environment, technology classes, and satisfaction in secondary school days) were collected by 72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freshmen of 3 universities and analyzed by using SPSS(Ver. 2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5.8% of students heard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by relatives and 48.6% heard from secondary school teachers, school senior's, and friends. They could choose their majors from senior of high schol to the period of early action. It is shown that about 60% of students had teacher in their family and their parents preferred students to become a teacher. The graduate students from natural sciences were 72%, liberal arts graduate students were 21%, an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 students were 7%. Second, the highest motive they chos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is possibility(M=4,22) of becoming a teacher. On the other hand, freshman showed that students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before entering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M=2.40), thus more information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are requested. Third, students have higher preference level(M=3.58) than normal about technology teachers. The recognition of laboratory environment is almost normal (M=3.11). Even though they have high level of interests and concerns(M=3.33), the other students who do not choos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evaluated low(M=2.81).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had lots of practical lessons at laboratory than theoretical lesson when they were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in order to increase interest and attention in technology clas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aboratory environment's importance are needed. In conclusion, students did not know about technology education before entering and were likely to know about this major mainly through teachers and relatives. Many students has relatives who are teachers. The admission motive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was high possibility of becoming teachers even the education curriculum is difficult than other depart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echnology lesson, technology classes should include a lot of practice lessons than theoretical lessons. Technology teachers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theme in each practice lessons at technology laboratory.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기술교육과 입학 동기와 중‧고등학교 시절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3개 대학교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6개 영역(대학 입학 동기, 입학전 기술교육과에 대한 인식, 중등학교 시절의 기술교사와 기술수업환경,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30개 문항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얻어진 72명의 데이터를 SPSS(Ver. 2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과를 알게 된 경로는 친척이 45.8%, 학교 교사와 선배, 친구가 48.6%였고, 대학 학과 선택시기는 주로 고 3 ~ 수시원서 접수 전이었다. 친척 중에 교사가 있는 학생은 60% 정도이며, 교사 집안에서 교사를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고등학교별 출신은 일반계 고등학교 이과 72%, 일반계 고등학교 문과 21%. 전문계(특성화)고등학교 7%이다둘째, 기술교육과를 선택한 동기로는 교사가능성이 가장 높기(M=4,22) 때문이다. 기술교육과가 주위에 잘 알려져 있다는 응답은 보통 이하의 수준(M=2.40)이다. 따라서 주위에 기술교육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대책이 요청된다. 셋째, 기술교사에 대한 호감도 인식은 평균(M)이 3.50 정도로 보통 보다 높은 편이며, 수업환경 평균(M)은 3.11로 보통 수준, 기술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본인은 보통 이상(M=3.33)이지만, 주위 학생들은 보통 이하(M=2.81)이라고 하였다. 기술교육과를 입학한 학생들 중 수업에 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중학교 때 기술교사가 수업을 담당하고, 기술실에서 준비된 실습재료로 이론보다는 실습시간이 많았던 학생들이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대학 입학 전에는 기술교육과에 대해 거의 모르는 편이었고, 기술교육과를 알게 된 동기는 주로 교사와 친척이다. 많은 학생들은 친척 중 교사가 많은 편이며, 입학 동기는 공부는 조금 어렵더라도 타 학과보다 교사 가능성이 많아서였다. 기술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려면 기술교사들은 기술실을 활용하여 적절한 시간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고 이론 보다는 실습수업을 더 많이 하여 기술 수업을 책임질 수 있는 역량을 높여야 한다.

      • KCI등재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교육의 관계-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이론을 중심으로 -

        홍은영 한독교육학회 202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7 No.1

        Pedagogical discussions of technology can limi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and education by confining both only to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itical theory of Horkheimer and Adorno; this theory reflects on the fundamental dilemma of education and bourgeois culture that divides culture into a dichotomous structure of means and end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s and ends which is presented in Horkheimer’s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focusing on Rohbeck’s analysis of instrumental reason. Next, Chapter 3 explores Adorno’s understanding of technology that takes a position of intrinsic criticism, unlike Horkheimer’s thought that is somewhat conciliatory to totality. Notably, beyond the criticism of technology in the cultural industry, in aesthetics, technology is understood as a general concept that mediates the content and materials of artwork.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mphasis on the social properties of technology, and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content. Based on Adorno’s criticism on the theory of Halbbildung,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culture does not mean anything noble that seeks elevation and harmony of human spirit; rather, it is implicated in adapting to the domination of nature in connection with reality. Further, the cultural industry has intensified the educational regression due to half-education. Now, notice here that recognizing the intertwined culture and technology requires more sensitive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internal debates about education itself. Subsequently, Chapter 4 posits that technology is not completely different from education; education is objectified within technology; technology is objectified education and the product of education. Then, technology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practice in that it contains an opportunity for the inevitable formation and mediation of Dasein (human existence). In this sense, education has technical properti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education for pedagogical thoughts about technology. This discussion centers on the criticism of the present; a review of technology and education concepts; technologization as conditions to criticize education; and a constant denial of humanistic education. 본 연구는 기술에 대한 교육학적 논의가 기술과 교육을 대립관계로만 환원하는 것은 기술과 교육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제약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문화를 수단과 목적의 이분법적 구도로 구분하는 부르주아적 문화와 교육의 근본적 딜레마를 성찰하는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교육과 기술의 관계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 비판에 나타난 수단과 목적의 관계를 로베크의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3장에서는 총체성에 다소 유화적인 호르크하이머의 사유와 달리 내재적 비판의 입장을 취하는 아도르노의 기술 이해를 고찰한다. 이때 특별히 주목할 점은 문화산업적 기술 비판을 넘어 미학영역에서의 기술 개념은 작품의 내용과 재료를 매개하는 총괄 개념으로서 이해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술의 사회적 속성과 기술과 내용 간의 내재적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도르노의 절반의 교육 비판을 통해 교육과 문화 개념은 인간 정신의 고양과 조화를 추구하는 어떤 고귀한 것을 뜻하지 않고, 오히려 현실과의 연관성에서 자연 지배에의 적응에 연루되고 있다. 절반의 교육으로 나타나는 교육의 퇴보는 문화산업으로 강화되고 있다. 여기서 강조될 점은 문화와 기술의 상호 얽힘에 대한 인식이 교육과 기술 관계에 대한 좀 더 예민한 성찰과 교육 관념 자체의 자기비판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기술은 교육과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닌, 기술 안에 교육이 대상화되고, 기술은 객관화된 교육이자 교육의 결과물임을 논의한다. 기술은 인간 현존재의 불가피한 형성과 매개의 계기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실천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교육은 기술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결론에서 기술과 교육의 내재적 관계가 기술에 대한 교육학적 사유에 줄 수 있는 함의를 현재에 대한 비판, 기술과 교육 개념의 재검토와 교육 비판의 조건으로서 기술화 그리고 휴머니즘적 교육의 쉼 없는 부정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실과(기술·가정)과 교사의 인식 분석

        이재진,노은희,신호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3

        Recentl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nterest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field for digital literacy have had great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sch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In this movement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perceptions of teachers responsible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secondary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es in term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carried out a nation-wide surve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on the necessity and practic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rofessionality and readiness of teachers, and education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s. In total, 10% of schools nationwide by levels were selected in two surveys through stratified sampling. 4,760 elementary teachers and 3,689 middle school teachers had participated in the two surveys, 257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out of whom responded the surveys. The study identified five results as follows. Firs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ave a relatively higher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subject matter education compared with other subject matters, while the extent which they put digital literacy into practice is just similar with others. Second, regarding the time of introduc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lementary teachers responded that 3-4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would be appropriat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pondence by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saying that 5-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or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would be better. Third, out of the purpose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curriculum, ‘proper understanding and using of digital technology’ appeared to be the highest as well as ‘explor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and contents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creat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through digital technology’ were considered important. Fourth, basic skills to use computer, keyboard typing,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presentation using presentation applications, multimedia usage were identified major digital literacy related functions and skills necessary for students. Finally, elementary teachers appeared to mainly use digital literacy technology for motivating students’ learning, practicing, collecting data, exemplifying and advising for learning activities, whil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appeared to do it for motivating, explaining learning materials, collecting data, exemplifying and advising.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교과 교육계의 관심은 학교의 교육 방향과 교사들의 수업 방법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교과 교육의 변화 움직임 속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기술·가정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실과 및 기술·가정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현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전국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실행,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교사 전문성과 준비도, 교육 여건과 개선 방안으로 구성하였다. 총 2차에 걸친 설문조사는 학교급별 전국 학교의 10%를 층화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 2회의 설문에서 초등학교 교사 4,760명, 중학교 교사 3,689명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에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는 257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교과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타 교과에 비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행의 정도는 타 교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도입 시기에 대해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초등 3-4학년으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초등학교 5~6학년 또는 중학교 1학년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목적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정보와 내용물의 탐색 및 활용’과 ‘디지털 기술을 통한 정보와 그 내용물의 창조‘가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넷째, 학생들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기능·기술로는 컴퓨터 활용 기초 능력, 키보드 타이핑, 인터넷 의사소통, 파워포인트 발표, 멀티미디어 활용이 주요한 기능과 기술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은 대체로 학습 동기 유발, 실습, 자료수집, 학습활동의 시범 및 조언을 위해,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은 동기 유발, 학습자료의 설명, 자료수집, 학습활동의 시범 및 조언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정보 통신 기술과 생활’ 단원에서 진로교육 수업자료 개발

        최지나,이용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teaching materials of career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in the technology education. As preparation phase, in order to choose the suitable contents for career education, we analyzed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existing related researches. After content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career education, we mapped the contents into career education area. In the 'Design' step of teaching, we extracted the unit design components after analyzing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of eleven text books us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Activity', 'Arrangement' steps of teaching, by applying the SHIP model, on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model, we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Then, we get expert evaluation using questionnaire and improve the suitability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First, our teaching materials reflect the development histo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ll, show the features of career education, and are suitable to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teaching materials. Second, our teaching materials can help students to face various job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have more interests and exploring opportunities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ject. Third, our teaching materials can help teachers to use it for the career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of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class time. Our teaching materials can also be used in the extra activity related to career education an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urthermore, since 2009 revised curriculum includes the career education unit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ject, our teaching materials can be used partially as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의 ‘정보 통신 기술과 생활’ 단원의 진로교육 영역의 향상을 위한 수업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크게 준비, 설계, 개선의 3가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준비단계로서 단원을 선정하기 위해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단원에서 단원분석과 교육과정 분석을 하였고, 진로교육 영역을 선정하기 위해 중학교 진로교육 영역을 기존의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자료의 소단원의 내용분석 후 진로교육 영역을 맵핑하였다. 다음은 수업의 설계 단계로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 사용되고 있는 11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단원 설계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 모형 중 하나인 SHIP모형을 적용하여 ‘도입’, ‘활동’, ‘정리’의 단계로 수업자료를 개발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문가 평가를 받아 수업자료의 타당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의 실행단계로서 충청북도 청주시 중학교 2학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도입’, ‘활동’, ‘정리’의 단계로 진행하고, 학생에 의한 평가 후 수정·보완 하여 최종 자료 개발을 완료하였다. 그 개발된 자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수업자료는 기술·가정과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고 중학교 진로교육 영역을 추출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중학생을 위한 수업자료로 적절하며, 중학교 진로교육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에 관련된 다양한 직업을 접하고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더욱 더 관심이 생기고 진로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것이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자료로서 교사들이 교과시간에 수업자료로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진로교육과 관련된 재량활동, 창의적체험활동에 학년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2009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 중단원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진로교육에 대한 소단원이 배정되어 있으므로 소단원의 교과시간에 수업자료로 부분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신라시대 과학 기술교육의 세 가지 통로

        안경식 ( An Gyeong-sik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1

        이 논문은 신라시대의 과학 기술교육의 통로로서 교육 시스템에 대한 글이다. 신라시대의 과학 기술의 종류는 매우 다양했으며, 관련 교육 시스템 역시 다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가운데 현재 학계에 알려져 있고,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교육 시스템은 국학이라는 학교와 조정의 해당 관서 등 두 가지다. 이 논문의 본론에서는 불교 사원의 불사 관련 부서를 또 하나의 통로로 보고 모두 세 가지 교육 시스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Ⅱ장의 1절과 2절에서는 기존 두 통로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특히 신라의 과학 기술교육을 중국과 일본의 사례와 함께 검토하여 동아시아 3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Ⅱ장의 3절에서 또 하나의 통로로 사원에 주목하였는데, 이는 당시의 사원 불사에 첨단 과학기술이 집약되었기 때문이다. 당시의 큰 사원의 불사에는 성전, 도감전, 속감전 등의 관련 부서를 설치하였으며 주종(鑄鐘)이나 조탑(造塔) 등에서 기술직 박사의 호칭이 사용되었음을 주목하였다. 이는 여기서 관련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검토한 신라의 과학 기술교육의 세 가지 시스템은 모두 국가가 간여하는 인재 양성제도다. 이들은 모두 통일기인 7세기 이후에 성립한 제도이며, 특히 통일 후인 성덕왕, 경덕왕대에는 당(唐)과의 활발한 교류 속에서 과학 기술교육의 전성기를 맞았다. 의학, 산학, 천문학 등 각 방면에서 중국의 교육체제와 텍스트를 도입하여 동아시아 보편적 과학 기술교육체제에 동참하게 되었다. 신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과학 기술교육에는 유학교육에 비해 차별적 시선이 있었다. 이는 유학이 통치의 술(術)로 인정받은 데 비해 과학 기술은 말예(末藝)로 취급받았기 때문이다. his paper is an article on the educational system as a pathway for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e Silla era. It is estimate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Silla era was very diverse, and related educational systems were also diverse. Currently, there are two educational systems that scholars are debating: the school called Gukhak(國學) and the related government offic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dd the architectural department of a Buddhist temple as another educational system. The reason why I paid attention to the temple as another educational system is that the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y of that time were concentrated in the temple's architecture. At that time, when a large temple was built, a supervisory office such as Seongjeon(成典), Dogamjeon(都監典), and Sokgamjeon(續監典) was established, and there were several professional doctors in this office. This suggest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took place around this government office.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ystem in Silla era was established after the 7th century. In particular, the times of King Seongdeok and King Gyeongdeok were the heyday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e Silla era. During this period, Chinese education systems and texts were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ine, mathematics, and astronomy, and based on this, they joined the universal trend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East Asia. However, generally speaking,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treated differently than Confucian education. This is because while Confucian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 discipline of king,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treated as insignificant.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ystem in the Silla era, established after the 7th century, lasted for more than 10 centuries until the late Joseon era, whe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introduced.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에 따른 기술교육의 방향과 과제

        김성애(Sung-ae K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술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총 145편의 논문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제목, 논문초록, 주제어를 대상으로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3개의 토픽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으며 이는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된 기초·기반 연구’, ‘인공지능 기술 자체를 교육하는 분야’, ‘교육용 도구로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분야’로 명명 할 수 있다. 둘째, 최근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토픽은 ‘인공지능 기술 자체를 교육하는 분야’였으며 주로 소프트웨어 교육과 관련된 분야였으며 정보교육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었다. 이는 실제 인공지능 교육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소프트웨어에만 국한된 연구의 편향성이 나타나는 것으로서 균형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모든 토픽의 주요 키워드로 ‘기술’이 포함되고 있었으나 기술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적었다. 또한, 영어, 사회, 도덕, 미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과에서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이어지고 있었으며 교과의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안된 기술교육의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초·중등 학생에게 기술적 소양을 함양시키기 위해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을 기술 교과에서도 적극 도입하여 학문적 토대부터 현장 교육에 이르기까지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기술수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기술과 교과목 특성을 살린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3가지 주요 키워드가 모두 인공지능 교육 발전에 이바지하는 바가 큰 만큼 인공지능 기술 자체를 교육하는 것에만 치우치지 말고 다양한 교과에서 균형 잡힌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초·중등 학생들이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기술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차기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된 기술과의 체계적인 논의와 합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echnology education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To this end, information on a total of 145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s registered (candidate) papers was collected, and LDA-based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for the title, thesis abstract, and the subject word,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three topics were heavily treated, which can be analyzed as fiel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s educational tools , fields that educat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self , and basic research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Second, the topic of active research in recent years was ‘The field of edu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and it is mainly studied in information education, so there is concern about bias in research. Balanced research is required as the field of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self and the field of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tool in 2020 are balanced. Third, Technology was included as the main keyword of all topics, but research related to technology education was very poor. In addition, studi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ere being conducted in various subjects ranging from English, society, morality, and art, and it was characterized by wel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implications for technical educ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order to cultivate technological literac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actively studied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research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as all three key keywords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a balanced education can be achieved without being biased toward edu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self. This should lead to in-depth discussion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the next curriculum so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can cultivate technological literac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KCI등재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술 교육 목적의 시대적 변천의 비교 분석

        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in USA and Korea by the age. From 1920s to 2010s, the goal of the American technology education will be summarized by period, and the transition trend will be examined. In addition, from 1970s to 2015, the go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will be divided into periods 1 to 9,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will be examined. Through this,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of the two countries will be compiled and compared the trends by the age. First,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1920s through the 1980s,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was to ‘Career and Vocation', 'Critical consumerism’, ‘Skills development’, and ‘Intellectual process’. From the 1980s, it have emphasized that the goal of 'Relation between technology, society and environment', 'Using technology system' and 'Solving problems through technology utilization'. Second, the goal of the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was to focus on the technical and individual area from the 1970s to the mid 1980s, focusing on ‘Acquiring knowledge’, ‘Skills development’, ’Attitude development’, and ‘Exploring career’. Since the late 1980s, 'Future adaptation' and 'Ability to utilize technology' have been added and emphasized the social and intellectual areas. Lastl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initial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is very similar. However,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USA is to emphasize the social and intellectual areas since the 1980s, and the academic, technical and personal area have relatively weakened. In contrast,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has emphasized on the social and intellectual area, while also maintaining the initial goal of the academic, technical, and personal area. Also the goal of the intellectual area is diversified and segm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우리나라의 일반 교육으로서의 기술 교육 목적을 시대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미국 기술 교육의 목적을 시대별로 종합하여 변천 추이를 살펴본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 술 교육 목적을 1970년대부터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제1기부터 제9기까지 시 기별로 나누어 종합한 후 변화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양국의 기술 교 육 목적을 종합하고 시대별 추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첫째, 미국의 기술 교육 목적의 시대별 변천을 살펴보면, 1920년대부터 1980 년대까지 미국 기술 교육의 목적은 ‘진로 탐색과 직업’, ‘비판적 소비주의’, ‘기 능 계발’, ‘학문의 통합‘, ‘지적 과정’이었다. 이후 1980년대부터는 ‘기술과 사회· 환경·윤리적 영향’, ‘기술 평가’와 같은 사회적 영역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기술 시스템 사용’, ‘기술 활용을 통한 문제해결’ 중심의 지적 영역에 중점을 두고 ‘기능 계발’과 ‘진로와 직업’의 전문적, 개인적 영역은 약화되었다. 둘째, 우리나라 기술 교육의 목적을 종합해보면,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중 반까지는 ‘지식 습득’, ‘기능 계발’, ‘태도 함양’, ‘진로 탐색’에 초점을 맞춰 전문 적 영역과 개인적 영역이 중요시되는 반면, 지적 영역은 부각되지 않았다. 그러 나 1980년대 후반부터는 ‘미래 적응’과 ‘기술활용능력’이 추가되며 사회적 영역 과 지적 영역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00년대부터 ‘문제해결능력’, ‘창의 력’, ‘가치판단력’이 추가되면서 지적 영역에 중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기술 교육 목적의 시대별 특징을 비교해보면, 192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의 기술 교육의 목적과 197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나 라의 기술 교육의 목적은 ‘기능 계발’, ‘진로 탐색’을 강조하며 전문적 영역과 개인적 영역을 중요시하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미국의 기술 교육 목적은 1980년대 이후부터 사회적 영역과 지적 영역을 강조하며 학문적, 전문적, 개인 적 영역은 상대적으로 약화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의 기술 교육 목적 은 학문적 영역, 전문적 영역, 개인적 영역을 중요시하는 초기의 목적을 계속 유지하면서, 사회적 영역과 지적 영역을 추가로 강조하여 기술 교육 목적의 전 체 영역을 균형 있게 추구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지적 영역의 목적이 다양화, 세분화되는 차이가 있다.

      • KCI등재후보

        나이지리아 초·중학교 기술교육의 탐색

        이춘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4

        이 연구는 나이지리아의 기술교육 체제와 교육목적 및 내용에 대해 탐색하여 우리나라와 나이지 리아-코리아 모델 학교의 기술교육에 주는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러시아 기술교육의 탐색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지리아의 기술교육에 대한 성격은 ‘직업소양교육’ 차원에서 실행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소양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 그 정당성이 인정되고 있다. 나이지리아는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직업소양교육을 강조하고 있지만, 9 년간의 보편기초교육에서는 기술에 대한 소양을 길러 기술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초점을 둠으로써 세계적인 추세에 부합할 수 있다. 둘째, 기술교육의 내용 체계는 주제접근 방식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며, ‘기초기술의 이해, 안전, 재료와 가공, 제도 실습, 공구와 기계 및 가공’의 5가지 대주제이다. 기술의 세계를 폭넓게 이해하 기 위해서는 기능중심의 내용보다는 과정중심의 기술 소양과 과정중심의 내용이 필요하다. 셋째, 기술교육을 통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해서 강의식 수업에서 탈피하여 프로젝 트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나이지리아의 교실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다양한 활동을 기대하 기 어렵지만 정부의 지원을 통해 기술교실의 개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술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수업자료와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나이지리아는 교 사들의 위상이 낮기 때문에 질 높은 기술교사가 매우 부족하다. 기술교사들의 자질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연수기회를 제공하여 스스로 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echnology education system in Nigeria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and NKMS .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of Nigeria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nd collected information through interview with technology education specialists. From these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technology education in Nigeria is being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vocational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comply with the global trend, it is necessary to revise it to the level of 'technological literacy'. Second, The contents system of technology education is composed according to the theme approach, and it is the five main subjects of 'understanding of basic technology, safety, material and processing, drawing practice, tool and machine and processing'. At present,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theme approach are suitable for the skill-oriented industrialization era, so that it is limited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world widely. Third,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echnology education, the teacher should move away from lecture class and concentrate on project activities. The classroom environment of Nigeria's local schools is so poor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various activ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home projects related to technological activities in Korea 's technology educ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exp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chnology teachers. Nigeria has a very low quality teachers because of the low social status of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ies of technology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 KCI등재후보

        기술교육의 쟁점과 실천 전략: 우리나라 기술교육 현장 전문가의 인식

        성의석,권혁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ritical issues and practicalstrategies that Korean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ritical issues and practicalstrategies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argeted on Korean technology teachers. Apurposeful sampling for choosing technology teachers was used for this study withthree selection conditions: 1) 'Excellent Korean technology teacher' award winningteachers, or 2) technology teachers actively involved in both on-line and off-lineteachers' association, and 3) leaders in local technology teachers' association. Thisstudy conducted exploratory in-depth interviews with selective 15 technology teachersregarding critical issues and practical strategies of Korean technology teachers. Theinterpretation of the interview content was conducted by two researchers using thethematic analysis which analyzed the frequency of concepts, words, and meaningsheld from collected data. In the conclusion, critical issues researchers identified were 1) curriculum problems,2) education environment and facilities problems, 3) teachers' problems, 4) students'problems, 5) related research institution and college problems, 6) social problems. Secondly, Korean technology teachers agreed with following practical strategies 1)separating technology education from home economic education, 2) sharing practiceson managing and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laboratory for technologyeducation, 3) actively involving in technology teachers’ group, 4) motivating studentsusing hands-on activity 5) improving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n technologyteachers preparatory institution, 6) advertising the values of technology education tothe public. Lastly, the positive factors to succeed technology education were 1)technology education satisfying social needs and 2) technology teachers' will orpassion toward improving their technology classrooms. The negative factors to hindertechnology education were 1) low self-respect of Korean technology teachers and 2)rejection or retarded acceptance toward social transition. Several recommendations based the conclusion were suggested as 1) implementingsupplementary study toward selected critical issues and 2) conducting exemplary casestudies regarding concrete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s of Koreantechnology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기술교육의 쟁점과 그에 대한 실천전략을 연구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우리나라 기술교사들이인식하는 기술교육의 쟁점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기술교사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하나의 질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기술교사 전문가 그룹을 선정하기위하여 의도적 표집방법이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가지고 사용되었다: 1) 대한민국기술교사상 수상자이거나 2) 온라인 오프라인 상의 기술교사모임을 이끌고 있는 교사들이거나 3) 지역의 기술교사 모임 운영진들. 이 연구는 한국의 기술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쟁점과 실천 전략에 관하여 선택된 15명의 기술교사들과 탐색적인 집중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인터뷰 내용에 대한 해석은 2명의 연구자들에 의해 주제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선택된 자료에서 개념, 단어, 의미 등의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찾고 있는 기술교육의 쟁점은 1) 교육과정의 문제, 2) 교육 환경의 문제, 3) 교사 문제, 4) 학생 문제, 5) 관련 연구 기관 및 대학 문제, 6) 사회적 문제 등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1) 기술과 가정교육의 분리, 2)교육환경 개선 사례 공유, 3) 교사모임과 교사운동 활성화, 4) 체험학습을 통한 흥미유발, 5) 교사 양성 기관의 질적/양적 향상, 6) 기술교육의 가치를 대중에게 홍보 등이 있었다. 또한 기술교육 관련 긍정적 요인으로는, 1)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교육, 2) 교사들의 교실수업 개선 의지 또는 열정 등이 있었으며, 부정적 요인으로는1) 기술교사들의 낮은 자존감, 2) 시대의 변화에 대한 거부 또는 늦은 수용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다음 몇 가지 제언으로는 1) 도출된 기술교육의 문제에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2) 전문가들이 언급한 해결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들을 밝히는 연구의 실행 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