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서비스 융합 토탈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화장품 개발 사례연구

        문재호(Moon, Jea Ho),홍명화(Hong, Myoung Hwa),신진우(Shin, Jin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산업의 구조가 제조업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서비스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여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을 개발하는 전 단계에 제품(화장품)-서비스(소비자) 융합 토탈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화장품 개발 및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 및 상품화를 위한 제품-서비스 융합 토탈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전문 기업의 경쟁력강화 및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매출원 확보를 통한 기업가치 상승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서비스디자인과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품-서비스 융합 토탈 프로세스 개념을 정립하고 화장품 개발 사례연구를 통해 프로세스를 검증해보았다. 첫 번째 Discover(정보 수집) 단계에서는 인간의 삶의 가치를 개선하고 높일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로 화장품 Shop의 클라이언트의 현장조사 및 관찰하였고, 이해관계자들의 현상조사 및 관찰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Define(데이터 분석) 단계로 가치도출 및 데이터 분석으로 제품과 서비스의 핵심가치 도출 및 구체화하였다. 서비스 원칙 수립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하고, 현상 관찰을 통한 사용자 감정, 문제점, 기회요소, 이해관계자 등을 조사하여 정황 속 반복되는 패턴이나 구조, 이해관계 및 시사점을 키워드 별로 그룹핑하여 가치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Develop (디자인 방향 설계) 단계로 전 단계에서 도출된 가치를 발전시키는 단계로 시나리오, 디자인 요소, 디자인 방향 설계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시각화를 하였다. 네 번째 Deliver(디자인, 사업화) 단계로 비쥬얼 작업 및 사업화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현실화하고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디자인, 사업화 단계에서는 화장품과 관련된 기획, 디자인 개발, 상품화 등에 대한 토탈 디자인 솔루션을 토대로 디자인결과물로 도출하였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본 연구에서 사례연구로 제시한 화장품 개발뿐만 아니라 여러 업종의 아이템 개발을 통한 지속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제품-서비스 융합 토탈 프로세스를 방법론의 단계별 세부적 내용들을 보완하여 논리적으로 더욱 탄탄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Structure of the industry is changing that paradigm of service-oriented paradigm from manufacturing center. It shall be provided with a competitive that is differentiated to provide new value to the consumer. In this study, established a process by utilizing the convergence design approach of a product (cosmetics)-services(consumers) in all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and based on this, we will try to offer products-services convergence total design solutions for planning,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 cosmetic and services competitive. Through this, the goal is a rising value of companies with a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specializing in the design and ensuring long-term sustainable revenu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validated process through case studies of cosmetics development and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product-services convergence total process, through a methodology theoretical study of service design and product-service integrated design process. In the first step which is a Discover collection of information, We observed the stakeholder and collected details of a cosmetics Shop client with a field research for the step of a collection of information of items that can improve and increase the value of human life. The second Define step of the data analysis, which was embodied and induce the core values of product-service with value derivation and data analysis. Analyzed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principles, investigated the user emotions, problems, opportunities, stakeholder through phenomena observation, and derived the value with group by each keyword from the context of a repeated pattern or structure, interests and implications. In the third step of direction setting of design development, which is the development step that derived the values from the previous step, we visualize products-service through direction setting of design, design elements and a scenario. The fourth step is a Deliver-design and commercialization, realize and diffuse the product-service with visual design and commercialization. Cosmetics and related planning, design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nd more based on the total design solutions, design results are derived in this design, commercialization step.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t will be able to develop to logical and effective service design with complement detail of each step of methodology about product-service integrated design process through ongoing case studies which of the not only cosmetics development in this study but also development of various sectors of the items.

      • KCI등재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학습기 개발사례

        김원경(Won Kyoung Kim),김은영(Eun Yo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최근 들어서 기업 간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자원고갈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기업의 가치 창출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부문이 가치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면, 최근에는 서비스 부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조 기업들은 서비스 중심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처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로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융합한 방법을 찾는데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은 많은 전문 디자인 기업뿐만 아니라, 많은 제조 기업에서도 전략 기반의 제품-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거나 보유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현재 성균관대 창의성 디자인연구소와 중앙대 산업디자인연구소가 함께 진행 중인 ``제품 서비스 디자인통합 시스템 연구``를 기반으로 PSS (Product Service System)디자인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제품디자인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본 연구를 실행하였다. PSS 디자인 프로세스 구축 과정의 분석관찰과 인지과정 모델링을 위한 사례 도출을 위해 전자사전용 학습기를 연구 분석의 대상제품으로 선정하였다. 전자 사전의 사용을 PSS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고 사용자 행위분석을 통하여, 실제 제품 서비스개발 과정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PSS 디자인 전략 프로세스의 적용과 관찰 분석을 통하여, 전자사전용 학습기가 사용자에게 디자인적인 요소보다는 학습을 위한 통합적 서비스 시스템이 더욱 중요한 것임을 본 연구의 결과로서 예측되어졌다. Nowaday, business competitions are getting more tough, and the enterprising structure of creating core value are changing dynamically with risky perception of wasting row materials. Even though manufacturing area which was producing products was taking the main roles of creating core value for the industry in the past, but service areas are relatively getting more involved in creating higher value recently. Manufacturing companies begin to have an interest in exploring methodologies which are merging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enforcing competent power with new business models, as they are disposing on the change of new paradigm oriented service. However, besides of major design companies, many manufacturing companies do not have or develop a strategic product-service design process. Based on the study of Product-Service System and PSS Design Process which is developing by cooperating CDI at Sungkyun-Kwan Univ. and DMC at Chung-Ang Univ., the study was implementing for searching a possibility and a proper application of product design area efficiently. A digital learning book was selected as a studying product to develop a analysing observation and perceptional modeling of constructing procedure on the PSS design process. The study was concentrated on the developing process which was essential for creating practical result of product-services according to the user research and analysing user activities conducted by applying PSS design process. Conclusionally, this study was suggested a main clue of output issues which was more important with integrated service system point rather than styling product design point to user of a digital learning book related a digital dictionary,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pplying and observing the product-service system design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PSS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서비스 디자인 개발 연구

        송경곤(Kyung Gon Song),김원경(Won Ky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서비스 산업이 각광을 받고 있는 오늘날 세계경제의 흐름에 따라 각계각층에서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 시도되고 있다. 학계와 업계 모두 제조 산업기반의 산업디자인 프로세스를 재조명함과 동시에 사용자 경험 위주의 서비스 디자인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통적 제조기반의 글로벌 기업들 역시 그간 가동해 왔던 생산라인을 폐쇄하고 서비스 상품개발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최근 모토로라와 구글의 M&A 합병 사례는 더 이상 제조품만으로 세계시장의 선두를 이끌어 나갈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산업디자인 분야에서는 서비스 상품 영역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여 제품-서비스 디자인 방법론(Product-Service Design Process)을 구축하고 있다. PSS(Product-Service System)란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시스템의 하나로서, 1999년 Goedkoop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어 현재까지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는 세계경제가 점차 서비스산업으로 전환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제조업 중심의 산업디자인 프로세스가 서비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연구되어져 온 기존의 PSS(Product-Service System)를 통해 서비스를 개발하는 시스템을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의 관점으로 재정립하여 PSS를 적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자 국내외 D/B를 통한 자료조사와 관련서적, 연구논문 등을 통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PSS와 서비스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및 개념을 이해하고 필수요소를 정의하였다. 진행된 학제적 PSS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이후 실제적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하이브리드 카메라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포인트 도출 및 이를 서비스화 하는 과정과, 개발된 서비스를 롤-플레잉 과정을 통해 Prototyping하여 검증 후 Service Blueprint를 도출하는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궁극적으로 Photo Clinic이라는 서비스로 거듭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서비스 디자인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나아가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미흡한 연구가 보완되어 완성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로 거듭나게 된다면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산업 각계에서 각광받을 것이라 기대한다. Today, the service industry is in the limelight, and the consideration about the role of design is attempted in all levels of society following the flow of the global economy. Both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circles are reinterpreting the industrial design process based on manufacture industry and at the same time are giving an impetus to the service design research centering on user experience. The global companies based on traditional manufacture are also easily observed to close the production lines that have been operated and to become enthusiastic over the service product development. The recent case of the M&A of Motorola and Google can be called as a flat example that shows that one cannot lead the global market with only manufactures any more. Following this change of the times, the industrial design field is establishing the Product-Service Design Process by extending its range to the service product area. PSS(Product-Service System) is one of the systems that develop services centering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was first introduced by Goedkoop in 1999, and so fa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circles.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to find the direction that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design process can create new value based on service at the present time that the world economy will change to the 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is, this study redefined the system to develop the service in terms of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existing PSS(Product-Service System) that is studied so far and understand PS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and defined the essential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through home and abroad D / B and the literature search through related materials books, research papers, and research literature to draw the design process applied PSS. The conducted interdisciplinary PSS design process study proceeded to step to produce a Service Blueprint after verification by Prototyping with the aim of developing practical service since this study through deriving the business point in hybrid camera market and the process of creating it as a service and process to role-playing developed service, and ultimately became the service called Photo Clinic. If the process of the substantial service design is understood through this study, and if further the insufficient researches are supplemented through in-depth studies and it will be born again as a completed service design proces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in the limelight in every field of industry as an innovative business model.

      • KCI등재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을 통한 물리적 증거 도출 연구

        최성익(Sung Ick Choi),김원경(Won Kyo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기술의 발달로 전자제품의 컨버전스가 용이해지면서 제품의 수가 줄어들고, 탈 물질화가 가속화되면서 전통적으로 물질을 디자인해왔던 디자인의 영역이 축소되는 듯하다. 그러나 그러한 경향으로 인해 비물질적, 비가시적 영역의 디자인 또한 중요하게 되었다. 근래 제조업이나 기타 산업의 비중이 축소되고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경제가 빠르게 재편되면서 디자인의 비가시적 영역인 서비스 디자인이 디자인 영역에 화두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기존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설명하고 국내에서 개발 중인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PSS, Product-Service Integrated System)기반을 활용한 헤어드라이기 관련 서비스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Life Cycle Step과 E3 value를 통해 각각의 관련자들의 요구조건을 조사하고 그 둘과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남성의 헤어 스타일링을 도와줄 수 있는 헤어용품 또는 헤어드라이기”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정하였다. Context 기반 PSS 행위 모델링을 통해 고객의 전후 맥락과 상황 변화에 따른 고객의 행위를 분석하였고, Service Blue Print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 아이디어 적용적과 적용 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Role Playing을 통해 도출된 비즈니스 모델 아이디어의 검증 및 분석하였으며, Customer Emotional Journey Map를 통해 각각의 상황에 따른 고객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Business Model Canvas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의 전반적인 가치와 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서비스 디자인이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을 포함하는 광의적인 개념임을 밝히고 또한 고객은 물리적 증거를 통해 서비스를 선택 및 평가하고 그 서비스에 대한 신뢰와 믿음은 얻기에 통합적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각각의 영역인 제품디자인, 정보디자인, 아이덴티티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디자인, 공간디자인의 분야별 물리적 증거가 무엇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made convergence easier between digital electric products and it has seemed to shrink the realm of design that has designed things traditionally according to acceleration of the dematerialization of things. Due to such the trend, the design for immaterial and invisible area has been also important. Recent years, the share of manufacturing and other industries are shrinking rapidly and reorganizing to the service industry-oriented economy. Therefore, the services design which is the invisible realm of design emerges as a buzzword in the design area. Therefore, explained the exist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and studied about a hair dryer through the utilization of ``Product-Service Integrated System`` (PSS) that had being developed in Korea. Firstly, investigated the requirements of the stakeholder through the Life cycle step and E3 value, and chose “A hair dryer or hair product that can help hairstyling for men” as business model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requirements came out from the those tools. Analyzed the customer`s behavior according to the customer`s situation changing through the context-based activity modeling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service blue print of “before and after” applied the business idea. Analyzed and verified the idea of the business model through the role playing, and evaluated the custom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ach situation through the customer emotional journey map. Finally, analyzed the value and the environment of the business model through the business model canvas. In those comparative analysis, studied that the service design was a broad concepts including ``Product- Service Integration System`` (PSS) and found the physical evidences in the area of space design, information design, identity design, digital media design and product design that were in the area of the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because customers tended to select and evaluate the service and also obtain trust and faith through the physical evidences.

      • KCI등재

        PSS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시니어 남성을 위한 헤어케어 제품-서비스디자인 개선안 연구

        서홍석(Seo, Hong Seo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 남성을 위한 헤어케어 제품의 서비스디자인 개선을 위해 헤어케어 제품 시장과 사용자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제품기반 서비스 요소가 연계될 수 있도록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PSS)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시니어 세대 중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구매력이 크고 트렌드 민감성이 높은 50대 남성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헤어케어 제품인 샴푸와 린스, 염색 제품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첫째, 문헌 조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PSS 디자인의 개념과 구성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시니어 남성 헤어케어 제품 시장 현황 분석과 구매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고, 주요 브랜드의 헤어케어 제품-서비스를 조사하였다. 또한 사용자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음은 PSSD 프로세스 중에서 제품 라이프사이클 분석 방법을 이용해 사용자의 요구조건 및 경험 가치 도출을 위한 이해관계자 지도를 작성하여 페르소나를 모델링하였다. 셋째, 사용자 여정 맵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제품-서비스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E3 Value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토타입 제작 및 사용자 리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시니어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폰트와 색상, 인포그래피가 적용된 패키지디자인과 휴대용 튜브형 용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구매과정에서 모발 정보를 입력하면 소비자의 모발 상태를 파악하고 전문 헤어케어 어드바이저와 연계되는 스마트 헤어케어 앱 서비스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The hair care product market and use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service design of hair care products for senior men, and the Product-Service System (PSS) design methodology was used so that product-based service could be linked. For this purpose, shampoo, conditioner, and dye products, which are representative hair care products, were set as the scope of the study for men in their 50s who have high purchasing power for hair care products and high trend sensitivity among the senior generation. First, PSS design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d theoretical review. Second, analysis of the market status and usage of senior men s hair care products was investigated, and hair care products-services of major brand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user analysis. Next, the persona was modeled by creating a stakeholder map for deriving user requirements and experience value using the product lifecycle analysis method among the PSSD process. Third, E3 Valu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problems through the user journey map and to present product-service design solutions. Finally, prototype production and user review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package design and portable tube-type container with font, color, and infographic applied conside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seniors were proposed. we proposed a smart hair care app service concept that accurately identifies the hair condition of consumers when they input their hair information during the product purchase process and is linked with a professional hair care advisor.

      • KCI등재

        PSS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서비스디자인 개선안 연구 - 냉장고 서비스디자인을 중심으로 -

        손지혜,최명식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2

        최근의 산업구조는 제품생산 중심의 제조업에서 서비스와 마케팅이 융·복합된 서비스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가치 창출 구조가 바뀜으로써 기업 전반에서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로 인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서비스 부문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 하지만 현재 많은 제조 기업이나 디자인 기업에서는 체계화된 제 품-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업구조의 변화에 발맞춰 현재 국내 성균관대 창의성 디자인연구소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 행, 개발되고 있는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Product Service System)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냉장고 PSS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링 개발체계를 제품디자인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제품-서비 스디자인(PSSD)을 연구하였다. 제품디자인 분야를 서비스디자인 영역으로 확대하여 소비자 사용성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PSS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전자제품 냉장고시장을 중심 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정립하고, 요구조건을 도출하여 사용자 니즈를 가치기준에 따라 분류, 분석하였 다. 냉장고 사용자는 의식주와 직접 연관된 주방 공간의 청결과 사용제품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청소, 관리 를 원하며 식자재 유통기한 인지를 통한 음식물 쓰레기의 낭비를 최대한 줄이려는 니즈가 강했다. 이런 사실 을 토대로 냉장고 케어서비스와 냉장고 제품이 연동된 스마트 앱 서비스를 디자인하였다. 또한 제품 사용고객 개개인의 생활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자인적 요소나 제품에 대한 단순한 사용성보다 사용자의 니즈와 가치 기준에 부합하여 사용자경험을 극대화하는 미래의 새로운 냉장고 서비스디 자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e structure of industry is currently shifting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cusing on goods production to the service industry merging and combining service and marketing. The companies are placing a higher value on the area of service to gain a competitive edge with the creation of a new business model. but beside of many manufacturing companies, Design companies do not have or develop a strategic product-service design process. In keeping with thes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industry, this study uses 'Product-Service Systems design(PSS) Research' that is widely researching and developingby cooperating CDI at Sungkyun-Kwan Univ and applied the 6 stages of modeling development system of PSS design process to the manufacturing of refrigerators. The stages applied are the gathering of consumer/user needs, drawing of target values based on E3, identifying interested parties and analyzing PSS behavior and the generation of scenarios leading to the creation of service design concepts. the field of goods design to be researched is extended to the area of service design and various interested parties surrounding the refrigerator market are identified while the interested parties' needs are gathered. Refrigerator users were discovered to want cleanliness of a kitchen space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ecessities of life, as well as systematic and professional cleaning and management of a product which was used. Also, they had strong needs for reducing food waste as much as possible by recognizing the expiration date of food materials. Based on these facts, smart app service in which a refrigerator care service and a refrigerator product are linked with each other was designed. Tailored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pattern of each of the users who use the product can be offered to users. The needs of the users are categorized and analyzed to suggest goods design features maximizing the user's experience and improvements in the new future service design of refrigerators.

      • KCI등재

        Product-Service Systems Design Approach

        Kim, Yong Se(김용세),Lee, Ju Hye(이주혜),Lee, Hee Ju(이희주),Lee, Joon Seo(이준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Service elements are added to the product to improve the company it its sales and innovation. The servitization process could take many different routes reflecting various properties of the manufacturing firm and its business contexts. Product-service systems (PSS) design method developed at Sungkyunkwan Universty, Service Design Institute, has been applied to a small furniture manufacturing company to demonstrate the utility of the method and to devise improvements. First, the business context of the company has been analyzed and key values have been identified. A co-creative session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initial service concepts to drive those key values. The diverse positioning of those service concepts on the scale of service supporting product and service support customer is then developed to plan servitization phases. The specific service concepts are about company-customer relationship building as well as customization and personalization in this case. Initial service concepts are detailed with service blueprint so that prototyping and customer experience evaluation can be done. Business models in different servitization phases are designed. Further prototyping and customer experience evaluation has been done with business strategy improvements. In this paper, the proudct-service systems design method has been reviewed and the specific and real processes of the servitization using design will be described with discuss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and the enhancement of the business.

      • KCI등재

        제품-서비스 시스템 개발을 위한 객체 지향 설계 프레임워크 개발

        Hyung Sool Oh,Seung Ki Moon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5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38 No.4

        Trends of integrating products and services lead to the emergence of Product-Service System (PSS). To implement and embody a PSS solut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a comprehensive design framework is allowed designers to facilitate the design factors of the PSS in complex business environments. A physical product, containing functionalities for services, is the role of medium between customers and a manufactures. Customers can access those metaphysical interfaces to utilize the product fully or expand its performances. The PSS is aiming to prolong its lifecycle while maintaining its expected quality. Since the quality can be represented as a measure which belongs to user’s perspective, guaranteeing certain level of quality can be interpreted to sustaining customer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SS design framework to identify design factors for developing products and services by integrating object-oriented concepts and blueprinting in context of a business ecosystem. The proposed model is developed based on relationship products and services matching with their design factors.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are then brought together to form a PSS. Functions and processes can be categorized to identify the design factors in different levels using the object-oriented concepts. Objected-oriented concepts provide PSS analysis tools for describing a business process or a workflow process in the PSS. The blueprint i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ducts functions and the service processes that are offered as part of a job. To demonstrat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we use a case study involving a smart phone.

      • KCI등재후보

        PSS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서비스디자인 컨셉 제안

        박소희(Park, So Hee),고경은,김원경(Kim, Won K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산업의 구조가 제조업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서비스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는 가시적인 제품과 비가시적인 서비스가 적절하게 융합되어,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여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기업경영에서의 중요한 핵심전략의 가능성을 가늠하게 할 것이다.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PSS)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특징을 도출하여 다방면의 니즈충족을 가능하게 하고,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업이 고객의 요구 사항 또한 효과적이고 지속해서 관리하여 혁신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PSS)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연구의 범위를 실제 개발을 목표로 하며 프린터기의 새로운 제품디자인 및 신서비스 개발 사례를 제안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소비자/사용자의 총 131개의 요구조건을 도출하여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 관점에 중점을 두고 During 단계의 56개의 요구조건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E3 Value system에 분류하여 Economical value와 Functional value의 니즈가 기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두 가지 관점의 Activity를 Context 기반 PSS 행위 모델링을 통해 프린터기를 사용하면서 접하게 되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나리오 및 Service Blueprint를 도출하여 "Printer Rental Service System Concept’을 구축하였다. 정의된 컨셉을 바탕으로 세 가지 디자인 요소 및 서비스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PSS)의 이해를 높이고, 실제 디자인에 적용하는 사례를 개발하여 사용자 관점의 통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가 가능할 것이다. The structure of the industry from a manufacturing-oriented paradigm is changing the paradigm of service-oriented. In future, tangible products and rain to deliver new value to consumers is fused appropriately poetic service, competitive differentiation should have. Product-Service System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stakeholders, and possibly meet the multifaceted needs of the customer interaction via the enterprise customers requirements effectively and continuously manage the innovative value of providing possibl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Product-Service System based on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range of research objectives, printers of the new product design and new service development practices proposed The course of study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the user, used to derive the actual total of 131 requirements of the consumer/user requirements During step 56,based on conducting research. E3 Value system appeared to be the most Economical value and needs of the Functional value these requirements were analyzed, two views of the Activity Context-based PSS acts through modeling situations encountered while using the printer. Through this process to derive the scenarios and the Service Blueprint "Printer Rental Service System Concept" was established. Proposed three design elements and services based on the concepts defined. Through this stud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roduct-Service System of the practices that apply to the actual design, development, and if the user’s point of view, the integration of building systems, through which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