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litical economy와 Economics의 개념과 번역

        이헌창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0 No.2

        오늘날 Economics는 경제학, 그리고 Political economy는 정치경제학으로 번역된다. 그런데 경제학이라는 번역어는 Economics가 아니라 Political economy를 대상으로 고안되었다. 흥미롭게도 한자문화권과 인도에서 채택된 Politicaleconomy의 번역의 어원(語源)은 근대 경제학이 성립하기 이전 Politicaleconomy의 의미와 상통(相通)한다. 아랍권에서 채택된 번역어의 어원은Economy의 의미와 상통한다. 이들 용어는 고대사상의 발전기에 출현하여 근대학문의 성립기에 오늘날 개념으로 다시 탄생하였다. 원래 가정관리라는 그리스어로부터 출발하여 국가관리를 의미하도록 political이란형용사를 부착하였는데, 고전학파의 단계에 Political economy는 사회과학으로서 확립되면서 경제질서와 부(富)의 성격∙생산∙분배를 탐구하는 학문이 되었다. 나아가 경제학의 전문성과 과학성이 진전되는 과정을 완결하고자 했던 신고전학파는 정치와 무관하게 가정과 기업이라는 개별 경제주체의 행동을 분석하는 과학을 지향하면서 political을 떼어 버리고 가정관리론의 어원으로부터 유래하는Economics를 학문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고전학파(古典學派)의 Political economy라는 개념과는 부분적으로만 상통하고신고전학파의 Economics라는 개념과는 무관한 한자인 경제학은 1862년 일본에서 최초의 번역어로서 성립하였다. 그것은 고전학파∙신고전학파의 경제학 개념에 더욱 잘 맞는 이재학( 財學)이라는 번역어의 강력한 도전을 받았으나, 최종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중국에서는 다양한 번역어가 출현하는 가운데 일본의 번역인경제학이 Political economy라는 학문의 내용에 맞지 않다는 시각이 일반적이었으나 오랜 모색 끝에 결국 수용되었다. 한국은 일본의 근대 학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큰 고민이 없이 일본의 번역에 따랐다. 한자문화권에서 경제학이란 번역어가 채택된 것은 그 출발점에서는 새로운 학문의 진화 과정에 영향을 받았고, 그 귀결점에서는 이 학문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반영하였다. Political economy를 번역의 대상으로 삼고 그 어원이 고려되고, 초기에 도입된 고전학파경제학의 도덕철학적 성격 등이 경제학이란 번역어의 승리를 도왔다. 경제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번역어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그 대안이 모색되었다. 일본인과 중국인 모두가 Political economy 또는 Economics의 번역어로서 경제의 뜻이 지나치게 넓고 이재의 뜻은 지나치게 좁다고 생각했다. 결국 경제학이라는 번역어의 궁극적 승리를 낳은 결정적인 요인은, 구미에 비해 후진적인 동아시아의 세 나라 모두가 새로운 학문의 기본 효용이 국가 발전에이바지하는 것이고, 그 목표를 가장 잘 표현하는 한자가 경제학이라고 보았던 점이다. 20세기 후반에 주류 경제학은 역사∙제도∙정치∙문화 등의 영역으로 연구를 확장해 왔다. 이러한 결과로 보면 20세기 전반 이전 신고전학파의 좁은 연구 영역에 친화성을 가지는‘이재학’보다는 고전학파의 Political economy의 도입을 통해 도출된‘경제학’이라는 번역이 더욱 적절한지도 모른다. Nowadays, the terms economics and political economy are translated in Korea,Japan, and China as Kyeongjaehak(經濟學which originally meant statecraft for thepeople’s welfare) and Jeongchikyeongjaehak (政治經濟學), respectively. However,the translation of Kyeongjaehak, in fact, originated in the very concept of politicaleconomy. The etymology of the translated terms for political economy in India andChina actually accords with the original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prior to theestablishment of modern economics, while that in the Arabic region is congenial tothe definition of economy. These terms were born in the heyday of ancientthoughts, and have been reborn in today’s definitions with the establishment ofmodern economics. Originating in the Greek oikonomia, literally “management of household,”theadjective political was added to describe the management of polis or state. Withthe advent of Classical economics, the term political economy became a socialscience to study of the law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of the nature ofLater, Neoclassical economists, who sought to establish the study of theeconomy upon mathematical methodology, and who aimed to analyze behaviorsof households and firms regardless of politics, replaced the term ‘politicaleconomy’with‘ economics’without the adjective political. The etymology of Kyeongjaehak, which first appeared as a translated term in anEnglish-Japanese dictionary published in 1862, shares some aspects with theClassical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but is irrelevant to the Neoclassicaldefinition of economics. This term ultimately triumphed over other translations,such as Ejaehak(理財學which originally meant the study of governing wealth),which captured the Classical and Neoclassical concepts more appropriately. InChina, where there were more competing translated terms than there were inJapan, the term Kyeongjaehak was generally considered as an inappropriatetranslation, but was, nonetheless, adopted in the end. As for Korea, stronglyinfluenced by modern sciences from Japan since the 1880s, there was littleresistance against the adoption of the Japanese translation. The etymology of political economy, as a subject of translation, along with theinnate nature of the early Classical economics’ moral philosophy, helped the termKyeongjaehak to prevail. As people better understood economics, both theJapanese and the Chinese thought that the meaning of Kyeongjaehak was toobroad to capture the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or economics, while thealternative term, Ejaehak, by contrast, was too confining. At that time, the three,backward East-Asian countries viewed the utility of economic science as serving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nd this goal was best represented by theChinese characters Kyeongjaehak, which was the key determinant for its finalvictory. In sum, the selection of Kyeongjaehak as the translated term for economicscience was affected by the evolution of the modern science at the beginning,while, at the finishing point, it reflected the demands of the times.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mainstream economics has extended its fields ofstudy to embrace history, institutions, politics, culture, etc. In that sense, the broadterm Kyeongjaehak seems more appropriate for the translation of economics ratherthan Ejaehak, which is better suited as a term for the confined research-area ofNeoclassical economics before the middle twentieth century.

      • Political economy와 Economics의 개념과 번역

        이헌창 ( Hun Chang Lee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1 No.2

        오늘날 Economics는 경제학, 그리고 Political economy는 정치경제학으로 번역된다. 그런데 경제학이라는 번역어는 Economics가 아니라 Political economy를 대상으로 고안되었다. 흥미롭게도 한자문화권과 인도에서 채택된 Political economy의 번역의 어원(語源)은 근대 경제학이 성립하기 이전 Political economy의 의미와 상통(相通)한다. 아랍권에서 채택된 번역어의 어원은 Economy의 의미와 상통한다. 이들 용어는 고대사상의 발전기에 출현하여 근대학문의 성립기에 오늘날 개념으로 다시 탄생하였다. 원래 가정관리라는 그리스어로부터 출발하여 국가관리를 의미하도록 political이란 형용사를 부착하였는데, 고전학파의 단계에 Political economy는 사회과학으로서 확립되면서 경제질서와 부(富)의 성격·생산·분배를 탐구하는 학문이 되었다. 나아가 경제학의 전문성과 과학성이 진전되는 과정을 완결하고자 했던 신고전학파는 정치와 무관하게 가정과 기업이라는 개별 경제주체의 행동을 분석하는 과학을 지향하면서 political을 떼어 버리고 가정관리론의 어원으로부터 유래하는 Economics를 학문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고전학파(古典學派)의 Political economy라는 개념과는 부분적으로만 상통하고 신고전학파의 Economics라는 개념과는 무관한 한자인 경제학은 1862년 일본에서 최초의 번역어로서 성립하였다. 그것은 고전학파·신고전학파의 경제학 개념에 더욱 잘 맞는 이재학(理財學)이라는 번역어의 강력한 도전을 받았으나, 최종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중국에서는 다양한 번역어가 출현하는 가운데 일본의 번역인 경제학이 Political economy라는 학문의 내용에 맞지 않다는 시각이 일반적이었으나 오랜 모색 끝에 결국 수용되었다. 한국은 일본의 근대 학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큰 고민이 없이 일본의 번역에 따랐다. 한자문화권에서 경제학이란 번역어가 채택된 것은 그 출발점에서는 새로운 학문의 진화 과정에 영향을 받았고, 그 귀결점에서는 이 학문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였다. Political economy를 번역의 대상으로 삼고 그 어원이 고려되고, 초기에 도입된 고전학파경제학의 도덕철학적 성격 등이 경제학이란 번역어의 승리를 도왔다. 경제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번역어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그 대안이 모색되었다. 일본인과 중국인 모두가 Political economy 또는 Economics의 번역어로서 경제의 뜻이 지나치게 넓고 이재의 뜻은 지나치게 좁다고 생각했다. 결국 경제학이라는 번역어의 궁극적 승리를 낳은 결정적인 요인은, 구미에 비해 후진적인 동아시아의 세 나라 모두가 새로운 학문의 기본 효용이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고, 그 목표를 가장 잘 표현하는 한자가 경제학이라고 보았던 점이다. 20세기 후반에 주류 경제학은 역사·제도·정치·문화 등의 영역으로 연구를 확장해 왔다. 이러한 결과로 보면 20세기 전반 이전 신고전학파의 좁은 연구 영역에 친화성을 가지는 `이재학`보다는 고전학파의 Political economy의 도입을 통해 도출된 `경제학`이라는 번역이 더욱 적절한지도 모른다. Nowadays, the terms economics and political economy are translated in Korea, Japan, and China as Kyeongjaehak(經濟學 which originally meant statecraft for the people`s welfare) and Jeongchikyeongjaehak(政治經濟學), respectively. However, the translation of Kyeongjaehak, in fact, originated in the very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The etymology of the translated terms for political economy in India and China actually accords with the original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conomics, while that in the Arabic region is congenial to the definition of economy. These terms were born in the heyday of ancient thoughts, and have been reborn in today`s definitions with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conomics. Originating in the Greek oikonomia, literally "management of household," the adjective political was added to describe the management of polis or state. With the advent of Classical economics, the term political economy became a social science to study of the law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of the nature of wealth. Later, Neoclassical economists, who sought to establish the study of the economy upon mathematical methodology, and who aimed to analyze behaviors of households and firms regardless of politics, replaced the term `political economy` with `economics` without the adjective political. The etymology of Kyeongjaehak, which first appeared as a translated term in an English-Japanese dictionary published in 1862, shares some aspects with the Classical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but is irrelevant to the Neoclassical definition of economics. This term ultimately triumphed over other translations, such as Ejaehak(理財學 which originally meant the study of governing wealth), which captured the Classical and Neoclassical concepts more appropriately. In China, where there were more competing translated terms than there were in Japan, the term Kyeongjaehak was generally considered as an inappropriate translation, but was, nonetheless, adopted in the end. As for Korea, strongly influenced by modern sciences from Japan since the 1880s, there was little resistance against the adoption of the Japanese translation. The etymology of political economy, as a subject of translation, along with the innate nature of the early Classical economics` moral philosophy, helped the term Kyeongjaehak to prevail. As people better understood economics, both the Japanese and the Chinese thought that the meaning of Kyeongjaehak was too broad to capture the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or economics, while the alternative term, Ejaehak, by contrast, was too confining. At that time, the three, backward East-Asian countries viewed the utility of economic science as serv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nd this goal was best represented by the Chinese characters Kyeongjaehak, which was the key determinant for its final victory. In sum, the selection of Kyeongjaehak as the translated term for economic science was affected by the evolution of the modern science at the beginning, while, at the finishing point, it reflected the demands of the times.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mainstream economics has extended its fields of study to embrace history, institutions, politics, culture, etc. In that sense, the broad term Kyeongjaehak seems more appropriate for the translation of economics rather than Ejaehak, which is better suited as a term for the confined research-area of Neoclassical economics before the middl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정치경제학의 방법론적 토대들: 사상사적 흐름과 이론적 비판

        지주형 ( Joo Hyoung Ji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본 연구는 정치경제학의 여러 흐름들을 사상사적, 방법론적 맥락 속에 위치지음으로써 그것들이 가능하게 된 역사적 조건을 드러내는 동시에 이론적으로 유형화하고 비판한다. 정치경제학의 역사는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 역사적 방법론과 추상적, 수리적, 모델링 방법론의 대결 속에서 정치와 경제의 관계를 특정한 방식으로 개념화하는 역사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치경제학의 제 조류는 정치 경제 관계라는 그 방법론적 토대의 측면에서 환원주의(경제주의, 정치주의), 절충주의를 포함한 연성경제사회학/정치경제학, 경성정치경제학, 탈일국적 지구정치경제학, 문화 정치경제학 등으로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정치경제학은 초기에는 자율적 경제영역의 독자적 논리에 기초한 자유주의적 통치술과 정책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으며 제한적이지만 여전히 정치적으로 유의미한 분석을 지향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에 정치경제학은 본래와 달리, 정치를 완전히 탈각한 경제학 혹은 정치현상에 대한 경제학으로 변모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반동으로 정치의 우위성을 주장하는 정치주의/정치환원론이나 정치학-경제학의 절충론이 나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경제 및 사회질서의 정치적, 역사적, 제도적, 문화적 성격에 대한 균형 잡힌 분석과 일국 단위를 뛰어넘는 지구적 분석 또한 발전하였다. 그럼에도 종래의 경성 정치경제학은 정치분석을 상대적으로 경시할 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의 지구적 차원을 경시하는 등의 약점을 가지고 있다. 탈일국적/지구적 정치경제학은 방법론적 일국주의적 편향을 극복하고 경성정치경제학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였음에도 경제의 상징적·문화적 측면을 경시하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경제적 범주(예:시장, 자본, 화폐, 상품, 이윤, 경쟁력, 위기 등)가 마치 자연적으로 본래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물화하는 경향이 있다. 필자는 이러한 비판에 기초해 경성정치경제학과 지구정치경제학에 가장 최근에 발전된 문화정치경제학 방법론을 결합시킨 지구문화정치 경제학을 하나의 방법론적 지향점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locates various currents in political economy in their historical and methodological contexts to reveal their historical conditions and theoretically categorize and critique them. The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truggle between political, social, institutional, and historical methods and abstract, mathematical, and modelling methods around the problem of how to relate politics and economy. Through this struggle, political economy has developed a number of competing and contrasting methodological foundations:reductionism(economism and politicism), soft economic sociology and political economy including eclecticism and separatism on the one hand, and hard political economy, post national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on the other. In its earliest stage, political economy did not fully abandon political analysis although its main role was to provide theoretical grounds for liberal governmentalities and policies in line with the(supposedly) autonomous logic of the economic sphere. However, soon it broke with its origins and transformed into(allegedly) politics free economics or even economic analyses of political phenomena. Then this transformation brought about reactions such as eclecticism, politicism or political reductionism. Nonetheless, political economy also developed hard political economic methods for analyzing political, historical, institutional nature of the economic and social order as well as global analysis beyond the national scale. However, conventional hard political economy tend to neglect political analysis as well as the global dimensions of the political economy in its actual practice. Post-national or global political economy tends to neglect the symbolic and cultural dimensions of the economy and naturalize economic categories such as market, capital, money, commodity, profit, competitiveness and crisis as if they were pre-given rather than being socially construct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suggests global cultural political economy as a methodological orientation by combining hard political economy,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 KCI등재

        고전경제학 읽기와 여성 경제담론 쓰기 ― 해리엇 마티노의 『정치경제의 실례』를 중심으로 ―

        배인성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4 No.-

        This paper examines the woman economic discourses of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Illustrations of Political Economy, the most important work of Harriet Martineau, and on the classical political economy which came into being with the wave of the industrialization. It analyzes how women, domesticity, and women's labor were negatively positioned in classical economic theory by revealing the absence of Economic woman in it. By separating domestic economics from general economics, the classical political economy declared the separate sphere model in gender relations: economic matters as the domain of masculine and public sphere, domesticity as feminine and private sphere. Adam Smith, insisting the pursuit of self-interests as the most fundamental economic motive in his work Wealth of Nations, denied women's equal participation in economic matters. If women seek self-interests, Smith suggested, they would lose their own natural role as wives and mothers. In addition, Smith classified the labor of women as "unproductive labor" and underestimated the value. These perceptions continued among contemporary economists such as David Ricardo, Thomas Malthus, James Mill, John Stuart Mill. Therefore, women, domestic economy and the labor of women were generally excluded from the sphere of classical political economy. Harriet Martineau, however, in her book Illustrations of Political Economy, argued that women had good capacity to engage in the new industrial capitalist society. Indeed, she criticized that common people couldn't have access to political economy which was dominated by well-educated men. Martineau wanted the masses to comprehend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clearly and apply them in their own lives. For this aim, the work of Harriet Martineau, Illustrations of Political Economy was written. Above all, Martineau embodied the model of Economic women through the life of Ella, the heroine of Ella of Garveloch, and Weal and Woe in Garveloch. The life of Ella showed that women could participate as an independent identity not only in domestic economy but also in social activities as men. In sum, Martineau made a great contribution not only to "popularization" but also to "domestication" of political economy. 본고는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탄생한 고전경제학과 19세기의 지식인 해리엇 마티노의 대표작인『정치경제의 실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여성 경제담론에 대한 논의이다. 우선 고전경제학 속에서 여성, 가정, 그리고 여성의 노동이 어떻게 자리 잡고 있었는가를 분석하면서 여성 경제인의 부재를 추적하였다. 이는 19세기 영국 사회의 성적 분리 이데올로기를 고스란히 반영해줌으로써, 남성을 공적영역에, 여성은 사적영역으로 제한하고 그 지위와 역할을 규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담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인간의 이기심을 가장 중요한 경제 동인으로 설명하였지만, 여성들은 이기심의 원리를 동일하게 적용받지 못했다. 오히려 여성이 이기심을 가지고 행동할 때, 여성은 아내로서, 어머니로서의 자연스러운 역할을 상실하였다. 스미스는 여성의 가사 노동을 ‘비생산적인 노동’으로 분류하여 그 가치를 과소평가했다. 이러한 생각은 리카도·맬서스·제임스 밀·존 스튜어트 밀과 같은 당대의 고전경제학자들에게도 이어졌다. 그러므로 여성과 가정 경제 그리고 여성의 노동은 고전경제학의 영역에 포함되지 못했는데, 이것은 결국 고전경제학에서 여성의 부재를 확실하게 해준다. 그러나 해리엇 마티노는 『정치경제의 실례』에서 여성도 산업 사회에서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당시 정치경제학은 교육받은 소수 남성들의 전유물로서, 대중들이 접근하기에는 너무 추상적이고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티노는 대중들이 정치경제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것을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적용하며 살아가기를 희망했다. 바로 이러한 목적으로 『정치경제의 실례』를 저술했다. 마티노는 사회 모든 각 계층의 사람들이 경제 이론을 쉽고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당대의 중요한 현안들을 주제로 삼아 경제 이론들, 예컨대 스미스의 이기심, 동정이론, 보이지 않는 손, 리카도의 지대론, 맬서스의 인구론 등을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마티노는 여성 경제인의 모습을 「가베로흐의 엘라」와 「가베로흐의 행복과 비애」에 등장하는 여주인공 엘라를 통해 구현하였다. 엘라의 삶은 여성이 가정 경제의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 경제 외에서도 남성과 동등하게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렇듯 마티노는 고전경제학자들과 달리 가정 경제를 고전경제학의 범위에 포함시켰고 더 나아가 여성을 그 주체로 인정하였다. 이것은 19세기의 가정 이데올로기에 반영된 여성의 이미지와는 다른 것으로, 좀 더 진취적이고 독립적인 새로운 여성상을 의미한다. 요컨대, 마티노는 정치경제학을 대중화하는 데 공헌했을 뿐 아니라 고전경제학의 경제 원리를 여성에게도 동일하게 적용시켜 여성 경제인의 모습을 구현하였다.

      • 신문화사의 공간과 문화의 정치경제학

        장세룡 문화사학회 2014 역사와 문화 Vol.27 No.-

        이 연구는 기존의 담론 중심의 문화정치가 공간을 사유하며 문화의 공간 정치로 확장을 시도하고, 기존의 정치경제학이 공간에서 전개되는 기호와 일상의 담론에 주목하며 미시적 문화의 영역으로 섬세화시키는 양상을 검토했다. ‘문화적 전환’이 설득력을 확장하면서 문화 그 자체는 점차 생산과 소비, 노동과 놀이까지도 포섭하여 자율적인 수용과 전유를 통하여 창조력을 재생산하는 ‘신개척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 결과 문화연구는 지적 ‘전위성’에 ‘일반성’까지도 인정받았고, 심지어 문화는 곧 정치라는 간결한 선언으로 새로운 정치 인식의 지형도를 제출하리라는 기대감마저 불러일으켰다. 그것은 문화정치, 나아가 공간을 성찰하는 문화의 공간 정치 영역을 열어 주었고, 사회학과 경제학의 문화적 전환까지도 자극하여 문화의 정치경제학에 관한 전망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 밥 제솝이 주도하는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문화를 인간 중심으로만 보는 한계를 넘어 물질적 공간 자체가 가지는 존재론적 현실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것은 공간의 물질성 가운데서 출현한 기호학적 양상의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새로 생성되는 영향력에 주목하도록 시야를 확장시킨다. 그리하여 현실에서 작동하는 인간의 담론성과 물질성의 결합과 담론성이 물질성을 거쳐 표명되는 양상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촉구한다. 그러나 이 기획이 기호와 담론에만 배타적으로 관심을 쏟는 것은 아니다. 기호와 구조화가 서로 결합하여 표명하는 권력관계, 경로의존성 및 구조적으로 새겨진 선택성을, 다양한 변형, 선택 및 유지 보존의 진화적 메커니즘의 조건에서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경제활동의 행위자가 수행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을 조명한다. 문화의 정치경제학이 정치경제학 분야에서 전개되는 사건과 과정, 경향과 구조를 기호학으로 설명하는 것은, 경제와 정치의 물질성 기호의 차원으로 축소시켜 경제와 정치의 관계를 분절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공간 정치와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기본적으로 현재진행형 이론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aspects of one that the Cultural Politics transformed to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through reflection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the another that the old Political Economy transformed to Cultural Political Economy which represents delicate and detailed spirit that implied in micro realms through attentions on semiotics and everydaylife discourse in space and place. By ‘Cultural Turn’, the culture itself was estimated as a ‘new reclaimed land’ that reproduces creative forces through autonomous reception and appropriation subsuming production, consumption, labour and play. In result, cultural studies even could acquire the intellectual avant-guardness and generality. Moreover, the proclamation that “culture is politics” provoked feeling of expectations that culture would suggest newly topographical map for political cognition. It opened up more productive realm of Cultural Politics of Space which reflect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prospect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by stimulating ‘Cultural Turn’ of Sociology and Economics. The researches for the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led mainly by Bob Jessop’s group had concerns for ontological reality based on the material space itself beyond the limit of human-centered culture. It leads to focus on the newly affective forces generated in works to explore cultural meanings of semiotical aspects that emerged in the materiality of space. This urges us to get down to the aspects of conjunctions of discoursality and materiality, the discoursality expressed through materiality. For example, as such a cultural city, entrepreneurial city etc, brand city project and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seek in the name of creative economy or creative industry by local governance. But this project does not only focus on the semiotics and discourse exceptionally. It searches for power relation, path- dependency and institutionally engraved selectivity on condition of evolutionary mechanism of various transformation,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Political Economy. Furthermore, the technological roles in relation to the economic activities will be lightened in this context. But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criticized for their reducing economy and politics materiality to semiotics dimension and so segm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politics with the accounts for accidents and processes, trends and structures developed in Political Economy in terms of semiotics.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ongoing theorie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configuration, basically.

      • KCI등재

        사회과 주요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 -번역어 "경제"를 중심으로

        차조일 ( Jo Il Cha ),박도영 ( Do Young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의 주요 개념인 ``경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economy의 번역어로서 ``경제``가 가지는 특징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economy의 의미 변화 및 번역어 ``경제``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동양의 근대화는 서구의 문명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 문물을 소개하기 위한 핵심적인 수단은 번역이었다. 즉, 동양의 근대화는 번역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수 있다. 사회과의 핵심 개념인 ``경제`` 또한 서양의 political economy를 소개하기 위해 채택된 번어였다. 원래 ``경제``는 중국을 비롯한 한자 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경세제민의 의미로서 사용되어 오던 한자어였지만, 번역어로 채택된 이후 political economy 및 economy의 의미 변화와 새로운 용어로서의 economics의 탄생 등을 겪으면서 오늘날에는 전통 한자어 ``경제``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번역어 ``경제``의 성립 및 의미 변화 대한 역사적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사회과교육에서 ``경제``에 대한 오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사회과의 핵심 개념인 ``경제``에 대한 오개념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경제`` 개념의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 교육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yeong-Je(經濟)`` as a translated word of ``economy`` in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we used historical approach to collect and analyze the documents which concern the meaning changes of economy(or political economy) and ``Kyeong-Je`` as a translated word in early modern era. Modernization of East was made by accepting western civilization. The main medium for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is translation. Therefore, Modernization of East relied on translation. ``Kyeong-Je``, a core concept in social studies, was originally used as a translated words of ``political economy``. In eastern civilization the original meaning of ``Kyeong-Je`` was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thus related with politics, just as political economy was. But with the meaning changes of ``political economy`` and ``economy`` and the new coming of ``economics``, the meaning of ``Kyeong-Je`` as a translated word has also been changed, therefore in present time ``Kyeong-Je`` has different meaning from the original. There are many misconceptions for the meaning of ``Kyeong-Je`` due to lack of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is meaning changes. To prevent the misconception for ``Kyeong-Je``, It is necessary to modify curriculum and textbook of social studies. Also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education for teachers of social studies.

      • KCI등재

        국가발전의 정치경제학-프리드리히 리스트의 민족주의 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백종국 21세기정치학회 2017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nationalist political economy of Friedrich List in the society of Korean political economy.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a great gap between reality and academia because of the underdevelopment of the nationalist political economy among three major paradigms of political economy of n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dopts the methodology of early hermeneutics to interpret List’s texts and reorganize their contexts. There are three contextual parts in the Listian political economy: first, List’s critique of Smith’s cosmopolitan economics; second, the stages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organic communities; finally, world’s balance of power among the normal nation-states who have the power of self-help.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nationalist political economy of List must be the real political economy of national development because of its emphasis upon the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community.

      • KCI등재

        The Politics of Policy Ideas and Kim Dae-jung's Mass Economy Theory

        Sang-young Rhyu(류상영)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5

        김대중의 대중경제론은 한국경제의 발전전략 및 방향과 관련한 중요한 쟁점의 하나이다. 대중경제론은 1971년 신민당의 대선주자였던 김대중의 선거전략으로 공식 등장하였지만, 실제로는 1960년대 이래 박정희의 발전전략에 대한 대안적 정책이념으로 성장해 온 게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중경제론이 1998년 김대중의 대통령 취임 이후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론으로 까지 진화하게 된 역사적 정치적 과정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대중 경제론을 정책이념의 하나로 보고 정치인 김대중을 이를 구현한 정치적 기업가로 설정하였다. 또한 대중경제론이 대중정치체제와는 어떻게 결합되었는지와 관련하여 김대중의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도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김대중이 사회주의 붕괴나 외환위기 등 결정적 계기를 맞아 어떻게 대중경제론의 원칙을 진화시키면서 대내외적 제약조건을 극복해 나가는지도 분석될 것이다. Kim Dae-jung' s mass economy(Taechunggy?ngjeron) theory is not only one chapter in Korean history, but it has become an important critical perspective in debates over developmental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Korean economy. Mass economy theory has been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to the dominant Korean developmental strategy since the 1960s. Though the theory first appeared as the strategy of Kim Dae-jung, the presidential candidate for the New Korean Democratic Party in 1971, its origin was much older: its framework and contents have continued to evolve and it exists as one of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the Korean economy, even after Kim Dae-jung took office as president in 1998. I investigate the historical evolution of mass economy theory from its origins to its expression of the parallel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 The paper takes the mass economy theory as a policy idea created and expanded by a political entrepreneur. I also analyze how the theory was combined with democratic ideals and 'mass democratic system' theory as a political strategy. This research intends to show how Kim Dae-jung reacted to critical junctures -economic crisis, etc -as an individual decision maker, and how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of mass economy theory evolved under structural constraints in Korea and abroad.

      • 커피歷史를 통해 본 커피의 政治經濟的 含意

        金銀嬉(Kim, Eun-Hee),李雄圭(Lee, Woong-Kyu)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15 관광산업연구 Vol.9 No.1

        Coffee is of global importance, ranking second to petroleum in world commodity trade. Moreover, coffee is of particular importance as a major export commodity in many low-income countries in Latin America, Africa, and Asia. The primary purpose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of coffee is to integrate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in analyzing the ten-fold increase in world coffee prices and cultures over. Coffee is traded in one of the few international markets ever subject to effective political regulation. In open-economy politics, we explore the cultures, the operations, and the collapse of the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an international “government of coffee”that was formed in the 1960s. In so doing, we address key issues i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d comparative politics, and analyzes the creation of political institutions and their impact on markets. Drawing upon literature review in domestic and overseas, we explore the domestic sources of international politics within a unique theoretical framework that blends game theoretic and more established approaches to the study of politicaleconomic. This study will appeal to those interested i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comparative politics,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especially in Latin America and Africa, and to readers wanting to learn more about the economic and political realities that underlie the coffee market. It is also must reading for those interested in “the new institutionalism” and modern meanings of political-economy in coffee.

      • 정치 생태학(political ecology)에 의한 자연 환경과 사회의 관계 이해

        박규택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1998 地理學論究 Vol.- No.18

        자연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인간의 존재 혹은 물질적 풍요를 위해서 또는 심각해 지고 있는 현대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실천적 대안을 찾기 위해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정치 생태학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치 생태학은 지역의 자연 환경과 사회 변화를 지역 외적인 국가, 세계의 경제, 정치와 관계시켜 이해하려는 개념적 접근 방법이다. 정치 생태학은 1950년대 시작한 문화 생태학과 1970년대 이후 논의가 활발해진 정치 경제학을 결합한 결과물이다. 정치 생태학의 방법론적 특징은 변증법이다. 이 방법은 자연과 사회 혹은 지역의 사회 공간과 지역 외적인 정치, 경제 공간의 상호 작용을 강조한다. 정치 생태학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중요 지리학 잡지에 발표된 11개의 정치 생태학적 경험적 연구들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개별 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 환경, 역사성, 그리고 국가, 세계와 공간이란 기준을 사용하였는데, 이들은 정치 생태학의 기본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경험적 연구들은 정치 생태학의 중심 주제들을 충실히 다루고 있었지만, 개별적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 때문에 주제를 취급하는데 정도의 문제는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자연 환경 체계나 생태계의 파괴와 지역 사회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 경험적 연구가 후진국의 자원 이용, 자연 환경 파괴, 사회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즉 서구 선진 자본주의 국가, 사회 주의 국가, 개발 도상국가를 대상으로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들 지역에 대한 많은 연구가 기대되며, 연구 결과의 축적은 정치 생태학의 이론과 응용력을 높일 것이다. 그리고 지역의 사회, 경제적 공간과 지역 외적인 국가, 세계의 정치, 경제 공간을 역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정치 생태학은 자연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들이 다양한 사회와 주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지식을 축적시킬 것이다. 정치 생태학은 화석이 아니라 사회가 만든 설명틀이기 때문에 인문학, 자연 과학, 사회 과학의 새로운 논의들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면서 변화, 발전해나갈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political ecology which combines the concerns of ecology and political economy. Political ecology, often called as regional political ecology is a new conceptual framework which can explain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al environments and local society constrained by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It focuses on the dialectics of both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society and local social space and non-local political economy. The dialectics as an analytic method of political ecology is theoretically very powerful to understand the continuously changing aspects occurred in nature and human society, but the dialectics is not easy to implement in real case studies. The eleven articles using political ecology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geographical journals were reviewed to clearly understand the key contents of political ecology. All the articles reviewed deal with the four subjects of political ecology: natural environments, local society, time and space, and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Each study emphases on those subjects differently mainly because of its purpose. However, bot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natural environments and their relations to local society were largely neglected in the most of reviewed articles.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in political ecology is to find a way to dialectically combine local society and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Political ecology continue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theories and methods developed in social sciences after the 1970s. It contains various aspects of post-modernism, post-structurism, post-colonialism, feminism, even environmental history. There is no doubt that political ecology will give us a good perspectiv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nvironments and human society which have been soci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through time and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