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시민행동(OCB)의 수행동기

        김경석(Kyoung Seok Kim),이제영(Jei-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들이 OCB의 선행요인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해 오고 있음에도, 환원주의적 회귀모형 혹은 이변량적 접근에 치중함으로써, 그 수행동기를 충분히 설명해 내지는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착안하고 있다. OCB는 본질적으로 지극히 주관적이고, 가변적인 속성을 띠기에, 구성원들이 자신의 관점과 입장에서 OCB를 어떻게 인식 및 해석하고 또 수행하는 지를 탐구할 필요가 제기되는 바, 그 속성상 이에 매우 부합하는 특성을 지닌 Q방법론을 적용하며, 두 가지 연구과제, 즉, 첫째, OCB의 수행동기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유형을 파악하고, 둘째, 파악된 인식유형별로 그 구체적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17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모두 4가지 유형의 OCB수행의 주관적 동기가 도출되고 있는 바, 각기 그 특징에 부합하도록 규범기반형, 수단기반형, 기질기반형, 그리고 회피기반형이라는 명칭들을 부여하였다. 이 유형들은 대부분 기존연구들에서 이론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OCB의 수행동기들에 부합하는 특징들을 드러냄과 동시에, 서로 분명하게 구분되는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어 매우 흥미롭다. 한편 본 연구에서 회피기반형이라 명명된 마지막 유형의 경우에는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전혀 논의된 바 없는 OCB의 새로운 수행동기유형으로서, 차후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할 것인데, 이는 가설생성적인 Q방법론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할 것이다.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a employee behavior that goes above and beyond the call of duty, that is discretionary and not explicitly recognized by the employing organizations formal reward system, and that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word, OCB has great potential as a organizational slack. As such, researchers have been showing great interest in the antecedents of OCB, and as a result, now we can meet so many antecedents of OCB from individual level variables to group or organizational level variables that are said to be important in explaining OCB. Additionally each of these variables is known to have its own sound logic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CB. However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o fragmented that researchers have a great difficulty in drawing some meaningful or coherent conclusions. In this context, we try to applicate Q-methodology to find more coherent way of explaining the motives of OCB, and briefly speaking, we find four types of the motives of OCB, that is norm-based, instrumentality-based, trait-based, and avoidance-based type. Among these the last avoidance-based type is especially interesting, because we cant find any remarks on this type in the previous studies. The paper end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 expect that these suggestions could be a foundation on which more developed and coherent OCB theories stand. We dont see this approach supplanting earlier efforts; rather we believe this can offer more detailed explanation in addition to those provided by other approach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장경간 건축구조를 위한 하이브리드 OCB보의 개발

        이두성,김상연,김태균,Lee, Doo-Sung,Kim, Sang-Yeon,Kim, Tae-Ky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5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6 No.3

        최근 국내의 건축구조는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계획되고 있다. 공간활용의 장점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OCB(Optimized Composite Beam)보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건축용 OCB보는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노출강연선으로 보강된 H형강으로 구성되고 정모멘트 영역에서는 프리텐션 방식의 PSC 구조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선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건축용 OCB보의 휨성능을 조사하였다. 15m, 20m, 30m 길이의 OCB모형을 구성하여 재료 및 기하학적 비선형 정적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해석모델의 초기균열은 사용하중이상에서 모두 발생되었다. 2)사용하중단계에서 처짐은 건축구조설계기준에 제시된 허용처짐량 이내로 만족하였다. 3)유한요소모델의 파괴 시 극한하중은 모두 단면의 설계공칭강도 이상에서 발생되었다. 해석결과로부터 건축용 OCB보의 구조적인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The building structure in Korea is planned to maximize the use of space in recent. The hybrid OCB(Optimized Composite Beam) beam is developed to take advantage of using the space. The OCB beam is composed of the steel H-beam section reinforced by open strands in negative moment zone and the pretensioned PSC concrete section in positive zone. Flexural behavior of typical architectural hybrid OCB beam section was investigated by F.E.M. The 15m, 20m, 30m OCB models were tested on nonlinear material and geometry under static loading system.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1)The OCB beam develop initial flexural cracking over full service loading. 2)Overall deflections of OCB beam under the service loads are less than those of the allowable limits in KCI Code(2012). 3)The ultimate load capacity get over the nominal strength of the OCB main section. The OCB beam is verified of structural reliability from the finite element analysis.

      • KCI등재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별 수행동기 비교

        김경석(Kyoung Seok Kim),이제영(Jei 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OCBI에 비해 OCBO의 수행동기는 보다 복잡 미묘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조직을 표적으로 한 OCBO의 경우가 동료들을 표적으로 한 OCBI에 비해 훨씬 다양한 수행동기들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OCBO와 OCBI는 서로 유사한 동시에 서로 상이한 수행동기들을 지니고 있다. 즉 사회심리기반 및 회피기반의 유사한 수행동기들이 발견되는 반면 OCBO의 의무기반 및 가치기반 대 OCBI의 기질기반이라는 상이한 수행동기들도 발견된다. 셋째, 기존의 수단기반형은 OCBO 및 OCBI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한다 해도 본 연구에선 반복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넷째, P표본 간 일치진술문들에 있어서도 전반OCB를 고려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많은 진술문들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전반OCB가 아닌 OCB의 하위차원들을 각기 고려할 때 좀 더 적확한 수행동기유형들을 도출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각 하위차원들이 서로 구별되는 독특한 본질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이는 OCBO 및 OCBI 양자 간의 차이점을 일관성 있게 지적해 온 기존연구들의 주장에 부합하는 연구결과라 할 것이며, Q방법론은 이러한 OCB 각 하위차원들간의 독특성을 확인해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론이 된다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three purposes. Firstly, we try to extract the types of the motives of OCBO & OCBI instead of global OCB. Secondly, we compare the types of the motives OCBO & OCBI and those of the motives of global OCB. Finally, using another set of P-sample, we try to find out whether the four types of the motives of OCB found in the study of Kim & Lee(2013) could be found once agai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e four types of the motives of OCBO, and three the types of the motives of OCBI. Second we foun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types of OCBO, OCBI, & global OCB. Third, except the instrumentality-based type, three of the four types found in the study of Kim & Lee(2013) reappear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CBO & OCBI, the sub-dimensions of OCB, have their own distinctive natures respectively.

      • KCI우수등재

        조직시민행동(OCB)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형구(Hyoung Koo Moon),김경석(Kyoung Seok Kim) 한국경영학회 2006 經營學硏究 Vol.35 No.2

        Academic interest in, and systematic investigations of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recent phenomena in Korea. In fact, it is only ten years since the first study on OCB was published. Despite such a short history, the number of studies on OCB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Korea.On the whole, however, OCB studies in Korea do not seem to show such a dramatic increase in quality. This can also be seen in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existing studies hav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of OCB, most of which have replicated the studies conducted in the West. Consequently, OCB studies in Korea are now faced with the challenges for the new stage.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previous OCB studies in Korea. We compare the studies in Korea with those from abroad and through careful analysis, identify the areas to be improved. The discussions on OCB consist of three aspects: the conceptual, the substantive, and the methodological. First, the conceptual part includes the definition of OCB and deals with its sub-dimensions. Second, discussion on the practical aspect covers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CB. Finally,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ological problems, which include OCB measures, sources of observation, and research design.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those three area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general survey of OCB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comparison with research abroad, OCB studies in Korea in general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cri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definition of OCB. Korean research covering the conceptual aspect are not only hard to find -- the studies that do are often superficial and merely give a definition of what OCB is. Most Korean studies cite Organ’s 1988 definition of OCB, and definitions of OCB sub-dimensions are also adopted from foreign papers. Even the Korean translation of OCB is a matter of debate -- various terms are used, and translation of sub-dimension terms are likewise inconsistent.Second, there have been a relatively wide variety of studies dealing with the practical aspect. Among such research, there are occasionally some theoretical papers that center only on theoretical hypotheses and propositions, but the vast majority are empirical studies that actually prove hypotheses in practice. Job attitudes and leadership behavior are the most commonly researched antecedents of OCB, and individual traits such as personality are also quite often dealt with. As for the consequences of OCB, the focus has been mostl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hardly any research on individual performance.Lastly,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a considerable variety of research methods have been employed. Most empirical studies utilize the survey methods, but there have been notable attempts at longitudinal research, meta-analysis and experimental research. This merits a certain degree of attention, for it is difficult to find use of such methods even among the extensive OCB research abroad. There is, however, much room for improvement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OCB. Aside from a few exceptions, most studies have relied on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s of foreign OCB measures without any validity test. Moreover, most studies derive the material needed to prove hypotheses from a single source of observation through a method of self-report.

      • KCI등재

        조직시민행동(OCB)의 선행요인 연구

        김경석(Kim, Kyoung Seo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5 No.2

        조직시민행동(OCB)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는 대단히 광범위하다. 개인차원, 집단차원, 그리고 조직차원에서 실로 다채로운 변수들이 거론되고 있으며, 더욱이 이들 변수들은 대부분 나름대로의 탄탄한 논리적 근거를 가질 뿐 아니라 실증적으로도 OCB와의 연관성이 반복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OCB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들을 우선 설명방식이라는 기준에 의거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여러 설명방식들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그 상대적 효과를 비교하는 데에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특히 수단모형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는 수단모형이 OCB의 발현과 관련해서 대단히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기존연구들 사이에서는 이 부분이 크게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고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방법론적으로는 여타 설명방식들의 OCB에 대한 설명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수단모형이 가지는 증분설명력을 검증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단모형을 반영하는 구체적 변수로서는 역할내행동(IRB)을 활용하고 있다. 215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된 분석결과를 보면, 예상했던 바와 같이, 수단모형은 여타 설명방식들의 설명력을 초과하는 증분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OCB의 두 하위차원인 개인지향OCB(OCBI) 및 조직지향 OCB(OCBO)에 모두에 대하여 공히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OCB의 발현을 보다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여타 설명방식들에 더하여, 특히 수단모형에 대한 연구가 좀 더 보강될 필요가 있음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has been an active research area for the past decades. OCB is employee behavior that goes above and beyond the call of duty, that is discretionary and not explicitly recognized by the employing organization’s formal reward system, and that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word, OCB has great potential as a organizational slack. As such, researchers have been showing great interest in the antecedents of OCB, and as a result, now we can meet so many antecedents of OCB from individual level variables to group or organizational level variables that are said to be important in explaining OCB. Additionally each of these variables is known to have its own sound logic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CB. However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o fragmented that researchers have a great difficulty in drawing some meaningful or coherent conclusions. Literally it is high time to integrate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es, and this study is an attempt for that.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The one is classification of these antecedents or variables based on the theoretical logic of each of them. Actually I classify these antecedents into several explaining models of OCB, for instance, exchange model, trait model, normative model, and instrumentality model. The oth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effects of each explaining model on OCB. In terms of methodology, I focus on the incremental validity of instrumentality model, because researchers have neglected this model for all its merits. The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strumentality model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CBI & OCBO respectively. Second, the effect of instrumentality model on OCB remains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other three explaining models(exchange model, trait model, and normative model).

      • 조직시민행동(OCB)의 등장배경에 대한 고찰

        김경석 경북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7 經商論集 Vol.34 No.2

        조직시민행동(OCB)은 매우 다양한 학문적 전통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학제적 개념이다. 따라서 등장 25주년이 되는 이 시점에 이르기까지 연구자들은 그 명확한 개념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적쟎은 혼돈을 겪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OCB라는 개념의 본원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시 말해 OCB라는 개념이 태동하게 된 그 이론적 근거들을 하나하나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OCB의 동장 배경 혹은 개념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일조하려는 연구목적을 지니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문헌들을 검토해 본 결과 OCB는 경영학 분야의 만족성과논쟁, 사회심리학 분야의 친사회적행동, 그리고 정치철학 분야의 공공시민정신이라는 삼자의 결합이 낳은, 이론적으로는 물론 실제적으로도 매우 흥미로운 개념임이 드러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OCB는 반세기 이상 지속된 만족성과논쟁 즉 조직구성원의 만족과 조직유효성간의 함수관계에 대한 재해석의 과정에서 비롯되어 친사회적행동 및 공공시민정신이라는 여타 사회과학의 연구업적들을 흡수함으로써 성립된 그 착상이 매우 기발한 개념이라 정리할 수 있다.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means individual behavior that is discretionary, not explicitly recognized by the formal reward system, and that in the aggregate promotes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organization. When we think about the significance of OCB, the first thing that comes to mind is its theoretical value, for this construct has broaden the domain of job performance. Its practical value is also worthy of notice. Many scholars suggest that OCB is a meaningful source of organizational slack available to increase overall performance, for it requires no additional resources. But, despite the dramatic quantitative increase worldwide, some scholars are criticising the ambiguous conceptualization of OCB. In fact, there exist at least three different definitions of OCB. This study examines the origin of OCE. To trace its conceptual background will be very helpful in understanding fuller OCB phenomenon in organizations. In short, we could understand that OCB is an interdisciplinary construct that integrates the various heritag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cial psychology, and political philosophy. Specifically OCB is an outcome of satisfaction-performance controversy.

      • KCI등재

        변화지향 OCB가 상사평가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

        최병권(Byoung Kwon Choi)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4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전략, 제품․서비스, 조직운영 방식을 새로운 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노력은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구성원이 업무 자체는 물론 업무수행 방식, 제품․서비스 등의 측면에서 변화 기회를 발굴하고 실행하는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변화지향 OCB)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변화지향 OCB는 조직이 공식적으로 부여한 역할 내행동을 벗어난 역할 외 행동의 한 유형으로서 선행연구들은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는 조직효과성 향상은 구성원 개인차원에서도 상사로부터 높은 성과평가를 받는 등 긍정적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해 왔다. 그러나 그 간의 선행연구들을 보면, 변화지향 OCB의 선행변수를 찾는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진 반면, 변화지향 OCB가 실제 상사평가 등구성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변화지향 OCB가 직무스트레스를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변화지향 OCB의 부정적 결과변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나, 이들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지향 OCB가 긍정적 측면에서 상사평가와 부정적 측면에서 직무 스트레스라는 개인 차원의 결과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상사가 변화지향 OCB를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하는가를 의미하는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성원과 직속상사로 구성된 225쌍으로부터 설문조사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는 상사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가설 1), 변화지향 OCB는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2).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 보면, 변화지향 OCB와 상사평가및 직무스트레스간의 정의 관계는 상사가 변화지향 OCB를 역할 외 행동으로 인식할 때보다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할 때에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3, 가설 4). 본 연구는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가 상사로부터 높은 성과평가를 이끌어 내는 데에 도움을 주지만 동시에 직무스트레스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변화지향 OCB가 구성원에게 긍정과 부정의 결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변화지향 OCB가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사가 OCB를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향후 변화지향 OCB를 포함한 OCB 연구들이 OCB와 결과변수간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서 상사의 OCB 역할 인식이라는 요소를 중요한 상황요인으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변화지향 OCB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oday’s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al efforts to change their strategy, product/service, and work practices to respond to the environment and improve performance are becoming important constituents of competitive advantage. In this regard,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is defined as proactive and constructive behavior aimed at identifying and implementing changes with respect to works, products, services, and work process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OCB literature. Although change-oriented OCB is a kind of extra-role behavior beyond formal requirements from an organization,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change- oriented OCB not only enhan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also provides positive consequences, such as higher supervisory performance evaluation, to employees. However, there have been lots of attempts to identify predictors of change- oriented OCB;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oriented OCB and supervisory evaluation. In addition, recently, while some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OCB may increase job stress, recent researchers have focused their attention on the negative consequence of OCB.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oriented OCB and job stress. Considering these lack of empirical studies, the current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an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influences supervisory evaluation and job stress and how a supervisor’s OCB perception, which is the degree to which a supervisor perceives OCB as in-role behavior, influences on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225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dyads through survey,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whereas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y evaluation (Hypothesis 1), it also increased employees’ job stress (Hypothesis 2).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 supervisor’s OCB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positive influences of change-oriented OCB on supervisory evaluation and job stress were stronger when supervisors perceived change-oriented OCB as in-role behavior rather than extra-role behavior (Hypothesis 3 and 4). The current study has contributed toward deepening the understanding that change-oriented OCB can provide not only positive (higher performance evaluation from supervisor) but also negative consequence (increased job stress) to employee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which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OCB and its consequences, needs to consider supervisor’s OCB role perception as an important boundary condi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