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의 입자상물질 배출특성 연구

        임승영,김나래,장기원,강대일,박정민 한국도시환경학회 2019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from facilities that use SRF and Bio-SRF. It also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quality standards of SRF & Bio-SRF through component analysis of SRF & Bio-SRF. PM,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from SRF boilers were found to be 3.18 mg/m3, 1.08 mg/m3, and 0.49 mg/ m3, respectively and those from Bio-SRF boilers 4.33 mg/m3, 0.77 mg/m3, and 0.27 mg/m3,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the heavy metals (Cd, Pb, Cr, Cu, Ni, and Zn) showed that all items were found to have lower concentrations than the emission standard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HCl from Bio-SRF and SRF were 3.09 ppm and 9.25~14.70 ppm, respectively. However, in case of Zn, which has an emission standard but is not included in the SRF quality standard, 226.1 mg/kg was analyzed from SRF and 43.3 mg/kg from Bio-SRF on average. Therefore, inclusion of Zn in the SRF quality standard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고형연료제품인 SRF와 Bio-SRF를 사용하는 시설을 중심으로, 입자상물질 배출특성 조사와 고형연료에 대한 성분분석 등을 통해 SRF와 Bio-SRF의 품질기준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고형연료 사용시설에서 배출되는 먼지, PM10, PM2.5의 평균농도는 SRF 사용시설 3.18 mg/m3, 1.08 mg/m3, 0.49 mg/m3, Bio-SRF 사용시설 4.33 mg/m3, 0.77 mg/m3, 0.27 mg/m3로 조사되었다. 중금속(Cd, Pb, Cr, Cu, Ni, Zn) 분석 결과는 모든 항목이 배출허용기준 이하의낮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염화수소의 농도는 Bio-SRF 사용시설에서는 3.09 ppm, SRF 사용시설에서는 9.25~14.70 ppm 으로 나타났다. 고형연료제품 품질기준 항목에는 없지만 배출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아연의 경우 SRF 제품의 평균농도는 226.1 mg/kg, Bio-SRF 제품은 43.3 mg/kg으로 중금속 분석 항목 중 가장 높은 농도로 나타나 향후, 고형연료제품 품질기준 개선 시 고려가 필요하다.

      • KCI등재

        SRF 입지결정 및 관련 지역사회 이슈 연구: 포항시 사례를 중심으로

        안병국,구자문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2

        This paper attempted to diagnose and analyze the SRF site selection process and related issues in Pohang City and propose solutions. Currently, the SRF is in operation, but disputes with nearby residents have not been resolved. The disputes started in the process of site selection, but now the focus is on the lowered chimney height due to the restrictions of the nearby military airfield. There is no progress in realistic dialogue for a solution, and there is no mediator. Due to the garbage generation and treatment conditions in Pohang, it is difficult to stop operation of the SRF, and to replace it with a new SRF facility because of a large technical and cost burdens. Also, the option to relocate SRF to a new site would be unrealistic because it would require high cost and long time period. The most optimal solu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ould be to maintain and manage the SRF facility strictly to show that ground air pollution could be minimized even with the current chimney height with the blower running, and raise awareness among nearby residents that the SRF being safe. Citizens' negative response based on NIMBY should not be criticized even if it is a public project. The government should exercise political leadership and solve these problems through dialogue and persuasion, preferably through the smooth operation of local governance. To accomplish the goals, following conditions would be requested: consistent leadership and the existence of mediators, institutionaliz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compensation for residents, objective and fair responses from local governments and the media, and provision of undistorted information. 본 논문은 포항 SRF 입지선정과정 및 관련 이슈들을 진단 및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현재 SRF는 가동되고 있지만 주민들과 마찰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그 마찰은 입지선정에서부터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인근 군비행장의 고도제한으로 낮아진 굴뚝의 높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현재 이 갈등의 해결을 위한 현실적인 대화도 진전이 없고, 중재자도 제대로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포항시 쓰레기 발생 및 처리 여건상 SRF의 가동중지는 어렵고, 새로운 시설로 대체하기도 기술적・비용적 문제가 크며, 새로운 부지를 찾는 것 역시 높은 비용과 긴 시간이 필요하기에 현실성이 낮다고 본다. 현재 상황에서 가장 최적의 해결방안은 SRF의 유지와 관리를 엄격히 하며, 현재 굴뚝의 높이로도 송풍기의 가동과 함께 지표면의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인근 주민들에게 SRF가 안전하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다. 시민들의 NIMBY에 바탕을 둔 부정적인 대응은 공공을 위한 사업이라 하더라도 욕할 수 없고, 정부로서는 리더쉽을 발휘하고 대화와 설득을 통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로컬 거버넌스의 원활한 작동을 통해 이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일관성 있는 리더쉽과 중재자의 존재, 주민참여제도화, 주민보상, 지자체와 언론들의 객관적이며 공정한 대응, 왜곡되지 않은 정보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 SRF 잔재물을 이용한 소각여열의 회수에 대한 연구

        윤영식,정법묵,박영수,이상엽,서용칠,이병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는 일반적인 기술은 재활용, 소각, 매립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소각의 경우 환경적 영향과 유해성을 이유로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신규시설의 설치와 내구 년 수가 도래한 설비의 대보수에 있어 주민반대에 의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매립의 경우 매립연한의 제한적인 요소와 더불어 2018년 시행된 자원순환기본법으로 인하여 매립양의 감소를 위한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대안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제조 기술이 도입되어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으며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SRF의 생산은 폐자원의 에너지화와 자원순환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근래 SRF의 생산을 목표로 하는 기술(MBT,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의 도입은 생물학적 처리(BT)가 제외된 기계적 처리(MT) 시설의 형태로 적용되었다. 이러한 기계적 처리 기술 위주의 적용은 높은 함수율의 폐기물이 SRF 제조시설로 반입될 경우 반입량 대비 30~45%가 잔재물로 배출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배출된 잔재물은 대부분 매립장으로 보내지게 되며 SRF 생산 효율의 감소와 운영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SRF 제조시설에서 발생되는 잔재물의 함수율은 40% 이상으로 매립이나 소각에 의한 방법으로 처리할 경우 환경부하와 잠재적 자원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SRF 제조시설에서 배출되는 잔재물은 Bio-drying 및 선별/회수 공정을 거쳐 SRF 품질 기준에 도달하는 연료로 재생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고형연료에 대한 연소특성 실험에 의한 연구결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Bio-drying 및 선별/회수 공정을 거쳐 재생된 SRF가 에너지원으로 활용가능한지 검토하기 위하여 S시의 판매용 SRF와 본 연구에서 재생된 SRF의 연소특성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연소효율, 보일러의 효율, 회재의 발생량과 강열감량,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에 대한 연구결과로 재생된 SRF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판매용 SRF와 재생된 SRF의 연소효율은 95% 이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바닥재의 강열감량도 2~5%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대기오염물질은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평가되어 환경적인 영향에도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SRF 잔재물을 이용한 소각여열의 회수에 대한 연구

        윤영식,정법묵,박영수,이상엽,서용칠,이병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는 일반적인 기술은 재활용, 소각, 매립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소각의 경우 환경적 영 향과 유해성을 이유로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신규시설의 설치와 내구 년 수가 도래한 설비의 대보수에 있어 주민반대에 의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매립의 경우 매립연한의 제한적인 요소와 더불어 2018년 시행된 자원순환기본법으로 인하여 매립양의 감소를 위한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대안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제조 기술이 도입되어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으며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SRF의 생산은 폐자원의 에너지화와 자원순환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근래 SRF의 생산을 목표로 하는 기술(MBT,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의 도입은 생물학적 처리(BT)가 제외된 기계적 처리(MT) 시설의 형태로 적용되었다. 이러한 기계적 처리 기술 위주의 적용은 높은 함수율의 폐기물이 SRF 제조시설로 반입될 경우 반입량 대비 30~45%가 잔재물로 배출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배출된 잔재물은 대부분 매립장으로 보내지게 되며 SRF 생산 효율의 감소와 운영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SRF 제조시설에서 발생되는 잔재물의 함수율은 40% 이상으로 매립이나 소각에 의한 방법으로 처리할 경우 환경부하와 잠재적 자원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SRF 제조시설에서 배출되는 잔재물은 Bio-drying 및 선별/회수 공정을 거쳐 SRF 품질 기준에 도달하는 연료로 재생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고형연료에 대한 연소특성 실험에 의한 연구결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Bio-drying 및 선별/회수 공정을 거쳐 재생된 SRF가 에너지원으로 활용가능한지 검토하기 위 하여 S시의 판매용 SRF와 본 연구에서 재생된 SRF의 연소특성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연소효율, 보일러의 효율, 회재의 발생량과 강열감량,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에 대한 연구결과로 재생된 SRF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판매용 SRF와 재생된 SRF의 연소효율은 95% 이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바닥재의 강열감량도 2~5%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대기오염물질은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평가되어 환경적인 영향에도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MBT시설 고형연료의 Fluff type 전환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 비교분석

        손준익,홍용희,김영란,박재성,오길종,김기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1 No.3

        In order to cope with resource depletion and global warming,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seeking the technicaland political alternatives and are focusing on production of refuse derived fuel (SRF) as a viable approach. SRF isclassified into pellet SRF and fluff SRF based on the shape. In domestic trend, Pellet RDF has been mainly produceduntil now, but as the quality standard of fluff SRF was set up lately, it is expected to raise supply and demand on FluffSRF after this. Fluff SRF is a solid fuel not to be processed pelletizing step, and has advantages that manufacturing processis simple and economical. In this paper, we selected 3 MBT plants to produce Pellet SRF in Korea and examined reductioneffects of energy and CO2 emission by conversion of pellet SRF to fluff SRF. As a result, the saving energy by theconversion of SRF type is 2,509 Gcal/yr (A), 1,716 Gcal/yr (B) and 1,210 Gcal/yr (C) respectively, and the reductionrate of energy consumption in full process is about 23%~26% by comparison with pellet SRF. Also, the average ofreduction of CO2 emission per unit of MSW is 0.0272 tCO2/ton. After estimating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 of 9MBT plant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target plants, we concluded that the reduction effect of CO2emission is created 11,374 tCO2/yr.

      • KCI등재

        혼합 완효성 질소 비료의 처리 후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질소 흡수 및 지상부 생육

        김영선,이창은,김도형,이긍주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slow release nitrogen (N) fertilizer (SRF) blending isobutylidene diurea (IBDU), crotonylidene diurea (CDU) and methylene urea (MU) on growth, quality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 non-fertilizer (NF), control fertilizer (CF), SRF-1 (IBDU 12%, CDU 12%, MU 36%), and SRF-2 (IBDU 5%, CDU 5%, MU 15%). As applied SRF, visual quality, shoot length, clipping yield, T/R ratio, N content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was not significant to CF.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SRF-2 increased by17 % than that of CF. Amount of N up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visual quality, total chlorophyll content, clipping yield, and uptake of phosphorus and potassium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 blending with IBDU, CDU and MU improved chlorophyll content of creeping bentgrass by prompting N uptake. 본 연구는 IBDU, CDU 및 MU가 혼합된 완효성 질소 비료(SRF)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품질 및 초장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무비구(NF), 대조구(CF), 완효성 질소 비료 처리구 1 (SRF-1; IBDU 12%, CDU 12%, MU 36%) 및 처리구 2 (SRF-2; IBDU 5%, CDU 5%, MU 15%)로 설정되었다. CF와 비교하였을 때, SRF의처리 시 잔디의 가시적 품질, 초장, 예지물량, T/R율, 질소 함량 및 흡수량 등은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RF-2의 총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보다 약 17% 증가하였다. 질소 흡수량과의 상관관계 조사에서 잔디의가시적 품질, 총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및 인과 칼륨의 흡수량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 <0.01).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IBDU, CDU 및 MU를 혼합하여 제형화한 완효성 질소 비료의 시비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질소 흡수를 촉진하여 잔디 잎의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SRF를 이용한 열병합 연소시스템 개발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상병찬(Byung-Chan Sang),엄태인(Taein Ohm)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1

        최근 국내에서 생활폐기물 소각로 신·증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주민들의 민원과 우려가 급증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과 가연성 산업폐기물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는 고품질 폐기물고형 연료제품 (solid refuse fuel; SRF)를 활용하여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연소로 및 열회수 시스템 구축에 관하여 전산유체역학(CFD)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SRF는 폐기물 재활용 업체에서 생산한 것으로 저위발열량은 약 4,500kcal/kg 이다. 소형 연소로에서 SRF 연소용량은 0.5 톤/시간, 연소로 형태는 화격 자식이고 연소로와 열회수설비는 일체화된 것이다. 열병합발전에 적합한 SRF 최적 연소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과잉공기비는 1.87, 1.77, 1.67 3 종류이다. CF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SRF 전용 연소로의 반웅장과 열유동 해석을 수행하여 연소로 출구 값을 계산한 후 이들 값을 후단 열교환설비 계산에 입구 조건으로 활용하였다. SRF 연소로 해석 결과 연소 보일러의 운전 조건에서는 과잉공기비가 클수록 불완전 연소물인 SRF 의 농도가 낮았고, 공해물질인 CO 와 SO₂ 농도는 적게 생성되었다. 후단 열교환기에서는 연소로 출구에서 평균 가스온도는 과잉공기비에 따라 약 lOK 차이가 있지만 열교환기 출구에서는 온도는 lK 정도로 줄어들었다. 열교환설비에서 회수한 스팀의 온도는 약 400°C 이고 압력은 40bar 이다. 이 스팀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경우 발전효율이 약 20~23%로 예측된다. 따라서 발생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연성 폐기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화석연료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온실가스 발생을 저감하면서 전력생산과 폐열활용이 가능한 SRF 전용 복합발전 시스템 개발이 중요한 과제이다.

      • KCI등재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한 고형연료제품 (SRF) 사용시설의 주변환경 조사항목 고찰

        문희성,김규연,강준구 한국도시환경학회 2022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2 No.4

        Solid Recovery Fuel (SRF) was introduced into energy markets unstable due to high oil prices, and power generation using SRF increased every year due to various policy benefits. SRF-related projects are disrupted in many regions due to distrust of SRF, which is manufactured using waste as raw materials. Therefore, it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residents by suggesting a method to objectively verify the safety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 measurement point was selected using the atmospheric diffusion modeling (AERMOD) of a facility using solid fuel products, and the influence of the area around the recycling facility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wind direction on the measurement da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tual survey of the surrounding area (5 points) and atmospheric diffusion modeling, the TSP concentration tends to be measured high at the maximum landing point, and NOx and SOx concentrations at other points are high in some cases, and HCl and HF were measured below the detection limi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alodor substances, the correlation was insufficien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spread of malodor substances when measuring the sam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cility operation. The nearby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of the object facility is located at about 6km and results similar to the values measured at the measurement spot are derived, so it is judged that the impact of the air pollutants of the target facility is low. 고형연료제품 (SRF)은 고유가 시기의 불안정한 에너지 시장에 도입되어 , 다양한 정책적 혜택에 힘입어 SRF를 사용한 발전 은 매년 증가하였다 . 하지만 폐기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SRF에 대한 불신으로 많은 지역에 관련 사업들이 차질을 빚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기환경의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주민 수용성을 제고하고자 고형연료제품 사 용시설의 대기확산모델링 (AERMOD)를 활용하여 측정지점을 선정하고 , 측정일 풍향에 따른 재활용시설 주변지역 영향조사 를 하였다 . 주변지역 영향조사 실측 (5개 지점 )과 대기확산모델링을 비교한 결과 , 최대 착지지점에서 TSP 농도가 높게 측정되 는 경향을 보이며 , NOx, SOx는 타지점에서의 농도가 높은 경우가 있으며 , HCl과 HF는 검출한계 이하로 측정되었다 . 악취물 질 분석 결과 , 시설 가동 유·무에 따른 동일지역 측정 시 악취물질 확산에 의한 영향을 확정하기엔 연관성이 미흡하였다 . 인 근 대기 측정망은 약 6km에 위치하여 조사지점에서 측정한 값과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고 , 악취에 대한 영향이 미흡함에 따 라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의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영향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

      • 순환유동층보일러에서 석탄과 SRF의 혼소특성 연구

        현주수,한근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2

        고체 재생연료인 SRF(Solid Recycled Fuel)는 다양한 폐기물로부터 제조된 연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SRF는 돈분(pig excrement)으로부터 제조되었다. 돈분을 호기성 소화조에서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메탄)를 추출하여 가스연료로 사용하고, 거의 액상상태의 잔유물중 침전물질을 고액분리과정을 거쳐, 얻어진 고체를 톱밥과 같은 가연성 유기물질과 혼합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다. 본 연구 목적은 돈분으로부터 제조된 SRF가 열생산 보일러에서 혼소용 연료로 사용될 경우, 보일러의 연소 효율, 보일러의 성능유지 가능성 및 배출된 연소배가스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SRF의 연소 및 배가스 배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보일러는 10MWth 규모 순환유동층발전보일러가 사용되었다. 사용된 순환유동층연소로는 층 면적(bed area)이 1.92m², 연소로 높이는 약 13.0m이고, 연료투입구는 두 곳으로 분배기로부터 0.9m에 있다. CFBC에서 유연탄과 SRF의 혼소율은 5%이었으며, 연소로의 층 온도와 유동층 높이를 변화시켜, SRF 혼소에 따른 연소로의 성능유지, 연소효율, 배출가스의 배출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소효율은 석탄만을 연소할 때 그리고 혼소할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SRF 5% 혼소에서 연소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미미하였다.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층높이 변화 실험에서 유동층높이가 600mmH₂O 이하일 때 층(bed)온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었으나, 연소로 전반적인 온도분포는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층 높이 600mmH₂O 이상에서는 보일러 전체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온도유지가 가능하였다. 한편 연소배가스 배출특성을 살펴보면 NOx의 배출은 거의 유사한 조건으로 배출되었으며, SOx의 경우 석탄만을 연소할 경우보다 약 15% 증가하여 배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사용한 SRF는 순환유동층연소로에서 석탄과 5% 혼소할 경우, 석탄만을 연소할 경우와 대비하여 연소효율, 연소로 성능유지 및 연소배가스 배출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고체재생연료로서 무리가 없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 A-01 : 순환유동층보일러에서 석탄과 SRF의 혼소특성 연구

        현주수,한근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고체 재생연료인 SRF(Solid Recycled Fuel)는 다양한 폐기물로부터 제조된 연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SRF는 돈분(pig excrement)으로부터 제조되었다. 돈분을 호기성 소화조에서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메탄)를 추출하여 가스연료로 사용하고, 거의 액상상태의 잔유물중 침전물질을 고액분리과정을 거쳐, 얻어진 고체를 톱밥과 같은 가연성 유기물질과 혼합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다. 본 연구 목적은 돈분으로부터 제조된 SRF가 열생산 보일러에서 혼소용 연료로 사용될 경우, 보일러의 연소 효율, 보일러의 성능유지 가능성 및 배출된 연소배가스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SRF의 연소 및 배가스 배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보일러는 10MWth 규모 순환유동층발전보일러가 사용되었다. 사용된 순환유동층연소로는 층 면적(bed area)이 1.92m2, 연소로 높이는 약 13.0m이고, 연료투입구는 두 곳으로 분배기로부터 0.9m에 있다. CFBC에서 유연탄과 SRF의 혼소율은 5%이었으며, 연소로의 층 온도와 유동층 높이를 변화시켜, SRF 혼소에 따른 연소로의 성능유지, 연소효율, 배출가스의 배출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소효율은 석탄만을 연소할 때 그리고 혼소할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SRF 5% 혼소에서 연소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미미하였다.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층높이 변화 실험에서 유동층높이가 600mmH2O 이하일 때 층(bed)온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었으나, 연소로 전반적인 온도분포는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층 높이 600mmH2O 이상에서는 보일러 전체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온도유지가 가능 하였다. 한편 연소배가스 배출특성을 살펴보면 NOx의 배출은 거의 유사한 조건으로 배출되었으며, SOx의 경우 석탄만을 연소할 경우보다 약 15% 증가하여 배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사용한 SRF는 순환유동층연소로에서 석탄과 5% 혼소할 경우, 석탄만을 연소할 경우와 대비하여 연소효율, 연소로 성능유지 및 연소배가스 배출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고체재생연료로서 무리가 없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