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줄리아 언어를 이용한 고성능 해양모델의 개발

        권민선,김종구,KWON, MIN-SUN,KIM, JONG GU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2

        고성능 해양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적시 컴파일(Just-In-Time) 언어인 줄리아 언어를 사용하였고, 운동량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연속완화법으로 푸아송 방정식을 푸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줄리아 계산 코드를 시험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첫 번째로, 일정한 유량의 생성/소멸(source/sink) 조건을 시험하기 위해 단순한 수로 형태를 모델링하였고, 두 번째로, 조석 외력(tidal forcing) 및 전향력(Coriolis force), 난류확산계수로 인한 효과 등을 시험하기 위해 황해(Yellow Sea)를 단순화하여 모델링하였다. 모델은 두 가지 시나리오 안에서 총 8개의 실험안으로 테스트되었다. 테스트 결과, 시나리오 1에서 3가지 실험안의 수심 평균된 유속은 이론 값에 완벽하게 수렴하였고, 해저마찰로 인한 수직적 유속 구배를 잘 보여주었다. 또한 시나리오 2에서는 황해의 무조점과 우리나라 서해 중부와 남부 연안의 조석 특성을 잘 재현하였고, 전향력과 수직 난류확산계수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잘 보여주었다. 따라서, 줄리아 언어를 이용한 해양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성공하였다고 판단되며, 이는 해양모델이 고전적인 컴파일 언어에서 적시 컴파일 언어로 성공적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오게 됐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order to develop a high performance ocean model, we used Julia, a Just-In-Time compile language, and to obtain the solution of the momentum equation, we made the code to solve the Poisson equation by the Successive Over-Relaxation method. And then we made two models to test Julia calculation codes. First, a simple channel form is modeled to test constant source/sink conditions. Second, the simplified Yellow Sea was modeled to test tidal forcing, Coriolis forces, and the effect of vertical eddy diffusivity coefficients. The model has been tested with a total of eight cases in the two scenarios. As a result of the test, the depth-averaged current speed of the three cases in Scenario 1 converged perfectly to the theoretical value, and that showed well a vertical flow velocity gradient due to the bottom friction. Also, the result of Scenario 2 represented well the amphidromic points of Yellow Sea and the tidal characteristics of mid-western and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ocean model using Julia language has developed successfully, this suggests that the ocean model has come to the stage of successful transition from a classical compile language to a Just-In-Time compile language.

      • “What Transplant to Dispel upon” : The Utterance as Poetic Language in Theresa Hak Kyung Cha’s Dictée

        Wonjae Kim Ewha Institute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2019 Journal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Vol.17 No.1

        Theresa Hak Kyung Cha’s Dictée (1982) is widely known for avant-garde experimental writing, which causes a zealous controversy in academic discourse between postmodernism and Asian-American discourse. Since Cha’s reflections on language, history, and myth are fragmented and disjunctive, this heteroglossia text provides readers diverse clashes, namely, clashes between English and French, national history and personal history, letters and images, lyric and epic et al. Precisely because of these clashes, the text defies the traditional notion of genre and writing, making readers perplexed and challenging to approach and interpret the text. In other words, the text rejects to be identified in a singular identity and leaves heterogeneous space,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text is difficult to be located solely in experimentalism or Asian-American discourse. For both of experimental, postmodern and Asian-American discourses, the text has been approached mainly focusing on the first half of the text, which is a collage of excerpts and images of historical figures—Guan Soon Yu, Hyung Soon Huo, Joan of Arc and St. Thérèse of Lisieux. However, the majority of researches fail to read the text’s juxtaposition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latter part of the text, since the latter part is almost inaccessible because of the inexplicable forms and contents. In conjunction with Julia Kristeva’s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and other essays, I argue that Cha’s artistic text unsettles rigidified, fixed and ideological language system with Cha’s own poetic language. In order to do so, I focus on Cha’s poetic utterances in Dictée, expressed in both the first half and the latter part of the book. Cha’s repetitive poetic utterances are a sound that wishes to find a home, and they wish to recuperate matrilineal language. With this poetic utterance, Cha’s writing records the multiple self(s) over the rigidity and fixity of ideological language and history by resisting to be contained in particular language and history that are deeply entrenched in an ideological discourse.

      • KCI등재

        Baby Lazarus: Listening to the Rebirths in “Lady Lazarus”

        이재훈 ( Jaehoon Lee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20 미국학 Vol.43 No.2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rebirths narrated in Sylvia Plath’s “Lady Lazarus.” While the previous readings of the poem have regarded the speaker’s rebirth as a single event,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its plurality and the underlying problem of language and sound by listening to the poet’s own reading of the poem. I argue first that the sound structure of the poem can be characterized by the poet’s unique employment of vowel sounds. Drawing upon Plath’s another poem entitled “Morning Song” and Julia Kristeva’s concept of the chora, I contend that the poet’s vowels signal her desire for regression to the pre-Oedipal space where sound and body are in direct contact without the interference of language. It is my conclusion that the rebirths in “Lady Lazarus” dramatize the poet’s ongoing struggle to bypass the symbolic language in order to make her body heard.

      • 허수경의 시에 나타난 고고학적 상상력의 시적 언어

        강수원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2 미래문화 Vol.0 No.5

        허수경의 시에서 고고학적 상상력의 시적 언어는 다른 시인들의 작품들과뚜렷하게 구별되는 특징이 된다. 이는 허수경이 고고학자로서의 체험과 더불어 여성이면서 서정적 시인이라는 정체성이 혼재되어 형성된 독특한 시적 언어 양상이다. 먼저, 허수경은 선형적·합리적·객관적 성격의 상징적 언어 양식의 작품들을 선보인다. 이는 고고학자로서의 유적 발굴 현장의 직접적 경험과 도서관에서의 문헌 조사 혹은 일상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고고학적 상상력의 시적 언어 양태이다. 반면, 허수경은 원형적·정서적·주관적 성격의 기호학적 언어 양식의 작품들도 동시에 내보인다. 이는 고고학적 경험에서 파생된 주관적인 인식이나정서적인 분위기를 작품에 형상화해 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시적 언어는 거대 담론인 전쟁과 폭력에 대한 거부를 서정적으로 표출하여 시적 미학성을 획득하거나, 혹은 원형적인 시간관에서 발로한 허무 의식의 정서를 주관적으로 재현해낸다. 이러한 고고학적 상상력의 시적 언어의 혼재 양상은 결국 허수경이 어느한 영역에 속하지 않으면서 자유로운 형태의 언어 양식을 구현하여 ‘해방된사람’이 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허수경이 고고학자와 시인이라는 주체 탐색의 과정에서 자신을 가장 자신답게 드러내기 위해 선택한 언어양태로서, ‘불가능의 변증법’으로 명명되는 노력의 과정이며, 모성적 희열과 부성적인 힘 사이의 ‘영원한 소외“에 참여하려는 선택의 결과로 볼 수 있다. In Heo Soo-kyeong’s poetry, the poetic language of archaeological imagination becomes an apparently distinguished characteristic from the works of other poets. This is a distinct poetic language pattern formed by Heo Soo-kyeong’s experience as an archaeologist and her identity as female and lyrical poet. First, Heo Soo-kyeong presents works of symbolic language styles with linear, rational, and objective characteristics. This is an aspect of poetic language of archaeological imagination revealed in the process of her direct experience of excavation sites as an archaeologist and literature research in the library or in her daily life. On the other hand, Heo Soo-kyeong simultaneously shows works of semiotic language styles with circular, sentimental,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is is the way of embodying subjective perception or sentimental atmosphere derived from archaeological experience in the work. Poetic language in this way lyrically expresses rejection of war and violence, which is a huge discourse, to acquire poetic aesthetics, or reproduces sentiment of nihilism revealed from a circular view of time. These mixed poetic language aspect of archaeological imagniation can eventually be seen as Heo Soo-kyeong’s endeavor to become a ‘liberated person’ by embodying free form of poetic language, not belonging to any one area. Furthermore, this is a language style that Heo Soo-kyeong chose to reveal herself most in the course of exploring the subject as an archaeologist and a poet, an effort called ‘impossible dialectic’, and can be seen as a result of her choice to engage herself in ‘eternal alienation’ between maternal ecstasy and paternal power.

      • KCI등재
      • KCI등재

        메리 켈리의 〈산후 기록〉에서 나타나는 ‘여성으로서 글쓰기’

        김지현(Kim, Ji Hyun)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4 No.-

        본고에서는 라캉의 영향을 받은 메리 켈리의 대표 작품인 〈산후기록〉(1973-1979)을 2세대 페미니즘 이론을 대표하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언어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크리스테바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프랑스 페미니스트 이론가로, 여성의 신체적·모성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언어적 실천을 제시하고 억압되고 주변화 되어있던 여성의 ‘언어’에 대한 사유를 펼친다. 켈리는 라캉의 이론과 정신분석학 페미니스트의 이론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예술가로, 작품에서 여성의 신체와 언어를 활용한다. 켈리는 남성 중심의 체제 속에서 여성의 위치를 규명하고 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여성성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며 사회적으로 확장시킨다. 더 나아가, 남근의 언어가 아닌 새로운 언어를 제시한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크리스테바가 제시한 의미생성과정 속에 있는 기호계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켈리의 〈산후기록〉을 분석하고, 켈리의 〈산후기록〉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개인적이고 자전적인 신체적 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회적이고 담론적인 영역으로 확장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크리스테바가 말하는 모성적이고 여성적인 언어가 메리 켈리의 작품을 통해 나타난다는 사실을 주장하고자 한다. 즉, 본 고는 켈리의 작품이 크리스테바가 주장하는 의미생성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었음을 확인하고, 여성으로서 글을 쓰는 여성적 글쓰기로서 여성의 언어를 구현하는 방식이라는 사실을 지적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신분석학적 이론이 당대 페미니즘미술에 미친 영향 및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켈리의 작업이 ‘타자’로서 위치 지어지던 여성의 위치를 수정하고 여성적인 경험을 사회적으로 언어화한 ‘여성적 몸의 쓰기’의 사례로서 이해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Around 1940, in his late 30s, Oh Chiho (1905-1982) worked ceaselessly to find his own style, and he also researched art theories to support his works. After reaching Claude Monet’s impressionist painting following academicism, he approached a very different painting style in the 1940s. He began to initiate an sensitive and emotional work, rather than visual facts and color harmony. He tried to make his paintings that empathizes with objects and further integrates the vital energy of objects. This approach to the style can be proved already in his “Pure Painting Theory 1938” and “Science of Beauty and Painting 1940”. ‘Emphathy’ which was explained as ‘sympathizing to objects’ and ‘pleasure to be filled by mutual supplementation’. He applied it to his work. He represented the beauty combining the vital energy of objects using this empathy. We could entitle his original style of painting obtained through this development of a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research, a “Emotional Color Figuration”. When the modernism is limited to Abstract painting style, Oh chiho will be only an outmoded follower of the French Impressionist style. But his works are more appropriate to be included in modernism. And he was modernist, not impression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