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모전석탑의 기원에 대한 소고(小考)

        김준영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4 文物硏究 Vol.- No.26

        흔히들 중국의 석탑을 언급할 때에는 ‘四門塔’(611)을 대표적인 예로 꼽는다. 이 탑은 방형의 괴체 마름돌로 쌓아 만든 단층 석탑으로서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중국의 전탑과 석탑 중 가장 이른 예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탑이 건립된 이후에도 8세기 이전에 쌓기식 방법으로 조성된 중국의 석탑은 2층을 넘지 않는 규모로 한정되는 반면, 고층식의 불탑은 하나같이 전탑으로 조성되어 있다. 이것은 ‘사문탑’과 거의 동시대에 건립된 신라의 ‘분황사석탑’(634)이 다층고탑형(多層高塔形)으로 조성된 것과 비교되는 특징이다. 아마도 모전석탑이라는 새로운 불탑 양식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으며, 결국 벽돌과 방형 석재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 언급되고 있는 인도 불탑의 상당수는 아육왕탑으로서 방형의 마름돌로 쌓은 석탑이 많았지만, 각 지역의 기후와 자연환경에 맞추어 돌이 아닌 다른 재료로 조성되기도 했다. 인도의 불탑이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7세기 초에 중국에도 ‘사문탑’처럼 방형 마름돌을 이용한 불탑이 제작되었으며 적어도 7세기 중엽까지 방형의 마름돌과 소성벽돌은 각각 ‘塼石’과 ‘甎石’으로 불렸다. 또한 7세기 중엽에 건립된 ‘대안탑(大雁塔)’은 원래 인도의 새로운 건축법을 이용하여 석탑으로 조성하고자 했지만 공사의 어려움을 우려한 국왕의 명령으로 부득이 전탑으로 고쳐 건립되었다. 이를 통해 7세기 중엽까지도 중국에서는 비록 전탑 조축의 경험이 충분히 쌓여 있었음에도 방형의 마름돌을 쌓아 고층탑을 만드는 방식은 전탑과는 달리 일반화되어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塼石’을 이용한 탑형은 2층 이하의 규모에 한정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7세기 초 수(隋)왕실의 적극적인 대외교섭 과정에 전해진 방형 마름돌을 쌓아 만드는 방식과 단층형 인도 스투파의 형식이 불탑 조축법의 원형으로 인식되어 중국 석탑 조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When people often mention Chinese stone pagodas, they show the Four-Gates Pagoda(四門塔(611)) as a typical example. This has been known as the oldest pagoda in the Chinese brick and stone pagodas which have been handed down until now as a one-storied stone pagoda. By the way, the Chinese stone pagodas created by the stacking method before the 8th century were limited to the size which did not exceed two stories even after this pagoda was built, while high-rise pagodas were all created by brick pagodas. These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the Stone Pagoda of Bunhwnagsa Temple which was built almost contemporarily in the Silla Dynasty and by the multistory type (多層高塔形). Probably, it is thought that this is related to awareness about the new pagoda pattern called stone brick pagoda and it’s because it eventually came form awareness about bricks and square stone. Many Indian pagodas mentioned in 『The Record of Travels to Western Lands』(Da Tang Xi-Yu-Ji : 大唐西域記) include a lot of pagodas which accumulate square ashlar as Ayuwangta, but they were created by other materials, not stone, to meet climate and natural environment of each area. As the Indian pagodas are spread out to China, The pagodas which used square ashlar like ‘the Four-Door Pagoda’. And square ashlar and plastic stone were, at least, called ‘boulder stone(塼石)’ and ‘bricks(甎石)’ until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And Dayan Pagoda(大雁塔) which was built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originally tried to be created by the stone pagoda with a new Indian architecture method. It was inevitably changed and built to the brick pagoda by an order of the king who was worried about difficulties of construction work. It is thought that Chinese technical skills to create high rise stone pagodas by the method which accumulates ashlar were not secured until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refore, for this reason, the tower types which used boulder stone(塼石) were limited to the size which is less than two stories. It is thought the method which accumulates square ashlar and create pagodas and the one-story Indian stupa type transferred in the foreign negotiation process of Su(隋)’s royal family in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had an effect on creation of Chinese pagodas as they were recognized as the origin of the method to build pagodas.

      • KCI등재

        통일신라 典型樣式 석탑의 기단부 유형과 8세기 석탑의 편년 검토

        김지현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5 新羅文化 Vol.45 No.-

        This thesis classified the stylobate part of stone pagoda of Unified Silla, separated the period and identified evolution, and reviewed the stone pagoda which became subject to controversy of chronology. Stone pagoda of typical form of Unified Silla can be classified into about 5 stages by grouping the classification depending on features. The 1st stage (unification of three nations ~end of the 7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the stone pagoda of typical form appeared. The 2nd stage(end of the 7th century~ early 8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initial stone pagoda had settled down as the most structurally stable stone pagoda through change in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pper layer stylobate from them of the 1st stage. The 3rd stage(middle of the 8th century~ early 9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there were 2 types such as existing type of stone pagoda and totally new type of stone pagoda. Accordingly, 3rd stage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eriod in terms of evolution process of stone pagoda of typical form of Unified Silla when there coexisted change to new type and establishment of old type. What most attracts our attention as change of new form was the change in connection structure of the lower stylobate and along with this, new type of flat stone appeared and change of strut post was identified. The 4th stage (early 9 ~ late 9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only some structures were standardized and prevailed throughout the country out of several new types of connection structure that appeared in the 3rd stage. In terms of trimming stone on the lower layer stylobate, new types appeared which didn’t appear in the 1st stage~3rd stage. 5th stage(end of 9th century~935) is the period when the type and form showed retrogressive change and modeling of stone pagoda of Unified Silla was stuck in a ru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4th stage was used as it was or showed the aspect of schematization into the irregular form. and It means everything that some of the type of the stone pagoda in this term lead to them of Goryeo Dynasty. This study examined 5 story stone pagoda at Nawonrisa temple site, 5 story stone pagoda at Janghangrisa temple site and 3 story stone pagoda at Changlimsa temple site, which subject to controversy of chronology, and the stone pagodas were built in 8th century in through separation of period and type of stone pagoda through such Stylobate part structure. As a result of this examination, 5 story stone pagoda at Nawonri temple site was built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740~760), not in the early 8th century. 5 story stone pagoda at Janghangri temple site was built the late 8th Century, not in the early 8th century. 3 story stone pagoda at Changlim temple site was built form the late 8th Century to the end of 8th Century, later than Janghangri' stone pagoda and the stone pagodas were built in 8th Centrury were chronicled the order of the stone pagodas, Guwhang-dong's 3 story stone pagoda(692~706), Cheongun-dong's 3 story stone pagoda(about 740), Nawonri's 5 story stone pagoda(about 740~760), Wonwon temple site's 3 story stone pagoda(about 760)․Galhang temple site's 3 story stone pagoda(758), west stone pagoda at Bulguk temple(about 760), Janghangri temple site's stone pagoda(about 760~780), Changlim temple site's 3 story stone pagoda(about 780).

      • KCI등재

        고려시대 경남지역 석탑건립의 새로운 동향-고려석탑 양식의 경남지역 유입과 新樣式 등장을 중심으로-

        홍대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9 No.-

        통일신라 경남지방 석탑건립에서 주목되는 점은 지리산과 가야산 지역에 집중된 것이다. 반면 고려 시대 석탑 건립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한다. 사찰 신창이 제한된 상황에서 남해안 일대까지 사찰과 석탑이 건립될 수 있었던 것은 건국 초부터 경남지역이 개경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9세기를 기점으로 신라불교가 전국화하는 현상과 같이 경남지역은 지리산과 가야산을 중심으로 신라계 석탑건립이 집중되었다. 경남지역 고려석탑은 다양한 신라계 석탑양식이 동시에 출현했다. 경기도와 충청지역에선 신라계 석탑을 중심으로 기단변화가 교대하는 양상이 관찰되는 반면, 경남지역 고려석탑은 신라계 석탑의 이중기단, 단층기단, 기단 약화형 등 다양한 석탑양식이 동시에 출현하였다. 경기도와 충청지역에선 신라계 석탑을 중심으로 기단변화가 교대하는 양상이 관찰되는 반면, 경남지역은 동시대에 출현한 것은 중요한 특징이다. 이 외에도 고려식 석탑에서 경남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전남지역의 고려식 또는 백제계 석탑과의 영향을 반영한 기단이 형식화되면서 세장고준 한 탑신을 강조한 석탑양식이 등장했다. 11세기를 기점으로 일시에 나타난 경남지역의 다양한 석탑양식은 이후 전남지방 석탑에 영향을 미쳤으며, 무신난 이후 석탑이 형식화되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석탑을 지속적으로 건립함으로써 고려시대 석탑건립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s made in Gyeongsangnam-do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concentrated on Mount Jiri and Mount Gaya. Generally, stone pagodas of the Goryeo Dynasty a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With it difficult to build a new temple, it was possible to build a temple and stone pagoda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because the Gyeongsangnam-do region has maintained close ties with the opening of the city since the early Goryeo Dynasty. Silla Buddhism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from the 9th century. As such, the construction of the Silla-style stone pagoda was concentrated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focusing on Mt. Jiri and Mt. Gaya. The Goryeo stone pagoda in Gyeongsangnam -do appeared in various Silla stone pagoda styles at the same time. I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Silla was the main pillar of the stone pagoda. And the change in the building base is seen as a shift. However, stone pagodas from the Goryeo Dynasty in Gyeongsangnam-do appeared in various stone pagodas, such as double base, fault foundation, and foundation formations. I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 base will be changed around the Silla stone pagoda. However, it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Gyeongsangnam-do region to appear together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tone pagodas that reflect the influence of Goryeo or Baekje stone pagodas in Jeollanam-do were erected around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s the base became formalized, a stone pagoda style that emphasized the thin and high form of stone pagoda body emerged. Starting in the 11th century, various stone pagoda styles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were later influenced by stone pagodas in Jeollanam-do. Stone pagodas made after the revolt of soldiers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formalized. In this process, various kinds of stone pagodas were continuously made. As a result, Gyeongsangnam-do was the center of stone tower construct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와 제문제

        김지현 동악미술사학회 2022 東岳美術史學 Vol.- No.31

        This study has reviewed with the focus on issues conspicuously noted from the cases of the stone pagodas restor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rough this effort, it presents the conclusion to state for points to pay attention in future restoration endeavors,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so forth. With respect to the restoration of stone pagodas, the most frequently confirmed error was the displacement of the pagoda materials, and the typical display could be shown in East-West 3-Story Stone Pagoda of Galhang-saji (site of Galhang Temple), in Gimcheon, East-West 3-Story Stone Pagoda in Cheongun-dong, Gyeongju, and others. This issue was a concrete and factual matter that could be improved with an appropriate procedure and paying attention. Second is the change in structure or composition of the stone pagoda, that there are 3-story stone pagoda in Bulguk-sa, Gyeongju, 5-story stone pagoda in Muryang-sa, Buyeo and others. This issue was undertaken while the clear concept and philosophy on the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and style was still not complete that, in recent days, it has been refrained, but such trend is still shown in those recently restored stone pagodas. If the original shape of the stone pagodas to be restored at the present time is unable to prove, it would be a way to preserve the current status until the firm basis could be secured. Third, in the event that a stone pagoda is restored by using significantly more new materials than the original materials, it could be a re-construction, not the restoration, and there is a typical case of East-Pagoda of Mireuk-saji in Iksan. In the event that any pagoda that has been destroyed, such as the 3-story stone pagoda in Beongseo-ri, Mungyeong, is to be reconstructed with the new materials, it would be constructed by referencing to the similar size and proportion of stone pagoda that it cannot be stated as an accurate restoration. In this relation, it is possible to study the design method of the stone pagoda to utilize it in the restoration, but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is that it would be a task to be processed for accumulation and analysis of data continuously in the future. Lastly, there are insufficiency of base data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along with the error in interpretation and discretion 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foregoing would be most fundamental and innate approach for the restoration that any error thereto could be an important issue to result in damaging the original shape and form in its consequence. Namely, it is a key that penetrates entire process of the restoration that it requires the methodology on ‘sufficient’ collection of base data steadily, and it requires the need to unyieldingly contemplate what should be done for preventing errors in interpretation and discretion. In the public issue making process on restoration and investigation on base data, there is a need of sufficient time throughout entire process. Furthermore, in order not to encounter the above-mentioned issues, there is a need to make close compilation of reports, white books and other data when disassembling and restoring the stone pagoda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 중에서 눈에 띄게 확인되는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복원시 주의해야 할 점과 개선 방향 등을 기술하는 것으로 맺음말을 대신하였다. 석탑의 복원에 있어 가장 빈번하게 확인되는 오류는 탑재의 變位였으며, 대표적으로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 등이 있다. 이 문제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것으로, 제대로 된 절차와 주의만 기울여도 개선되는 문제였다. 둘째, 석탑의 구조나 구성의 변화로,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등이 있다. 이 문제는 복원의 원형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철학이 미진한 상태에서 행해진 것으로 최근에는 지양되는 분위기이지만, 근래 복원된 석탑들에서도 공공연히 볼 수 있다. 현시점에서 복원하고자 하는 석탑의 원형을 증명할 수 없다면 확실한 근거가 확보될 때까지 현상 보존을 하는 것도 방법 중하나라 할 수 있다. 셋째, 원부재보다 新部材를 많이 사용하여 석탑을 복원할 경우, 복원이 아닌 再建이 되기도 하였는데, 익산 미륵사지 동탑이 대표적이다. 문경 봉서리 삼층석탑과 같이 멸실된 탑재를 신부재로제작할 경우, 대개 유사한 크기와 비례의 석탑을 참조하여 조성하므로 정확한 복원이라 할 수 없었다. 관련하여 석탑의 설계방식을 연구하여 복원에 이용하는 방법론이 있겠으나, 현재 연구가 미진한 상태로 향후 지속적으로 데이터의 축적과 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과제로 생각한다. 마지막은 기초자료의 수집 및 조사의 불충분과 그에 따른 해석과 판단의 오류이다. 복원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오류는 결과적으로 원형을 훼손하는 결과까지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였다. 즉, 이는 복원의 전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으로, 기초자료의 ‘충분한’ 수집에 대한 방법론을 꾸준히 계발해야 하며, 해석과 판단의 오류를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복원에 관한 공론화 과정과 기초자료 조사에서 복원의 전과정에 걸쳐 충분한 시간이 요구되며, 더불어 향후 이와 같은 문제에 직면하지 않기 위해, 현재 석탑을해체, 복원할 때 보고서, 백서 및 기타 자료를 면밀히 남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의 조영계획과 동계열의 석탑 고찰

        김지현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7 No.-

        신라시대 조성된 일반형 석탑은 이중기단에 方形의 탑신부를 갖는 典型樣式의 석탑이 대표적이다. 이런 석탑의 경우 외형적으로 보이는 모습이 유사하지만 최근 조영계획에 따라 석탑끼리 구분·계열화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고에서는 경주 무장사지 석탑을 비롯하여 이 탑의 조영원리로 제작된 석탑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경주 무장사지 계열의 조영계획은 기본적으로 경주 원원사지 계열의 기단부 조영원리와 동일하였다. 그러나 탑신부의 조영계획이 달랐다. 두 계열의 석탑은 8세기 후기-9세기 전기경에 조성되었으나 경주 원원사지 계열은 8세기 후기-말기에 집중적으로 제작, 경주 무장사지 계열은 8세기 말기-9세기 전기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었다. 따라서 경주 무장사지 계열에서 사용된 탑의 조영원리가 다소 늦은 시기에 나타난 방식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무장사지 계열에서 사용한 조영원리는 원원사지 계열의 것에서 탑신부의 원리를 변화시켜 파생된 또 다른 계열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영계획을 통해 확인된 무장사지 계열에 속하는 탑들은 이전 시기에 보이지 않았던 양식과 형식적 특징 몇 가지가 확인된다. 상층기단에 眼象紋의 등장과 이로 인한 탱주와 우주의 생략, 상층기단의 탱주가 1개로 감소하며 팔부중상이 부조되는 방식, 하층기단을 장대석 4매로 결구하는 구조의 변화, 옥개석 하단에 마련된 물끊기홈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을 통해 석탑들 간의 상관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셋째, 무장사지 계열의 탑이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던 8세기 말기-9세기 전기는 경주에서 지방으로 불교문화가 전파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계열의 석탑들이 분포하는 지역을 통해 불교문화가 확산되는 주된 경로를 유추할 수 있다. 원원사지 계열의 탑이 지방에 조성되었던 선행 지역으로 청도와 창녕이 있는데, 무장사지 계열의 탑 역시 두 지역에서 확인된다. 그런데 무장사지 계열은 이외에도 경산, 칠곡, 성주, 합천 등의 또 다른 지역에서도 보인다. 전자에서 확인되는 무장사지 계열의 탑은 이 계열의 조영계획을 그대로 수용하여 조영하는 반면, 후자는 조영계획을 기본적으로 활용하되, 양식적인 면에서 다소 변화를 가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그리고 칠곡과 합천 등지에서는 塔材 일부에서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조영계획을 부분적으로 변용시키는 특징도 보인다. 한편 무장사지 계열의 탑들이 조성된 곳들은 당시의 행정구역인 양주 그리고 양주의 경계 지역인 강주를 중심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경주를 중심으로 서남쪽에 해당하는 청도-창녕-산청, 서북쪽 방향인 경산-칠곡-성주-합천 등지의 경로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괴되거나 일부 탑재를 결실한 석탑 중, 경주 傳 인용사지 석탑, 숭복사지 동서탑, 천관사지 석탑이 이 조영계획으로 복원 가능하였다. 특히 천관사지 석탑의 경우 조영계획을 통해 원 자재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었던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팔각연화문옥개석이 천관사지 석탑의 탑재가 아님을 확인하였고,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소장 팔각탑신석은 3층탑신석이 아닌 2층탑신석임을 알 수 있었다. A typical general-style stone pagoda constructed in the Silla Period is the stone pagoda of typical style with the round-shape pagoda body part on the dual altars stylobate. For the case of these stone pagodas, the superficial appearances are similar, but it has recently been ascertained that the stone pagodas may be classified and systematiz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In this writing, it has contemplated on the stone pagodas produced with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the stone pagoda including one of the systems in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 of Gyeongju. First of all,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 in Gyeongju is basically the same with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the stylobate of the Wonwon-sa Site stone pagoda in Gyeongju. However,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the pagoda body part is different. These two lines of stone pagoda were built in the later 8th century to first 9th century, but the Wonwon-sa Site stone pagoda in Gyeongju were intensely produced from the later to end era of the 8th century while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s in Gyeongju were intensely constructed at the end of the 8th century to first part of the 9th century. Accordingly,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the pagoda used in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 in Gyeongju was confirmed to be the method appearing in somewhat later period. An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used in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s was shown to be a different line derived by changing the principle of pagoda body part from the Wonwon-sa Site stone pagodas. Second, the pagodas belonging to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 as confirmed through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have the styles that had not been shown in a number of previous periods and formative features. There are emergence of the Ansang Pattern on the top-story stylobate, omission of supporting pillar and corner pillar resulting from the foregoing, reduction of supporting pillar of the top-story stylobate to one with the Palbujungsang (statue of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for relief images, change of structure to conclude the low-story stylobate with 4 sets of rectangular stone, and the creasing groove available on the lower part of roof stone and so one. And through such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tone pagodas could be presumed. Third, the end of 8th century and first part of 9th century when the pagodas of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s were intensely produced was the time to disperse the Buddhist culture from Gyeongju to other regions. Therefore, through the regions distributed with these stone pagodas, the main routes to dissipate the Buddhist culture could be assumed. Cheongdo and Changnyeong were the earlier regions to build the pagodas of the Wonwon-sa Site stone pagodas to the rural areas and the pagodas of the Mujang-sa Site Gyeongjus are confirmed in these two regions. However,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s are also found in other regions including, Gyeongsan, Chilgok, Seongju, Hapcheon and others. The pagodas of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s as confirmed in the earlier part accepte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entirely, but the later part has the basic facilitation of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but has a slight change applied. And, Chilgok, Hapcheon and other parts of the area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partially modified of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for a simpler method for the pagoda material aspect. On the other hand, the pagodas of the Mujang-sa Site stone pagodas are confirmed to be area the administrative zone of the time in Yangju, and its boundary region of Gangju. And, it is shown to expand in the route of Cheongdo, Changnyeong, and Sancheong as applicable to the southwestern part from Gyeongju and Gyeongsan, Chilgok, Seongju, Hapcheon and others as applicable to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ju. And lastly, from the stone pagodas that have been collapsed or part...

      • KCI등재

        감은사지 쌍탑과 고선사지 삼층석탑 비교 고찰

        한정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8

        Twin Pagodas in Gameun temple site and Three story stone pagoda in Gosun temple site are very important stone pagodas classified the original form of a typical stone pagoda in Silla This paper say to the order of being made pagodas and its change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pagodas, assumed similar size and about the same time, in two temple site. First, They are same to the number of stone used to be made three pagodas, to the size stone with the margin of error. so three pagodas of two temple sites are identified as same plan. this fact says that three pagodas are able to be made by same group.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m are getting better on the list ea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we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and stone pagoda in Gosun temple site. This paved the way for their building time. The stone system of the upper stylobate are a noteworthy part of the construction method. The upper stylobate of ea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varies to the stone system. but it of wa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and of pagoda in Gosun temple site are developed regularly. Second, the Sarira hole of twin pagoda in Gamuen temple site is side by side with the ChalJu hole. This is not good to fix the ChalJu and to preserve the Sarira reliquary. but the Sarira hole of the stone pagoda in Gosun temple site made different position off ChalJu hole. this change mean an advanced model as preserve the Sarira reliquary also that three story roof stone of Twin pagoda in Gamuen temple site has water distribution system but not pagoda in Gosun temple site. As a result, through design and structure of Three stone pagodas, ea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is built first of them, next we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since then stone pagoda in Gosun temple site is built to apply the plan of stone pagodas in Gameun temple site. and construction method and inner structure of them have changed directions to be remedy earlier stone pagoda's shortcomings, irrational structure 감은사지 쌍탑과 고선사지 삼층석탑은 신라 전형석탑의 시원형식으로 분류되는 중요한 석탑이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동시기에 비슷한 규모로 건립된 석탑으로 간주되고 있는 두 절터의 석탑을 비교분석하여 각 탑의 건립순서와 이에 따른 변화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석탑건축에 사용된 석재의 수량과 그 실측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세 석탑의 석재 수량이 모두 동일하고, 각부의 크기가 오차범위에서 일치하여 두 절터의 석탑은 동일한 설계에 따라 건립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세 석탑이 동일 조탑집단에 의해 축조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세 석탑의 결구방식과 내부구조를 분석한 결과 감은사지 동탑 건축에서 있었던 시행착오들이 감은사지 서탑과 고선사지 석탑에서 점차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져 각 석탑의 건립순서를 추정하는 단서가 되었다. 결구방식에서 주목한 부분은 상층기단 면석 짜임이다. 감은사지 동탑 상층기단의 불규칙한 석재로 구성된 면석짜임은 서탑과 고선사지 석탑에서 점차 규칙적인 짜임으로 발전한다. 감은사지 쌍탑 내부의 사리공은 찰주공과 연이어 굴착하는 방식으로 찰주의 고정과 사리기의 보존에 불합리한 구조이다. 이와 비교하여 고선사지 석탑은 찰주공과 사리공을 서로 분리하여 굴착함으로써 점차 합리적인 구조로 진전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사리기의 보존에 유리한 구조로 발전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변화는 감은사지 쌍탑 3층옥개석에서 보였던 배수시설이 고선사지 석탑에 이르러 생략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 석탑의 세부 구조와 의장의 변화양상은 감은사지 동탑이 먼저 건립된 이후 서탑이 건립되었고, 이후 감은사지 석탑의 설계를 그대로 적용하여 고선사에 석탑이 건립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 석탑의 결구방식과 내부구조의 변화는 앞서 건립된 석탑의 불합리한 구조를 점차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미륵사지석탑의 기술력이 신라 석탑에 미친 영향

        박경식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5 新羅文化 Vol.45 No.-

        It is considered that Mireuksaji Stone Pagoda had a great effect on Silla stone pagoda as it is the first Korean pagoda as a stone pagoda from a wood pagoda before. As noticed, Silla stone pagoda has a development stage from initial stage(始原期) to development period(典型期) to fixed style period(定型期). Even though the stage setting is mainly based on style, it also disproves that technical problems caused by style development were solved. This study argues that most of the remarkable technologies are based on skills to have built Mireuksaji Stone Pagoda. The most influential skill from Mireuksaji Stone Pagoda to Silla stone pagoda is a construction method to use a dual structure. It is a construction method to treat the bottom of total stone pagoda from inside and outer wall of the pagoda respectively. While the method was applied to all Silla pagodas in initial stage and development period, in the fixed style period, the construction method to use a dual structure applied to stylobate in stone pagoda and lamination was used for body part of the pagoda. The change is in sync with simplified style of lack of body part and 5 types were figured out in stylobate. In short, the construction method to use a dual structure from Mireuksaji Stone Pagoda was handed down to Silla pagoda and it was used for stylobate as well as a technical development to simplify absence. Butterfly shape setting method to connect stones and structure method, and a dual way to face a stone smoothly for Mireuksaji Stone Pagoda were completely passed down to Silla pagoda, which highly impacted the Silla pagoda to stay stable. The completion of dual stylobate, a Silla pagoda's own style, is based on the original stylobate style of Mireuksaji Stone Pagoda, and it is regarded that it is a invented structure to worship relics of the Buddha in the body part of the pagoda by directing a sense of rise to the pagoda and general traffic life in a temple. In conclusion, various skills for Mireuksaji Stone Pagoda were handed down to Silla, and it coincides with integration of the three kingdom's cultures that unified Silla showed. It is considered that the feature enhanced the technical completion with style development of Silla pagoda and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build Korean unique pagoda culture.

      • 한국(韓國) 석탑(石塔) 연구사(硏究史) 검토(檢討)

        홍대한 ( Dai Han Hong ) 단국사학회 2009 史學志 Vol.41 No.-

        우리나라 석탑이 학문의 대상으로 처음 등장한 것은 애석하게도 일제강점기간 지배 이데올로기 생산을 목적으로 삼은 일인 학자들에 의한 것이었다. 한국 석탑연구는 초창기 개별 석탑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시원양식 고찰을 위해 인도와 중국의 탑파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 왔으며, 2000년대 들어 양식사 범주 안에서 체계화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석탑은 목조건축을 충실히 번안한 미륵사지석탑을 祖形으로 하여 삼국이 각기 독자적인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신라의 경우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을 시작으로 고선사지 석탑을 거치면서 석탑의 형식이 규정되었으며, 불국사 삼층석탑을 통해 정형의 모습이 완비되었다. 본 연구는 삼국시대 석탑의 수용으로부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발전양상, 고려시대 다양화라는 분류에 맞추어 국내 석탑연구사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초기 개별 석탑에 대한 조망에서 시작된 국내 석탑연구는 양식사로 까지 확대되었으며 최근 들어서는 건축구조학, 보존과학으로까지 연구의 대상이 증대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문헌사의 연구 성과를 도입해 석탑 건립목적, 장인집단을 위시한 유파, 사원경제와 관련된 연구논문이 간행되고 있음은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미술사의 제 분야 중 관심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으며, 학위논문 수량 역시 미미한 실정이다. 이것은 제 분야에 비해 전국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조사를 꺼리는 풍토와도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한국 불교미술의 종합적인 연구를 위해서라도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Our(Korean) stone pagoda was first introduced as a subject of study by japanese scholar who intended to make rule ideology during japanese occupation A study of korean stone pagoda was initially analyzed for individual stone pagoda and a study of Indian and Chinese pagoda was kept pace with an investigation of original style. In 2000 s a category of style is being systematic gradually. Korean stone pagoda had been developed individually in ancient three nations after a model of Mireusa-ji stone pagoda which was orignal form of wooden building. Especially, in Shilla a style of stone pagoda was ruled on Gameunsa-ji both sides third-based stone pagoda through Gosungsa-ji stone pagoda. And perfect style was made through Bulgooksa third-based stone pagoda. This study was tried to make total investigation of our stone pagoda from an introduction of stone pagoda in ancient three nation through developing aspect of stone pagoda of unified Shilla period and diversification of Korea period. An early aspect for individual stone pagoda has been extended to style of pagoda history. Recently,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been increased to building structure and preservation science. In 2000 s, it is significant result to publish papers for object of pagoda building and school including craftsmen and temple economic. On the other hand, it is excluded from interest of art history and has less papersthan other branch. It is larger distribution than other branch and is related to dislike for field survey. Intensive study is needed for Korean Buddhist art.

      • KCI등재

        미륵사지석탑과 분황사모전석탑의 비교 고찰

        박경식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8

        미륵사지석탑과 분황사 모전석탑은 각각 639년과 634년이라는 확실한 건립연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강암과 안산암이라는 서로 다른 재료로 건립되었다. 더불어 현존 하는 석탑 중 가장 초기적인 양식을 지니고 있어 한국 석탑 발달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실로 막중하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양 석탑이 지닌 다양한 측면에 대해 비교 분석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었다. 미륵사지 석탑과 분황사 모전석탑을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이들 석탑에 구현된 양식과 기술력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백제와 신라에서 각각 지녔던 석탑에 대한 이해, 이를 건립했던 재료, 기술력의 차이가 분명했음을 알 수 있었다. 양 석탑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사항은 미륵사지 석탑이 조적식과 가구식이 융합된 이원구조체임에 반해, 분황사 모전석탑은 조적식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차이점이다. 이같은 양상은 양 석탑을 건립한 재료상의 차이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백제와 신라가 지닌 기술력의 차이점이 분명하다는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비록 중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실심체의 구조와는 완전히 다른 양태를 보이고 있어 백제와 신라는 중국과 차별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도 파악되었다. 특히 미륵사지 석탑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석재로만 구축된 내부 구조는 동아시아 불탑에서 최초로 시도된 조적식 구조로 파악되었다. 이같은 구조는 해체수리가 이루어진 감은사지 삼층석탑, 나원리 오층석탑으로부터 석가탑과 다보탑에 이르기까지의 석탑에서 모두 확인되고 있어 한국 석탑의 기술적인 근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륵사지 석탑에서 확인되는 홈을 파고 기둥을 세우는 수법, 옥개받침석과 통로부에 구현된 들여쌓기 기법과 평천장의 구성 등은 고구려 시대에 축조된 태왕릉과 장군총에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미륵사지 석탑에는 고구려의 무덤에서 확립된 석조건축의 결구수법이 그대로 적용된 것으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불탑 건립의 모티브는 중국으로 부터 전래되었지만, 백제와 신라는 그들이 지녔던 기술력을 바탕으로 단순한 모방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양식의 석탑을 건립했음을 알 수 있다. The Mireuksaji stone pagoda(A.D. 639) and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A.D. 634) are the most important pagodas to discuss the history of Korean pagodas as they exhibit the most primitive style among the pagodas that currently exist in Korea. These two pagodas sh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styles and construction techniques largely owing to the choice of material, techniques, or philosophy of pagoda construction of the two countries, Baekje and Silla. Here, I look into the most prominent constructional difference exhibited in the Mireuksaji stone pagoda and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Also, I compare the structures of the ancient pagodas found in Korea and China to discuss the original features of the pagodas built in Baekje and Silla. The Mireuksaji stone pagoda is a combined style of the 'masonry structure' and the 'post-and-lintel construction', whereas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only shows the 'masonry structure' style. This difference is largely due to the building material of the Mireuksaji stone pagoda and the Bunhwangsa stone brick pagoda, the granite and andesite, respectively, and the techniques differentially developed in Baekje and Silla. These styles of construction are also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China pagodas, suggesting that Baekje and Silla had developed their own methods and techniques in pagoda architecture.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one-built Mireuksaji pagoda is the very first pagoda of the 'masonry structure' style found in the East Asia, and it set a foundation of the Korean pagoda styles as this structure is also found in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at the Gameunsa Temple Site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Nawon-ri, and also i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nd the Dabotap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Additionally, the Mireuksaji stone pagoda exhibits uniqu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tombs of Goguryeo, such as Taewangreung or the General tomb, suggesting that the methods established for the stone tomb architecture in Goguryeo affected the construction of the Mireuksaji stone pagoda. In conclusion, theses evidences show that Baekje and Silla adapted the concept and/or motives of pagoda architecture from China, and they further developed their own pagoda style with unique techniqu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 KCI등재

        고려시대의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 연구

        탁경백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4

        Until now, most studies regarding stone pagodas of the Honam region have been about stone pagodas with Baekje style because it was the territory of Baekje. However, after reviewing th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 found that among the 94 stone pagodas in the Honam region there are 15 stone pagodas with Baekje style built in the Goryeo Dynasty and 34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So far, most research efforts have been concentrating on stone pagodas with Baekje style. Through a review of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I sought to reveal new aspects of the pagodas in the Honam region. After reviewing the placement of pagodas, I found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were built mostly in South Jeolla Provinc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However, in the Goryeo Dynasty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were erected throughout the Honam region. This shows enhanced Buddhist control over the Honam region than in the previous period. It can be verified especially in Gimje, Jeongeup, Sunchang, Damyang, Yeongam, and Gangjin, where stone pagodas with Baekje style and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coexist. The types of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in the Honam region can be divided into two. There are 21 pagodas with two-story foundation, and 12 with single foundation. They seem to have inherited characteristics of the two-story foundation of Silla pagodas. Two pagodas with single foundation were made of a single rock or natural rock for lower foundation. Regarding the body of the pagoda, there are 21 three-story pagodas and 12 five-story pagodas. 25 pagodas have first floors made of a single rock. These are likely to be in the tradition of Silla pagodas. However, the lower part of the roof stones vary as there are three, four, or five-tiered ones. Overall, 12 out of 16 pagodas with middle column in foundation, and 15 out of 21 three-story pagodas are located in South Jeolla Province. This proves that stone pagodas in the South Jeolla Province well maintained the tradition of Silla and became popular. 이제까지 호남지역의 석탑은 대체로 백제의 고토란 이유로 백제계 석탑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호남지역의 석탑은 94기이고, 이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제계 석탑은 15기, 신라계 석탑은 34기로 확인할 수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제까지 백제계 석탑에 편중한 연구에서 신라계 석탑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호남지역 석탑의 새로운 면모를밝히고자 하였다. 석탑의 지역적인 배치를 통해 본 결과, 통일신라시대에는 전라남도에 치중하여 신라 석탑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들어오면 호남지역 전역에 걸쳐 불국사 삼층석탑을 모방한 신라계 석탑이 건립된다. 이러한 점은 이전의 시기보다 신라계 세력의 호남지역에 대한 불교지배력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이 공존하는 김제, 정읍, 순창·담양, 영암·강진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의 기단부의 형식은 이층기단은 21기, 단층기단은 12기이다. 이러한 현상은 신라 석탑이 가지고 있는 특징중 하나인 이층기단을 계승하고자 했던 의도로 파악된다. 단층기단도 1매석, 또는 자연암반을 하층기단 삼아 단층기단으로 만들어진탑도 2기가 있었다. 탑신부는 삼층석탑이 21기, 오층석탑이 12기이며, 1층탑신석을 1매석으로 만든 탑이 25기로 신라석탑의 전형적인 3층탑신부와탑신석 1매석 제작 전통을 잘 계승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옥개받침은 3단, 4단, 5단 등 그 구성방법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이층기단을 가지고 있는 석탑 중 상층기단과 하층기단에 탱주가 있는 석탑은 16기 중 12기가, 삼층석탑은 21기 중15기가 전라남도에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신라계 석탑의 정형성을 잘 계승하여 더 많이 유행한 지역은 전라남도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