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전소설 공간 답사를 위한 제언

        신희경(Shin, Heekyung) 돈암어문학회 2018 돈암어문학 Vol.33 No.-

        본 논문은 작품에 나타난 공간을 체험하여 고전소설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고전소설의 공간 답사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은 작가의 의식 체험이나 경험을 통해 다양하게 형상화되면서 구체화된 삶의 모습을 이미지화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간답사는 작품 형성에 영향을 미친 공간, 작가의 경험 공간이 어떻게 작품 속에 구현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고전 문학의 공간은 현재 훼손되거나 사라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답사를 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점이 많다. 더욱이 고전소설의 공간은 지형지리와 인문지리, 상상지리의 경계를 넘나드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공간 답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아카이브의 개념을 사용하여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것을 제안하였다. 주제어에 따라 아카이브한 정보들을 토대로 하여 작품에 형상화된 의미를 파악하는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전〉,〈안빙몽유록〉,〈심생전〉을 들어 답사의 실제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운영전〉의 공간 답사는 수성동 계곡을 중심으로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수성궁은 현재 존재하지 않지만 현재에도 확인이 가능한 작품의 배경을 답사함으로써 사실과 허구가 잘 교직된 〈운영〉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안빙몽유록〉의 공간 답사는 작품의 창작 공간인 기재의 현재 위치로 추정되는 이화장 부근으로 한다. 이는 혼란한 정치 현실과 거리를 두고 정원을 통해 자연과의 정신적 교감을 추구하고자 했던 신광한의 말년과 수신의 도구로서 화훼 취미가 〈안빙몽유록〉창작의 배경이 되었음을 이해하는 방법이 된다. 〈심생전〉의 공간 답사는 청계천부터 소공동 주변까지 설정한다. 이는 작품 곳곳에 잘 결합되어 녹아 있는 당대인들의 삶의 공간을 이해하고 〈심생전〉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토대가 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이 답사라는 실증적이고 체험적인 방법을 통해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깊이를 조금이나마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methods that help understanding classical novels by experiencing space of works. A space is sha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uthor "s conscious experience or experience, and images of the actualized life are imaged through the works. And a Space is the foundation on which we can infer the perception of the lives and historical events of humans who have lived at a certain time. In this respect, the space exploration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space of the author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work, how the author"s experience space was embodied in the work, and to form a consensus to understand the work. However, because the space of classical literature is often damaged or disappear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explore. Addition, since the space of classical novels is seen to cross the boundaries of geographical geography, human geography, and imaginary geography, research on spatial exploration has never been don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xploring space in classical novel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f space in classical literature and my researches for exploring and understanding everyday life. In this paper, we propos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space using the concept of archives.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archived according to the main text. Then,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space and literary works, I propos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narrative that grasps the meanings shaped in the works. Based on these method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exploring 〈Un-yeong-jeon〉, 〈An-bing–mong-yu-rok〉, and 〈Sim-saeng-jeon〉.The space exploration of 〈Un-yeong-jeon〉is centered on Suseongdong Valley. The space exploration of 〈An-bing–mong-yu-rok〉 is located near Ehwa-jang,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present location of the creation space of the work. The space exploration of〈Sim-saeng-jeon〉 is set up from Cheonggyecheon to Sogong-dong. Since the concept or method of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 are still a lot of problems to be solved in this paper because there are many missing points. However,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classical novels. Therefore, I expect that the empirical and experiential method of exploration will be an opportunity to amplify the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 Development of Christian Curriculum Based on the Narrative Curriculum Model of Lauritzen and Jaeger

        ( Yun-kyung Choi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0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 No.1

        Christianity is the religion of stories. It is full of stories of God and his Son, Jesus Christ, and stories of christians. Thus, it is impossible to discuss Christianity without stories. Therefore,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story-centered. But, in church, where Christian education takes place, the stories are delivered to learners as superficial ones. This research suggests narrative-based exploration-centered education and faith experience- centered education as a new alternative to existing Christian education which has been deteriorated as content-centered teaching and superficial teaching lacking the application of God’s words to re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ristian curriculum based on the narrative curriculum of Lauritzen and Jaeger. The frame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are micro development, and consist of unit reorganization, suggestion of exploratory goal, development of class model, desig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목정연,이하영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3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진로탐색의 주체인 중학생의 관점으로 진로탐색 경험을 드러내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중학생 진로탐색 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지역에 거주하는 여섯 명의 중학생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들을 각각 7회 〜11회 개별 면담하였고, 참여자들의 부모나 친구와의 면담을 함께 진행함으로써 참여자들의 삶의 맥락에서 이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진로탐색 내러티브의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는 ‘막연하고 불안한 미래’, ‘미래 수단으로써의 현재 소홀’, ‘몸에 밴 나쁜 습관’, ‘학업과 여가의 불균형’, ‘거짓된 꿈의 연결’, ‘꿈을 통하여 깨닫는 현재의 의미’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의 시간에 관한 교육적 의미는 ‘꿈을 통하여 현재 삶에 충실하기’, ‘꿈을 위한 습관 만들기’, ‘공부와 삶의 균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areer expl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t a crucial stage of career development and the main subjects of career exploration. Additionally, it seek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s based on this. The study conducted narrative inquiry with six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as participants from 3 regions. The researcher gained an understanding of their narratives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and their parents or friends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with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the time spent on career exploration narratives, which included vague and anxious future, neglecting the present as a means for the future, unhealthy habits affecting the body, imbalance between academics and leisure, connections to false dreams, and realizing the present meaning through dream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areer exploration narratives includes being faithful to current life through dreams, developing habits for dreams, and achieving a balance between studies and life.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쓰기 교육 실행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손균욱 ( Son Kyun Uk ),가은아 ( Ka E Un A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이 연구는 한 명의 초등학교 교사가 쓰기 교육을 어떠한 과정과 방법으로 시행하고, 쓰기 교육을 통해 어떻게 성장하였는지를 살펴보며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개인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을 활용하는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인 강교사의 쓰기 교육에 관한 변화와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요소는 ‘어려움과 불안 속에서도 시도하는 자신만의 쓰기 교육’과 ‘필자로서의 지속적인 쓰기 수행’이었다. 위 두 가지 요소는 상호작용하면서 쓰기 교육에 관한 강교사만의 개인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라는 방법을 활용하여 쓰기 교육에 관한 교사의 개인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의 구성, 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노력과 고민, 개인의 삶과 교사의 삶의 연결에 관하여 알아보았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by examining the process and method of conducting writing education and how it has grown through writing education. To examine this, ‘narrative exploration’ using the teacher’s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was selected as a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and growth of writing educ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 Teacher Kang, were “your own writing education to try despite difficulties and anxiety” and “continuous writing performance as an author.” The above two fac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only for instructors on writing education while interac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teachers’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about writing education, efforts and concerns to form a professional identity as a teacher, and the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 life and teacher’s life.

      • KCI등재후보

        자살생존자의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김영미,이윤주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5 No.2

        This study tried to explore in detail and depth on the long term process of change of a suicide survivor and eyewitness by reconstructing the experiences, the impact of the trauma on life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life since then. In order to do this,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 I reflected on my past experience and found back the lost memories by referencing on the interviews with my advisor, memory notes and record journal, voice memo, self-analysis journal, notebook, interview, etc. and further wrote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s a result, I have drawn three topics which are <Suicide Survivor’s Life: Life that lost myself>, <Suicide Survivor’s Trauma: Living to find myself >, <Suicide Survivor’s Post-traumatic Growth: Re-experiencing myself> based on the meanings formed by detailing the analysis result and interpretation result gained from talking about suicide survivor’s experience, trauma and life. In the discu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y and counseling practice. 본 연구는 자살목격자이자 자살생존자가 겪어야 했던 경험과 그 트라우마가 삶에 미친 영향, 또 이후 그 경험이 삶에 부여한 의미를 재구성하여 자살생존자의 장기적인 변화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이자 연구 참여자인 나는 상담전문가와의 면담, 기억회상 메모 및 기록일지, 음성 메모, 자기 분석 일지, 수첩, 인터뷰 등을 참고하여 나의 경험을 되돌아보며 그리고 잃어버린 기억들을 찾아 나가면서 자전적 글쓰기를 하였다. 그 결과, 자살생존자의 경험과 트라우마, 그리고 삶을 이야기하면서 얻은 분석 결과 및 해석 결과를 구체화하여 이에 형성된 의미를 바탕으로 <자살생존자의 삶: 나를 잃은 삶>, <자살생존자의 트라우마: 나를 찾아가는 삶>, <자살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나를 재경험해 나가는 삶>이라는 세 가지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결과의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 추후 연구와 상담 실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마블 서사 활용 자기소개서 쓰기 교안 연구

        박성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이 논문은 영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자기소개서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언한다. 그간 ‘자기소개서 쓰기’의 범주는 성찰적 글쓰기와 실용적 글쓰기를 모두 포함하는 작문 활동으로 인지됐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융합 목적성은 실상 현행 글쓰기 교육에서 실현하기 어려운 구조에 놓여 있다. 본고는 자기소개서 쓰기의 선행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자기 성찰’ 상황에서의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당장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고 있는 학습자에게 ‘자기 탐색’은 자기소개서 쓰기의 재료이자 자기 스스로를 점검해보는 성찰적 계기를 제공한다. 마블 서사 속 히어로 캐릭터들이 갖는 의미와 자질을 탐구하는 ‘타자 읽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타자의 서사 읽기를 수행하여 공감·전유의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자를 거울삼아 ‘자아’를 읽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히어로즈와 자신의 자질, 성격, 성향 등을 비교·대조하는 활동을 통해 ‘자전적 서사 콘텐츠 개발’의 계기를 만들고, 학습자가 자기소개서를 쓰는 상황에서 부딪히는 ‘글감 부재’의 상황에서도 유익한 소재 다발들을 창출해내는 기획이 될 것이다. This paper suggests a self - introduction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movie contents. In the past, the category of ‘writing a self-introduction’ was recognized as a writing activity that included both reflective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 However, such convergence purpose lies in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realize in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contents in the context of ‘self-reflection’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preceding step in writing a self-introduction writing. For the learners who don’t know what to write right now, ‘self-exploration’ provides a reflective opportunity to examine themselves as well as a material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Through the ‘others reading’ activity, which explores the meaning and qualities of heros in the Marvel narrative, the learner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empathically and appropriately by reading the words of others’ narrative. Also using them as a mirror, they take an opportunity to look at ‘self’. In addition, this plan will not only create an opportunity for ‘development of autobiographical contents’ but also have a good writing material in the context of lack of writing material.

      • KCI등재

        중도 포기 학생선수 출신의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구자영,노정환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중도 포기 학생선수의 진로전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학생선수 시절의 경험이다. 실력을 인정받아 서울의 명문 중학교에 입학하지만 엄격한 규율과 훈련이 아닌 지도자, 선배와의 갈등으로 운동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된다. 이런 이유는 연구 참여자가 중도에 운동을 포기하는 이유가 되었다. 둘째, 중도에 운동을 그만두고 학교 자퇴까지 했기 때문에 주변의 편협한 시선이 항상 따라다녔 다. 시간이 지나면서 상처받은 마음이 회복되면서 다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누구보다 열심히 학업에 집중하면서 검정고시 통과와 수능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육군사관학교 생도로 입학하게 된 연구 참여 자는 생도 훈련과정이 힘들고 고되었지만, 누구보다 감사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도과정을 마치고 육군 장교로 복무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eer change experience of a student player who gave up halfway through narrative exploration. The deriv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 as a student athlete. He enters a prestigious middle school in Seoul in recognition of his skills, but loses interest in sports due to conflicts with leaders and seniors, not strict discipline and training. This was the reason why the study participants gave up exercise in the middle. Second, because he quit exercising in the middle and dropped out of school, narrow-minded eyes around him always followed him. As time passed, my hurt heart recovered and I started studying again. While focusing on study harder than anyone else, I was able to accept good results in passing the qualification exam and the SAT. Finally, the research participant who entered the Korea Military Academy as a cadet has been struggling with the cadet training process, but he is serving as an army officer after completing the cadet course with gratitude and joy.

      • KCI등재

        기획논문 : 개인사 프로젝트를 활용한 초등 역사교실수업

        송인주 ( In Ju Song ),하선희 ( Sun Hee Ha ) 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논집 Vol.55 No.-

        History is a kind of object that is not familiar and directly perceivable. It is, therefore, very difficult for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o understand and interpret a historical topic while exploring history. As an effective history education for children, this paper suggests the personal history project through which children could experience how history is structured and on what basis it is explored. Through this project, the children tracked their life based on their memories, photos, interviews, etc. They came to learn that more credible is us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ather than relying on a single resource. They also experienc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themselves. They showed themselves signifying their life with their own language during the chronology making activity, autobiography writing and letter writing. The children became the subject of history exploration and came to have their own personalized history.

      • KCI등재

        개인사 프로젝트를 활용한 초등 역사교실수업

        송인주,하선희 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논집 Vol.55 No.-

        History is a kind of object that is not familiar and directly perceivable. It is, therefore, very difficult for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o understand and interpret a historical topic while exploring history. As an effective history education for children, this paper suggests the personal history project through which children could experience how history is structured and on what basis it is explored. Through this project, the children tracked their life based on their memories, photos, interviews, etc. They came to learn that more credible is us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ather than relying on a single resource. They also experienc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themselves. They showed themselves signifying their life with their own language during the chronology making activity, autobiography writing and letter writing. The children became the subject of history exploration and came to have their own personalized history.

      • KCI등재

        중학생 진로탐색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목정연,이하영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의 주체인 중학생들의 진로탐색 내러티브를 이해하고, 중학생 진로탐색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인 여섯 명의 중학생과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진로탐색 내러티브의 주제는 ‘부모의 희망과 기대의 굴레’, ‘졸업 인증과 취업 관문으로써의 학교’, ‘성공스토리를 베낀 진로로드맵’, ‘랭킹뉴스와 파도타기를 통한 정보 수집’, ‘문턱이 낮은 직업과 평범한 삶의 지향’, ‘선착순과 가위바위보로 정해지는 자율선택활동’, ‘진학 과정에서의 선택 또는 선택됨’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중학생 진로탐색의 교육적 의미를 ‘관습적 삶과의 거리두기’, ‘능력과 욕망을 시험하며 가능성 넓히기’, ‘좋은 삶에 대하여 질문하기’, ‘주도적 참여를 통한 성취’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각 개인의 꿈을 다채롭게 펼칠 수 있는 진로탐색을 위하여 개별 중학생의 고유성을 인정하고 서로 다른 행복한 삶을 창조해가는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탐색 경험을 생생하게 드러내고, 중학생의 진로탐색과 관련한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탐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진로탐색 경험에 있어 중학생이 보다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중학생의 진로탐색 경험이 통합될 수 있는 종적·횡적 연계 방안에 관한 진로 정책 및 교육과정 개발과 중학생의 다양한 배경 및 경험을 깊이 있게 다루는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areer exploration narrativ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the main agents of career explor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areer exploration in middle school. To achieve this goal, narrative inquiries were conducted with six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reer exploration narratives of the participants were ‘constraining factors of parental hopes and expectations’, 'school as a gateway for graduation certific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career roadmaps inspired by success stories', 'information gathering through ranking news and lurking SNS', 'aspiring for low-threshold occupations and an ordinary life', 'autonomous decision-making activities determined by first-come-first-serve and rock-paper-scissors' and 'choices in the educational journey: to choose or to be chosen'.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areer explor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interpreted', 'maintaining distance from conventional living', 'expanding possibilities through testing abilities and desires', ‘questioning the notion of a good-life’, and 'achievement through proactive engag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er education that recognizes the uniqu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makes up different well-life is necessary for career exploration where each individual's dreams come true in a variety of way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ividly reveals the career search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mprehensively explores the factors related to career exploration among them. They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more independently in the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We will develop career policies and curricula related to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linkage methods that integrate the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