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약용의 역학관 형성에 미친 모기령의 영향

        방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8 다산학 Vol.- No.33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Mao Qiling’s influence on Tasan Jeong Yak-yong’s view of the Changes. Tasan made a fierce criticism on Mao Qiling’s theory of the interchangeability between the so-called son hexagram and the mother hexagram.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Mao Qiling’s theory has a lot of ingenious aspects. But at the same time, it has a critical problem as Tasan indicated. Nevertheless, if we take Tasan’s statement as read, there is a danger to conceal the fact that he also accommodated some parts of Mao Qiling’s theory. Mao Qiling’s influence is especially conspicuous in his tuiyi(推移) theory. Firstly, the division of 64 hexagrams into two parts of bigua(辟卦) and yangua(衍卦) is influenced by Mao Qiling because it depends on Mao Qiling’s classification of gathered(類聚) and dispersed(群分) hexagrams. Secondly, the term of the tuiyi is also commonly used both in Tasan and Mao Qiling. Thirdly, the inclusion of the xiaoguo(小過) and zhongfu(中孚) hexagrams seems to be influenced by Mao Qiling. Fourthly, Mao Qiling’s standpoint that tuiyi is the principle of linking the hexagram image with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Zhouyi(演易繫辭) is also shared by Tasan. On the other part, Tasan was hardly influenced in the case of yaobain (爻變) theory. According to Tasan’s opinion, the fundamental reason that Mao Qiling committed the fallacy lies in his ignorance about the theory of yaobian. But Tasan’s assertion that Mao Qiling was ignorant of the yaobian theory should be critcally reconsidered. Mao Qiling had the exact knowledge that the yao(爻) changes when it is laoyang or laoyin and that the previous original hexagram(本卦, bengua) is transformed into the altered hexagram(之卦, zhigua). However, he did not think that it should be the principle of linking the hexagram image with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Zhouyi. Also the fact that Mao Qiling did not include the yaobain in the five yi theory(五易說) shows that he did not regard it as the method of interpreting the words of the Zhouyi. But from Tasan’s perspective, not only the tuiyi but also the yaobain becomes the principle of linking the hexagram image with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Zhouyi. 이 논문의 목적은 다산 정약용의 역학사상의 형성에 미친 모기령의 영향을 밝히려는 데 있다. 다산은 「제모대가자모역괘도설題毛大可子母易卦圖說」에서 모기령의 자모역괘설子母易卦說이 괘변설卦變說에 큰 혼란을 일으켰다고 비난하였다. 다산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큰 틀에서 본다면 다산과 모기령의 추이설은 뚜렷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첫째, 다산이 『주역사전』에서 썼던 추이推移라는 용어도 모기령이 『중씨역』에서 이미 사용했던 용어이다. 둘째, 다산이 유취類聚와 군분群分의 관점에 의하여 역괘易卦를 벽괘辟卦과 연괘衍卦로 분류한 것도 모기령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셋째, 다산이 소과와 중부를 벽괘에 포함시킨 것도 역시 모기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모기령은 추이를 연역계사의 원리로 보았는데, 이 점에서도 다산의 견해는 모기령과 일치한다. 다산이 모기령의 추이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것과 달리 효변설에서는 모기령의 영향을 받은 바가 거의 없다. 다산은 모기령이 역사易詞 해석에서 오류를 범하게 된 근본적 원인이 그가 효변에 대해서 무지無知하였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모기령은 효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갖고 있었다. 다만 모기령은 효변을 점변占變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보았으며, 연역계사의 원리로 보지는 않았다. 모기령이 효변을 오역설五易說에 포함시키지 않았다는 것은 효변을 역사易詞 해석의 원리로 간주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산의 관점에서는 추이 뿐 아니라 효변도 역시 연역계사의 원리가 된다.

      • KCI등재

        한중(韓中) 인물기사(人物記事)의 한 국면(局面) - ‘난리’를 기사화한 정약용(丁若鏞)과 모기령(毛奇齡)의 경우 -

        정난영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8 No.-

        본고는 당대 사회를 뒤흔들었던 사건을 취재한 記事 중 독특한 특징을 지닌 茶山 丁若鏞의 기사와 명말청 초의 인물인 毛奇齡의 기사를 비교․검토하여 각각의 양상과 그 보편적 의미를 규명하였다. 이는 아직 그 면면이 확인되지 않은 기사의 총체적 면모와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준비 작업의 일환이다. 중국의 경 우와 비교․검토를 한 것은 우리나라 기사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을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 모기령의 인물기사는 주로 당대의 전란을 통과하면서 드러난 인물의 충효열을 기록한 작품이 중심을 이 루고 있다. 또한, 작품 속에 사건에 대한 의론이 개진되는 경우가 드물고, 사건 그 자체를 곁가지 없이 있 는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다산의 기사에는 자신이 겪은 ‘辛酉邪獄’과 그로인해 파생된 사건을 통해 알게 된 인물들의 이야기가 담 겨있는데, 여기에는 모두 ‘모함’과 ‘무고’, ‘억울함’이 관통하고 있다. 또한 사건 그 자체보다는 사건이 일 어나게 된 원인에 무게중심을 싣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인생을 바꿔놓은 사건을 재조명하여 그 이 면을 드러내고 있다. 두 경우 모두 서사․서술적 측면에서 변화의 양상이 감지되는 당대 기사의 흐름에서 ‘사건 전달’이라는 기 사의 본래적 특성에 충실하여 자기시대의 사회적 이슈에서 파생된 사건들을 즉사적으로 기록하였고, 의 론이 드러나지 않는 작품이 대부분이라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그러나 모기령은 작가에게 있어 직접적일 수도 있지만 간접적으로도 볼 수 있는 ‘전란’이라는 경험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다산은 자신이 직접 겪은 일에서 양산된 일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또한 모기령은 단순히 사건을 전달하는 데 목적을 둔 데 반해, 다산은 사건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내․외부의 구분 없이 ‘기사’ 장르라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보면, 두 경우 모두 사건을 객관적으로 전달 한다는 목적 아래 기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자신의 입지를 지켜내고자 하는 인간 본능이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국경을 초월한, 기사의 보편적인 양상 중 하나로 읽혀진다. The thesis performs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writings on the incidents that jolted the contemporary society, particularly the distinctive ones by Jeong Yak-yong whose pen name was Dasan and those by Mao Qiling who lived in the late period of Ming Dynasty and in the early period of Qing Dynasty, and elucidates their aspects. And this is intended to grasp the total configur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which the details have yet to be verified. The comparative examination with the Chinese case is designed to ensure a more objective view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the incidents that took place in Korea. The historical writings by Mao Qiling focused on featuring the loyalty to the monarch and to parents that revealed itself through the contemporary wartime upheavals. Also, opinions were rarely presented on incidents in the writings, while a factual description of the incidents was provided. Dasan's historical writings include details about Shinyu Saok ('Heresy Case in Shinyu Year of 1801') that he experienced and personages that he came to know through the incidents derived from it, and they are pierced by 'slander', 'false accusation', and 'distress from innocence'. Furthermore, the center of gravity is placed not on the incident itself but on its cause, through which new light was brought on the incident that entirely changed his life, to reveal its hidden side. Both authorships are vivid recordings of incidents that derived from respective contemporary social issues and include writings mos of which don't reveal opinions. On the other hand, while Mao Qiling's writings were backgrounded by his experience of 'wartime upheavals' which could b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author, Jeong Yak-yong wrote about things that proliferated from what he was personally involved in. Furthermore, while Mao's purpose lay in presenting incidents, Jeong put his focus on narrating his case by revealing incidents. Accordingly, their descriptions are seen as diverging.

      • KCI등재

        특집 : 다산학(茶山學)의 경학적 원류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점사(占辭) 해석(解釋) 연구(硏究) -주희(朱熹), 모기령(毛奇齡), 정약용(丁若鏞)을 중심으로

        김영우 ( Young Woo Kim ) 한국실학학회 2011 한국실학연구 Vol.0 No.21

        『春秋左氏傳』에 나오는 관점(官占) 사례는 『주역』의 해석 방법을 밝히는 데 중요한 경전적 전거가 된다. 주희, 모기령, 정약용 세 사람은 모두 『주역』의 기원을 점서(占筮)에 있다고 파악하고, 『춘추좌씨전』의 관점 사례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주희는 『춘추좌씨전』을 근거로 ``변하는 효[變占]가 발생했을 때 점을 어떻게 판단하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해명하여 이를 『역학계몽』에 수록하였다. 모기령은『춘추점서서(春秋占筮書)』라는 독립 저술을 남길 정도로 관점 사례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그는 이 책에서 변점(變占)의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주역』의 괘효사가 이역(移易)의 원리에 의해 편집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그는 『주역』은 주대의 문왕이 추이(推移)의 방법에 의해 새롭게 편집한 책이라는 관점에서 주희의 변점(變占)에 대해 비판한다. 정약용은 『춘추좌씨전』의 관점(官占) 사례에서 그의 독창적 역학 이론인 효변(爻變)을 체계화할 계기를 마련한다. 정약용은 모기령의 추이를 수용하지만, 효사의 해석에 있어서는 추이와는 별도로 효변을 적용하여 해석해야 한다는 원칙론을 수립한다. 효변이야말로 정약용 역 해석의 가장 특징적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서(卜筮)로서의 『주역』과 경서(經書)로서의 『주역』의 의미를 포괄하고자 했던 다산 역학의 성격을 대표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xample official divination (guan dian 官占) in Spring and Autumn Period Annals with Commentary of Zuo (SACZ, hereafter)is equipped of a significant referential value in understanding divination signs in The Changes of the Zhou. Zhu Xi recovered the ways to determine the divination signs when there emerges changes in line statement (yaoci) based on SACZ, and thereby stated in his book Englihtenment in Study of Changes (易學啓蒙). The reason for such a recovery started from the belief that The Changes of the Zhou should be interpreted from its origin. Mao Qiling (毛奇齡), while acknowledging the origin of the Changes starts from the actual practice of prediction bu shi (卜筮), still criticized Zhu Xi`s theory of bian zhan (變占)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King Wen of Zhou dynasty who newly edited The Changes of the Zhou via tui yi (推移). Tasan Chong Yag-yong adopts Mao`s method of tui yi on the one hand, while arguing for additional application of changes of line ao bian (爻變). Here, Tasan does not see the line ao as referring to one line of a divination (trigram), but understands that a change in one line transforms the whole divination into another one. Tasan is thus proposing, through the new findings in SACZ, the unique method of interpreting the line statement of The Changes of the Zhou in a consistent way.

      • KCI등재

        정약용의 점서적 역학관 연구: 주희와 모기령 비교

        신원봉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4 다산학 Vol.- No.25

        Zhu Xi(朱熹) Mao Qiling(毛奇齡) and Cheong Yagyong(丁若鏞)hold the perspective that Zhouyi(The Changes of the Zhou) is a book ondivination in common. As this perspective is not often seen in the historyof Zhouyi’s thoughts, this study have emerged it as a new fl ow ofthough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ach other. For this, in ChapterII,the background of thoughts for which this perspective is establishedwas watched for. And in ChapterIII, the way of reading for Zhouyiestablished by them was watched for. And in ChapterIV, the concretecontents of divination established by them was watched for. The backgroun of Zhu Xi’s view of divination was Neo-Confucianism. From a actual perspective, he recognized that Zhouyi is a book ondivination, and expanding the principle of nature applied in divinationhe tried it to graft onto his metaphysical theory. In this course, Zhu Xiaccepted taoist’s natual perspective of Zhouyi on a grand scale. But inthe view of Mao Qiling, Zhu Xi’s study of Zhouyi was not traditional Confucianism. So, Mao Qiling tried to reestablish the original featureof Confucian Zhouyi. For this purpose, he tried to reinterpret Zhouyithrough his own ‘Five Theory for Zhouyi(五易說)’. Cheong Yagyongalso thought that Zhouyi should recover it’s original feature. But differentfrom Mao Qiling, he tried to establish coherence theory of divinationfor Zhouyi throughout the theory of ‘Five Theory for Zhouyi’. The view on Zhouyi they developed in the perspective of divination,advanced more concrete method by Cheong Yagyong. The eye-openingprogressive method by Cheong Yagyong was two aspect. The one wasnew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hang on to string to represent thethird”<掛一以象三>. And the other was that the number of Yaobian(爻變)is only one. This original view for Zhouyi can be estimated to open aNew Horizon. 주희, 모기령, 정약용은 모두 『주역』이 점서占書였다는 관점을 공유했다. 이 관점은 역학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주장을 서로 비교해 하나의 새로운 사상적 흐름으로 부각시켜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들 점서관占筮觀이 정립된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이들에 의해 새롭게 정립된 『주역』의 독법讀法을, 그리고 4장에서는 이들이 발전시킨 점서법占筮法의 구체적 내용에대해 살펴보았다. 주희 점서관의 사상적 배경은 성리학이었다. 주희는 실사구시적 측면에서 『주역』이 점서임을 확인했고, 아울러 점서적 측면에 활용된 자연의 이치를 확충해 그의 이학理學과 접목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주희는도가의 자연역自然易을 대거 수용했다. 그러나 모기령이 볼 때 주희의역학은 정통의 유가 역학이 아니었다. 모기령은 복서卜筮를 통해 유가역儒家易의 원래 모습을 재현하려 했고, 자신의 ‘오역설五易說’로 『주역』을새롭게 재해석하려 했다. 정약용 역시 『주역』이 유가역의 본래면목을회복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모기령과는 달리 효변설爻變說의 체계로써 정합적整合的인 점서관의 체계를 확립하고자 했다. 이들이 발전시킨 점서적 역학관은 정약용에 의해 구체적 점서법으로 발전되었다. 정약용에 의해 정립된 점서법의 내용 중 괄목할 만한 것은 두 가지 측면이었다. 하나는 「계사전」 설시법揲蓍法의 내용 중 “하나 를 걸어 삼재三才를 상징한다[掛一以象三]”라는 구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었다. 아울러 정약용은 각 책策에는 각기 다른 괘명卦名과 괘획卦畫이새겨져 있었다는 주장을 근거로 변효變爻의 개수가 오직 하나밖에 없다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는데, 이 견해는 역학사의 새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 KCI등재

        청대 여시인 서소화(徐昭華)의 『서도강시(徐都講詩)』 제재(題材) 고찰

        윤혜지 ( Yun Hye-ji ) 중국학연구회 2021 中國學硏究 Vol.- No.95

        이 논문은 청대 여시인 徐昭華의 작품집 『徐都講詩』의 題材를 고찰한 논문이다. 서소화는 자신의 문학적 재능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힘으로 명성을 얻은 여성 시인으로, 청대 경학자 毛奇齡을 스승으로 삼은 최초의 여제자이기도 하다. 그녀의 시작품은 규방을 넘어서는 인생에 대한 통찰과 六朝體의 문학창작으로 당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남겨진 작품은 120수 정도로 그 중 『徐都講詩』에 그녀의 시 82수가 남아 있다. 『徐都講詩』은 스승 모기령의 문집 『西河集』뒤에 실려 있는데, 그녀의 초기 시를 수록하고 있다. 양호한 가정환경에서 전문적으로 詩를 배우고, 스승까지 두었던 여성작가의 출현은 중국 여성시의 성숙을 보여줄 뿐 아니라 본격적인 여성시문학의 출현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그 가치가 있다. 『徐都講詩』의 제재는 크게 擬古, 思親懷友, 遊覽, 閨怨, 詠史 5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의고시를 통해 서소화가 六朝體를 학습했던 흔적을 엿볼 수 있고, 사친회우시를 통해 청초기 여성들의 시창작 문화와 외부세계와의 소통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유람시는 서소화의 체험적 시상을 반영해 작가의 창작상의 즐거움과 시야의 확대를 느낄 수 있고, 규원시는 규원을 촉발시키는 자연경관과 상념에 대한 면밀한 묘사로 규원의 현실성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영사시에서는 여성 인물을 노래하면서 더 많은 일반여성들의 삶과 감정을 반영해 서소화의 공감적 사고와 발전적 여성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studied miscellaneous subjects of 『Xu du jiang shi』, the works of Xu Zhaohua who was a poetess in the Qing Dynasty. Xu Zhaohua was a poetess who gained fame on her own based on her literary talent and first female student of Mao Qiling, a scholar of classical studies in the Qing Dynasty. Her poetical compositions received high praise at the time by her insight into her life and creation of literature beyond women’s quarters. She had left about 120 poems. Among them, her 82 poems were left in 『Xu du jiang shi』. Appearance of the poetess who learned writing poems professionally and had her teachers in good home environment is valuable as a signal that women appeared in poetic literature in earnest as well as it shows mature of poems by Chinese women. The miscellaneous subjects are largely divided into 5 subjects. Nigu poems (擬古詩) has found that Xu Zhaohua learned Regular script of Liuchao style(六朝體) as the trace. Women’s culture of creating poems and aspec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orld can be observed in the early Qing Dynasty through Siqinhuaiyou poems (思親懷友詩). And Xu Zhaohua’s joy of creation and expansion of perspective can be found from sightseeing poems(遊覽詩) by reflecting her experiential poetic concepts. And for Guiyuan poems (閨怨詩), reality of boudoir lament was added by describing natural landscape and thought that triggered it. Finally, Xu Zhaohua’s empathic thought and developmental view of womanhood could be found in poems on history(詠史詩) as she sang about women and reflected more general women’s lives and feelings in them.

      • KCI등재

        정약용의 『상서(尙書)』 백편 이해

        김문식 ( Moon Sik Kim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본고는 정약용이 1834년에 작성한 『상서고훈(尙書古訓)』 「상서서(尙書序)」에 나타나는 『상서』 백편에 대한 이해 방식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약용의 『상서』 연구는 유배기와 해배기로 구분할 수 있다. 유배기의 연구는 『매시서평(梅氏書平)』 『고훈수략(古訓蒐略)』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으로 나타나는데, 『상서』 백편의 서문인 「서서(書序)」에 대한 연구는 경문(經文)이 전해지는 58편의 서문과 고훈(古訓)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간략하게 밝히는 수준이었다. 해배기의 연구는 『상서고훈』 「상서서」로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는 『상서』 백편의 서문 전체와 그 고훈을 모았다. 정약용이 이용한 자료에는 유교 경전과 한대 학자인 정현(鄭玄)의 주석,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청대 학자인 모기령(毛奇齡)과 염약거(閻若據)의 연구와 자신의 저작인 『매씨서평』과 『상서지원록』의 성과가 반영되었다. 정약용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상서』 백편의 순서를 바로잡고, 매색(梅穡)을 비롯한 후대 학자들이 원문을 변개(變改)한 부분을 일일이 찾아서 논증했다. 정약용은 『상서』 연구를 통해 공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서서」의 원형을 복원하고, 고훈을 통해 그 의미를 밝히려 하였는데, 특히 옛 기록의 원형을 찾아 복원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약용은 『상서』 연구의 목적을 옛 것을 제대로 알아 현실에 적용시키는데 두었는데, 이는 경학 연구를 통해 유교 경전에 나타나는 경세학의 이념과 모범적 해결 방안을 찾아내는 방식이었다. 필자는 정약용이 「상서서」를 연구한 목적도 이와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Classic of History) 100 Chapters appeared in Shangshuguxun(Classic of History`s Old Commentary). Jeong`s research of Shangshu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one is the time he was exiled to Gangjin area, he gathered old commentaries of Shangshu 58 chapters handed down until today and made a brief mentions of his opinion. The second one is the time after coming back to his hometown, he gathered old commentaries of the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totally. His data came from Han and Tang Dynasty`s commentaries to Qing dynasty`s commentary and his own book. Jeong, Yakyong corrected the order of Shangshu 100 Chapters and made clear the texts of preface one by one which were changed by the younger scholar like Meize. Jeong did his best to restore the original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an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preface. Jeong, Yakyong`s prospect of studying Shangshu was to know ancient system accurately and to apply the system to the real life. When Jeong studied the confucian classics, he made efforts to discover the idea or the solution which could solve the real problems. I think Jeong`s prospect of studying the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was the sa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