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시대 다문화국가에서의 애국심 교육 방향 탐색

        황규호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patriotism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nation where diverse groups of national, ethn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coexist as citizens of one nation. I first examined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possibility and desirability of patriotism education. There are some strong arguments against the moral credentials of patriotism, and against the educational desirability of promoting patriotism. However many scholars distinguish various types of or approaches to patriotism and then ague that whereas some forms of patriotism, such as nationalistic, blind, loyal, and uncritical patriotism are unjustifiable and even harmful, patriotism can be regarded as a moral virtue (or the moral virtue) and legitimate concern of public education in so far as it is treated in appropriate manners. I argue that, if patriotism is understood as positive and affectionate attitudes towards and prides in the ‘national identity’, patriotism education is important both for the individuals’ social-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for the nation’s cohesion and security. Two critical issues raised from patriotism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nation are: to what extends can we allow minority groups to keep their own identities and loyalties to them, and is it legitimate to expect or enforce positive and affectionate attitudes towards the ‘national identity’ defined from the majority group’s perspective? I argue and suggest some guidelines for patriotism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nation: multiple identities and loyalties to them need to be allowed and encourag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and love of one’s nation should not be based on or lead to negative denigration of other nation groups; the boundaries that distinguish ‘us’ and ‘them’ need to extend as far as possible so as to include all members together without any form of discriminations; the values that are taken to be proud of as the sources of national pride and patriotism need to be congruent with universal democratic values such as human rights, freedom, and justice, if uncritical patriotism is to be avoided. 이 연구는 국가들 사이의 교류가 확대되고 그 경계가 약화되어 가고 있는 ‘글로벌 시대’에 다양한 국가적·인종적·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들이 공존하고 있는 다문화국가에서 애국심 교육의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애국심 교육이 공교육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본 결과 애국심 교육의 가능성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입장도 있으나, 다른 집단에 대한 배타적인 우월감을 야기하는 국수주의적 애국심이나 국가에 대한 맹목적이고 무비판적인 충성을 강조하는 전체주의적 애국심과 같은 그릇된 애국심 교육을 경계하면서 애국심 교육의 가능성을 수용하는 관점들을 다수 찾아볼 수 있다. 애국심 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은 애국심의 의미 및 성격에 대한 생각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에서의 애국심 교육의 방향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애국심을 국가 단위에서 규정되는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자긍심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애국심 교육의 기본 성격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화집단이 공존하는 다문화 국가 안에서의 애국심 교육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핵심적인 쟁점을 첫째, 소수집단의 정체성 및 이에 기초한 소수집단에 대한 충성심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와, 둘째, 소수집단에 대하여 주류집단의 정체성 및 이에 대한 자긍심을 어느 정도까지 기대하거나 요구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두 가지 문제로 요약하였다. 연구자는 다문화 국가에서의 애국심 교육의 기본 방향을 다원적 정체성 및 다원적 애국심의 인정, 타 집단에 대한 존중과 배려에 기초한 애국심 교육과 타집단 증오 및 비하의 지양, 애국심의 기초가 되는 ‘국가 정체성’의 범위에 대한 개방적 태도, 자유민주주의적 가치에 부합하는 국가적 자긍심 함양의 필요성 등 네 가지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국 ‘신시대(新時代) 애국주의’에 관한 연구-‘신시대 애국주의교육’을 중심으로-

        공봉진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9 국제정치연구 Vol.22 No.4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new era patriotism and the new era patriotism education in China,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is emphasizing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new era patriotism education is proceeding to strengthen the new era patriotism. And it is to examine what kind of political meaning the new era patriotism ha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what differences the patriotism education of the new era has from the existing patriotism education and what connections it has. In China, the term ‘Never forget why you started(不忘初心)’ and ‘Keep the mission firmly in mind(牢記使命)’ are being used in recent years. These two terms are key words of ‘new era patriotism’ emphasized by the Xi Jinping government. Xi Jinping emphasized that “Patrioticism is the core of the Chinese national spirit”. In 2019, the Chinese government is emphasizing patriotism. In November of the same year, China announced ‘Implementation outline of patriotism education in the new era’. Xi Jinping emphasized that the core contents contained in Chinese nationalism are patriotism. In the Implementation outline of patriotism education in the new era, the basic contents of Patriotism Education in the New Age, the main objects, the role of society as a whole, and the development plan can be known. It allows students to learn morality related to continuous patriotism in schools, society and home, and make use of cyberspace to make it easy to access various policies of party and country at all times. The first heart and mission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hould have is to promote the happiness of the Chinese people and the revival of the Chinese nation. The Chinese authorities conclude that the patriotism education of the new era is necessary to realize ‘building a well-off society in an all-round’ and to realize ‘Chinese dream’ called ‘the revival of the Chinese nation’. In conclusion, what the Chinese government says is the new era patriotism requires the Chinese people to lov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o love the state and to love socialism of Chinese characteristics. The new era patriotism education the Chinese government is trying to implement implies that the people should have patriotism as a member of the Chinese people. 본 논문은 최근 중국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중국의 신시대 애국주의와 신시대 애국주의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들어선 이후 강조되고 있는 신시대 애국주의를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신시대 애국주의 교육이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또 신시대 애국주의는 어떠한 정치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기존의 애국주의 교육과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으며, 어떠한 연결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불망초심(不忘初心), 뢰기사명(牢記使命)’이라는 용어가 회자되고 있다. 이는 “초심을 잊지 말고, 사명을 기억하자”는 의미로, 시진핑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신시대 애국주의’의 핵심어이다. 시진핑은 “애국주의는 중화민족 정신의 핵심”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애국주의교육을 통해 중화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2019년에 들어와 중국 정부는 애국주의를 더욱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동년 11월에 “신시대애국주의교육실시강요(新時代愛國主義教育實施綱要)”(이하 “강요”라고 함)를 발표하였다. “강요”에서 신시대 애국주의교육의 기본 내용, 주요 대상, 사회전반에 대한 역할, 전개방안 등을 알 수 있다. 신시대에서는 학교-사회-가정에서 애국주의와 관련된 도덕을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고, 사이버 공간을 활용하여 항상 당과 국가의 여러 정책을 쉽게 접할 수 있게 하도록 한다. 중국공산당이 가져야 한다는 초심과 사명은 신시대 애국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신시대 애국주의교육이 ‘전면적 소강(小康)사회 건설’과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중국 당국은 결론짓고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에서 강조되는 신시대 애국주의는 중국 인민들에게 중국공산당을 사랑하고, 국가를 사랑하며, 중국특색 사회주의를 사랑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중국 정부가 실시하려는 신시대애국주의교육에는 한족이든 소수민족이든 중화민족의 일원으로서의 애국심을 갖게 하는 의도가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애국심과 민주주의가 결합된 민주시민교육 -애국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심성보 ( Seong Bo S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4

        ``애국심``(patriotism), 즉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서 "국가에 대한 사랑과 자부심, 그리고 최상의 국가이익이라고 여겨지는 바를 위해 희생을 감수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애국의 방식은 "옳든 그르든 나의 나라"라는 입장(보수적 애국심)과 "나라의 일에 반대하는 것도 애국이다."(진보적 애국심)라는 입장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애국심은 보수적일수도 있고 진보적일 수 있으나, 양자의 균형으로서 다른 나라에 대한 우월성이나 지배를 추구하지 않은 ``순화된 애국심``이나 ``중용적 애국심``이 요구된다. 이것은 ``부드러운 애국심`` 또는 ``사려깊은 애국심``이라고 할 수 있다. 애국주의 논쟁을 통해 그동안 애국심을 정권유지의 수단으로 여겨왔던 권위주의 교육에 대한 반성과 함께 맹목적 애국심을 유연하고 사려깊은 애국심으로 돌리는 전환점을 발견하게 된다. 맹목적 애국심을 부드러운 애국심으로 돌리는 교육은 애국심과 민주주의를 결합한 민주시민교육을 통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민주주의와 결합되지 않는 애국심교육은 배타적 애국주의로 변질될 수 있고, 권력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될 위험성도 있다. 이런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해 권력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민주시민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민주시민교육으로서의 애국심교육은 인권과 평화 등의 민주주의 가치를 토대로 하여 가능하다.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애국의 어원과 논쟁사 나아가 한국사회에서의 애국주의 논쟁을 통해 민주적 애국심을 고양시키는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지향을 모색하려고 한다. Patriotism has traditionally been as form of attachment towards and love for one`s country, devotion towards one`s country and one of a class of loyalty-exhibiting virtues. It is a special affection for one`s country and a willingness to make sacrifices to aid or protect one`s country. Extreme patriots believe in the superiority of their own and with it to dominate over others. Whereas blind patriotism involves uncritical support for one`s country, constructive and democratic patriotism believes in positive change through questioning and criticizing national practices. However, moderate patriots have a special affection for their country, but do not believe in its superiority or seek dominance over others. The former`s position is that "my country, right or wrong!" and by the notion that it is ``unpatriotic`` to criticize one`s own country. The latter`s position is that "dissent is patriotic!" and by the notion that it is patriotic for students to use their country as a motivation to critically assess what is needed to make it better. We have to require balancing by ``purified patriotism`` or ``moderate patriotism`` which is labelled ``soft patriotism`` or ``thoughtful patriotism``.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cultivating critical(democratic) patriotism as soft patriotism needs to look to engage beyond nationalistic allegiance and patriotism.

      • KCI등재후보

        보훈의식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나라사랑 교육의 방향

        심옥주 한국보훈학회 2014 한국보훈논총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to enhance education for patriotism and love for country in elementary schools. Thus, the educational status and systematic basis for elementary education to strengthen patriotism was identified to search for directions to take. First, in the background research of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the trends of patriotism education systems and the features of curricular fields of patriotism education was identified to state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In the education course that goes from elementary, middle to high school,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becomes the systematic basis of education for love of country. When examining the love for country education in cases 1 and 2, it was found that when using both textbook and interactive learning, education to enhance love for country could be enhanced. The love of country education in the two cases displayed that interactive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extbook learning and strengthening patriotism, and it was confirmed that when school-community-family relationships were achieved, the effects could be strengthened further. Based on this, several opinions were suggested for the direc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o strengthen patriotism. First is that the importance of specialization of patriotism education course - education that contributes in reproducing culture, examples of importance of curriculum and communication education - must be acknowledged in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Second is that the list of patriots in textbooks must be strengthen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that can link the nation-community-school-family an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can identify with by publishing additional books or commentary books that lists patriots and by reflecting lesser publicized patriots. Therefore, when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links educational institutes, national institutes and subjects of education, national patriotism can be strengthened.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보훈의식 강화와 나라사랑 교육함양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보훈교육에 대한 실증적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보훈의식 강화를 위한 초등 보훈교육의 현황과 제도적 기반을 파악하고 그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훈교육의 제도적 흐름과 교과영역 특성을 진단하여 초등 보훈교육이 갖는 의미를 파악코자 하였다. 호국 보훈활동의 사례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훈교육 교과 운영과 경험학습의 병행이 나라사랑 정신을 함양시키는데 교육효과를 가져온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초등 보훈교육 강화가 향후 중학교와 고등학교 나라사랑 교육의 체계적 기반이 된다는 점을 확인한 셈이다. 둘째, 나라사랑 교육은 경험학습이 교과학습과 보훈의식 강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학교-지역-가정의 연계구도가 이루어졌을 때 더욱 효과가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보훈의식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보훈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의 관계: 동․서양 5개국 특성 비교

        이희창,강정희 한국보훈학회 2013 한국보훈논총 Vol.12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that are recognized as two aspects of n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basis of Rothi and his fellows' claims(2005) that national identification can be more enhanced through a combin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we set up combined model including all types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to examine the specific relationships of these two concepts. In addition, unlike previous Western-oriented studies, this study focuses to discover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nations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Based on the 2003 ISSP data, this research finds following results. ① On the level of national identity, there is a difference from oriental nations and western countries. Oriental nations have more strong ethnic identity than civic national identity, whereas western countries have more strong civic identity than ethnic identity. ② On the level of patriotism, oriental nations differ from western countries. Oriental nations have more strong blind patriotism than constructive patriotism, whereas western countries have more strong constructive patriotism than blind patriotism. However America has high patriotism of all types ③ National ident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atriotism. But there are big differences from oriental nations and western countries in the degree of impact. In the oriental nations, ethnic identity has more positive impact to the all types of patriotism than civic identity. But contrast to these, the western countries have that civic identity is more positive affect to the all types patriotism than ethnic identity. ④ Ethnic identity is more positive affect to the blind patriotism than that of civic identity in the all sample countries. ⑤ Impact of national identity to the constructive patriotism differs from oriental nations and western countries. As a general discussion of the previous studies, civic identity has more positive influence to the constructive patriotism than ethnic identity in the western countries. But contrast to these, the oriental nations have that ethnic identity is more positive affect to the constructive patriotism than civic ident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iscusses to the causes the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ern countries and future challenges. 본 연구는 국가 동질감의 내용적/관계적 개념을 구성하는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이 어떤인과성을 갖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사한 속성에도 불구하고 각기 구분되어 연구되고 있는 이들의 결합을 통해 국가 동질감의 의미가 보다 완전하게 파악될 수 있다는Rothi 등(2005)의 주장에 따라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서구 위주의 기존연구만으로는 이들의 일반화된 관계 파악에 한계가 있다는 시각에서 동․서양 비교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국제사회조사(ISSP)의 조사자료를 토대로 한동․서양 5개국 비교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국가 정체성 수준에 있어 동․서양 국가간 차이를 보인다. 한국과 일본은 종족적 정체성이 높고, 서구 국가는 시민적 정체성이 보다 높다. ② 애국심 수준에 있어서도 동․서양 국가간 차이를 보인다. 한국과 일본은 맹목적 애국심이 건설적 애국심보다 높고, 서구 국가는 시민적 애국심이 맹목적 애국심보다 높다. 단, 미국은 모든 유형의 애국심이 높게 나타난다. ③ 국가 정체성은 애국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단, 영향 정도에 있어서는 동․서양 국가간 차이를 보인다. 동양 국가는 종족적 정체성의 영향이 크고, 서양 국가에서는 시민적 정체성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④ 맹목적 애국심에 대한 국가 정체성의 영향력은 종족적 정체성이 시민적 정체성보다 모든 국가에서 크게 나타난다. ⑤ 건설적 애국심 대한 국가 정체성의 영향력은 동․서양 국가간 차이를 보인다. 서양 국가에서는 기존연구의 일반적 논의처럼 시민적 정체성의 영향력이 보다 크나, 한국과 일본은 종족적 정체성이 시민적 정체성보다 오히려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동․서양 국가간 차이발생 원인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애국심 교육의 필요성과 전제 조건

        서승현 한국보훈학회 2015 한국보훈논총 Vol.14 No.3

        The Republic of Korea turned into ruins due to the Korean Civil War by the North Korean invasion and degenerated into one of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Then it has overcame the numerous difficulties achieving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and toda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admired the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it has achieved. However, as the Korean peninsula is in the armistice and is facing North Korea's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vocation and threat, the patriotism is treated as an important norm in Korean society even though it may sound like rather an old fashioned and hackneyed concept after the post-Cold War era. Moreover, the data collected by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other survey agencies show that the Korean people’s patriotic spirit or patriotism is relatively low in general. Especially, in case of students, the higher the grade rises, the lower the students' patriotism is. If that’s the case, what kind of patriotism do need to educate for people and students in particular? Are all ‘patriotisms’appropriate to infuse into them? The concept of moderate patriotism tries to avoid negative characteristics of cosmopolitanism that allows for no attachment and loyalty to one’s country and compatriots. If patriotism is morally unacceptable, as some philosophers believe, then education for patriotism cannot be tolerated, although some other non-moral reasons might be in favour of such education. In other words, Korean society and schools should promote morally acceptable types of patriotism such as ‘moderate patriotism’, ‘constitutional patriotism’, and ‘cosmopolitan patriotism’. On the contrary, an extreme patriotism offends against the requirement of universality and impartiality of moral judgment. It is an arbitrary, morally illegitimate type of partialism,’and should be rejected. In addition to morality in patriotism education, the other norm for patriotism education is humanitarianism which has been fairly marginalized with the resurgence of nationalism, ultranationalism and even chauvinism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ince one of the consequences of the revival of these ideologies was ethnic conflict or even war,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 ideologies and patriotism has posed a challenge to political and moral philosophy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patriotism. The ideologies force the nation to sacrifice and self-justify for themselves in the name of distorted‘patriotism’ which ignores humanitarianism. 우리 사회에는 진보적 사상을 가장하여 뿌리 내리고 있는 좌익, 친북세력들이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세력들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을 방해하여 간혹 남남갈등이나 국론분열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현실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애국심’ 수준의 분석을 통해 그 심각성을 알아보고 애국심의 교육의 필요성과 그 전제 조건들에 대하여 모색해 보기로 한다. 그러면 비교적 낮은 애국심과 안보의식을 가지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애국심을 교육할 때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관은 무엇일까? 그 하나는 도덕성에 바탕을 둔 온건한 애국심 교육이라 하겠다. 온건주의적 애국심은 자국민들로 하여금 단지 보편적이고 도덕적인 원칙에 따라서 자신의 나라의 이익을 추구하도록 한다. 이러한 사상을 갖은 애국심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나라와 동포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일 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과 그 국민들에 대한 배려도 고려한다. 또 다른 하나는 애국심 교육은 인도주의(Humanitarianism)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즉, 애국심은 인도주의를 무시하는 민족주의, 국수주의 그리고 쇼비니즘과는 분명히 구별되어야 한다. 민족주의, 국수주의 그리고 쇼비니즘은 애국심을 가장한 극도의 자국민 이기주의이기 때문에 국가나 단체가 표방하는 극단적이면서도 배타적인 무모한 사상이다. 따라서 긍정적인 도덕적 가치와 인도주의가 애국심 교육의 중요한 전제 조건으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덕목이다.

      • KCI등재

        이호철의 「우국회사」에 나타난 우국 놀이에 대한 연구

        조현일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3

        This study examines the artistic world of Lee Ho-cheol’s novel, “Ugukhoesa (Patriot Company)” (1967), focusing on patriotism play. In Chapter 2, the generational dimension of “Ugukhoesa” was identified. “Ugukhoesa” criticizes the old generation’s reality-compromising, militaristic inner side through journalist Sohn Sang-mun, history professor Kim Wal-jin, and Jeong Hyong-un, who creates a ‘patriotism loyalty professional associ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looked at the point that the ‘patriotism loyalty professional association’ satirized the ‘reconstruction’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Superficially, the patriotism loyalty professional association is an organization that aims at a national moral movement. It satirizes the militaristic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including trainees in green uniforms, morning meeting instruction every morning, plancards saying ‘Let’s all gather in the great line of patriotism, patriotism, patriotism!’, and Jeong Hyong-un’s speeches and military songs, etc. Chapter 4 clarified that the real reason why Jeong Hyong-un created the patriotism loyalty professional association was to play patriotism play. Jeong Hyong-un plays to imitate Ahn Jung-geun representing the historical patriots and Ham Seok-heon representing the contemporary patriots. In the 1960s, not only the forces of the 5-16 coup, but also Ham Seok-heon, who resisted it, called for a national movement and advocated “patriotism,” a time when it was sacred. Ham Seok-heon as well as coup forces could not be free from secularization work as a form of political oppression. Lee Ho-cheol fully demonstrates the lightness and liberation of an artist who plays through “Patriot Company”. And it carries out the political work of profanating the political theology that dominated the 1960s through Jeong Hyong-un’s patriot play, or the sanctified politics.

      • KCI등재

        연구 논문 : 한말 지식인들의 "애국론"과 민족주의

        김소영 ( Soyoung Kim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6

        1906년 이후 통감부를 비롯한 친일 세력은 일본 통치에 대한 의병의 반일투쟁을 무력으로 진압하는 한편, 언론과 교육을 통한 반일의식 및 ‘애국심’ 형성을 통제하고 막으려 했다. 이를 위해 언론·출판의 자유를 통제하는 일련의 법령을 반포했는데, 특히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에 의한 교과서 검열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애국심’을 형성하고 고취할 만한 내용을 통제하는 데 있었다. 그런데 통감부와 친일 세력이 이와 같은 교과서 검정에 대한 반발과 비난에 대응하기 위해 내세운 논리 역시 ‘애국’이었다. 교과서에서 기술한 국가사상이나 정치행위와 관련된 ‘애국’은 ‘진정한 애국’이 아니며,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실현하기 위한 ‘근면함’을 갖추는 것이 ‘진정한 애국’이라고 주장했다.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애국의실현 방법으로 상정한 것은 반일적 지식인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최상위의 목표가 아닌 대한제국민에 의한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애국을 둘러싼 논쟁과 대립은 보수와 개혁을 둘러싼 갈등, ‘제2차 단발령’에서도 분출되었다. 단발령과 관련된 갈등은 보수와 개혁이라는 입장 차이에만 기인한 것이 아니라 역시 ‘반일’과 ‘친일’이라는 정치적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단발’이나 ‘보발’, 어느 쪽을 주장하더라도 자신의 신념과 정치적 행위를 애국으로 정당화하고자 했다. 하지만 단발을 문명개화를 실현하는 애국으로 옹호하고 찬성하는 세력은 다시 ‘반일적’ 단발론자와 ‘친일적’ 단발론자로 나뉘었다. 전자가 한국민이 주체가 되는 문명개화와 ‘국권’ 회복, 국민국가 수립을 궁극적목표로 삼았던 반면, 후자의 경우 문명개화를 실현하는 주체로 일본제국을 상정했다. 이처럼 애국을 둘러싼 갈등과 대립은 애국에 대한 개념 정의 또는 인식론적 차원이 아니라 정치적 행위, 정치권력 획득과 관련된 것이었다. 당시 지식인들 역시 애국과 애국심을 정치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그 기원과 정의, 형성 방법을 논의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즉 지식인들은 ‘국민’이 국가를 사랑하게 되는 계기는국가가 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존재한다는 확신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정부가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사랑하는 입헌국에서만 ‘애국심’, 정치적 애국심이 형성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본의 ‘보호국’이라는 현실에서 입헌과 국민의 정치 참여 가능성은 희박해져 갔다. 또한 정치 참여를 통한 애국심 형성 역시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많은 지식인이 정치적 애국심보다 자연적 애국심론을 주장했다. 자연적 애국심론은 자신이 태어난 곳, 국토에 대한 애정의 확장으로서 애국심 또는 국가를 일가족이나 일가의 집합체로서 보아 자기 가족과 집안에 대한 애정이 확대되어 애국심을 형성한다는 주장이었다. 자연적 애국심론은 가족의 확대체인 국가에 국가 구성원이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충성을 바치고 복종해야 한다는 논리인 가족국가론과 다시 결합되었다. 하지만 대한제국이라는 정치공동체의 내외 주권을 일본이 장악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충성과 복종의 대상인 ‘국’의 실체가 불분명해져 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정치체인 국가가 아닌 또 다른 형태의 혈연공 동체인 ‘민족’이 등장하고, 그에 대한 충성과 복종을 강조하는 민족주의가 ‘애국’을 대신하여 또는 애국과 결합하여 이후 국권 회복과 독립운동을 추동하게 되었던 것이다.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Resident-General and the pro-Japanese cabinet used military force to suppress anti-Japanese resistance, but there was also a determined effort, beginning around 1906, to try to control and prevent the formation of anti-Japanese sentiments, through the press and the educational system. A series of ordinances was promulgated to control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extbooks were censored to remove any content which might inspire patriotic resistance in students. But, in response to criticism of these measures, the office of the Resident-General and other pro-Japanese voices also presented an argument to justify the censorship of textbooks. They insisted that the patriotism promoted by textbooks which described nationalist ideas and political actions was not “real patriotism”, and that the true character of “real patriotism” was a diligent struggle to achieve prosperity, military power and enlightenment. This was a shrewd strategy, since anti-Japanese intellectuals also regarded prosperity, military power and enlightenment as essential for realizing patriotism, but instead of seeing these as an ultimate end in themselves, they saw them as merely the means of establishing a modern state. A typical instance of such a confrontation over the nature of patriotism was the controversy prompted by the second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the traditional Korean sangtu). This reflected a difference in position between conservatives and reformists, but also between pro- and anti-Japanese opinion. All sides of the debate, whether they supported cutting off topknots or preserving topknots, tried to justify their principles and their political actions in patriotic terms. Thus, the controversy and conflict about the nature of patriotism was far more than simply a matter of definition, instead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political activity and the acquisition of power. Indeed, many contemporary intellectuals thought of patriotism as political in character, and discussed its origins, its meaning, and how it could be inspired; coming to the conclusion that only when a country could protect its people’s rights and freedoms with laws would they love their country and be willing to fight for it. They therefore insisted that patriotism, understood as political patriotism, could only arise in a constitutional state, i.e. one which protects its people’s rights and freedoms. During the Japanese protectorate, however, any prospects for a constitutional state and popular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remote, and the inspiration of patriotism through such political participation was therefore impossible. Consequently, many intellectuals advocated so-called “natural patriotism” instead of political patriotism. Natural patriotism was combined with the theory of a family-state, in which the state is seen as the extension of the family, and as such deserves the obedience and the unconditional loyalty of its members. Also, the very substance of the state became ambiguous, as Japan absorbed the sovereignty of the Daehan empire. In these circumstances, ‘Minjok (民族)’, representing an ethnic community, replaced ‘Kuk (國)’, representing a state, and subsequent independence movements were driven by nationalism substituting for or combined with patriotism.

      • KCI등재

        대한제국기 잡지와 애국론의 혼종성

        손성준 상허학회 2024 상허학보 Vol.70 No.-

        근대 한국의 애국주의나 내셔널리즘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대개 3가지 경향성을 보인다. 첫째, ‘애국’의 존재를 기정사실화한 상태에서 선험적으로 수행되었을 뿐, 애국 담론 자체의 형성과정이나 그 복수성에 주의를 기울인 경우는 희소하다. 둘째, 연구 대상이 된 주요 문헌 자료 중 신문 매체는 적극적으로 다룬 편이지만, 다양성과 내용의 완결성 면에서 우위에 있던 잡지 매체들은 총체적인 분석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셋째, 번역 텍스트와 수용자의 주체적 개입 양상에 상대적으로 덜 주목해왔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글에서는 대한제국기 잡지의 애국 담론의 과도기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애국 담론은 곧 매체의 정치적 지향과 직결되어 있기도 했지만, 『조양보』나 『태극학보』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 상충된 애국론이 하나의 매체 안에서도 공존하기도 했다. 특히 『조양보』의 「논애국심」이 보여준 ‘반애국론’은 당시의 애국운동을 감안할 때 매우 이채로운 사례이다. 다만 이 같은 흐름 역시 명백히 그 시대의 공론장이 배태한 문제의식인 만큼, 동시기 미디어 전체로 범위를 확대한다면 유사한 계보의 목소리들을 더욱 다양하게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 충군이 곧 애국을 의미하던 시대로부터의 이탈은 번역이 앞당겼다. 량치차오의 애국론이 여러 형태로 번역되고 변주된 것이 그 대표적 사례다. 하지만 『서우』와 『소년한반도』의 량치차오 활용법이 다른 것처럼 동종 텍스트로부터 번역된 애국 역시 하나의 정치적 입장만을 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었다. 최신 학문을 배운다는 자각을 지닌 유학생들의 기관지 『태극학보』에 ‘충군’의 미덕이 꾸준히 언급된다는 사실도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그 안에서도 ‘충군’의 자리는 불안정하게 유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지점들은 대한제국기 담론장 자체의 과도기적 성격과 그 속에서 개진되던 애국론의 혼종성을 여실히 증명해준다. Previous studies on patriotism and nationalism in modern Korea mostly manifest the following three tendencies. First, these studies adopted a transcendental approach, presupposing the existence of patriotism without focusing on the formation processes of discourses on patriotism or the plurality of these discussions. Second, they actively investigated newspapers as a main source of literature data for research but did not intensively analyze magazines that surpassed the other media types in terms of diversity and completeness of contents. Third, they paid less attention to aspects of translated text and the independent intervention of translation receive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on patriotism presented in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Discourses on patriotism are generally linked to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media channels introducing them. However, there are also cases where conflicting theories of patriotism coexist within a single media channel, as shown in the magazine Joyangbo (朝陽報) and the journal Taegeukhakbo (太極學報). Particularly, the article “Discussing the Patriotic Mind” (論愛國心) presented in Joyangbo aligns with the theory of anti-patriotism, thus evaluated as an unusual example of discourses on patriotism given the prevalence of patriotic movements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However, as this discussion in Joyangbo clearly reflects the prevailing concerns of the era, extended research based on the entire range of media during the same period may lead to the discovery of similar opinions. Furthermore, translation accelerated a departure from an era where showing loyalty to the sovereign was deemed as patriotism. This phenomenon is represented by instances of Liang Qichao’s theory of patriotism translated and adjusted in various forms. However, the idea of patriotism indicated in the same translated text does not reflect only a single political viewpoint, as shown in the journal Seowoo (西友) and the magazine Sonyeon-hanbando (少年韓半嶋) where Liang Qichao’s theory of patriotism was applied for different purpose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virtue of showing loyalty to the sovereign is consistently mentioned in Taegeukhakbo, an institutional journal published by Korean students engaged in the latest academic studies overseas. Nonetheless, the significance of showing loyalty to the sovereign varies in the discourses presented in Taegeukhakbo. These observations clearly demonstrate the hybrid nature of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channels of discourse focussed on the theory of patriotism that were developed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 KCI등재후보

        미국영화와 한국영화의 흥행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고정민(Ko Jeong-m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0 문화산업연구 Vol.10 No.2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US and Korean movies, focusing on appeal to patriotism. Multiple regressions for 227 US movies screened in the US and 240 Korean movies screened in Korea between 2004 and 2007 that were highly-ranked in terms of domestic box office were used. Dependent variable is domestic box office,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production cost, influence of director, influence of actor, genre, rating, bargaining power of distribution companies, consumer reviews for movie and finally appeal to patriotism. A survey of consumers in the US and Korean movie was used to assess appeal to patriotism. The analysis shows that production cost, number of screens, consumer reviews and director (p<0.01) affected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a movie in US, in addition to appeal to patriotism (p=0.017) and actor. In Korea, number of screens, genre (comedy or horror) (p<0.01) and appeal to patriotism (p=0.02) affected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a movie. There was no difference shown between US and Korean respondents in terms of their average evaluation of appeals to patriotism.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appeals to patriotism affect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both Korean and US movies.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US and Korean movies, focusing on appeal to patriotism. Multiple regressions for 227 US movies screened in the US and 240 Korean movies screened in Korea between 2004 and 2007 that were highly-ranked in terms of domestic box office were used. Dependent variable is domestic box office,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production cost, influence of director, influence of actor, genre, rating, bargaining power of distribution companies, consumer reviews for movie and finally appeal to patriotism. A survey of consumers in the US and Korean movie was used to assess appeal to patriotism. The analysis shows that production cost, number of screens, consumer reviews and director (p<0.01) affected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a movie in US, in addition to appeal to patriotism (p=0.017) and actor. In Korea, number of screens, genre (comedy or horror) (p<0.01) and appeal to patriotism (p=0.02) affected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a movie. There was no difference shown between US and Korean respondents in terms of their average evaluation of appeals to patriotism.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appeals to patriotism affect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both Korean and US mov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