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포렌식 미란다 원칙과 절차적 정의

        김면기,유승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9 형사정책연구 Vol.120 No.-

        최근 들어 절차적 정의라는 개념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절차적 정의는 법집행의 적법성을 넘어 정당성을 추구함으로써 시민들의 협력과 지지를 이끌어내고 자발적인 법 준수를 유도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차적 정의는 법집행 과정에서 시민들의 참여를 강화하고, 의사결정의 중립성을 담보하고, 품위와 존중을 갖춘 법집행을 강조하고, 법집행 동기를 명확히 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절차적 정의에 대한 다양한 실증적 연구는 절차적 정의가 법집행 대상자들의 절차적 만족감을 높인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절차적 정의를 실무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절차적 정의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경찰의 음주운전 단속 또는 불심검문 등 제복입은 경찰관의 초기 법집행 단계에 국한되고 있다. 이처럼 절차적 정의에 대한 논의의 폭이 다소 제한적인 바, 본 논문은 포렌식 분야에서도 보다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현대 사회의 경찰활동에서 광범위한 포렌식 기법이 활용되고 있고, 그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인 법집행 대상자들은 포렌식 기법의 작동원리와 한계에 대하여 상세히 이해하기 어렵다. 게다가 포렌식과 관련된 대부분의 인적, 물적 장비들을 국가가 독점하고 있으며, 법집행 대상자들은 최소한의 접근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절차적 정의의 강화를 통해 포렌식 분야에서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미국 연방대법원의 미란다 판결을 참고하여 포렌식 분야에서 절차적 정의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한다. 미란다 판결은 수사기관으로 하여금 피의자에게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설명·고지하도록 의무화한 판결이다. 1960년대 당시 상당수의 피의자들이 형사절차에서 보장받는 헌법상 권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유사한 맥락에서 수사기관은 피의자에게 형사절차에서 사용되는 포렌식 증거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포렌식 증거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포렌식 분야에서 미란다 판결의 취지는 더욱 긴요하다. ‘포렌식 미란다(forensic Miranda) 원칙’을 통해 포렌식 분야에서 절차적 정의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procedural justic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The procedural justice seeks legitimacy beyond the legality of law enforcement by pursuing cooperations with and supports from citizens and therefore encouraging voluntary compliances. More specifically, the procedural justice includes strengthening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law enforcement, ensuring the neutrality of decision-making, emphasizing law enforcement with dignity and respect, and clarifying the motives of law enforcement. Various empirical studies of procedural justice have demonstrated that procedural justice increases the procedural satisfaction of citizens who contact law enforcement officers. In South Korea, efforts have also been made to apply procedural justice to the field practice. However, the discussion of procedural justice is mostly limited to the police officers' initial or early stages of law enforcement, such as police crackdowns or complaints. As the discussion of procedural justice is rather narrow,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a strong need for more active discussion in the field of forensics. A wide range of forensic techniques are used in police activities in modern society, and they are increasingly important. However, ordinary citizens cannot understand in detail the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forensic techniques. In addition, because the government monopolizes most of forensic resource, and it is difficult for citizens to have minimal access to forensic.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ddress this imbalance in the forensic sector by implement the concept of procedural justice. This paper discusses the Miranda decision of the U.S. Supreme Court and reviews ways to increase procedural justice in the field of forensics. Miranda's decision mandated the investigating agency to explain and notify the accused of constitutional rights. This is because a large number of suspects in the 1960s in fact lacked an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tional rights guaranteed in criminal process. In a similar vein,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vestigating agency need to provide the suspect with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rensic evidence used in criminal process. Since most people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forensic evidence, the idea of Miranda's decision is even more critical in the forensic field. Forensic Miranda help to reinforce procedural justice in the field of forensics.

      • KCI등재

        从药品平行进口案例看中国法的正义价值选择

        주령커,오은지,Xu Xi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18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1 No.4

        The law can be seen as the choices of values by majority of people in the country. Generally, certain legal procedures are prescribed in order to realize the people’s choice of values. These legal procedures are called the procedural justice, and realizing the value the majority of people seek is called the entity justice. Ideally, the entity justice must be followed by the procedural justice. In practice however, sometimes it does not work in that way. In the case that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entity justice do not match, how should the Chinese government make a choice? In this study this issue will be discussed by analyzing the recent example of parallel import of drugs in China. According to the Chinese Drug Management Act, if an individual or a corporate body wants to import a drug, he or she must receive an inspection report on the safety, treatment, and ingredients of the drug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 If the individual or a corporate body do not go through the inspection by government-related agencies or import the drugs that are not permitted to import, he or she could result in severe penalties up to imprisonment for the sale of counterfeit drugs. As parallel imports are imported without approval from officials, an import permission cannot be obtained from the governm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a violation of the law under the current Chinese criminal law. In practice however, Chinese domestic medical products have poor remedial value and the price of the products with formal permission is very high. Thus, some heavy patients have no other choices but to seek parallel imported products in order to survive. In this case, punishing the heavy patients for purchasing the parallel imported products would be against the value of the public, but if not, it would be against the law. That is, in some parallel import cases, there is an inconsistency between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entity justice. This study used a recent case of parallel imported of drugs in China to exam how the Chinese criminal justice system reaches a verdict on this issu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urrent Chinese criminal justice system has three problems dealing with drug-related parallel import cases: First, when the law is vaguely defined, the case must be judged by the judge's discretion, and there were problems where similar cases were found differently due to different personal values of the judges. Second, although procedures must be independent, parallel drug import cases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media in dealing with cases because they are highly publicized cases. Third, the procedural justice or the definition of result, which one is more important than either is a matter of philosophy of law, and the Chinese government currently tend to uphold the procedural justice. Consequentially, judicial authorities tend to seek formal definitions that seem to realize the procedural justice when dealing with problems. It should be Pointed out at the same time that the efficiency and cost considerations cannot support the "quasi-judicial" position of the PRB, either system design abroa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need combined with Chinese Intellectual Property trial pilot experience and development trends of the reform of the judicial system, the implement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rial fairness and efficiency, strengthen the exclusive jurisdiction, and the function of substantive patent court.

      • KCI등재

        절차적 정의 이론의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에 대한 고찰

        장재성 한국경찰학회 2023 한국경찰학회보 Vol.25 No.4

        The procedural justice-based policing introduced by Tyler (1990) is one of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 of police science. Beyond testing Tyler model( ‘Procedural justice of policing → Police legitimacy → compliance and cooperation’), the global research trend is expanding to various directions such as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e officers' procedural justice practice. This study reviewed the flow of the recent research, and analyzed trends in domestic research related procedural justice and police legitimacy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36 domestic studies published in KCI journal, it is found that empirical studies on procedural justice theory have only begun relatively recently in Korea, and the majority of them remain in testing Tyler's theoretical model by using Korean citizen sample. And some studies have been attempting to expand the research topics to the finding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variables such as self-legitimacy, police procedural justice training program, responsiveness. Finally, this study theoreticall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ers such as expansion of research topics,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ross-sectional survey, investigating and testing on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e officers' procedural justice implementation, and enhancing on the procedural justice education programs research. 절차적 정의 기반 경찰활동은 Tyler(1990)에 의해 소개된 이후, 최근까지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 중 하나이다. 해외에서는 ‘경찰활동의 절차적 공정성 → 경찰 정당성 제고 → 시민들의 법준수, 협력의사 제고’라는 초기 Tyler 모델에 대한 실증연구를 벗어나, 실험 및 준실험적 연구, 경찰관의 절차적 정의 실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경찰관 대상 절차적 정의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등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절차적 정의 및 경찰 정당성 이론에 관한 최근 연구의 흐름을 조망하고, 이를 관련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총 36건의 국내 절차적 정의 관련 학술연구에 대한 분석결과,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에서야 절차적 정의 이론에 대한 실증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이 중 대다수는 Tyler의 초기 모델을 적용, 검증하는데 머무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일부 연구들은 기존의 연구틀을 벗어나 자기정당성, 교육프로그램, 절차적 정의와 대응성의 관계 등으로 연구의 주제를 확장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관련된 국내 연구경향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주제의 다양화, 설문조사 방식 외의 연구방법 다각화, 경찰관의 절차적 정의 실행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절차적 정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등의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항공사 승무원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

        최은희,최항석,이해영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6 지역산업연구 Vol.39 No.3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key business outcomes have been well documented.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theoretical mechanisms that explain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job stress and work falmiy conflict.. This study examined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f 457 flight attendants on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Distributive, procedural injustice were cast as stressors to explor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stress levels. The results revealed that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s with stress. The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on stress stronger than distributive justice. The strong effects for procedural justice are consistent with theories that link the variable with uncertainty and control. In support of previous findings, the results that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decreased work-to-family conflict meaningfully. However, procedural justice did not have significant total effects on family to work conflict. We discusse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presented the future direction of these themes. 조직공정성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력 검증은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장-가정갈등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메커니즘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기울여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공사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먼저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는 조직구성원이 조직공정성의 두 차원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지할수록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점을 밝혔다. 특히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보다 더 강한 부(-)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직장-가정갈등의 관계 중 직장의 업무가 가정을 방해하는 갈등인 직장가정갈등 입장에서 분석한 결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공정성에 비해 분배공정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조직공정성과 직장-가정갈등의 관계 중 가정이 직장의 업무를방해하는 갈등인 가정직장갈등 입장에서 분석한 결과, 분배공정성을 인지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직장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공정성은 가정직장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였다.

      • KCI등재

        조직의 공정성이 경영진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정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rust in top management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not distributive justice but procedural justice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not distributive justice but procedural justice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rust in top management. Third, mediat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trust in top management, but do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trust in top management. The result showed that distributive justice do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bo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rust in top management not like procedural justice. The fact implied that social capital such as POS and TTM could not be gained easily through raising employee pay and compensation level. Instead, procedural justice should be leveled up to increase POS and TTM of employees. The result show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explained 58% of the varia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ile the two predictors explained 55% of the variance of trust in top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공정성이 조직지원인식을 매개하여, 경영진에 대한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대기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토대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적 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분배적 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절차적 공정성은 경영진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분배적 공정성은 경영진에 대한 신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붓스트래핑의 결과를 토대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매개변수인 조직지원인식은 절차적 공정성과 경영진에 대한 신뢰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으나, 분배적 공정성과 경영진에 대한 신뢰사이의 관계를 매개하지는 않았다. 연구의 결과는 조직의 공정성중 절차적 공정성과는 달리, 분배적 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과 경영진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물질적인 보상과 임금수준의 향상만으로 조직지원인식과 경영진에 대한 신뢰와 같은 사회적 자본을 구축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경제적 교환을 설명하는 변수가 사회적 교환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조직의 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의 58%를 설명하였고, 조직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은 경영진에 대한 신뢰의 55% 가량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정성요인의 역할차이에 대한 연구

        이광희 한국생산성학회 2002 生産性論集 Vol.16 No.1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job satisfaction is differently related to justice perceptions; distributive justice, interactional procedural justice, formal procedural justi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ll three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perception significantly predicte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each of three justice perceptions accounted for significant unique variance in employee job satisfaction. However, interactional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were more strong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ith distributive justice having the strongest relationship of the three justice perceptions. More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ole of three organizational justice perceptions in explaining of employee job satisfac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 KCI등재

        비서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수진(Chon, Soo-Jin)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비서직 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에 어떤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인이 조직으로부터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인식은 조직구성원의 행동과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구체적이며 차별적인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면, 그 결과로부터 실무에 주는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대기업에서 근무 중인 171명의 여성 비서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으로 세분하여 각 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비서의 직무태도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상사에 대한 신뢰가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가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비서가 지각하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및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이 절차공정성이나 상호작용공정성보다 조직몰입에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직의도에는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이 상호작용공정성보다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에 대한 신뢰는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는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attitud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s of 171 female employees working as secretaries in firm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The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attitudes reveal that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Distributive justice had a great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urnover intentions. Distributive justice had a greater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than interactional justice. Trust in supervisor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at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후보

        조직공정성 인식이 종업원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갑곤(Liu Jiakun ),고수일(Sooil Ko  )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7 아태경상저널 Vol.9 No.1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지역의 공기업을 대상으로 종업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신뢰 및 상사신뢰와 혁신행동의 관계성을 규명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세계화와 지식기반 사회에 직면하여 경쟁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조직을 위한 종업원의 자발적, 혁신적 행동은 조직목표의 달성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국 경제의 발전함에 따라 조직의 공정성과 혁신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조직 공정성과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조직신뢰와 상사신뢰는 종업원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직신뢰와 상사신뢰, 그리고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중국 산동성 지역 공기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190부 응답을 표본으로 SPSS 22. 0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 공정성과 혁신 행동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상사와 조직신뢰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is (1)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 justice) and trust types, (2)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 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 justice 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3)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types. For this reason, I set up two dimensions of Trust; Trust in Organization and Trust in Supervisor in order to analyze the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mong 218 responses, only 190 responses were used as final set of data for analysis.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by the SPSS package. The goodness of fit indices that the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which is generally good. Beginning of this test, organizational justice and trust types are not divided up into meaningful factors by factor analysis that I never really predict. Theoretically, organizational justice has three factor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And For the study, I Set up two dimensions of Trust: Trust in Organization and Trust in Superi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types. 2.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s. 3. trust types mediated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