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실기업의 배당과 미래 재무보고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박종일,김수인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손실기업에서의 현금배당이 미래 재무보고의 질에 대한 신호 정보를 제공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앞서의 관계가 시장유형, 정보비대칭 수준, 손실지속성 여부에 따라 다른지도 알아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t년의 배당과 t+1년 또는 t+2년의 미래 재무보고의 질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재무보고의 질 측정치로 두 가지를 이용하였다. 하나는 Hutton et al.(2009) 및 전규안과 박종일(2017)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재무보고의 불투명성(FRQ1)이고, 다른 하나는 Dechow and Dichev(2002) 및 Francis et al.(2005)의 발생액의 질(FRQ2)이다. 이들 변수 모두는 3년의 다기간으로 측정된 잔차의 시계열적 변동성이 고려된 측정치이다. 또한 FRQ1 또는 FRQ2 값이 작을수록(클수록) 재무보고의 질은 높은(낮은) 것으로 해석된다. 분석기간은 관심변수(종속변수)를 기준으로 2002년부터 2014년까지(2003년부터 2016년까지)이고,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의 상장기업 중 손실기업을 대상으로 FRQ1(FRQ2)의 최종표본은 3,960(3,294)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되었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실기업의 당기 배당지급은 FRQ1, FRQ2로 측정된 미래 재무보고의 질과 모두 유의한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손실기업에서 당기 배당을 지급한 경우가 무배당기업에 비해 미래 재무보고의 질이 더 높다는 결과이다. 둘째, 전체표본을 다시 시장유형(KOSPI vs. KOSDAQ)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면 앞서 FRQ1의 결과는 주로 KOSDAQ 표본에 기인한 반면에, 앞서 FRQ2의 결과는 제한된 증거만이 나타났다. 또한 정보비대칭 수준 또는 손실지속성 여부에 따라 표본을 나누어 분석하면 정보비대칭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일 때, 또한 손실지속성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일 때 더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앞서의 결과가 시장유형, 정보비대칭 수준, 그리고 손실지속성 여부에 따라 차별적인 반응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추가분석에 따르면 손실기업에서 5년간 연속배당의 지급여부는 종속변수(FRQ1, FRQ2)에 대해 유의한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손실기업에서 배당에 연속성이 있을 때 무배당이나 비연속적으로 배당을 실시한 경우보다 미래 재무보고의 질이 더 높음을 시사한다. 또한 시장유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면 앞서의 결과는 주로 KOSDAQ 표본에 기인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손실기업에서 배당지급이 미래 높은 재무보고의 질을 예측하는데 있어 신호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이러한 정보는 시장유형, 정보비대칭 정도, 손실지속성여부에 따라 차별적 반응이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손실기업의 당기 배당과 미래 재무보고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한 처음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손실기업의 배당지급 상태가 기업의 미래 재무보고의 질에 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는 본 연구의 발견은 학계에 추가적인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손실기업에 대한 연구가 전반적으로 미미한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는 자본시장의 투자자, 실무계 및 규제기관에게도 손실기업의 배당이 향후 재무보고의 질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한 이해에 유용한 시사점을 더불어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dividend payments of loss firms on futur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Specifically, we examine whether dividend paying status in the loss firms provides information about future high-quality financial reporting. In addition, we examines the effect of dividend payments of loss firms on future high-quality financial reporting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market type (KOSPI vs. KOSDAQ samples), whether the degree of levels information asymmetry, and whether loss persistence. Whether firms signal future prospects through dividend payments has been a source of debate and research in the finance literature since the early papers by Lintner (1956) and Miller and Modigliani (1961). Despite considerable research, the debate over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dividend-signaling hypothesis remains alive in the literature. Meanwhile, prior research on the side of accounting and dividend suggests that dividends provide information about earnings quality (e.g., Skinner and Soltes 2011; Tong and Miao 2011; Caskey and Hanlon 2013; Lee et al. 2005; Kim et al. 2012; Ruoo and Jeon 2015; Kim et al. 2016; Cha and Kim 2016; Park and Jung 2017 etc.). And also prior study shows that the information effect of dividends on the persistence of earnings is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signs of cooperates’ reported earnings (Lee and Lee 2007). Further, prior study examines whether the effect of earnings quality measure such as accrual quality on dividend payments of loss firms, her find that loss firms with high accruals quality are more like to pay dividend (Nam 2016). However, there is no prior literature on the relation between dividends by loss firms and futur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s not as well known. Therefore, we test the dividend-signaling hypothesis that the dividend policy of loss firms would signal the high-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about future. To test this hypothesis, we employ both financial reporting opacity and accruals quality as measures of th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hereafter FRQ). The first proxy is financial reporting opacity (hereafter FRQ1) calculated using both Hutton et al. (2009) and Jeon and Park (2017) methods. The second proxies are based on the mapping of current accruals onto lagged, current, and future cash flows using both Dechow and Dichev (2002) and Francis et al. (2005) models of accruals quality (hereafter FRQ2). For analysis, following Hutton et al. (2009) and Jeon and Park (2016) as well as Francis et al. (2005), this study measures about futur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FRQ1 or FRQ2) as the three-years moving sum of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where discretionary accruals (DA) are estimated by the modified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like as Hutton et al. (2009) methods or the three years standard deviation of both DA and AQ as Jeon and Park (2017) and Francis et al. (2005). To test hypothesis, we also employ the association between dividend paying status of loss firm with respect to year t and future FRQ with respect to year t+1 or t+2. Our sample of loss observations covers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in non-financial industries based on the interest variable from 2002 to 2014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 from 2003 to (up to) 2016), thus we use 3,960 (3,294) firm-year observations by the FRQ1 (FRQ2) samples from 2002 to 2014 in Korean Stock Market.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after controlling for several factors that affect financial reporting quality, we find that the coefficient on the dummy variable for dividend paying status of loss firms is significantly negative for all about future FRQ1 and FRQ2 proxies. That is, compared to non-dividend payers, loss firms with the dividend payers have higher high-quality financial reporting in the t+1 or t+2 years. Thus, this implies that dividend paying with loss firms’ futur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re higher than non-dividend paying wi...

      • KCI우수등재

        배당지급 손실기업의 이익의 질에 대한 연구

        남혜정(교신저자) ( Hye Jeong Nam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학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당기순손실을 보고한 기업을 대상으로 이익의 질이 배당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배당의사결정은 기업의 경영성과를 주주들에게 배분하고 미래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점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손실기 업임에도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들은 이익기업과 달리 배당의사결정에 있어 상대적인 비용과 혜택이 다를 것이다. 특히 경영성과인 이익이 배당의 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감안하면(Lintner 1956), 손실기업은 이익자체보다는 이익의 질이 중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즉, 기업의 현재의 성과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경영자는 우수한 이익의 질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이를 시장에 알리기 위해 배당을 결정할 것으로 예측하였다.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손실기업을 대상으로 배당의사결정에 이익의 질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익의 질은 Dechow and Dichev(2002)와 Francis etal.(2005)의 발생액모형을 이용하여 발생액의 질을 측정하였으며, 더불어 양의 영업이익더미를 함께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손실기업에 있어, 발생액의 질이 우수할수록 배당을 지급하는 경향이 높았다. 또한, 양의 영업이익을 보고한 기업일수록 배당을 지급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손실기업의 경우 이익의 질이 우수한 기업일수록 배당을 통하여 미래성과에 대한 정보를 시장에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당기순손실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한 분석, 영업이익의 지속성에 따른 분석, 전년도 손실여부에 따른분석, 손실크기에 따른 분석, K-IFRS도입 이전기간만을 이용한 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대체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손실기업의 배당의사결정에 발생액의 질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실증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손실기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배당행태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손실기업의 배당의사결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투자자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투자자인 자본시장 참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손실기업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손실기업에 대한 관련 연구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손실기업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계 및 유관기관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earnings quality on dividend payments of loss firms. Decision on dividend payout is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 decisions in terms of signaling about a firm’s future performance and distributing a firm’s performance to shareholders. However. even loss firms that report a negative earnings pay dividend to shareholders and the number of loss firms with dividend payout increases over time. When it comes to the costs and benefits of dividend payout, loss firms have different incentives compared to profit firms. Taking on the notion that a firm’s positive earnings is the main factor of dividend payout(Lintner 1956) into consideration, earnings itself does not a main factor for loss firm. This paper expects that earnings quality rather than earnings itself is a influential factor for loss firm in dividend policy. Joo and Plesko(2004) documents that the effect of dividend signaling is greater for loss firms with negative cash flow than loss firms with positive cash flow. Skinner and Soltes(2011) repor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ion of special items on loss and dividend payout, suggesting that temporary loss is not a signal to stop dividend payout. According to prior studies, loss firms that have a incentive to signal a firm’s internal information are more likely to pay dividend and their bad performances are relatively temporary. To test the effect of earnings quality on dividend payments of loss firms, we use 5,128 observations from 2002 to 2013 in Korean Stock Market.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o test the effect of earnings quality on dividend payout of loss firms. We predict that loss firms with high earnings quality are more likely to pay dividend. Earnings quality is measured by accruals quality from Dechow and Dichev(2002) and Francis et al.(2005)’s model. Accruals quality is a standard deviation from each model and denote AQ1 from DD‘s model and AQ2 from Francis et al.(2005). We use accruals quality as a proxy for earnings quality because accruals volatility is a superior proxy among other proxies such as persistence, smoothness, predictability, and so on in accruals accounting (Francis et al. 2005). We also use a dummy variable that 1 if a firm reports a positive operating income, otherwise 0. This proxy may capture whether loss firms with a positive operating income are more likely to pay dividend or not. Even though a firm reports a negative earnings, when earnings from regular and usual activities are positive, the firm expects that this negative earning does not persist and then decides dividend payout. We find that loss firms with high accruals quality are more like to pay dividend compared to loss firms with low accruals quality. And firms with positive operating income are more likely to pay divide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ven firms report a negative earnings, firms with high level of earnings quality tend to pay dividend and signal a firm’s future performance. As robustness tests, we perform analyses with alternative variable of operating income and observations with pre-K-IFRS(Korea adopted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doption. We also examine the effect of level of negative earnings and find that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negative earnings and high earnings quality are more likely to pay dividend while the group with low level of negative earnings and high earnings quality are less likely to pay dividend. In sum, our results indicate that earnings qual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dividend payout of loss firms.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re is little study about loss firms and the proportion of loss firm in the economy increase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ividend decision of loss firms. And the findings of this paper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dividend and loss firms by providing empirical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lso provide an important implication and valuable insights for accounting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regulators who are interested in business decision of loss firms. This study is subject to certain limitations, Although the analyses reported in this study controls many variables that affect dividend payout, it is possible that omitted variables that we are not considered may exist. However, this problem is inevitable in empirical studies. Future studies may wish to consider this issue in more detail.

      • KCI우수등재

        관계회사 내부거래가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관계회사 상호간 이익실현과 손실발생 기업에 대한 감사인의 차별적 반응

        박종일(제1저자) ( Jong Il Park ),백혜원(교신저자) ( Hyewon Paik ),전홍민(공동저자) ( Hongmin Chu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관계회사 상호간의 내부거래에 따른 매출수익과 매입비용 간의 차이 정보가 감사인의 감사보수 책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관계회사 상호간 내부거래로부터 발생된 정보 중 자사 입장에서의 이익이 실현된 기업과 손실이 발생된 기업에 따라 감사인이 감사보수 책정시 차별적인 반응을 보이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회사 내부거래에 대한 감사인의 반응이 감사인 규모별(Big 4 감사인여부)로, 시장별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더불어 살펴보았다.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아직까지 관계기업의 내부거래와 감사인의 반응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관계회사 내부거래로부터 발생된 거래규모가 클수록 재량적 발생액이 증가하거나 주식시장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김지홍과 우용상 2008). 그런데 이전 국내연구들은 대부분이 관계회사의 매출과 매입뿐만 아니라 기타수익과 기타비용 모두를 단순 합산한 측정치를 이용한 거래규모 측면에서 접근하였다.(김지홍과 우용상 2008, 2009; 최원욱 등 2011 등). 이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손익 접근에 따라 관계회사 간의 내부거래로부터 발생된 매출수익과 매입비용 간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자사에게 유리하게 이익이 실현된 기업과 불리하게 손실이 발생된 기업에 대한 감사인의 반응이 다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기간 2002년부터 2010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 중 이용가능 했던 최종표본 11,441개 기업/연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보수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관계회사의 매입비용보다 관계회사의 매출수익이 높은 기업(이익실현 기업)은 그렇지 않은경우와 비교할 때 감사인의 감사보수가 할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계회사의 매입비용보다 관계회사의 매출수익이 낮은 기업(손실발생 기업)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때 감사보수가 할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사인은 관계회사의 매출수익에서 매입비용을 차감한 손익분기점에 따라 감사위험을 달리 평가한 후 이를 감사보수 책정에 체계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계회사 간 내부거래에서 이익실현 기업과 손실발생 기업에따라 감사인은 차별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발견이다. 둘째, 전체표본을 다시 Big 4와 non-Big 4 감사인으로 나누어 분석하면, 앞서 감사인의 차별적인 반응은 주로 Big 4 감사인에 기인한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표본을 KOSPI와 KOSDAQ 표본으로 나눈 후 다시 Big 4 감사인 여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앞서의 연구결과는 주로 KOSPI 기업을 감사하는 Big 4 감사인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추가분석에 따르면 매출액대비 관계회사의 매출수익에서 매입비용을 차감한 측정치뿐 아니라 매출액 대비 관계회사의 매출수익과 매입비용을 합계한 측정치 모두 감사보수에 대해 유의한 양(+)의 관계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사인은 관계회사 내부거래로부터 발생된 손익분기점에 대한각각의 정보뿐만 아니라, 이들 손익의 비율 및 거래규모의 총액 정보와 관련해서도 감사위험으로 인지한 후 이를 감사보수에 반영한다는 결과이다. 그러나 앞서의 결과는 주로 대형회계법인(Big 4)이 감사한 경우만 감사위험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결과는 관계기업 상호간 내부거래로부터 발생된 매출수익과 매입비용에 따른 손익여부에 따라 감사인은 감사위험을 달리 평가한 후 이를 감사보수 책정에 차별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감사인의 이러한 차별적인 반응의 결과는 주로 Big 4 감사인 여부와 KOSPI와 KOSDAQ 시장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본 연구의 발견은 학술적으로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관계회사 내부거래로부터 발생된 거래규모의 합계로 측정된 총액 외에도 순액 정보 역시 정보가치가 있음을 감사인의 반응을 통해 제시하고 있어 새로운 시각의 정보를 전달해 준다는 점에서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재무제표의 신뢰성 제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외부감사인이 관계기업의 내부거래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와 관련한 이해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연구의 발견은 학계, 실무계 및 회계기준 제정기관뿐만 아니라 최근 일감 몰아주기에 관심있는 규제당국에게도 유익한 시사점을더불어 제공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related party transactions affect auditor``s decision on audit fee. We classify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in our sample into two broad categories: transactions that are likely to results in a profit to the listed firms, and transactions that are likely to result in a loss to the listed firms.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and auditor``s decision on audit fee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a Big 4 audit firm or not, and KOSPI or KOSDAQ market. In companies with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controlling shareholders can expropriate wealth from minority shareholders in many ways. For example, they can extract cash by selling assets, goods, or services to the company through self-dealing transactions; they can obtain loans on preferential term; they can transfer assets from the listed company to other companies under their control; and they can dilute the interests of minority shareholders by acquiring additional shares at a preferential price (Johnson et al. 2000; Cheung et al. 2006). Prior studies about KOSPI listed firms report that the firms with related party transactions increase discretionary accruals, showing that related party transactions are used as a way of earnings management in Korea (Kim and Woo 2008). Kim and Woo (2008) also find that the market reacts negatively on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Most of the current literature, however, has attempted to measure the size of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simply, adding up sales, purchases, and miscellaneous incomes and expenses from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Kim and Woo 2008, 2009; Choi et al. 2011). Our paper is differentiated with prior studies in that, with a viewpoint of profit and loss, we divide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into two types, transactions that are likely to benefit the listed firms, and the transactions that do harm to the listed firms. We define ``profit firms`` if the sales and miscellaneous income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 are larger than the purchas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We also define ``loss firms`` if the sales and miscellaneous income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 are smaller than the purchases and miscellaneous expenses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The purpose of our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auditors show a differentiated response on firms with profit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and firms with losse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when they consider audit fees. In order to measure auditors`` response, we use audit fees of audit firms. All information about audit fees, sales, miscellaneous incomes, purchas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from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are obtained via TS2000 database. Our observations are based on 11,441 firm-year data, selected from both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for nine years (2002 to 2010).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s. First, we find that auditors want premium audit fees for firms whose sales and miscellaneous income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are larger than the purchas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Our results are same even after we control a certain variable that might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audit fees. For instances, receiving cash assistance might be bad news for auditors since controlling shareholders might choose to prop up firms in periods of financial crisis. On the other hand, we report that audit fees are discounted if sales and miscellaneous income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are smaller than the purchas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Since controlling shareholders might extract wealth in periods when the economy is stable, auditors might consider less audit risks for firms with loss from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Accordingly, our results show that auditors estimate audit risks depending on the profit and loss point, resulting that they have differentiated response on deciding audit fees. Second, our results of auditor``s differentiated response on profit firms and loss firm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are mainly for Big 4 audit firms. Furthermore, when we divide our samples into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we find consistent results for KOSPI firms whose auditors are one of Big 4 audit firms. Third,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auditors reflect audit risks on their audit fees depending on profit and loss point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We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profit and miscellaneous incomes, and loss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to classify our firms into profit firm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and loss firms from related party transactions. Thus, our results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such as Kim and Woo (2008), focusing on the size of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by adding sales, purchases, and miscellaneous incomes and expenses from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Moreover, while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value of firms if the firms have related party transactions, our paper is almost first to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auditor``s response on audit fee and related party transactions. Finally, according to the additional analysis, we fin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audit fees and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measu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profit and miscellaneous incomes and loss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divided by total sales. We also report that there i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audit fees and the total size of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divided by total sales. Our results suggest that auditors tend to decide the audit fees after they consider not only total size of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but also the profit or loss point from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and the rate of profit and loss as the audit risk. However, these results are mainly for Big 4 audit firms. Our paper contributes to a literature on related party transactions, in that not only the size of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used for prior studies, but also the profit and loss from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could be an informative measure in a capital market. In addition, our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to understand external auditors how they apply information about related party transaction, which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s. Therefore, our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to not only investors and creditors but also regulators who are interested in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 KCI등재

        손실기업의 재무적 특성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민철(Kim Min Choul),김요한(Kim Yeo Hwa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6

        회계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 연구에서 회계이익과 기업가치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고된 것에 비하여 손실기업에 대해서는 Hayn(1995)의 연구이후 회계손실정보와 기업가치 간에 관련성이 없다는 것이 결론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손실기업에 대해서도 기업의 재무적 특성에 따라 회계이익정보와 기업가치 간에 관련성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들이 최근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상장기업 중 손실기업을 대상으로 그들의 재무적 특성에 따라 회계이익정보와 기업가치 간에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사용된 기업재무특성변수로는 손실지속성과 부실가능성, 성장성의 세가지 변수이다. 이 들 변수를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손실지속성과 부실가능성에서는 관련성을 찾지 못하였고 성장성에서는 손실기업이라고 하더라도 회계이익정보와 기업가치 간에 양의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손실기업의 회계이익정보가 기업가치와 무관하다고 주장된데 대하여 손실기업의 특성에 따라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relevance of firm value and accounting earnings according to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loss firms. Hayn(1995) argues the low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of loss firms as evidence that losses are less informative than profits about firms’ future prospects. However, Joos and Plesko(2005) find that investors do not consider losses to be homogeneous, but consider the causes and nature of the loss to assess its long-term implications for firm value. So, we hypothesize that investors value a loss differently by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loss firms. To test the hypothesis, we use three financial variables that are loss persistence. financial distress and growth rate. And the sample consist of 728 manufacturing loss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over ten-year period (2003-2012). We find that investors don"t respond to the magnitude of loss persistence and financial distress. However, when the growth rate of firms is high, investors respond to the accounting earnings. Thus, investors do not consider losses to be homogeneous, but consider the causes and nature of the loss to assess its long-term implications for firm value.

      • KCI등재

        비상장기업의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를 위한 이익조정 활동

        박종일,백혜원 韓國公認會計士會 201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urgstahler and Dichev(1997, 이하 B&D)의 연구에서 제시된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의 기업들이 목표이익기준 달성을 위하여 재량적 발생액과 실제 이익조정 중 주로 어떤 수단을 이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인 최종서와 곽영민(2010)에서는 비상장 중소기업이 적자회피와 이익감소회피 구간에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재량적 발생액 또는 실제 이익조정과 각각 양(+)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이 연구는 모형설정상에 역의 관계를 통해 분석되고 있어 두 변수 간의 관계만을 살펴보았다. 이와 달리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의 이익조정 수단인 재량적 발생액과 실제 이익조정 중 어떤 수단을 보다 선호하여 목표이익기준인 적자회피 또는 이익감소회피를 달성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기업(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은 B&D와 같이 횡단면적 불연속성 이익분포(이익수준 및 이익변동) 특성을 이용하여 구간을 설정하였고, 재량적 발생액은 Kothari et al.(2005)의 방법을, 실제 이익조정은 Roychowdhury(2006)의 모형식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이고, 금융업을 제외한 이용가능 했던 최종표본 40,362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회피 구간의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비교할 때 재량적 발생액 보다는 주로 실제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목표이익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자회피 기업들은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제 이익조정인 비정상 영업현금흐름, 비정상 생산원가 및 비정상 재량적 지출 모두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이익감소회피 구간의 기업들도 역시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비교할 때 재량적 발생액 보다는 주로 실제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목표이익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익감소회피 기업들은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제 이익조정 중 비정상 생산원가나 비정상 재량적 지출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두 분석결과는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구간을 좁게 혹은 넓게 설정한 경우에서도 대체로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이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 보다는 미래 기업의 경영성과에 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실제 이익조정 수단을 주로 이용하여 적자회피나 이익감소회피를 위한 목표이익을 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기존 선행연구의 주장과 달리 본 연구결과는 비상장기업에서 목표이익기준을 달성하는데 있어 두 이익조정 수단이 모두 이용되고 있기 보다는 실제 이익조정 수단이 더 선호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발견은 이익조정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익조정에 관심 있는 학계 외에도 실무계, 회계기준 제정기관 및 규제기관에게 비상장기업들이 목표이익에 근접된 이익을 보고하기 위하여 어떤 수단의 이익조정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이해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한 시사점을 더불어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private firms in Korea us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Managers have incentives to manipulate accruals as well as real activities during the year to meet certain earnings targets. Unlike accrual management,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affects cash flows and in some cases, accruals. Specially,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can reduce firm value because actions taken in the current period to increase earning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cash flows in future periods (Roychowdhury 2006; Cohen and Zarowin 2010 etc). Burgstahler and Dichev (1997) classify firms that show small positive earnings (small earnings increases) on the basis whether they avoid losses (earnings decreases) by a narrow margin because such small beaters are suspected of managerial intervention by accrual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After Burgstahler and Dichev (1997), most studies observe firms that meet or slightly beat zero earnings threshold to indirectly examine whether managers manage their earnings through accrual-based or real earnings management. However, much of the current research on earnings management focuses on “detecting” abnormal accruals or abnormal real activities. Choi and Kwak (2010) report that suspected non-listed firms that slightly achieve earnings benchmarks tend to manage earning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as well as real activities devices, such as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s,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discretionary expenditures. They provide some limited evidence on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of non-listed firm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non-listed firms with small positive earnings or small positive earnings increases always use both accrual-based and real manage earnings to achieve earnings benchmark. Therefore, our study examines whether managers’ behavior to us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affect the probability to include the small positive earnings and small earnings increases interval. Following Burgstahler and Dichev (1997), we find unusually high frequencies of small positive earnings (small earnings increases) in cross-sectional distribution of earnings level (earnings changes) and define as suspected firms whose managers might manage their earning. Burgstahler and Dichev (1997) document that firms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mostly to avoid losses or earnings decreases, thus increasing the incidence of producing the small positive earnings and the small earnings increases. In order to measur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we estimate discretionary accruals by using the performance matched model by Kothari et al. (2005). Similar to Roychowdhury (2006), we estimate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s,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selling and administrative expenses to measure real earnings management. Our observations are based on 40,362 firm-year data, selected from non-listed firms in Korea, for six years (2003 to 2008).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we find that the suspected firms whose managers might manage their earnings to avoid losses prefer to use real earnings management rather than to us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Our results are same even after we control a certain variable that might affect earnings management. We also report the suspected firms that manage earnings to avoid losses use real earnings managements such as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s,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discretionary expenditures. Second, we find that the suspected firms whose managers might manage their earnings to avoid earnings decreases prefer to use real earnings management, usually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discretionary expenditures, rather than to us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We find the consistent results after we redefine the suspected interval by a narrow or wide section. Finally,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non-listed firms in Korea tend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by using usually real earnings management rather than using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even though the real earnings management might cause a negative effect on their business performance in future periods. Thus, our results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such as Choi and Kwak (2010), showing that non-listed firms use both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Our paper contributes to a literature on earnings management for non-listed firms, the majority of which concentrate mainly on real earnings management to meet earnings goals (e.g. to avoid a loss or to avoid an earnings decrease). Our findings that managers for non-listed firms in Korea prefer to use real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imply that managers focus on their short-term achievement rather than on activities to increase firm value in a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our findings provide an important implications to not only investors and creditors but also regulators who are interested in managers’ behavior in non-listed firms.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area can also apply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for the related studies.

      • KCI등재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결손금 공제기한의 정보효과를 중심으로-

        최원욱,임현지,강민조 한국세무학회 2019 세무학 연구 Vol.36 No.1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ax loss carryforward on firms’market value using the sample that consists of Korean firms listed in the KOSPI market from 2002 to 2014.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e three folds. First, we devide the entire sample period into two parts representing before and after the extension of statutory tax loss carryforward period, and examine whether the capital market reacts to the policy change in positive or negative manner. Second, we find the positive information effect of imminent loss carryforward with respect to the expiration of deductibility among the firms with loss carryforward. Overall, we discover both the existence and magnitude of loss carryforward have a negative impact on firm value. The result implies that investors assess the value relevance of tax loss carryforward in terms of the negative aspect concerning the increased risk of expected earnings rather than the positive aspect concerning increased expected cash flows from tax savings. Moreover, the subsequent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period extension shows that after 2009, tax loss carryforward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firm value.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oss carryforward and firm value have been found in the sample before 2009. The findings suggest that negative information effect contained in tax loss carryforward is enhanc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piration period. Furthermore, we provide evidence corroborating the negative effect of the remaining period by showing the positive linkage between imminent loss carryforward and firm value among the firms with loss carryforward.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capital market systematically asses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ax loss carryforward with respect to the increased risk of expected earnings in determining firm value. Our empirical results support that investor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negative information conveyed by tax loss carryforward that might lessen the managers’effort to realize sufficient taxable income that can be offset against tax loss carryforward. In other words, facing imminent loss carryforward, managers are expected to exert higher effort in order to avoid the opportunity cost of tax savings. The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ior literature in its novel approach to the information effect of tax loss carryforward focusing on the trade-off between tax savings and agency cost. We attempt to provide implications by illuminating the effect of the extension of loss carryforward period in the viewpoint of market response to the change in tax policy. 이 연구는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유무 및 규모가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첫째, 결손금 공제기한이 연장된 전후 기간을 구분하여 세무상 공제기한이 연장되었다는 사실을 자본시장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둘째,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존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공제기한이 임박한 이월결손금을 보유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그동안 제대로 연구되지 않은 결손금의 잔여 공제기한에 따른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정보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존재 및 규모는 기업가치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은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미래 기대현금흐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비하여 이익실현의 불확실성이라는 부정적 평가가 더욱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세무상 이월결손금 공제기한이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된 전후 기간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2009년 이후에서 강한 음(-)의 영향을 나타났으나, 2009년 이전에서는 유의적인 관련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월결손금 공제기한이 확대로 인하여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잔여공제기한이 더욱 늘어남으로써 미래 이익실현의 불확실성에 대한 자본시장의 부정적인 평가가 강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제기한이 임박한 결손금은 기업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이는 공제기한이 임박한 세무상 이월결손금을 보유하는 경우 기한 내 이익을 실현시킬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기업가치 평가에 체계적으로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즉, 투자자들이 공제기한이 임박하지 않은 세무상 이월결손금을 보유하는 경우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절세효과를 실현할 가능성이 개선된다는 긍정적인 측면보다, 경영자들의 기한 내 이익실현 유인이 약해진다는 부정적인 측면에 보다 주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정보효과를 절세효과와 실현가능성의 상충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가진다. 또한 세무상 이월결손금 공제기한 연장의 정책효과를 자본시장의 반응이라는 측면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유용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회계처리방법별 연구개발집약도 수준에 따른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이익보고기업과 손실보고기업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현아,박선영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경영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difference in valuation between profit and loss firms that invest in R&D expenditure. Mo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 that expensed versus capitalized R&D expenditure differently affects valuation. Our sample consists of firm-year observation of KOSPI and KOSDAQ manufacturing firms between 2000 and 2016, and final sample is 13,256 firm-year observations. Our empirical analyses are largely consistent with our hypotheses.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book-value are greater for profit firm than for loss firm in the expensed- R&D intensity top-quintil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ms of this group are not stereotypical loss firms that report losses due to financial distress, their losses result from conservative accounting treatment of R&D(Hayn, 1995; Ciftci and Darrough, 2015). And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book-value are greater for loss firm than for profit firm in the capitalized-R&D intensity all group. This findings suggest that loss firms that invest heavily in capitalized R&D are likely to be ‘real’ loss firms unlike R&D intensive firms that report losses due to conservative accounting treatment. Consequently, we hypothesize that loss firms that invest heavily in capitalized R&D expenditure will be valued based on the book-value. That is, for high capitalized-R&D loss firms, book value will have more prominence in valuation and is more likely to make up for the low value relevance of earnings that for profit firms.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complement prior literature on the valuation of accounting treatment of R&D expenditure.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지출 회계처리 및 집약도 수준에 따라 이익보고기업과 손실보고기업간의 회계정보 가치관련성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비용화된 연구개발집약도가 높은 그룹에서는 손실보고기업의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이 이익기업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비용화된 연구개발집약도가 높은 그룹의 손실보고기업의 손실은 경영악화로 나타나는 진정한 손실이라기 보다는 연구개발지출에 대한 회계처리로 인하여 발생한 손실로 판단하기 때문에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이 낮게 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Hayn, 1995; Ciftci and Darrough, 2015). 자본화된 연구개발집약도 수준으로 분류한 결과, 모든 연구개발집약도 수준에서 이익보고기업보다 손실보고기업의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자본화된 연구개발집약도가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사이에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화된 연구개발집약도가 높은 손실보고기업은 연구개발지출로 적자를 회피할 수 없는, 회계 보수적 편의가 없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본화된 연구개발집약도가 높은 적자보고기업은 진정한 손실보고기업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곧 손실보고기업은 장부가치로 가치평가된다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지출 회계처리로 구분한 연구개발지출수준에 따른 이익보고기업과 손실보고기업의 가치평가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개발지출의 회계처리에 따라 이익보고기업과 손실보고기업의 회계정보 가치평가에 차이가 있다는 본 연구결과는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평가 시 연구개발지출에 대한 비용화 여부뿐만 아니라 연구개발집약도 수준에 따른 회계처리방식을 고려해야 정확한 회계정보의 가치평가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개발지출에 대한 회계적 편의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 투자자들은 경제적 실질을 바르게 판단하여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기업 손실 분석

        김형순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0 No.2

        회계기준제정기관과 회계전문가들이 꾸준히 노력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회계이익(손실) 정보의 유용성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실을 보고하는 기업의 경우에 투자자는 손실정보를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익을 보고하는 기업의 경우처럼 주가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손실기업이 증가하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은 감소하며, 기업 손실은 연구개발비의 비용처리와 같은 보수주의 회계처리가 원인이라는 지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업 손실의 원인을 보수주의 회계처리 이외에 기업규모, 거시경제적 흐름, 영업활동현금흐름 등으로 확장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영업발생액으로 측정된 보수주의적 회계처리 이외에 국내총생산의 변화로 측정된 거시경제적 흐름은 기업 손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소규모 기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소규모 기업은 상대적으로 손실을 보고하는 빈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규모 기업이 손실을 보고하는 빈도가 높은 것은 사업이 다각화 되어 있지 않아 이익의 변동성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In spite of efforts by accounting standard setting bodies and accounting specialist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has diminished. When firms report losses investors do not regard the losses as permanent and do not reflect the losses monotonically to the firms' share prices. Therefore, if the number of loss firms incre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loss) and value of firms decreases. It is noted that one of the reasons of accounting losses is conservative accounting practices such as reporting R&D costs as current period's expenses. In addition to accounting conservatism,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ccounting and non-accounting factors such as firm size, macro-economic trend, cash flows from operating activities to accounting losses. The results present that macro-economic trend and the percentage of small firm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nnual percentage of firm losses. Especially it is found that as the number of small size firms in the stock market increases as the percentage of loss firms also increases. Small firms are less diversified in their operating segments, more volatile in their earnings and thus are more likely to report losses.

      • KCI등재

        재무상태와 보수주의가 손실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민철(Kim Min-choul)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치가 기업의 재무상태와 보수주의에 따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손실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흑자가 발생한 기업에 비하여 보고이익과 기업가치 간에 관련성이 낮다고 주장되었다. 기업이 손실을 보고할 경우 이러한 정보는 향후 이 기업에 낮은 수익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정보로 활용되어 투자자로 하여금 청산옵션(abandonment option)을 선택하게 할 수 있는 정보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투자자들이 손실정보에 대하여 모두 동일하게 판단하지 않고 손실의 원인과 속성에 따라 기업의 가치에 대한 장기적인 의미를 생각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이 재무변수에 따라 손실기업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하여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재무변수로 재무상태와 보수주의를 이용하였다. 표본기업은 한국증권거래소에 2008-2013년까지 상장된 539개의 손실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초 표본은 665개 기업이었지만 자료추출가능성, 결산월, 관리종목배제 등을 고려하여 126개 기업이 제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들이 재무상태 측면에서는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가진 기업일수록 기업가치와 음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수주의 측면에서는 보수주의가 강할수록 역시 기업가치와 음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보수주의 정도가 기업가치와 관련성을 갖는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채택하는 하는 증거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손실의 가치를 동질적으로 판단하지는 않는다는 증거를 추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손실이라는 정보가 투자자들에게 포기옵션을 선택하게 하는 지표인지 아니면 그 이상의 정보를 고려하는지를 평가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relevance of firm value and accounting loss according to the financial position and conservatism. Prior researches argue the low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of loss firms as evidence that losses are less informative than profits about future prospects. Losses represent a case where current earnings signal that future earnings will be low enough to make the abandonment option attractive. However other researches publish that investors do not consider losses to be homogeneous and the causes and nature of the loss to assess its long term implications for firm value. So, I hypothesize that they appraise it differently by financial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I use two variables that financial position and conservatism. And the sample consist of 539 loss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2008-2013 from KISVALUE program. The initial samples are 665 firms but we exclude 126 firms with financial business, issues for administration, non fiscal year in December, missing data observations. I find that investors respond to the magnitude of good financial position and high conservatism and exist the minus relevance of firm value and accounting earnings according to the financial position and conservatism of loss firms. In the result, this paper extend that investors do not consider losses to be homogeneous on the pricing of losses. In assessing whether a loss is a good indicator of the likelihood of exercising the abandonment option, investors consider information beyond loss earnings.

      • KCI우수등재

        The Effect of Loss and Gain Firms’ Dividend Payout on Trading Volume

        Hyun Uk Jung(정현욱) 한국경영학회 2020 經營學硏究 Vol.49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ividend payments on trading volume of loss and gain firms. In this study,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studying 5,963 firms (firms - years) listed on the securities market in 2002-2013 are as follows. The trading volume of a loss firm that does not pay dividends is higher than the trading volume of a gain firm that does not. The trading volume of a loss firm that does not pay dividends is higher than the trading volume of a loss firm that provides divid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rms that pay dividends, even if they are loss firms, are experiencing high earnings quality, which reduces trust among investors. However, the analysis of only the firms paying dividends showed no relationship between loss and trading volume. In other words, if the sample is limited to firms that pay dividends, the loss is unrelated to the trading volume. In this sens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ofitability of individual firms in analyzing the information effect of dividends. This study also adds to what is known about using trading volume for information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