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여부에 따른 노인의 사회참여 격차 추이와 결정요인

        조한라,김준수,여영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노년기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노년기의 사회참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간주되어, 이를 위한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장애여부에 따른 사회참여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노인의 사회참여 인프라의 효과성이 장애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의 3개년도 자료(2010, 2012, 2014)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각 년도 별 t-test를 통해 장애여부에 따른 사회참여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장애/비장애 비표준화 회귀계수치의 년도 별 변화를 통해 노인의 장애여부에 따른 사회참여 영향력의 격차 추이를 살펴보았다. 셋째, 2010년에서 2014년까지의 자료를 통합하여 사회참여 결정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비장애 노인이 장애노인에 비해 사회참여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 노인의 사회참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장애여부에 따른 사회참여 영향력의 격차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용돈, 종교, 주관적 건강상태, ADL 장애여부 등이 사회참여의 결정요인으로 확인되었다. With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mong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 the old age, social participation is regarded as a key factor, and various infrastructures focused on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have been constr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se infrastructures through examining the changes of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disability status of elderly people. To do this,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ree waves(2010, 2012, 2014) of the KLoSA data. First,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disability through each year t-test. Second, we examined the year gap in the degree of no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by regression analysis. Third, we confirmed the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by integrating data from 2010 to 201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elderly who did not have disability showed higher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than the disabled elderly. Howeve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has increased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gap in social participation influence due to disability gradually decreased. Monthly average allowance, relig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DL disability were identified as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관한 증험적(Evidence-Based) 정책설계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강소랑 ( Sorang Kang ),문상호 ( Sangho Moon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2

        본 연구는 중·고령자 계층의 삶의 질 보전에 관한 증험적(evidence-based) 정책설계의 필요성을 인지함으로써 출발하였다. 다양한 고령화 정책영역 중 중·고령자들의 삶의 질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제 정책영역 간 인과경로를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제2차(2008)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에 수록된 중·고령자 8,68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최종적 내생변수인 ``삶의 질``에 유의하고 직접적인 정(+)의 효과를 미친 정책영역은 ``소득 및 자산``, ``사회활동``, ``건강상태`` 순인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매개변인인 ``건강상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정책영역으로는 ``사회활동``이 유일하였다. 총효과 분석결과, 중·고령자의 ``사회활동``이 ``삶의 질``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총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득 및 자산``은 ``삶의 질``에 가장 크고 유의한 정(+)의 직접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 하였다. ``건강상태``는 매개적 정책영역으로서 ``삶의 질``에 유의한 정(+)의 직접효과를 나타내었다. ``경제활동 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직·간접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증험적 정책설계는 다음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한다. 첫째, 중·고령자 계층의 삶의 질에 관한 고령화 정책설계로서 사회활동 진흥정책, 소득보장정책, 고용증진정책의 순으로 정책우선순위가 고려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이들 세 정책영역을 ``삶의 질`` 향상으로 연결시키는 매개적 정책영역으로서 포괄적이고 적극적인 중·고령자 건강증진정책이 뒷받침 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vidence-based policy design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elderly and elderly population over 45. It aimed to understand the causal paths between policy areas which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population under study among various areas of aging policies. In total, 8,688 of the sample population were selected from the second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s Model (SEM), the policy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were 'income and asset', 'social activities' and 'health condition.' Meanwhile, the policy areas tha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health conditions' was the 'social activities'. In the result of analyzing total effects,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middle and the aged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plus total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directly and indirectly. Even though 'income and asset' showed the biggest significant positive and direc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its in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mediating policy area, the 'health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 effect of 'the condition of economic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s. The evidence-based policy design of this study draws two conclusions as below. First, it is suggested that policy priority orde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order of social activity promotional policy, income guarantee policy and employment improvement policy. Second, it is suggested that comprehensive and active health improvement policy for the elderly should be followed as a mediating policy tool for connecting three other policy area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 KCI등재

        Determinants of General Health Check-up among Older Adults in Korea - A Longitudinal Analysis Using the 1st~5th Wave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

        Yun Kyung Ju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고령사회에서 노인들을 규칙적으로 건강검진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은 노인 집단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주요한 정책적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당한 숫자의 노인들이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지 않고 있는 반면, 노인의 특성이 건강검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의 1~5 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n=1,886) 노인의 특성이 건강보험공단의 일반건강검진 참여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보았다. 확률효과 패널로짓모델 결과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가구소득, 거주 지역, 건강보험 가입형태, 일상생활 활동수행 장애,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검진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제도적으로 보장된 기본적인 건강검진에서 소외될 수 있는 노인들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Providing older adults with routine health screening is an important health care policy in many aging societies including Korea. Howeve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older adults do not participate in health screening, but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ir participation in screening is not well know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s for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national health screening using the 1-5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data (n=1,886). Screening participation tends to increase across the study waves, while panel logit models indicated that screening take-up varies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household income, living area, type of health insurance, functional disability, and self-rated health. The results suggest increasing efforts of outreach for older adults who are at a greater risk of missing health screening.

      • KCI등재후보

        중고령자의 활동참여요인 : 고령화연구 패널조사를 바탕으로

        김아람(Kim, Ah-Ram)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0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2 No.1

        목적 : 대규모 종단자료인 고령화연구 패널조사(KLoSA) 자료를 활용하여 2006-2018년의 연령별 및 시간 변화에 따른 국내 중고령자의 활동 참여의 변화를 파악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참여의 영향요인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6-2018년 고령화연구 패널조사(KLoSA)의 원자료 중 개인적 요인(성별, 연령, 종교, 거주 지역, 학력, 주관적 건강), 라이프스타일(음주, 흡연, 규칙적 운동), 정서 기능(우울, 삶의 만족도), 참여(빈도, 다양성)로 분류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2006-2018년 동안 시간의 변화에 따라 살펴보면 전 연령에서 참여빈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종교, 거주 지역, 규칙적 운동, 주관적 건강, 우울, 삶의 만족도였다. 참여 다양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종교, 거주 지역, 학력, 음주, 규칙적 운동, 주관적 건강, 우울, 삶의 만족도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민들의 참여빈도와 참여다양성에 관한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여 참여빈도와 참여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참여 영향요인 조사 및 참여를 목표로 하는 임상현장 및 연구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Objective : Using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of the middle and older adults in Korea due to changes in age and time between 2006-2018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m, thus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Methods : From the raw data of the 2006-2018 KLoSA, personal factors (gender, age, religion, residential area, educational level, subjective health), lifestyle (drinking, smoking, regular exercise), emotional function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frequency, diversity) were classified before undergo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was correlated with gender, age, religion, residential area, regular exercise,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Participation diversity was correlated with gender, age, residential area, educational background, drinking, regular exercise,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 The factors related to the frequency and diversity of participation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This study’s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useful data for clinical sites and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and participating in participation impact factors.

      • KCI등재

        여성노인의 우울 영향요인

        고정은(Jung Eun Ko),이선혜(Sun Hae Lee)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8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빈곤집단과 비빈곤집단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차이가 다양한 소득기준에 따른 구분에서도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제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우울의 인과관계 모형을 구축하고,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KLoSA) 제1차 기본조사 자료 중 60세 이상 여성노인 2,340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모든 소득기준에서 빈곤집단은 비빈곤 집단보다 우울 유병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주관적 건강상태는 모든 여성노인의 우울증감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빈곤집단에서는 건강상태, 종교, 유배우자, 자녀관계 순으로 우울 가능성 감소 효과가, 지인만남은 우울 가능성 증가 효과가 있었던 반면, 비빈곤집단에서는 건강상태, 유배우자, 사회참여, 자녀관계 순으로 감소 효과가, 만성질환수는 증가 효과가 있었다. 논의와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과 함께 여성노인의 하위집단 특성에 따른 차별적 우울예방의 방향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female older adults and compare the result between the poor and the non-poor subgroups;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presented upon different poverty lines applied. The data on 2,340 female adults of 60 years of age and over were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e analyse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poverty line applied, the percentage of people with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or than in the non-poor. Th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health status had the most effect on depression. Among the poor, the factors identified to reduce the odds of being depressed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religion, spouse, and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relatives and friends increased the odds. Among the non-poor, the factors reducing the odds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spouse, social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number of chronic disease increased the odds of being depressed. These results were then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to apply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the subgroups of the female elderly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년기 사회참여의 변화특성 연구: 변화수준과 이질적 변화유형

        최경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n overall look at characteristics of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by longitudinal analysis and to estimate the trajectories of the change in social participation level. This study has adopted the panel data,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ve 1 to wave 3, in which a total of 5,286 respondents born before 1952 were surveyed. For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latent growth model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ave been applied, while the person-centered approach has used k-means clustering based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results by average trajectories of change in the social participation showed that intercept level was very low, and there was no large movement yet slope has decreased linearly as time passed. Second, as an analysis of different types of trajectories in the social participation four types of trajectories were drawn, and it was able to confirm that different group consist in the change. This study shows that should be adequate consideration regarding levels and types of the change on social participation in elderly interven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proposed that interventions to concrete focus group which excluded from social participation and to focus on the 'individual' elderly with a variety of needs. 본 연구는 노년기 사회참여의 특성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위해 종단적으로 접근하였으며, 그 변화궤적을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적인 변화수준을 도출하는 관찰변수 중심적 접근과 개인의 다양한 질적인 차이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어 차별적인 변화수준을 유형화하는 관찰대상 중심적 접근의 두 가지 측면에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KLoSA)의 1, 2, 3차년도의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분석대상은 1952년 이전 출생한 노인 5,286명이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을 통한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M)과 K-평균 군집분석(K-means clustering)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노년기 사회참여의 평균적인 변화수준은 초기수준이 매우 낮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를 통해 노인의 사회참여 수준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으로써 사회로부터 분리되는 한국사회의 추세를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이질적인 변화유형을 추정해본 결과, 4개 유형이 도출되어 변화정도가 다양한 차별적인 집단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 개입에 있어 사회참여 변화의 수준과 유형에 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이전의 활동능력에 대한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다양한 욕구를 가진 ‘개별노인’을 고려한 지원의 필요성과 더불어 사회참여에서 배제된 표적집단을 구체화하는 접근을 제안하였다.

      • 노인의 사회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지기능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

        권주연(Ju yeon Kwon),이수진(Su jin Lee)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22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매개 효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한국고용정보원 고령화연구패널 (KLoSA) 8차(2020년) 조사에서 서울지역 65세 이상 노인 4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버전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활동은 우울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활동은 인지기능에 우울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인지기능은 우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며, 넷째, 노인의 사회활동과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은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인 우울 감소를 위한 사회활동과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it'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5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in Seoul in the 8th (2020) survey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Aging Research Panel (KLoSA).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earch hypothesis with SPSS version 22.0 for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on cognitive function. Thir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Fourth, it was found that cognitive function play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plans were presented to improve social activities and cognitive functions to reduce depression in the elderly.

      • KCI등재

        한국노인의 낙상경험이 사망에 미친 영향

        염지혜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falling affects mortality rates on older Korean adults after considering demographic and health related factors. Data from Wave 1 (2006) to Wave 4 (2012)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ere utilized. Participants in Wave 1 were aged 65 and over. All variables from Wave 1 were applied, except for the dependent variable, the deceased, from Waves 2, 3, and 4. The quantity of falling incidents as a time dependent variable also came from Wave 1 to Wave 4 data. The total number of cases was 3,917. The deceased numbered 611. Since the variables considered were death, survival, and survival time, a time-dependent Cox regression model was employ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iming of falls and death. The result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death disappears after controlling factors related to demographics and health. This regression model further demonstrates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at if the time-dependent experience of falling increases by 1, then the hazard ratio for death increases 15 times. A fall itself does not affect death, but accumulated falls over time significantly affect death. By educating the community on how the elderly can live healthier lives, such as eating a balanced diet to prevent them from becoming underweight, aged people may be able to survive longer. In turn, lifestyle changes along with education can decrease the hazard ratio for death. More importantly, once older adults fall, they should be cared for until complete recovery to impede additional falls.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적으로 축적된 낙상 경험이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건강상태를 통제했을 때 한국노인의 사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LoSA) 2006년 1차부터 2012년 4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6년 1차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추출하였으며 2차에서 4차까지의 사망패널 611명을 포함, 총 3,917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시간의존적 콕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령, 성별,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 암, 뇌졸중, 체질량 지수에 따라 생존과 사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만을 통제했을 때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망 위험률비는 높아졌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사망 위험률비는 낮아졌다. 셋째, 시간의존적 변수인 낙상경험이 시간에 따라 증가할수록 17배 사망위험률비가 높아졌다. 넷째, 건강상태와 관련된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도 낙상경험에 따른 사망위험률비는 약 15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교육의 사망에 대한 영향은 사라졌다. 암과 뇌혈관계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과 저체중인 사람이 표준체중인 사람보다 사망 위험률비가 높았다. 지역사회에서 암, 뇌졸중 등에 대한 예방교육과 저체중을 방지하는 교육을 통해 낙상경험과 사망위험을 낮출 필요가 있으며 한 번의 단발성 낙상에 대해서도 후속치료를 잘 하여 낙상이 반복되지 않도록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은영(Eunyoung Cho),황윤선(Younsun Hw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를 이용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이면서 K-MMSE 24점 이상인 노인 중 1차~5차 조사까지 모두 참여한 1,147명에 대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인지기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노인 인지기능의 변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기능의 출발 시점에서의 영향요인은 성별과 교육수준이었으나, 출발 시점 이후 시간의 변화에 따라 인지기능 변화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은 청력과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들을 통해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감소를 예방할 수 있는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able factors influenced the cognitive change of the older adult living in the community by using the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research. This study was analyzed by latent growth curve model of 1,147 people aged over 65 who participated in all the 1st to 5th study among the elderly with a K-MMSE score of 24 point or higher according to KLoSA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gnitive of the elderly decreased over tim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ve change in the elderly seems to be cause by gender and education level at the start point of cognitive. But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change over time from the starting point were the hearing and education level. Various interventions are needed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through predictable factors that can affect to the elderly cognitive.

      • KCI등재

        중 · 고령층 고용변화 추이와 고용안정성이 탈빈곤에 미치는 영향

        강성호(Sung-Ho Kang),조준용(Joon-Yong J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를 활용하여 중‧고령층의 연령대에 따른 고용변화 특성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고용안정성의 탈빈곤 효과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의 중‧고령층은 조기퇴직 등으로 인해 50대 중반 이후 급격한 고용불안을 경험하며, 이후 재취업이 어려워 향후 노후소득보장 측면에서 위험이 큰 집단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중‧고령층의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으며, 고령일수록 고용상 지위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짓분석을 활용하여 중‧고령층이 인지하는 고용안정성이 탈빈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의 고령자보다 조기퇴직이 시작되는 55세 전후에서 경험하는 고용안정성이 가져오는 탈빈곤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퇴직 전에 충분한 노후준비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단계적인 정년 연장, 중‧고령층에 대한 일자리 대책, 부처간 사업의 통합 및 일관성 확보, 연령 및 특성에 맞춘 맞춤형 고용-복지 연계제도의 도입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ses labor transi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Korea utiliz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en it estimates the effects of perceived job stability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on poverty exit based on the age group simulation. The outcomes suggest that mid-50s and over are highly vulnerable to early retirement and they suffer from unstable employment and low possibility of re-employment. The logit analysis that simulates the effects of perceived job stability on poverty exit shows that mid-50s are more likely to get off the poverty than 65 and over when they have stable jobs. These implies that labor market policies should be designed in a tailor-made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age group and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progressive labor policy measures that extends retirement age, that provides with job opportunities to middle-age and elderly, and that links employment and welfare under the umbrella of income security plan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