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암사 수마노탑의 양식과 건립시기 연구

        홍대한 ( Dai Han H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3 No.-

        자장율사가 창건한 정암사는 신라의 외곽지역에 위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수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면서 국가차원에서 각별한 관심의 대상이었다. 수마노탑은 건립 이후 수차례중수 기록이 조사되었다. 이 과정에서 원형이 훼손됐을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모전석탑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으며, 조선말까지 국가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수리와 유지를 위한 노력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탑지석을 통해 강원, 경상, 충청 등 전국에 걸쳐 활동하던 승려출신 화사들이 중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수마노탑 중수에 소요된 경비, 공사기간, 동원인력과 이들의 업무와 전문기술 등 조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불탑 제작기술 연구에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수마노탑은 화강석을 이용해 축조한 기단, 향로석으로 사용된 배례석 상면의 연판조각, 옥개석 층급의 처리 등을 고려하면 10세기 중엽~말 사이에 건립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현재의 수마노탑은 고려 건국 초 현재의 모습에 가깝게 건립되었고, 구조적 취약점으로 인해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수리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암사 수마노탑은 모전이라는 특수성과 함께 비록 조선시대 집중되지만 다수의 수리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희귀한 석탑에 속한다. 따라서 고려 초 모전석탑양식을 토대로 조선시대 까지 강원지역에서 각별한 관심 속에 수마노탑을 유지하려고 노력했으며, 고려시대 모전석탑양식이 비교적 원형을 잃지 않고 계승된 중요성을 갖는다. 강원도는 고려시대 양계가 설치됐던 지역으로 불교신앙 뿐 아니라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조선시대 까지 수리와 국가차원의 지원이 멈추지 않은 것은 수마노탑 이외 정암사가 차지하는 종교, 문화, 군사적 중요성이 중요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Jeongamsa Temple which was built by Jajang(慈藏) monks is located in the suburban areas of Shilla. It played a role in the heart of the Monju faith. And It was a particular interest in the subject at the national level. Sumano Pagoda(of Jeongamsa Temple, Jeongseon) have been a reference to separate the Jeongamsa Temple central region. Brick Pagoda or Stone Brick Pagoda that was made by stacking the brick, durability is vulnerabl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lot of repair. Sumano Pagoda, there is created after recording that has been repaired several times. In this process, it has been raised a possibility that has been damaged prototype. However, it has faithfully inherit the Stone Brick Pagoda form.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t has been the subject of particular interest at the national level. Such as Chungcheongdo, Gangwondo, Gyeongsangdo Province, through the recording that came out among the pagoda, artists of monks born who was national activities, has been confirmed to b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repair. Sumano Pagoda, expenses necessary for repair, construction period, it will tell the technology and information to create a stone pagoda, such as mobilizing human resources operations and expertise. Sumano Stone Stupa are those monks Jajang(慈藏) have made for the first time. Then Goryeo Dynasty era superman 10 end of the century, it is one that was made in today’s appearance. Therefore, the current Sumano tower was made of appearance Koryo initial now. For a fragile structure, through the Koryo and Korea times for multiple repairs were made.

      • KCI등재

        원주(原州) 전령전사(傳令傳寺) 사리탑(舍利塔)의 제작시기(製作時期)와 영조방식(營造方式) 연구(硏究) -3탑 분사리(分舍利) 법식과 건립장소 고증을 중심으로-

        홍대한 ( Hong Dai-h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9 No.-

        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전영전사 보제존자 사리탑은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전시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에서 반출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관리되고 있다. 1912년 關野貞의 원주지역 조 사과정에서 本部面 加馬只 傳廢令傳寺石塔三基라고 기록되면서 한 세기 동안 영천사 사리 탑은 令傳寺라는 잘못된 명칭으로 불려왔다. 영전사가 영천사의 오기라는 것은 元天錫의 『耘 谷集』을 비롯해 李?의 『松窩雜說』을 통해 확인하였다. 大正원년 關野貞가 조사하면서 촬영한 264번 사진을 통해 현재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2 기와 천수사지 삼층석탑으로 명명된 1기의 석탑이 함께 건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 서 천수사 삼층석탑 역시 영천사에 건립되어 있었고, 보제존자 나옹혜근의 사리를 봉안한 2기 의 탑과 지공의 탑으로 추정되는 3탑을 동일 가람에 건립한 특수한 분사리 사리탑이다. 영천사 사리탑이 불탑형식으로 건립된 것은 지공의 법맥을 계승한 나옹의 추모불사를 통해 麗末鮮初 불교계의 위기를 타계하려는 목적이었다. 지공과 나옹의 추모불사는 조선시대 분사 리 불사의 기원이 되었다. 生佛로 간주되던 나옹의 추모불사를 통해 고려 말 불교계를 통합하려했고, 그 결과 부처의 유골을 봉안하는 불탑을 승탑으로 전용하기에 이르렀다. 원주지역 고려 석탑은 고려식 양식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제존자 사리탑을 신라계 석탑양식으로 건립한 것은 진신사리 신앙이 중요시되던 통일신라의 전통을 반영한 것이다. 영전사 사리탑으로 잘못 알려진 보제존자의 사리탑 2기와 천수사지 삼층석탑 에 대해서는 영천사라는 본래 명칭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동시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영전사와 천수사로 나뉘어 있는 배치 역시 關野貞 조사 사진을 근거로 3기의 석탑을 함께 배치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Bojejonja(great monk of the Koryo Dynasty) Stupa was illegally taken out from Wonju City, Gangwon-do province in 1915. In 1912, when Japanese researchers Sekino Tadashi(關野貞) investigated the Wonju district, the stupa was named Bonboo myeon(township) gamaji Youngjunsa Temple(令傳寺) Stone Stupa 3 pieces. For 100 years, it was called the wrong name for Youngjunsa Temple Stone Stupa. Youngjunsa Temple is an incorrect spelling of Youngchunsa Temple(靈泉寺). This can be checked through Won Chunsuk`s(元天錫) book(耘谷集) and Lee-hee(李?)`s essay(Songwajapsul, 松窩雜說). Wonju city The stone tower located in the Koryo era where struggling struggle is dominated by Koryo Dynasty style form. Nevertheless, the Boje-jonja Stupa was built in Shilla style stone stupa style. This reflects the unified Silla tradition that emphasized the true faith belief. It was because Ji-gong(monk)`s production Na-ong(monk) worshiping buddha was built in the form of Buddha Stupa. This was to overcome the crisis of Buddhism early in the Joseon Dynasty. These memorial events became the origin of opportunity to exchange the Joseon era. Youngjunsa Temple Stone Stupa will have to regain his name with Youngchunsa Temple Stone Stupa. And Chunsa Temple Stone Stupa must also match with the name Youngjunsa Temple Stone Stupa.

      • 신라와 고려시대 조탑(造塔) 경전의 역할과 기능

        홍대한 ( Dai Han Hong ) 단국사학회 2011 史學志 Vol.42 No.-

        탑은 불상 출현 이전부터 불타와 교단을 상징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으며, 불교는 불탑을 중심으로 성장했다고 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초기 불탑은 형식상 인도 재래의 분묘양식과 의례를 수용하였으며, 점차 불타 가르침의 거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증대되었다. 동시에 재가신자들의 보시 물품이 불탑을 중심으로 집중되고 이를 통해 불탑을 생활거점으로 삼는 출가보살의 교단이 조직되었다. 이렇듯 불탑의 출현은 단순히 불타의 분묘라는 개념을 넘어 대승불교와 보살집단의 출현이라는 교리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대승경전 성립 이전 불제자의 범주에는 재가와 출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부파 불교에서는 보시를 공양하는 우바새와 공양을 받는 비구 승가와의 대응이 성립되어 있었지만 보살 가나에는 그러한 분화가 없었다. 단지 불타는 인간과 신의 공양을 받는 사람이므로 불타를 상징하는 불탑에는 보시물이 쌓여있었을 뿐, 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불문율이 지켜졌다. 초기 교단에서는 불탑 건립과 공양은 오직 재가 신도의 역할일 뿐이지 출가자는 관여할 바가 아니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건탑 행위의 증가와 함께 불탑에 대한 공덕이 강조되자 출가자 역시 점차 불탑을 신앙의 범주로 수용하게 되었고, 사원 내에 탑이 건립되기 까지 이르렀다. 뿐만 아니라 불탑의 구조와 건립 그리고 공양 절차를 언급한 여러 대승경전류이 간행되면서 초기 造塔經의 출현을 가져오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불탑건립은 불탑신앙과 함께 건립목적을 뒷받침하기 위한 경전의 간행을 동반했다. 중국에 있어 이른 시기의 불탑 건립 역시 일정한 의궤와 절차를 따랐을 것이지만 명확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통일신라는 8세기 초엽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전래와 함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無垢淨塔``이라는 명칭의 사용과 함께 불탑의 형식·내재적 의미·예경법 등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물론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전래 이전에도 불탑건립의 공덕과 제작법을 언급한 『造塔功德經』을 비롯해 『阿含經』과 『涅槃經』 등이 유포되었기 때문에 일정한 절차와 사상을 갖고 造塔行爲가 이루어졌음은 짐작할 수 있다. 고려시대는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영향이 잔존하는 상황에서 唐 代宗12년(772) 한역된 『寶□印陀羅尼經』이 간행되면서 불탑 건립에 있어 錢弘□ 寶□印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수용한 大坪里寺址 寶□印塔·『寶□印陀羅尼經』을 탑에 봉안한 月精寺八角九層石塔 등 이전과 다른 造塔 사례가 확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삼국~고려시대 행해진 불탑건립에 있어 조탑경전의 영향과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무구정경』에서 『보협인다라니경』으로의 소의경전 변화는 국내 불교신앙의 변화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대해본 논문에서는 공덕개념의 확대를 통해 근기가 낮은 민중을 포섭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소의경전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었는지에 대한 경로, 법사리가 납입된 석탑의 조성 목적과 사리기 등에 대한 검토는 거의 논의하지 못했다. 이러한 과제들에 대해서는 앞으로 세밀한 검토와 개별석탑의 분석을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Before the advent of a Buddhist statue, pagoda served as the symbol of Buddha and religious body, and Buddhism has grown into a Buddhist center of pagoda. The early pagoda form accepted native Indian burial mounds and ceremony and was increasingly inclined to recognize Buddha as a base for teaching. At the same time, home goods in the believers is focused around pagoda, and denomination of Buddhist saint was ordained through life suing it as a base. Thus, the emergence of a pagoda is simply beyond the concept of Buddha`s tombs, the emergence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doctrine of collective care of the system were changed. Mahayana scriptures of Buddhism established the category of previously married, the distinction between home and it was not clear. In the sectarian buddhism,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m and the offering of a new correspondence between the incoming Upasaka(a male lay disciple, 優婆塞) and bhiksu(a buddhist male monk, 比丘) samgha(the buddhist community; the community of buddhist practitioners, 僧伽) was established in bodhisattva Ghana, but take care that there was no differentiation Only Buddha is the recipient that was offered from people and gods, so in a pagoda that symbolizes the Buddha alms was accumulated. In the early religious body, pagoda building and offering is just the only believers` role and is not the priesthood`s. However, as pagoda building increased and Buddhist merit was stressed, the monk also gradually became accepted pagoda as the category of faith, pagoda became erected in temples. As well as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of a pagoda and a memorial to the current published procedures, I thought to have been led to the emergence of early guna sutra of made the stupa(造塔經). Pagoda building would have accompanied the publication of the scriptures with the faith of pagoda. In China, early pagoda building also followed protocols and procedures, but certain specific materials does not leave. In the beginning of 8th century, our country were prepared new turn with the introduction of ``Pure Light Dharani Sutra``(無垢淨光大陀羅尼經). The term of the stupa of ``Pure Light Dharani Sutra``(無垢淨塔) is used as well, the implicit meaning of the format was to bring a big change. Of course, before the introduction of ``Pure Light Dharani Sutra``(無垢淨光大陀羅尼經), because guna sutra of made the stupa(造塔功德經), agama sutra(阿含經) and nirvana sutra(涅槃經) referred to the virtue of pagoda building and production process are current, we can guess that pagoda building was done with certain procedures and thoughts. In Korea period, Sarvatathagatadhisthanahrdayaguhyadhatukarandamudradharani(sutra)(寶□印陀羅尼經) written chinese letters was pu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Pure Light Dharani Sutra`` (無垢淨光大陀羅尼經). In pagoda building, the site ruins of a temple of Daepyung- Ri(Hamlet)(大坪里寺址) dharani stupa(寶□印塔), dharani sutra(寶□印陀羅尼經) which was directly introduced the influence of Qian Hong-Shu(錢弘□) dharani stupa(寶□印塔) was enshrined in Wol-jung temple`s Stone stupa(月精寺八角九層石塔). This is different example of pagoda building. This article is about the role of ``Pure Light Dharani Sutra``(無垢淨光大陀羅尼經) in the middle of 8th century that was completed pagoda of set period. And I will examine how dharani sutra(寶□印陀羅尼經) was settled as doctrinal background. I will discuss along with features on formative how the faith change of pagoda was reflected in the pagoda building.

      • KCI등재

        高麗時代 塔婆 建立에 反影된 裨補風水

        洪大韓(Hong, Dai-Han)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2 No.-

        본 연구에서는 고려 석탑이 지니는 블교 조형미술로서의 가치와, 석탑 건립에 있어 고려사회를 주도하던 비보사상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고려 석탑이 통일신라 못지않게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조영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新 王朝 건국의 역량과 발전된 종교, 사상적 토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고려는 통일신라가 존속하는 가운데 후삼국이라는 혼란기를 거쳐 건국되었는데 역사적으로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단계로, 불교의 대중화?유학에 기반 한 통치제도 도입?風水地理와 裨補寺塔之說 및 재래 신앙이 융합되는 복합 사상의 시대로 규정지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造塔經典으로서 무구정경과 보협인다라니경 그리고 風水地理와 裨補思想이 고려시대 석탑건립의 원동력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풍수지리는 禪宗과 함께 호족세력과 결부되어 사회 전환의 추진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는데, 고려 석탑의 전국적인 확산을 가져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고려시대 탑파건립의 다양성과 양적 증가는 후삼국 기간의 혼란과 수차의 외침으로 인해 내세를 추구하던 정토신앙이 퇴조하고 현세이익적인 사회분위기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아울러 비보사탑의 건립은 지방 세력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개경 중심의 통치체제정비인 동시에 불교 교단의 재편성이었다. 裨補는 이상과 같이 地氣調整을 통한 단순한 祈福이 아닌 국가를 위한 것이며, 사탑설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고려사회는 불교와 풍수지리, 비보, 도참신앙이 융합된 사상의 용광로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탑파건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important role the Bee-Bo(裨補; Defect-Complementing) thought, which led Koryo society, took in pagoda construction, along with its value in Buddhist formative art in Koryo Stupa. Koryo Stupa was constructed with excellence in quantity and quality no less than that of Unified Shilla. This was possible due to the developed religious and ideological foundation, and the competence in founding of the New Dynasty. Koryo Dynasty was founded amid the chaotic Post Three Countries Period while Unified Shilla continued to exist. This period was a historical transfer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 It can be defined as a period of complex thought which merged the theory of divin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a ruling system based on Confucianism, with emphasis on the Complementary Buddhist Pagoda(裨補寺塔之說) and the traditional faith. The following are the details of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Ramivimalaviuddhaprabh-nma-dhraniutra(無垢淨經) and Ssarvatath gatahihna-hdaya-guhya-dhtu-karaamudr-nma-dhrai-sutra(一切如?正法秘密寶?印陀羅尼經) as pagoda construction scriptures, and the theory of divination and the Bee-Bo thought were the impetus of Koryo pagoda building. In particular, the theory of divination, altogether with Zen and wealthy families, is noted for being the driving force of social change. It also brought about the national spread of Koryo pagoda. The diversity and quantitative increase of pagoda construction during Koryo Dynas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mood centered around worldly profits; faith in Buddhist Elysium ebbed away due to the chaotic Post Three Countries Period and frequent foreign invasion. Additionally, the construction of Bee-Bo pagoda was the reorganization of the Buddhist body while also an organization of a ruling system centered on Kaegyung(開京) intended to neutralize local powers. As mentioned above, Bee-Bo was not simply a longing for good fortune through attempting to adjust the vapor of the earth, but was for the nation as a whole, and it had Bee-Bo pagoda theory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Koryo society was the blast furnace for the fusion of Buddhism, Bee-Bo, and faith in Do-Cham(圖讖; Predictions of the future). This study concludes that all these factors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pagodas.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공장(工匠) 운영과 성격 고찰

        홍대한(Hong, Dai-ha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3 No.1

        공장은 대규모 영선(營繕), 수공업생산 활동에 종사하는 기술자로 고려시대에는 소속집단의 기능에 따라 국공ㆍ경외공장ㆍ공장승 등으로 구분된다. 고려는 건국 초궁궐, 관방시설 이외에도 도선의 사탑비보설에 근거해 사찰과 불탑을 다수 건립한다. 이들 불사를 주도한 것은 공장들로, 보유 기술에 따라 다양한 집단의 참여가 이루어졌다. 공장은 현종 때 집성된 『공장안(工匠案)』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관리되었으나, 무신 난 이후부터 지방 유력자와 사원에 투탁해 활동하는 부류가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중앙정부의 통제부실에 기인한 것이며, 역과 세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고려 전 기간 활발하게 진행된 석탑건립에는 다양한 명칭의 공장이 참여하였는 데, 초기에는 단순히 석장(石匠)만이 쓰였으나 점차 석장, 석수, 각자(刻字) 등 기능에 따라 세분되었다. 또한 백사(伯士), 태장(太匠) 등의 명칭을 통해 개별 공장을 통제하던 운영방식이 존재했다. 이러한 영선조직은 고려 전 기간 유지되었으나 후기로 갈수록 국가통제를 탈피해 사원과 지방 유력자 중심으로 편제됨으로써 고급기술을 보유한 공장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Artisans were engineers who were engaged in handicraft production activities and large repairs. In Korea period, they were divided into National Technician(國工匠) a local public technician(京外工匠) Monks technician(工匠僧) depending on the group. In early national foundation, Korea dynasty erected a large number of temples and pagodas based on Dosun's(道詵) with emphasis on the Complementary Buddhist Pagoda(寺塔裨補說) in addition to palaces and secretariat facilities. These artisans led to Buddhist rituals and services, according to retention skill, various groups were participated in these activities. The artisans were managed by national level through artisan list which were made in Hyunjong(顯宗), after military revolt, new groups who depended on local potentates and temples were increased. This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bad control of central government, that caused the decrease of labor and tax. Various artisans were participated in the pagoda buildings which were proceeded actually through total period of Korea dynasty. In the early period, only stonemasons took part in the works, but by gradually technical skill, the works were divided into stonemasons, masons and Carving letters(刻字) etc. Also, operation system which controlled each artisans existed through the name like to Baek-sa(伯士), Tae-jang(太匠) etc. These maintenance organization lasted through the total period of Korea dynasty, but as the latter part go by, through emerging from national control, also organizing centrally local potentates and temples, these brought about the decrease of high technical artisans.

      • KCI등재
      • 한국(韓國) 석탑(石塔) 연구사(硏究史) 검토(檢討)

        홍대한 ( Dai Han Hong ) 단국사학회 2009 史學志 Vol.41 No.-

        우리나라 석탑이 학문의 대상으로 처음 등장한 것은 애석하게도 일제강점기간 지배 이데올로기 생산을 목적으로 삼은 일인 학자들에 의한 것이었다. 한국 석탑연구는 초창기 개별 석탑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시원양식 고찰을 위해 인도와 중국의 탑파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 왔으며, 2000년대 들어 양식사 범주 안에서 체계화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석탑은 목조건축을 충실히 번안한 미륵사지석탑을 祖形으로 하여 삼국이 각기 독자적인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신라의 경우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을 시작으로 고선사지 석탑을 거치면서 석탑의 형식이 규정되었으며, 불국사 삼층석탑을 통해 정형의 모습이 완비되었다. 본 연구는 삼국시대 석탑의 수용으로부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발전양상, 고려시대 다양화라는 분류에 맞추어 국내 석탑연구사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초기 개별 석탑에 대한 조망에서 시작된 국내 석탑연구는 양식사로 까지 확대되었으며 최근 들어서는 건축구조학, 보존과학으로까지 연구의 대상이 증대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문헌사의 연구 성과를 도입해 석탑 건립목적, 장인집단을 위시한 유파, 사원경제와 관련된 연구논문이 간행되고 있음은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미술사의 제 분야 중 관심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으며, 학위논문 수량 역시 미미한 실정이다. 이것은 제 분야에 비해 전국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조사를 꺼리는 풍토와도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한국 불교미술의 종합적인 연구를 위해서라도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Our(Korean) stone pagoda was first introduced as a subject of study by japanese scholar who intended to make rule ideology during japanese occupation A study of korean stone pagoda was initially analyzed for individual stone pagoda and a study of Indian and Chinese pagoda was kept pace with an investigation of original style. In 2000 s a category of style is being systematic gradually. Korean stone pagoda had been developed individually in ancient three nations after a model of Mireusa-ji stone pagoda which was orignal form of wooden building. Especially, in Shilla a style of stone pagoda was ruled on Gameunsa-ji both sides third-based stone pagoda through Gosungsa-ji stone pagoda. And perfect style was made through Bulgooksa third-based stone pagoda. This study was tried to make total investigation of our stone pagoda from an introduction of stone pagoda in ancient three nation through developing aspect of stone pagoda of unified Shilla period and diversification of Korea period. An early aspect for individual stone pagoda has been extended to style of pagoda history. Recently,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been increased to building structure and preservation science. In 2000 s, it is significant result to publish papers for object of pagoda building and school including craftsmen and temple economic. On the other hand, it is excluded from interest of art history and has less papersthan other branch. It is larger distribution than other branch and is related to dislike for field survey. Intensive study is needed for Korean Buddhist art.

      • KCI등재

        경복궁집옥재석조계단연구(景福宮集玉齋石造階段硏究) -조선후기서수부가계단(朝鮮後期瑞獸附加階段)의 기원(起源)과 사찰건축(寺刹建築)의 영향(影向)을 中心으로

        홍대한 ( Dai Han H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2 No.-

        성리학이 조선의 유효한 이념으로 작용했지만, 불교는 여전히 국가와 사회문제 그리고 윤리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유지했다. 비록 제도상으로는 불교가 통치구조의 전면으로 나서진 못했지만, 유학자들 역시 개인적으로는 호의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集玉齋는 경복궁의 부속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正殿에만 설치되는 月臺와 瑞獸등이 갖추어져 일찍부터 주목받아왔다. 宮室과 같이 엄격한 의례에 따라 건축된 조선시대 건축물은 유교의 철학원리를 구현하는 동시에 중국 都城의 건축계획을 기반으로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의례건축은 고대로부터 불교, 도교 등 제반 사상의 영향을 받아왔고, 특히 본 연구의 고찰대상인 瑞獸가 부가된 石造階段은 불교사원의 계단과 獅子像의 영향을 기반으로 완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복궁 중건과 함께 제작된 해치역시 護法의 상징물인 사자로부터 기원했다. 불교건축이 조선시대 궁실건축에까지 영향을 준 것은 임란 이후 불교계에 대한국가 차원의 지원과 함께 불교계가 국가 營繕事業에 적극적으로 동원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왕실건축, 관아건축 등에 사용된 계단의 조형과 구조는 사찰건축을 통해 익숙했던 요소를 차용한 결과다. Neo-Confucianism was the thought which is effective in Chosun Dynasty. However, buddhism maintained the awareness that it is still of service to the country, the social problem and solution of the ethics. Even if, buddhism was unable to leave with the front side of the governance structure in regulation. However, also Confucian scholars maintained the amicable position with the personal. Jibokjae is the building belonging to Kyongbok Palace. However, the Woldae and Sa-Soo, and etc. installed in Jungjeon(Main Hall) was installed and it was early subject of concern. The Chosun Dynasty building`s made according to the strictness established form described below like the royal palace implements the philosophy principles of the Confucianism. And it was made based on Chinese capital city construction plan. However, the architecture made according to the courtesy came of many ideas including the Buddhism, Taoism, and etc. from long time ago. Particularly, the stairs which subject of this study makes the rock in which Sa-Soo(animal of auspicious) is added was made the stonework stairs of the inspection request and Lion Sculpture. And it prayed from the Lion Sculpture which the Haechi which made the Kyongbok Palace newly and is made protects Buddhism. It was due to have the backing up of the country to the Buddhist sector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at Buddhist architecture has an effect on the Chosun Dynasy royal palace architecture. And the Buddhist sector was due to be actively mobilized for the building activity of n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form of the stairs made in construction of royal palace, government construction, and etc. and structure can know to be affected by the inspection request.

      • 永同 寧國寺 三層石搭 硏究

        洪大韓(Hong Dai-han)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3 佛敎美術 Vol.24 No.-

        The northwestern part of Youngdong(永同) county is mountainous area to cross Sobek and Noroung mountains, and where was the territorial expansion battleground between Old Shilla and Baekj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quite a few important mountain fortress on ancient history study are distributed in there, and the chamber tomb which constructed in the later of 7th century had been investigated. the buried person in there was presumed as the potentate of Shilla. Youngguk(寧國) temple is located in the east side of Mt. Chentae(天台) across Chungcheongbuk-Okcheon, Yeongdong, and Chungnam Geumsan(金山). The literature to prove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doesn't remain, but the beginning of temple management is estimated to be started in the later of Unified Shilla through the relics to be excavated in old temple site. Youngguk temple in Korea period maintained the close connection with Corea dynasty. Gwangji Grand Master's Jein(廣智次禫師 之印), the son of the sixteenth king Euyjong, Korea dynasty, kept his seat, and that is understood as Wongakguksa's Hasanso(下山所; the monks retired after place to stay), who spred Uicheon's(義天) Chentae(天台) thoughts. Like this, Youngguk temple is located in Youngdong where was noticed as a strategic location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well as since the late Shilla, Buddhism was spred through Hunan Province and it was noticed because it is located at the mid-point. In particular, three storied stone stūpa which was remained in the temple is ahead of the making times in existing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on the upper stylobate physiognomy was distinctively. A physiognomy carving on the upper stylobate reflected small crystals protection faith and the needs of the times in then buddhist art, and it reflects formative purpose for reinforcing stylobate part weakness appeared after 9th century. Youngguk temple three storied pagoda shows the transitional signs of going to Corea stone pagoda from Unified Shilla. Until now concrete style consideration or the research in production period was lacking in study. The study try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period of Youngguk temple three storied stone pagoda through comparison research of the physiognomy carving on the upper stylobate made from Unified Shilla to Korea period. Also through this study, I suggest the meaning of art history in connection with Youngguk temple's role in Korea peri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