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회계학방법론의 비교연구

        김석웅 한국회계학회 1999 회계학연구 Vol.24 No.4

        본 논문에서는 주류회계학의 방법론인 실증적 방법론과 영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비판적 방법론, 해석적 방법론 등과 같은 비실증적 방법론을 그 철학적 배경과 기본가정을 살펴본 후, 상호 비교하였으며, 특히 비판적 방법론의 경우에는 다시 마르크스주의의 방법론, 독일의 비판적 방법론, 불란서의 비판적 방법론 등으로 세분해서 살펴보았다. 회계학의 철학적 가정은 Burrell과 Morgan의 학설을 이용하여, 사회과학의 본질에 관한 가정으로, 존재론(명목론과 실재론), 인식론(실증주의와 반실증주의), 인간의 본성(자원론과 결정론), 이론의 본질(개성기술적인 것과 법칙정립적인 것)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사회의 본질에 관해서는 규제와 급진적 변동으로 나누어 살펴보고는 이 두 차원을 이용하여 기능주의, 해석주의, 급진적 인도주의, 급진적 구조주의 등 4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회계학에서 주로 이용되는 방법론들의 다음과 같은 기본가정을 비교기준으로 해서 살펴보았다. (1) 이론을 판단하는 기준은 일시적이고 맥락적이다. (2) 이론은 일반화가 불가능하다. (3) 역사적 연구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실시된다. (4) 경험적 실재는 주관적 해석을 통해 형성되고 그 관계가 재생산된다. (5) 인간의 자신의 의지를 가지고 대상에 작용하므로 능동적 주체다. (6) 대상은 관계의 총체성을 파악하면서 분석된다. (7) 대상은 권력을 비롯한 일정한 이데올로기에서 분석된다. (8) 사회와 조직은 소외, 모순, 역기능, 갈등 등으로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변화를 지향한다. 이상과 같은 기본가정을 비교기준으로 할 때, 실증적 방법론의 경우는 모두 부정적이며, 독일의 비판적 방법론의 경우는 모두 긍정적이다. 한편, 해석적 방법론은 대부분의 경우 마르크스주의의 방법론과 정반대의 입장에 있다.

      • KCI등재

        왕필『주역주』해경방법론과 그 연원에 대하여

        윤석민(尹錫珉)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6

        본고는 왕필역학의 해경방법론에 대한 논문이다. 왕필은 『역전』과 한대고문 역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이것을 현학적 사유와 결합하여 해경방법론을 건립한다. 왕필해경방법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현학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그 방법론의 ‘창조’부분을 부각시키는데 그쳤고 따라서 그 방법론 안에 존재하는 ‘계승’부분은 자연히 도외시되었다. 가존의 연구가 현학적 방법론으로 내세우는 忘象以求其意와 擧一以明에는 현학적 사유와 역학적 사유가 공존한다. 忘象以求其意는 사상적으로는 「계사」와 『장자』에서 연원한다. 이는 체례로의 발현이라는 측면에서는 『역전』에 근거한 取義說과 封名取封義說의 차례를 파생시킨다. 擧一以明은 사상적으로 「단전」, 「계사」와 『노자』에서 연원한다. 왕필이 이 방법론들을 거론하면서 노장의 문구들을 인용하기도 하지만, 더 많은 부분에서 『역전』의 문구, 사상, 그리고 체례를 인용하고 있다. 「단전」의 일효중심의 해석방법과 한역의 封主說 내용은 擧一以明의 방법론과 그로부터 파생된 체례의 연원이라고 하겠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방법론들은 『주역략례』가 제시하는 네 가지 방법론 중의 하나에 불과한 것으로 爻位와 관련된 封時爻變, 爻人位德등의 방법론을 포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총괄하자면, 왕필역학 방법론에는 『역전』과 한대고문역에 대한 재현부분과, 역학을 근거로 한 현학적 발현부분이 있다. 전자가 후자보다 경문해석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후자부분에서 『역전』과 고문역에 대한 전수의 흔적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그 해경방법론이 『역전』과 한역에서 연원 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왕필역학방법론 전체를 현학으로 규정한다거나 현학적 관점을 전체 방법론의 상부에 놓는 것은 고려의 대상이 된다.

      • KCI등재

        법학방법론의 현대적 의미

        오세혁 중앙법학회 2023 中央法學 Vol.25 No.3

        법이 있고, 법학이 있는 곳에 법학방법론이 없을 수 없다. 법학은 고대부터 개별 사안에 대한 올바른 법적 해결로 인도하는 다양한 사고방법을 발전시켜왔다. 법학방법론이야말로 법학의 작업 현상을 반영하며 법학의 학문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자화상이다. 법학방법론의 전문분야화(Professionalisierung – H.-M. Pawlowski)에도 불구하고 법학방법론의 기능과 그 한계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법학방법론이 현실에서 불필요한 것이라거나 실정법의 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방법론을 익히게 되므로 법학방법론을 따로 가르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법학방법론이야말로 법조인이 반드시 구비해야 할 소양이며 가장 실용적인 법학 분과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해석론이 지배하는 학계 현실을 감안 하면 실정법의 학습만으로 방법론을 익힐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법해석론 및 법리는 방법적으로 정당화된 법해석과 법형성의 산물이다. 법적 추론과 같은 실천적 추론에서는 극단적 합리주의와 완전한 비합리주의 사이에 나아가야 할 길이 있다. 법규범에 대한 다양한 해석가능성이 곧바로 법적 결정의 임의성과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사건에서 수용가능한 해석들에 대한 선택의 폭이 존재하고 이러한 선택의 폭 내에서 해석자의 선이해에 따라 최종 결론을 내리게 된다. 하지만 선택의 폭 바깥에는 객관적으로 수용불가능한 영역이 훨씬 더 넓게 존재한다. 따라서 법관 개인의 선입견이나 주관적 평가의 개입 가능성을 판결의 비합리성이나 자의성과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 현대 법치국가에서 법해석방법의 선택이 법적용자의 자유재량에 완전히 맡겨져 있지는 않다. 가령 법관의 경우 해석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죄형법정주의나 권력분립 원리와 같은 제도적·절차적 제약을 받는다. 이 점에서 오늘날 법학 방법의 문제는 헌법 문제이기도 하다. 법령해석 방법론이나 법발견론을 비롯한 법학방법론은 법관의 해석재량 및 결정재량을 축소함으로써 판결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여준 다. 법학방법론의 과제는 자의적일 수밖에 없는 순 주관적 영역을 가급적 줄이고 해석을 가급적 객관화·합리화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법학방법론은 법의 해석과 적용이라는 고전적인 주제를 넘어 법의 인식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이들 주제는 궁극적으로 입법자와 법적용자의 권한 배분, 법령 해석의 기준 내지 관점, 사회현실 및 법률 배후에 자리 잡은 이익에 대한 고려, 법관의 기능과 역할과 같은 법이론적인 문제와 연결된다. 따라서 법학방법론은 법이론(Rechtstheorie)적 성찰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법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법학방법론은 법 인식의 본질이나 방법을 탐구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법의 효력이나 법이념과 같은 법철학의 근본문제를 숙고하게 만든다. 리펠(H. Ryffel)의 표현을 빌리면 방법론은 원하든 원치 않든 간에 철학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법학방법론에서 실정법학과 법철학의 제휴(K. Larenz)를 엿볼 수 있다. 드워킨 역시 ‘법철학은 사법의 총론이며 법적 결정의 묵시적 서장’이라는 말로 법철학과 법학방법론의 긴밀한 연계를 시사한 바 있다. 법학방법론은 응용법철학의 일부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법철학은 법학방법론의 서장(序章)이자 종장(終章) 이다. 법학 ...

      • KCI등재

        산업디자인 방법론에 반영된 독일 공학설계방법론의 영향

        김성준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1

        A systematic methodology is needed in designing andengineering technological products since most of them aredeveloped for industrial production. Such methodology isalso essential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The systematicmethodology used for design processes is largely influencedby engineering design methodology. For this reason, the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he engineering designmethodology was developed, which played an importantrole in establishment of the systematic design methodologyfor technological product development. Previouslyconducted researches and various documents were studied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inGerman-speaking countries in particular, since they areconsidered to be role model countries for technological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This study found thatthe concept and structural flow of the engineering designmethodology developed before 1990’s and the industrialdesign methodology are almost identical because the twodesign methodologies were fulfilling the role that the societydemanded in a mutually-supporting way within the largerframework of product design. The consecutive structureof linearity, in particular, was a structure typical amongthe methodologies used at that time, which seems to bein response to the demand of the industrialization era. However, the typicality and scope of a product changedas the society shifted toward a more diversified one after1990’s. The arena of product development also shows anew trend such as the MVM model in the engineeringindustry or the Design Thinking in the design industry. This illustrates how the development of a methodologyreflects the changes of the time and the demands of thecontemporary society, and the future study will need tofocus the development of a design-oriented integratedmethodology in addition to highlighting the post-90’smethodologies. 대부분의 기술적 제품들은 산업적 생산을 전제로 개발되기 때문에 그것의 디자인 및 기구 설계과정에는 체계적인 방법론이필요하다. 디자인과정을 위한 체계적 방법론은 공학적 설계방법론에서 받은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적 제품개발을 위한 체계적 디자인 방법론 형성에 중요한기인으로 작용한 공학적 설계방법론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1950년대 이후 기술적 제품의 개발및 디자인에 있어 모범적 전형을 형성한 독일의 방법론의 발전과 그것이 산업디자인 방법론에 미친 영향에 중심을 두어,선행된 연구 및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1990년대 이전까지 개발된 공학적 설계 방법론이나산업디자인 방법론을 비교해보면 그 개념적 내용이나 구조적흐름이 거의 동일한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결국 제품개발이라는 큰 틀 아래에서 공학적 설계와 디자인의 개발이사회가 요구하는 역할을 서로 상보적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선형성의 순차적 구조는 이 시기 방법론의 전형적인구조이며, 이는 산업화 시대의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진행된 다변적 사회로의변화는 제품의 전형성 및 범주까지도 변화시켰으며, 제품 개발에 있어서도 공학계의 MVM 모델이나 디자인계의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 등 이전과는 다른 전형으로 발전되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방법론의 발전은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사항의 반영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향후 과제는 1990년대 이후의 방법론들에 대한 조명과 아울러 디자인중심의 통합적 방법론의 개발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것이다.

      • KCI등재

        獨逸 行政法方法論의 發展과 變化 - 독일 행정법학의 성립부터 신행정법론의 등장까지 -

        정남철(Nam-Chul Chung)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81

        행정법학에서도 방법론에 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비교법적 연구를 통해 행정법방법론의 현주소와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독일의 행정법학은 초기에 일본을 거쳐 한국의 행정법학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독일 행정법방법론의 형성과정과 발전, 그리고 최근의 변화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전통적으로 독일의 행정법학은 실정법 위주의 해석론적 법학방법론에 바탕을 두고 발전하여 왔다. 초기에는 국가학적 방법론이 유행하였으나, 이후에는 오토 마이어(Otto Mayer), 플라이너(Fritz Fleiner) 및 발터 옐리네크(Walter Jellinek) 등이 법실증주의자들이 발전시킨 법학방법론이 주도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오토 마이어 이전에도 프리드리히 프란츠 마이어(Friedrich F. Mayer), 게오르크 마이어(Georg Mayer) 등의 고전학파 행정법학자들이 독일 행정법학의 형성에 기여한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국내 행정법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 20세기 후반에도 독일에서는 법실증주의자에 의한 법학방법론이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스 볼프(Hans J. Wolff), 오토 바호프(Otto Bachof) 등이 이러한 법학방법론을 계승하였다. 다만, 당시에 포르스트호프(E. Forsthoff)는 이러한 주류적 흐름과 거리를 두면서 급부국가와 생존배려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행정법이론을 발전시켰고, 사회학적 · 경제적 · 정책적 분석을 접목시키고 있었다. 21세기에 들어와서 독일에서는 행위학, 결정학, 조종학 등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행정법학의 흐름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행정법학(신행정법학)에서는 종전에 지배적이던 해석론 중심의 법학방법론을 지양하고, 학제적 연구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를 연결할 수 있는 핵심개념으로 협력이나 민영화, 조종(Steurung) 등을 강조하고 있다. 행정법학의 새로운 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론이 접목되어야 한다. 해석론적 법학방법론 외에 비교법적 법학방법론, 법제사적 법학방법론, 입법론적 법학방법론, 그리고 학제적 법학방법론이 접목되어야 한다. 국가는 현실을 도외시하고 규범으로만 파악되기 어렵다. 행정법학은 규범 없이 성립되기가 어렵지만, 현실을 배재한 행정법도 존립하기 어렵다. 전통적인 행정법방법론이 규범해석 중심의 학문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법학은 현실적인 학문이다. 미래세대의 법학은 알고르즘 기반의 인공지능(AI)과 제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것이다. 이러한 급속한 시대의 변화를 규범으로만 대응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차세대의 행정법학에서는 새로운 도그마틱(Dogmatik)과 다양한 학제적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In administrative law, interest in methodology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find the current state of administrative law methodology and a new direction of development through comparative legal research. German administrative law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administrative law in Korea through Japan in the early days. It is meaningful to review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German administrative law methodology and its recent changes. Traditionally, administrative law in Germany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hermeneutic law methodology focused on actual law. In the early days, the political science methodology was in vogue, but later, Otto Mayer, Fritz Fleiner, and Walter Jellinek began to lead the legal methodology developed by legal positivists. However, even before Otto Meyer,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the classical administrative law scholars such as Friedrich F. Mayer and Georg Mayer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German administrative law. This is a fact that is not well known to the domestic administrative law academia. Eve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legal positivist law methodology still had a great influence in Germany. Hans J. Wolff and Otto Bachof succeeded this methodology in law. However, at the time, E. Forsthoff developed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law theory centering on the benefit state (Leistungsstaat) and consideration for survival (Daseinsvorsorge) while keeping a distance from this mainstream trend, and incorporating sociological, economic, and policy analysis. In the 21st century, a new trend of administrative law, represented by behavior studies, decision-making science, and science of steering, emerged in Germany. In this new administrative law, the law methodology centered on interpretive theory that was dominant in the past is avoided,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emphasized. It also emphasizes cooperation, privatization, and steering as core concepts that can connect this. In order to obtain a new engine for administrative law, various methodologies must be applied. In addition to hermeneutic law methodology, comparative law methodology, legal history law methodology, legislative law methodology, and interdisciplinary law methodology must be combined. The state can hardly be understood only by norms, ignoring reality. It is difficult to think administrative law without norms, but administrative law that excludes reality cannot exist. It cannot be denied that traditional administrative law methodology is a discipline centered on normative interpretation. However, law is a realistic discipline. Laws of the future generation will face new challenges with the emergence of Algorithm-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may be situation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se rapid changes of the times only with norms. In the next generation of administrative law, new theory and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need to be attempted.

      • KCI등재

        21세기 행정환경의 변화와 행정법학방법론의 과제

        이원우(Won-Woo LEE)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7 행정법연구 Vol.- No.48

        그동안 우리 행정법학이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행정행위론과 행정소송법을 중심으로 하는 개념법학의 틀 내에서이다. 이러한 방법론에 의해서는 동태적으로 변화하는 행정현실을 적절히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행정법학과 행정현실의 괴리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상황은 21세기에 들어서 급격하게 심화되고 있다. 이는 세계화, 지식정보화,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 권력의 분산, 정부와 시장 사이의 기능배분의 변화, 다원화, 변화속도의 가속화, 위기의 일상화 등 지난 세기까지 겪어보지 못했던 급격한 변화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기술, 환경생태계 등 모든 영역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이에 따라 행정의 성격과 양태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행정법학계가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결과 행정법학과 행정현실의 괴리, 행정법학의 외연 위축, 법치행정과 공법원리 형성의 저해, 행정법학의 司法法學化 등 행정법학의 위기가 야기되고 있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행정법학의 위기는 독일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경험한 바있다. 따라서 독일 행정법학이 어떻게 자신들의 위기를 극복하고 발전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행정법학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독일 행정법학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행정법학의 위기의 원인과 극복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행정법학의 위기는 행정법학과 행정현실의 괴리로 인해 야기되었다. 둘째, 행정법학이 행정현실로부터 유리된 데에는 행정법학 방법론의 문제가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하였다. 셋째, 독일 행정법학은 현실에 적합한 새로운 법학방법론을 발전시킴으로써 이러한 위기를 적절히 극복해 왔다. 행정법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요청을 만족하여야 한다. 첫째, 오늘날 행정법학은 조종학문으로서 성격을 가진다는 점에서 규범해석학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법학방법론을 넘어서 사실상태의 분석, 효과 및 결과 분석, 학제적 연구(입법학,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 등) 등 다양한 연구방법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방법론은 법의 해석, 적용뿐 아니라 정책형성과 입법과정으로부터 행정부에 의한 법의 집행, 사법심사 등에 이르는 전 과정을 법학의 범주로 받아들이는 것을 전제로 한다. 둘째, 규범해석학을 중심으로 하는 법학방법론을 적용함에 있어서도 행정법학의 임무와 성격에 비추어 문언주의적 해석을 넘어 제도적 목적론적 방법론이 채택되어야 한다. 셋째, 마지막으로 행정법 해석에 있어서 형식주의를 극복하여 규범의 형식과 실질을 실질적 법치주의라는 관점에서 조화시켜야 한다.

      • KCI등재

        질송의 방법론-방법적 실재론과 역사적 방법론

        김정국 ( Kim¸ Joung-go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2

        이 글은 질송의 저서 『토미스트 실재론과 인식 비판』, 『방법적 실재론』, 『철학적 체험의 통일성』을 중심으로 그의 방법론을 살펴본 것이다. 전통적 철학하기의 방법이자 질송의 존재의 형이상학에 기본적인 방법론은 먼저 “객관적 실재론의 방법”이라 부르는 것으로 사물을 보는 그의 기초적 관점과 태도를 말한다. 그는 철학적 방법으로서의 이 실재론적 방법론이 ‘유효한 철학’을 설립하기 위해 필수적이라 여겼다. 그래서 ‘비판적 실재론’을 ‘사각의 원’처럼 모순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존재가 외부사물뿐 아니라 인식주체에 대한 인간인식을 정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어떠한 선험적인 비판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본다. 실재론적 방법론은 존재를 첫 대상이자 최고의 원리로서 놓고 그 명증성 위에 설립하는 방법론이며 그것은 우리 사고의 출발점이 항상 사유 자체가 아닌 인식주체가 경험한 실재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비판적 실재론자들의 인식주체에 대한 논의는 이미 확보된 것에 대해 다시 논란을 제기하는 것이라 본 것이다. 이런 실재론적 방법론을 기초로 한 질송의 두 번째 방법론은 “역사적 방법론”이라 부르는 것으로 질송에게 ‘철학사가’로서 명성을 가져다준 방법론이다. 그의 탐구 초기의 현학적 관심으로 특정 지어지는 ‘역사편찬적 방법론’에서 출발하여 역사적 사료 해석의 종합을 시도한 시기를 거쳐 본격적인 철학적 문제에 대한 사변적 논변으로 발전되는 ‘하나의 철학의 역사’를 찾아간 질송의 방법론인 것이다. 이 세 단계의 발전을 통해 질송은 역사주의에 빠지지 않고 철학사의 현상적 차원을 넘어서는, 그러면서도 역사 안에서 전진하며 그 안에서 철학적 목표에 도달하는 ‘본질적이고 통일적인 종합’을 지향한다. 거기에서 질송은 형이상학적 동물인 인간이 ‘존재의 형이상학’을 탐구하는 길을 발견한다. 결국 실재론적 방법론이나 역사적 방법론은 질송에게 모두 그의 철학적 탐구의 유용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했다. 철학은 역사적 귀납의 길을 통해 형이상학적 개념이자 초월적 본성을 분별하게 했다. 개념들의 역사는 필연성과 일관성에 따라 전진해간다. 질송은 그의 방법론을 통해 유구한 철학사에서 꾸준히 침몰과 부상을 계속해 온 ‘존재의 형이상학’을 드러내고자 하였고 그리스도교 사상의 독창성이 그리스도교인인 철학자의 태도에서 찾아 질 뿐 아니라 그리스도교에서 유래한 형이상학적 사유 내용에서도 온다는 것을 밝혀내려 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esent Gilson’s method described in his works Le réalisme thomiste et critique de la connaissance (Thomist realism and the Critique of knowledge), Le réalisme méthodique (Methodical realism), and The Unity of Philosophical Experience. Gilson’s fundamental method for metaphysics and one of the traditional approaches to philosophizing is called “objective realist method” and indicates his fundamental view and attitude. He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for developing a valid philosophy to accept the realist method as a philosophical method, and accordingly, argued that the critical realism was contradictory like ‘a quadrate circle’, because it is the being that maps out the human recognition on the cognitive subject as well as the external objects. In this reason, he thought that no critics a priori could be justified. The realist method takes the existence as the primary object and the most general principle, and it is built on its evidence. As our thinking always starts from the question about empirical things rather than thinking itself, the critical realists’ arguments on cognitive subject is understood by Gilson as trying to raise questions again about what has already been solved. The second method called “historical methodology” has made him gain the reputation as an philosophical historian. It is proceeded from his first period of search for erudite concern, characterized by historiographic methodology, by way of the period of synthesis of historical interpretations, to research for history of the unique philosophy by means of theoretical discussion of properly philosophical problems. Through the three-stage development, Gilson pursued “the fundamental and united synthesis” where he did not stick to historicism but pursued the ideas beyond the phenomenical level of the philosophical history, while proceeding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realizing philosophical goals. By doing so, Gilson discovered the way for a human being as a metaphysical subject to explore the metaphysics of being. Both of Gilson’s realist method and historical methodology served as valid instruments for his philosophical research. Philosophy continuously distinguishes metaphysical ideas and transcendent nature through generalizing the history. The history of ideas proceeds according to necessity and consistency. With his methodology Gilson intended to highlight the metaphysics of being that has continuously repeated the process of emerging and being forgotten in the long history of philosophy. What he has tried to do was to verify that the novelty of Christian thoughts is found from not only the attitude of Christian philosophers but also the contents of metaphysical thoughts originated from Christianity.

      • KCI등재

        생명복제 시대의 기독교 윤리 방법론

        김광연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6 No.-

        기독교 윤리의 전통적 방법론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연역적 접근 방식이었다. 이 방법론은 선의 규정이 ‘이미 정해진’ 형태로서, 전제에 결론이 포함된 형식을 취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성서의 율법주의 형태를 취한다. 이 방법론은 무조건적인 명령의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현대 기독교 윤리를 적용하는데 무리가 있어 다른 방법론으로서 귀납적 방법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귀납적 방법론은 다양한 논의와 과정을 통해 결론을 추론하는 것으로서 연역적 방법론과는 달리 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사례들을 중요시하게 된다. 그 후 기독교 방법론은 이 두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상황윤리를 받아들인다. 상황윤리는 ‘하나님의 사랑’의 실천이 궁극적 목적이었고 선규정적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사례들을 추론하여 윤리적 논의의 과정을 거치는 방법론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론 또한 일반적 도덕 원칙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여 상충적이고 반성적인 추론 방법론을 요청하게 되었다. 상충적이고 반성적인 추론 방법론은 상황윤리의 한계를 지적하고 일반적인 도덕원칙과 개별적인 사례들을 접목시키는 듯 했다. 하지만 이 방법론은 개인의 ‘배경이론’을 끌어들이면서 한계를 드러낸다. 개인의 배경이론은 이미 선해석학적 틀에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이미 판단자에게 내재된 문화, 종교 및 가치관이 학습되어 윤리적 판단을 하기 때문에 연역적 방법론으로 회기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예측불가능한 생명공학 시대에 접어들어 위의 다양한 방법론들과 상충적이고도 반성적 추론 방법론이 또 다른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다양한 방법론의 한계와 새로운 생명공학 시대에 적절한 방법론으로서 책임윤리를 제시하게 되고, 더 나아가 공동체의 성숙한 책임과 덕 윤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traditional method of Christian Ethics was typically deductive approach. It was about the method when ‘already given’ sumption is true, its consequential result was also found true. With the Christian Ethics methodology, because it talks about ethical issues came out of the Bible and rabbinism, a certain approach or method was already in its original sumption. Such a deductive method was not appropriate for further debate nor discussion to deal with as a Christian Ethics method. On this premise, the next generation including myself comes up with an inductive approach. As we agree, the inductive method draws a result out of various debate and process. Unlike deductive one, because it leads to a certain result through variety of possible experiments, it is good enough to debate Christian Ethics by a certain situation and context. Soon afterward, it is expected that deductive method and inductive approach might go for mutual compliment, so-called acceptance of “Situation Ethics.” It can deal with ethical issues in the midst of various situation through which can lead to an ultimate ‘Love.’ Albeit this method is seeking for the realization of love, it has a limit that in the process, the ethical subject might miss considered moral judgment. As an alternative to this, a reflective reasoning method is needed. Like the situation ethics, this reflective method is similar with the former in that a certain ethical principle was established through specific cases and individual situation. However, the reflective reasoning is a bit different in that it asks for rigid matching or conformity. In spite of this difference, the reflective reasoning method has a limit, so as to speak, considered moral judgment. Because ethical judgment, unlike the scientific common sense, is largely related to inherent prejudice, personal background, and religious belief, it is likely to incline for excessive bias based on the I-centered perspective. Seen above, many problems and limits were found in inductive, deductive, situation ethics, and reflective methods. In this bio-technological age, unpredictable issues in ethics came from all kinds of experiments dealing with human life is inadequate to debate the issues of traditional ethics. For this reason, we have to seek a new ethical theory that is beyond established one, it also asks for a responsibility ethics in other words, the ethics of virtue and mercy. The former one is an ethical theory comes from mature community dealing with caring people with mercy. The latter is a new theory appropriate for bio-technology age. By the rapid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ndustry causing so many unpredictable issues, it is asked for a responsibility ethics model even in Christian perspective bioethics. ‘Responsibility Ethics’ is a theory to reflect the current ethical issues such as unpredictable embryonic stem cells, gene testing etc. With regard these issues, it is expected that an age will come in which virtue and/or mercy-centered ethics with responsibility is desperately needed.

      • KCI등재

        구조적 방법론과 정보공학 방법론을 통합하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 가이드와 사례

        조민호(Min-Ho Cho) 한국전자통신학회 202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2

        Ⅰ. 방법론의 발전 Ⅱ. 구조적 방법론의 적용 방향 Ⅲ. 정보공학 방법론의 적용 방향 Ⅳ. 통합 적용을 위한 가이드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법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발전되었다. 구조적 방법론, 정보공학 방법론 그리고 객체지향 방법론이 이런 변화의 큰 흐름이다. 각 방법론은 특징과 장점이 있고, 적용되는 분야가 다르다. 실무를 수행하는 엔지니어들은 각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익숙하지만, 구조적 방법론이나 정보공학 방법론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 그래서 방법론이 가지는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없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각 방법론의 적용 대상에 대해 구조적 방법론, 정보공학 방법론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을 정리하고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질적 방법론과 회계학연구

        김석웅(Kim Seok-wo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도 질적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질적 연구가 사회학, 간호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회계학계에도 일부가 발표되고 있지만, 질적 방법론의 분야에서 방법론, 이론, 연구방법, 자료조사방법, 자료해석방법 등에 관한 개념들이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고 혼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질적 방법론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 연구현황을 살펴서 한국의 회계학계에 질적 방법론과 연구방법의 이해와 확산을 촉진하고자 한다. 질적 방법론은 비판적 방법론과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해석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자의 체험을 통해 경험현실을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질적 방법론인 해석적 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은 해석학과 현상학이고, 주로 이용하는 이론은 사회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화이론, 일상생활방법론, 제도이론, 행위자연결망이론 등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민속지학, 실행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이고, 자료수집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현장연구, 문헌조사 등이며, 자료분석방법은 해석학, 서사분석, 기호학(내용분석, 대화분석, 담론분석) 등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내용분석해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지학(ethnography)은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종족지학이라고도 하는데, 연구대상인 사람(회계담당자)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배경에 대해 연구자가 (비)공개적으로 그들의 삶에 일정한 기간동안 참여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방법이다.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실행연구에서는 연구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해석적 방법론의 사례연구(case study)는 연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해석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주관성, 일반성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결합하는 Q방법론, 삼각측정(triangulation) 등의 혼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Nowadays, Qualitative method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Nursing, Education in Korea. In Accounting, Although som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their concept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 method, theory, data researching method and data interpreting method have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method in the Korean accounting community through clarifying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methodology by content analysis of prior accounting researches. The qualitative methodology means both the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owever it mean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in a narrow sense. It is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the researched and to interpretat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experiencing through lived experienc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r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Theories used in qualitative methodology are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symbolic interactionism, structuration theory, ethnomethodology, institutional theory, actor- network theory. The research methods are action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In this paper, the research methods of qualitative methodology are the research focus. The ethnography i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life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d people(accountants) through lived experience participating the phenomena and life of them during some periods. The action research is the process to pursue th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at the field. The case study of interpretive methodology is to research the case at which the researcher have participated during some period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as some problems such as subjectivity and lack of genera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Mixed methods such as Q methodology, triangulation have been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