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재산권의 담보활용방안

        최경환(Choi Kyung Hwan),이기용(Lee Ki Yo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성균관법학 Vol.19 No.2

          In 21C, it would be said that monetary circul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in our society. In addition, so ar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is context, circulation of money wit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also considered significant. Nevertheless, in reality, it"s real property that has mainly been thought of as security, that"s why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s security for a loan is looked upon as atypical.<BR>  However, our society is now driven and urged by necessity of application of them as security. And as for establishment of a pledge right on copyright, patent and ot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re are particular articles in Copyright Act, Patent Act and etc. But we have some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aking advantag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security, for example troubles in e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terpretation or construction of the laws.<BR>  Anyway, apart from e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has been dealt with in some previous studies,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aspect of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systematically some articles in the Civil Act, Copyright Act, Patent Act and so on. Especially, as for establishment of a pledge right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 think that there are some considerable points at issue, for instance, legal basis and nature, and range of validity-especially for proceeds- and subrogation of pledge of rights.<BR>  In fact, so far these have rarely been discussed in previous reports, where it"s merely said that the nature of pledge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similar to that of mortgage. Rather than that, I think, however, more important and effective ways to look upon and solve these problems are needed. So I would like to express that we need to lay a scheme and then take several steps for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s Security. That is to say, not by disposal but by application to security of the rights, we can expect intellectual property to continue to develop and improve and we should find the way. To put it concretely, I propose that we can consider the followings. Royalty or fee should be covered by extending the valid range of pledge or diversion of nature of subrogation.<BR>  On the other side, as for transfer for secur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rules of liquidation money or liquidation period cannot be adhered. In this context, way to exercise of security right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modified and developed. Despite my passion and intention. I can"t find the best way to modify and establish these rules. But I find one thing clear, that is. it"s time to employ all available means for transaction on secur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KCI등재

        무체재산권⋅지적소유권⋅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 한국 지재법 총칭(總稱) 변화의 연혁적⋅실증적 비판 -

        박준석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4

        한국에서 지적재산권법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 즉 총칭은 일제 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무체재산권, 지적소유권, 지적재산권, 지식재산권 순서로 계속 바뀌어 왔다. 처음 쓰인 ‘무체재산권’이란 용어는 독일에서 유래한 것으로 일제 강점기에 우리에게 강제로 이식된 것인데, 채권까지 포함하는 것 같은 혼동을 초래하여 적절치 않다. 그 다음 ‘지적소유권’이란 용어는 1986년 미국의 통상압력으로 부득이 한국 지적재산권법 전체가 가장 극적으로 변화하던 시점에 미국의 강한 영향으로 등장하였다. 1990년경 이후 특허청의 주도로 ‘지적재산권’이란 새로운 총칭이 정착되었고 이것은 지금까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진 총칭이다. 그런데 2011년에 발효된 이른바 지식재산기본법은 이번에는 ‘지식재산권’이란 용어를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지적소유권’은 지적재산권의 물권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낸 반면 미국과 달리 한국에 존재하는 전용실시권․전용사용권의 존재 등을 누락한 흠이 있다. ‘지적재산권’의 경우 그 보호대상들을 거의 빠짐없이 포섭한 반면 무형(無形)의 지적세계에서는 민법의 현실세계와 달리 물권과 대등한 채권이 존재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이 점은 새로운 ‘지식재산권’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한국에서 지나치게 자주 총칭이 변경됨으로써 특히 지적재산권법 외부인들에게심각한 혼란이 발생하여 왔다는 점을 이 글은 아주 상세하게 구체적인 입법․사법에서의 오류 등을 찾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현행 법률에 위 4가지 용어가 여기저기 흩어져 모두 존재하고 있는 것은 시정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총칭의 잦은 변경은 후학이나 다른 전공자들이 효율적으로 선행문헌을 찾는 것조차 저해하고 있다. 총칭이란 우리 지적재산권법 종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외부인이 전체 법체계에서 지적재산권법을 식별하는 지침이다. 사회적 합의가 확고하다면 위 지적소유권․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앞서 본 각 용어의 비교적 사소한 흠 때문에 새로운 용어로의 변경을 허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혼란으로 인한 비용이 그 이익을 쉽게 초과할 것이다. 그런 견지에서 부정경쟁방지법이 물권적 권리를 부여하지 않음을 들어 ‘지적재산권법’이 아니라 ‘지적재산법’으로 총칭변경을 하자는 일본이나 국내의 견해는 부당하다고 사료된다. 왜냐하면 권리개념에 관한 민법 일반의 원칙에 어긋나거나, 그렇지 않다면 지적재산권의 권리가 물권적 권리에 국한한다는 확고한 관행이 없었기 때문이다. 덧붙여 미국 지적재산권법에서는 ‘Intellectual Property’라고만 칭하여 굳이 권리(right)란 문구를 부가하지 않지만 한국의 민사법에서의 논리체계나 관행은 상이하므로 ‘지적재산법’이 아니라 ‘지적재산권법’이라고 칭함이 적절하다. 결론적으로 어떤 이유로든 지적재산권법의 총칭을 차후에 다시 변경하는 것은 극도로 지양하여야 한다. The generic term in Korea which is to be used for the entire intellectual property law has continuously changed in the order of Intangible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Knowledge Valuable Rights since the colonial period under Japanese rule. The first term “Intangible Property” which had been originated from Germany was forcefully implanted on Korea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is not adequate because it makes a confusion easily as if it included the contractual and tortious right. The second term “Intellectual Property” emerged as the strong influence of the US when all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laws dramatically changed with no other option under the pressure linked to free trade benefit by US in 1986. Since around 1990, Korean Patent and Trademark Office led to move on to the next generic term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which has been most widely accepted in Korea. Then the so-called Framework Act about intellectual property, which came into effective in 2011, makes mandatory using the new “Knowledge Valuable Rights” term at this time. The above term “Intellectual Property” misses the existence of a kind of limited real right system for exclusive use and etc. which exists in Korea law unlike that of US. while the term grasps exactly the characteristic of intellectual property as property. The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overlooks the fact, unlike in the real world, the contractual and tortious rights indigenous to the intangible world which was parallel to the property right are actually hard to exist, though it embraces almost all protected subject without missing. The new term “Knowledge Valuable Rights” has the same flaw in this point. This article review that there has been a serious confusion especially to the outsider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because the generic term has been changed frequently, by presenting empirical evidences in a very detailed manner for specific legislative and judicial errors. Most of all, the inconsistency in the current statute where all the above four generic terms are still remaining valid in each own clause should be corrected. Also, too frequent changes in generic term even makes younger scholars in IP or seniors in other majors suffered from inefficiency in finding the preceding articles. The right generic term for IP is not only the concern of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insiders but also the sign with which the outsiders discern the Korean IP law from other parts of the entire Korean legal system. If there is a firm social consensus, any term among 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and Knowledge Valuable Rights will be good and the cost will easily exceed the profit due to unnecessary chaos if we would allow the another change just because of a relatively minor blemish on the term. In that regards, the opinion in Japan or Korea which proposes the another term change from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law” to “Intellectual Valuable law” on the ground that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does not grant any right seems unreasonable. It’s because the opinion is contradictory to the general principles about the concept of rights in civil law or there has been no solid tradition which limits the concept of right only to a kind of real right. In addition, it is more appropriate to call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law”, not “Intellectual Valuable law” because the legal logic in the Korean civil law system is different even though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in United States is named as just “Intellectual Property”, no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n conclusion, for any reason, another change of generic term for the Korean entire intellectual property law in future should be avoided by all means.

      • KCI등재

        2022년 개정 국제사법상 지식재산권 관련 소의 국제재판관할 문제: 총칙과 각칙의 검토

        이주연 한국국제사법학회 2022 國際私法硏究 Vol.28 No.1

        The 2022 Korean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hereinafter “the Act”), which was amended in January 2022 and shall come into force in July 2022, contains several new provisions on the jurisdiction matters in international litigation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is is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at it makes it possible to predict jurisdictional issues for the parties in a legal dispute to be brought to Korean court, those who enter into a contract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 holders and infringers who might become parties to a legal dispute. In international litigation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following provisions may be relevant: general jurisdiction as the country of the defendant’s habitual residence (Art. 3), specific jurisdiction as the country of the principal place of business, the place of doing business, and the location of property (Arts. 4 and 5). By simply defining the requirements of objective joinder of claims (Art. 6(1)), jurisdiction in counteraction (Art. 7), and subjective joinder of claims (Art. 6(2)), the 2022 Korean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opens the way to resolve multiple claims or disputes between multiple parties at once. Jurisdiction by Agreement (Art. 8) and Jurisdiction by Pleading (Art. 9) are not applicable to the matters under exclusive jurisdiction of a foreign court. Whether a matter is under exclusive jurisdiction of a foreign court can also be determined by the Act. Among international litigation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Act stipulates litigations over entries in register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t. 10(1)(i)) and litigations over establishment, validity, or extinguishment of register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t. 10 (1)(iv)) as matters under exclusive jurisdiction. The Special Part of the Act stipulates specific jurisdiction in litigations over contrac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t. 38) and specific jurisdiction in litigations over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t. 39). This is the result of distinguishing—based on the principle of territoriality—specific jurisdiction in litigations over contrac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rom specific jurisdiction in litigations over general contracts and torts. There remains a question on whether to apply the provis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Special Part to trade secrets and portraits of celebrities subject to the rights of publicity. Even for matter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f it falls under consumer contracts or employment contracts, the provision on jurisdiction over consumer contracts or employment contracts must be applied. Finally, it needs to be remembered that the Act does not prescribe all the matters related to international litigation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f no provision on specific jurisdiction applies to a case, the general principles in Article 2 will determine whether Korean court has jurisdiction over the case by deciding whether a party or a case in dispute is substantively related to Korea. 올해 초 전부개정되어 곧 시행을 앞두고 있는 우리 국제사법은 국제지식재산권소송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여러 관할규정을 신설하였다. 이는 우리 법원에 제소하려는 지식재산권 분쟁의 당사자는 물론이고 지식재산권 계약을 체결하는 자, 그리고 지식재산권자와 이용자(잠재적 침해자) 사이의 잠재적인 법적 분쟁에서 관할권 문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총칙편에 위치한 피고의 일상거소국 법원으로서의 우리 법원의 일반관할권(제3조)뿐 아니라 사무소·영업소 소재지국, 사업·영업활동지국, 재산소재지국 법원으로서의 특별관할권(제4조와 제5조)도 국제지식재산권소송에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우리 국제사법은 청구의 객관적 병합(제6조 제1항)과 반소관할(제7조), 청구의 주관적 병합(제6조 제2항)의 요건을 간소하게 규정하는 방식을 취하여 국제지식재산권소송에서 양 당사자 사이의 복수의 청구 및 복수 당사자 사이의 분쟁을 일회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일응 넓게 열어 두었다. 합의관할(제8조) 및 변론관할(제9조)은 외국 법원의 전속관할사항에 대하여는 인정될 수 없는데, 외국 법원의 전속관할사항인지 여부는 우리 국제사법에 의해서도 판단할 수 있다. 국제지식재산권소송에서 전속관할사항으로 총칙편에서 지식재산권 등록부의 등록에 관한 소(제10조 제1항 제1호)와 등록지식재산권 성립, 유효성 또는 소멸에 관한 소(제10조 제1항 제4호)를 규정하였다. 각칙편에서는 지식재산권 계약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제38조)과 지식재산권 침해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제39조)을 규정하였다. 이는 지식재산권의 속지적 성격에 근거하여 일반 계약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과 일반불법행위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에 의하지 않고 달리 취급한 것이다. 한편 영업비밀과 퍼블리시티권의 대상인 유명인의 초상 등에 대하여도 지식재산권 각칙편에 규정된 위의 조항에 의할 것인지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지식재산권 계약이라 하더라도 소비자계약과 근로계약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소비자계약의 관할과 근로계약의 관할이 적용되어야 한다. . 마지막으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번 개정 국제사법이 국제지식재산권소송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규정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즉, 개별규칙에서 우리 법원 관할권의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국제사법 제2조의 일반원칙에 따라 당사자 또는 분쟁이 된 사안과 우리나라와 실질적 관련이 있다면 우리 법원의 관할권이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식재산권의 준거법에 관한 우리나라 판례의 검토

        최성수(Sung Soo Choi) 한국국제사법학회 2013 國際私法硏究 Vol.19 No.1

        지식재산권은 현대사회에서 그 국제적 성격으로 인하여 국제거래에서 하나의 큰 주제로 다루어지고, 새로운 법적 영역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지식재산권은 속지주의적 성격을 벗어나 국외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여러 나라에 걸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고, 최근 몇 년 동안 지식재산권법에서의 국제재판관할 및 준거법의 결정 등 국제사법적 쟁점에 대한 관심 이 증가하고 있다. 지식재산권분쟁 사건에서 주로 문제되는 부분은 ① 지식재산권 자체의 유효성 여부 즉, 부여, 등록이나 유효?무효에 관한 소송, ② 지식재산권의 침해를 원인으로 한 침해정지(금지) 및 손해배상청구소송, ③ 국제지식재산권 이용허락계약 등이다. 지식재산권의 성립과 유효성분쟁, 침해관련 분쟁의 준거법은 지식재산권의 전통적인 속지주의적 성격상 보호국법주의로 귀결되지만, 인터넷 발달 등 새로운 환경의 변화로 합리적인 수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리고 이용허락계약의 경우는 준거법합의가 없는 경우 지식재산권의 종류에 따라서 특징적 이행을 하는 자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준거법 결정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01년 지식재산권의 침해에 대한 준거법으로 국제사법 제24조에서 보호국법주의를 선언한 이래 이와 관련된 판례가 축적되고 있고, 시행착오를 거쳐 이제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국제사법 제24조의 다수의 해석론에 충실한 하급심판례들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대법원 판례의 수가 부족한 상태에서 하급심의 판결에서 엇갈리고 있는 부분에 대한 향후 대법원의 판례의 태도가 주목된다. 앞으로 대법원의 태도에 관심이 가는 부분은 국제사법 제24조의 해석상 ① 침해지의 의미를 무엇으로 볼 것인지, ② 국제사법 제24조의 적용범위를 전반적인 법률관계의 규율로 볼 것인지, 아니면 지식재산권의 침해부분만 규율한 것으로 볼 것 인지, ③ 국제사법 제24조가 비등록지식재산권만 규율하는 것인지, 등록지식재산권도 규율한 것으로 볼 것인지, ④ 사이버스페이스상 지식재산권 침해문제가 제기된다면 어떠한 입장을 취할 것인지, ⑤ 지식재산권 이용계약이 불법행위에 의하여 침해된 경우 그 준거법을 국제사법 제32조 제3항의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정할 것인지 등이다. 그리고 국제사법 제24조의 적용범위 논란과 관련하여 국제사법 제24조가 지식재산권 전반에 대하여 규율하는 것으로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개정작업도 필요하다. 지식재산권 분쟁은 과거 예상치 못한 새로운 환경으로 인하여 지식재산권 분쟁의 준거법선택기준에 관한 국제적인 통일기준안 마련이 필요한데, 우리는 지식재산권의 준거법에 관한 국제적 동향이나 발전방향에 맞추어 국제사법 제24조를 해석하고, 필요시 국제사법 개정 등 새로운 입법방향으로 나아감이 바람직하다.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treated as one of the big topics in international trade due to its international nature in modern society, and as new legal areas,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ve broken rigid territoriality and have an extraterritorial effect. In recent years, intellectual property law has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issu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such as jurisdiction and choice of law. Major issues in applicable laws of disput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volving foreign elements are; ① the litigation concerning the grant, registration, and valid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② the infringement stop and litigation claims for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③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licence agreement. Above issues are generally resulted in the principle of lex loci protectionis, but the principle of lex loci protectionis is partly under thereasonable modifications by the new changes in the internet developmental environment. And in the case of licence agreement, if there is no agreement on the applicable law applying to the intellectual property licensing contract, we can decide the applicable law depending on the fact that who carries out the characteristic performance of the contract. Article 24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of Korea stipulated that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by the infringement law” in 2001, it is evaluated to declare the principle of lex loci protectionis. After that, the courts"s preceden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foreign elements have been accumulated, it shows that the courts have determined the applicable law to meet the intent of Article 24 with stability after trial and error for several years. But, the number of Supreme Court"s decision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foreign elements is not suffici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s precedents about the lower courts" mixed decisions is being watched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that are interested in the future, towards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24 are; ① what is the meaning of place of infringement, ② what"s the range for application, that is, whether it"s limited on th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r it"s applied to overall rang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③ wether Article 24 covers only the non-registration-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r includes registration-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④ if th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cyberspace arise, what will be the Supreme Court"s attitude towards this kind of cases, ⑤ if intellectual property agreements are infringed through tort, can it be governed by the Article 32, paragraph 3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of Korea. And in connection with the debate on the scope of Article 24, revision work is needed that can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Article 24 is applied to overall rang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ispute meets a new environment, unexpected in the past, and we need to come up international unification baseline scenario on the selection criteria on the law applicable to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We need to interpret Article 24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international trends and development on governing law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when needed, revision or new legislation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is desirable.

      • KCI등재

        중국 지식재산권 관련 민법개정의 소개와 시사점

        운박 ( Yun¸ Bo ),정연덕 ( Chung¸ Yeun-dek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 No.49

        중국은 1954년, 1962년, 1979년, 2001년 4차례에 걸쳐 민법전 개정 작업을 하였다. 2019년 12월 16일에 최신 중국 민법전 초안을 공포하여 2020년 5월 28일 전국인대 3차회의에서 심의하여 통과되었으며 2021년 1월 1일부터 실행되었다. 다만 중국 개정 민법은 지식재산권과 관련한 내용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중국은 한국처럼 지식재산기본법 같은 지식재산권에 대해 기본법이 없으며, 지식재산권 관련 법률은 모두 민법총칙에서 간략히 나열하고 저작권법, 특허법,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 등 개별법에서 다룬다. 민법개정 내용과 개별법에서 규정된 지식재산권 관련 내용은 충돌이 생길 수 있다. 법체계가 혼란하거나 조문이 중첩된 문제 그리고 지금까지 있었던 지식재산권 보호 범위 문제 또는 과학기술 발전에 따라 나타나는 새로운 지식재산권 보호 등에 문제가 있다. 이번에 처음으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명문으로 도입하고 온라인 불법행위에 대해 권리자, 이용자, 제공자의 해당 의무와 책임에 대해 신설하였다. 개정 민법 제123조는 지적재산권 객체의 범위를 넓혔지만 엄격한 법정주의 원칙은 새로운 지식재산을 적용한 제품을 새로 만들어지기 불리하도록 하였다. 엄격한 법정주의 원칙과 현행 단행법률이 충돌하고 있다. 둘째, 중국 지적재산의 입법, 사법, 특히 시장거래 활동의 발전은 10여년 전과 비교했을 때 엄청난 변화가 있었고, 지식재산계약에 대해 법률인식을 하고 있다. 이후에도 민법전 개정에서 지식재산권계약에 대한 통일된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불법행위에 대해 네트워크제공자, 이용자, 권리자에 관련 규정이 있지만 정비되어야 할 규정도 존재한다. 이번 민법전 개정 내용 중에서 지식재산권에 관련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하고, 온라인 서비스제공자, 이용자, 권리자 해당 의무와 책임을 구체화하고 지식재산권에 대해 보호 강도 및 권리침해에 대해 대응 방법을 개선한 점도 있다. 현행 법률 중에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해 많은 혼란이 있지만 징벌적손해배상제도를 명문으로 중국 민법에서 규정한 것은 중국 내에 지식재산권 보호에 대해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중국의 지식재산침해를 우려하는 시선이 많아 이러한 법의 개정과 집행을 통하여 지식재산 침해 문제가 앞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China made four revisions to the Civil Code in 1954, 1962, 1979, and 2001. The draft of the latest Chinese Civil Code Exhibition was implemented from January 1, 2021. However, China’s revised civil law has many problem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hina does not have a basic law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the Basic Act on Intellectual Property, and all law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briefly listed in the Civil Code and dealt with in individual laws such as copyright law, patent law, trademark law, and fraudulent competition prevention law. The amendment of the civil law 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tipulated in the individual law can cause conflicts. There are problems such as confusion in the legal system or overlapping condolences, the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ion so far, or the protection of new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at arise due to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the first, the punitive damages system was introduced in name and the responsi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rights, users, and providers for online illegal activities were newly established. Article 123 of the revised Civil Code expanded the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bjects, but the strict legal principle made it difficult to create new products that applied new intellectual property. Strict legalism principles and current enforcement laws are at odds. Seco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tellectual property legislation, justice, and market trading activities has changed dramatically compared to more than a decade ago, and legal awareness of intellectual property contracts has been made. Afterwards, it is necessary to prepare unified regulat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ntracts in the revision of the Civil Code. Third, there are relevant regulations for illegal activities, but there are also regulations that need to be maintained, for network providers, users and rights holders. However, among the amendments to the Civil Code, the government introduced punitive damage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pecified th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online service providers, users, and rights holders, and improved measures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fringe rights. There is a lot of confusion about punitive damages among the current laws, but the provision of punitive damages in China’s civil law as a name means a lot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China. Many people are concerned about China’s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so the issue of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can be improved in the future through the revision and enforcement of such laws.

      • KCI우수등재

        지적재산권과 관련한 헌법소송의 쟁점과 처방

        강태수,정필운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8 No.2

        이 글은 제22조 제2항의 이해를 바탕으로 지적재산권과 관련하여 헌법실무적으로 제기하는 쟁점을 도출한 후 이 쟁점에 대하여 이론적 처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헌법 제22조 제2항을 제23조, 제10조와 관련하여 어떻게 이해하여야 하는지 제시하였다(Ⅱ). 그리고 헌법실무적으로 제기되는 쟁점인 지적재산권을 침해받은 자가 당해 지적재산권 규정의 위헌성을 주장하는 헌법소송을 제기할 때 어떤 심사기준으로 위헌 여부를 판단할 것인지, 지적재산권을 침해한 자가 당해 지적재산권 규정의 위헌성을 주장하는 헌법소송을 제기할 때 어떤 심사기준으로 위헌 여부를 판단할 것인지, 지적재산의 창작에 기여하였으나 지적재산권을 부여받지 못한 사람의 기본권 침해 심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처방을 제시하였다(Ⅲ).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며 글을 맺었다(Ⅳ). 이 글의 논의의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 제22조 제2항은 국가목표규정이 아니라 기본권규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제22조 제2항은 지적재산권과 인격권 모두의 헌법적 근거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저작권, 특허권, 실용신안권 등 창작성을 요하는 지적재산권은 헌법 제22조 제2항이 헌법적 근거이며, 상표권, 영업비밀에 관한 권리, 퍼블리시티권 등 창작성을 요하지 않는 지적재산권은 제23조가 헌법적 근거이다. 헌법 제22조 제2항의 요건 중 하나가 창작자이고 이러한 창작자의 핵심요소가 창작성에 있기 때문이다. 넷째, 헌법 제22조 제2항은 헌법 제23조 재산권 조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의미가 있는 조항이다. 다섯째,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지적재산권자가 현행 지적재산권법 규정에 대하여 헌법소송을 제기하면 다음과 같이 처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우선 지적재산권자가 현행 지적재산권법 규정으로 인하여 자신의 지적재산권이 침해당했다고 헌법소원을 제기하는 경우 헌법재판소는 헌법 제23조 재산권이 아닌 제22조 제2항을 관련 기본권으로 확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 제한이 정당한 것인지 심사하는 기준은 원칙적으로 제37조 제2항의 요건과 한계이다. 물론 이 때 가장 핵심적인 심사기준은 일반적인 헌법소원과 마찬가지로 과잉금지의 원칙이다. 한편, 당해 사건에서 문제된 쟁점에 따라 명확성의 원칙, 신뢰보호의 원칙, 포괄위임 금지의 원칙 등 다른 헌법소원에서 사용하는 심사기준도 동원될 수 있다. 위헌법률심판이나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을 제기한 경우에도 그 구조와 심사기준은 원칙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헌법재판소가 실용신안권 사건에서 실용신안제도의 헌법적 근거를 우선 제22조 제2항에서 찾았음에도, 실용신안권이 재산적 가치가 있는 권리이므로 헌법 제23조 재산권에 의하여 보장되는 재산적 가치가 있는 권리라고 하면서 과잉금지의 원칙을 심사기준으로 적용한 것은 개선이 필요하다. 여섯째, 지적재산권을 침해한 자가 당해 지적재산권법에 대하여 헌법소원을 제기하는 경우에는 관련 기본권 확정 단계에서 이용자의 이익이 독자적 기본권으로 인정될 수 있을 것인지 쟁점이 된다. 이용자의 이익은 독자적인 기본권이 아니라 국가의 적극적 행위의무를 통해 보장되는 헌법상 이익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이용자는 표현의 자유, 종교의 자유 등 그와 별도로 침해된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raw up the issues constitutionally raised in rela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rticle 22, Clause 2 of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hereafter ‘Article 22 (2)’], and to present theoretical prescriptions for these issue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first proposed how to understand Article 22 (2) in relation to Articles 23 and 10 (II). Then, the following issues raised in practice were examined and prescribed. What reviewing criteria will a person whos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infringed upon file a constitutional litigation claiming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What reviewing criteria will a person who violate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ile a constitutional litigation claiming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What reviewing criteria will be applied when a person who has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but has not been gran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iled a constitutional litigation claiming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III). Finally, I concluded the above discussion (IV). The key conclusions of the discussion so far are as follows: First, Article 22 (2)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stitutional right provision, not as a national goal provision. Second, Article 22 (2) is the constitutional basis of both property rights and personal rights of intellectual property. Thir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at require creativity, such as copyright, patent rights, and utility model rights, are based on Article 22 (2), because this is one of the requirements of Article 22 (2) is the creator and the core element of the creator is creativity. Fourth, Article 22 (2) is an article with a unique meaning distinguished from Article 23. Fifth,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prescription for above three issues was suggested.

      • KCI등재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과제의 검토 및 그에 따른 법 개정 방향

        이용우(Lee Yong-Woo) 한국법학회 2004 법학연구 Vol.17 No.-

        Today,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s becoming as diverse and complicated as change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intellectual property technology is becoming advanced at a rapid rate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sophisticated research system and high investment in it. But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urrent system for a short period in relation to the trend of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s and the protection of and support for small-and medium-sized businesse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ystem is not only to encourage the desire to invent and create a new thing by heavily protecting inventors or creators through effortful contrivance but to reap the reward for efforts through the monopolistic right or the exclusive right. But if intellectual property is limited in its use and competition due to its excessive protection, it comes to run counter to the original intent and purpos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ystem. The latter becomes one reason for shortening the period of protecting the program copyright, In addition, in case of the computer program the range of its right as the patent should be scaled down as much as possible and excluded in consideration of its characteristics and the existence of laws and regulations for its protection. It is thought that it is the best policy to streamline the procedures and costs for translating it into a right, reap the effect of maximum economic profit and provide for the legal system that can thoroughly protect it from intrusion. Out reality is not so. In summary,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legal system for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does not catch up with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s previously mention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n relation to it, it is urgent to reorganize and provide for the legal system for a new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hat has newly been formed or will be formed, including all the problems in the Copyright Law which has been raised as the pending problem and become debated. On the one hand, people have a poor knowledge of the concep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or its protection and its intrusion. Therefore, whenever the dispute over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occurs, it depends on litigation rather than settlement through mutual agreement, In some respect, it can be said that it is extremely normal. The patent court on litigation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 must be the special court, In such a sense, it is thought that the concentration of jurisdiction should be achieved. Recently, it has recently been publicly argued that ADR should be applied to the settlement of the dispute over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o it is thought that an examination over it should actively be made in the future. In conclusion, the protec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s not unconditional protection of developers or inventors but should be premised on the given degree of contribution to national industry and cultural development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ts excessiv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may limit its use and dwindle free competition because of it. On the other hand,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another development or creation may be made through its appli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the private interest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holder and the public interest of na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지식재산권의 해석 도구로서 재산권(Property)과 자연독점(Natural Monopoly) - 미국에서의 법경제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

        진도왕 한국재산법학회 2013 재산법연구 Vol.29 No.4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using the metaphor of property. This tradition of using the property metaphor has long been dominant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has been recognized as a sort of property that is a right over intellectual products. When understanding intellectual property in terms of property, it is likely to reduce intellectual property to an exclusive right. An emphasis on the exclusive right alone leads to expans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rough understanding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in terms of the language of trespass, granting strong injunctive remedies, or extending the duration of copyright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property metaphor properly serves as an interpretative device to underst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More specifically, it focuses on whether understanding intellectual property as property covers all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Then, it demonstrates that the metaphor of natural monopoly can be an alternative interpretive device to the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as property gives rise to controversies about the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nderstanding intellectual property as property does not provide any implication for defining the extent to whic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or could be protected. Rather, it may justify the maximization of exclusivity so that it ends up with the excessiv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excessive protection through too strong exclusivity is likely to impede enjoying innovation by blocking distribu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market. At this stage, natural monopoly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interpretive device to property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As demonstrated in the text, recasting intellectual property as natural monopoly does not so much weaken the property nature of intellectual property, but it also explains more precisely all aspect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which includ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market. By doing so, it makes it possible to harmonize intellectual property with public interests, moving away from private interests. Furthermore, it provides an implication for defining the proper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nsequently, this movement accords with pursuing innovation as the final goal of intellectual property laws. 본고에서는 지식재산권의 발전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던 재산권 메타포가 지식재산권을 해석하는 도구로서 적절히 기능하는 지를 살펴본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재산권 메타포를 통해 지식재산권에 배타성 혹은 배타적 권리를 장착시키는 것이 지식재산권의 본질과 목적 내지는 기능 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재산권 메타포가 지식재산권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해석 도구가 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재산권 메타포의 사용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은 지식재산권을 해석하는 도구로서 재산권 법리의 한계를 지적한다. 이 입장은 기본적으로 지식재산권법의 최종 목적이 지식재산 활용을 통한 사회․문화적 발전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에 따라 지식재산권이 지나치게 배타적 권리로 축소되면 지식재산의 분배와 유통이 심각하게 제한될 수도 있음을 강조한다. 그에 따라 재산권 메타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 도구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최근 미국의 학계에서는 자연독점(natural monopoly) 개념을 메타포로 사용하여 지식재산권을 설명하려는 입장이 있어 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연독점 메타포는 지식재산권의 재산권성을 크게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지식재산권의 생산과 분배 등의 여러 측면들을 균형 있게 설명하는 해석 도구로 작동한다. 이하에서는 지식재산권에 있어서 재산권 메타포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리고 그러한 재산권 메타포가 지식재산권을 해석하는 도구로서 과연 적절한 것인지를 살펴보고, 이어서 재산권 메타포를 대체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의 해석 도구로서 자연독점 메타포를 논의한다.

      • KCI등재

        위헌심사에 있어서 헌법 제22조 제2항의 규범적 의미

        서경미 헌법재판연구원 2019 헌법재판연구 Vol.6 No.2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does not have much research on its constitutional meaning,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 not actively apply it as a practical standard for judicial review, even though the same provisions existed from the Founding Constitution. However,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has its own constitutional meaning to guarante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lso adopts a creator protection principle which basically requires that the right to creation be attributed to the creator. Depending on the specific forma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creator’s rights may be constituted exclusively or non-exclusively, but in order to provide creators with sufficient incentives, it is inevitable that the rights of exclusive property are set within a certain range. In addition, the creator’s right to creative work can be formed by variety of rights, such as property rights or personality rights,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The creativity required for the creation at the constitutional level is the minimum of creativity, which means originality that demands to be the result of one’s own creative activity, and the level of creativity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that the legislator decides according to the kind and nature of the creation. Above all,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s recognized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s, arts, culture and scienc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nsuring that excessiv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oes not lead to the detriment of academic, artistic, scientific and cultural development. Since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basically recognizes the property rights, even if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do not exist, it can be fully guaranteed under the Article 23 property rights of the Constitu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normative meaning of the Article 22 Section 2 is often ignored in judicial review. However, it contains the contents of independent norm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ion, and creationism. Therefore, in the judicial review related to the formation or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Article 22 Section 2. 헌법 제22조 제2항은 동일한 내용의 규정이 제헌헌법부터 존재하였음에도, 헌법적 의미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으며, 헌법재판실무에서도 지적재산 관련 법안의 헌법적 근거로만 언급되고 있을 뿐, 실질적인 위헌심사기준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 제22조 제2항은 제헌헌법 제정 당시부터 학문과 예술, 과학과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는 규정으로 도입되었고, 9차례의 헌법개정에서도 계속 유지되었는바, 단순히 지적재산보호를 위한 국가의 목표규정이라 볼 수 없고,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을 보장하는 독자적인 헌법적 의미가 있는 조항으로 보아야 한다. 헌법 제22조 제2항은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을 보장하는 규정으로, 원칙적으로 창작자에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귀속시킬 것을 요구하는 창작자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입법자의 구체적인 형성에 따라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는 배타적으로 또는 비배타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창작자들에게 충분한 창작유인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배타적인 성질의 권리 설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또한,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는 창작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재산권적 성질이나 인격권적 성질 등 다양한 성질의 권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헌법적 차원에서 창작물에 대해 요구되는 창작성은 최소한의 창작성, 다른 사람의 창작활동의 결과가 아닌 자신의 창작활동의 결과일 것을 요구하는 독창성으로 보여지고,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창작성의 수준은 입법자가 창작물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결정할 입법정책의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지적재산제도는 학문과 예술, 문화와 과학의 발전을 위하여 인정된 것이므로, 그 형성에 있어 공중의 자유로운 이용 및 학문과 예술, 문화와 과학의 발전이라는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상충적인 이익의 조화를 고려하여야 하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과잉한 보호로 학문과 예술, 과학과 문화의 발전이 저해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현행법상의 지적재산제도는 기본적으로 지적재산권의 재산권적 성질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 제22조 제2항이 없더라도 헌법 제23조 재산권 규정에 의하여 충분히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헌법 제22조 제2항의 독자적인 의미가 간과되기 쉬우나, 헌법 제22조 제2항은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 보장, 창작자주의와 같은 독자적인 규범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지적재산권의 형성이나 범위 설정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는 헌법 제22조 제2항의 독자적인 의미를 인정하여 위헌심사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知的財産權 보호제도의 變化와 한국의 對應方案

        임순철(Lim Soon-Ch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01 문화산업연구 Vol.1 No.1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new forms of creative endeavor. It has expanded rapidly these days, also can be analyzed changing from traditional property rights to international unificated protection system. For instanc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ake concrete shape under the World Trade Organization/Trade 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is paper indicate problems which Korea cope with the situation in property system process and try to find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e solution methods agains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legal complementary measures and unification work of charged station and dispute adjustment committee. Also, this paper suggest how successive confrontation methods between companies' disput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new forms of creative endeavor. It has expanded rapidly these days, also can be analyzed changing from traditional property rights to international unificated protection system. For instanc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ake concrete shape under the World Trade Organization/Trade 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is paper indicate problems which Korea cope with the situation in property system process and try to find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e solution methods agains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legal complementary measures and unification work of charged station and dispute adjustment committee. Also, this paper suggest how successive confrontation methods between companies' disp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