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매체시대에 있어서 이미지의 위상에 관한 사회문화적 고찰

        박상혁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6 No.-

        In this paper, I try to consider the socio-cultural status of images in the age of mass media. That is, I try to consider how images in the age of mass media affect our way of life . To do so, I preliminarily consider images in the age of mass media from ontologic al, value-theoretical and epistemological viewpoints. Ontologically, images in the age of mass media do not refer to things which exist before and beyond the i mages, but refer to the images themselves. That is, images in age of mass media are not representational, but self-referential. Value-theoretically, images in the age of mass-media become mere signs. And they do not have values by referr ing to pre-existing objects, but by their relations to other signs or images in a sys tem. Epistemologically, there are two important changes in images in the age of mass-media. First, images in the age of mass-media have a tendency to blur t he boundary between images and reality. Second, images in the age of mass- media have a tendency to blur the boundary between images and subjects who watch the images. Because of these two tendencies, images in the age of mas s-media cannot be epistemologicaly reliable. That is, they can mislead us in two wa ys. First, they are likely to make us take images for reality. Second, they are l ikely to hinder us from taking critical stance toward the images. Socio-culturally, images in the age of mass media have a tendency to make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consists of tw o elements. First, images are omnipresent in a society, and they are important forc es to shape the society. Second, people in that society cease to be active citizens, but become bystanders and consumers of images. They do not genuinely live t heir lives, but live in fantasies in which they identify themselves with celebri ties. Therefore,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becomes exciting and meaningful, but their actual life becomes insipid and meaningless. Socio-culturally,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can be understood from three different aspects. Fist, the societ y of the spectacle is not the society of production, but the society of co nspicuous consumption. Second,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threatens the public r ealm, and, in turn, democracy. Third,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has a tendency to dehumanize human beings. Media in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make people internalize the media and become the terminals os media systems.

      • KCI등재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의 역할

        고은성,이경화,송상헌 대한수학교육학회 2008 학교수학 Vol.10 No.1

        본 연구는 대수의 일반화 과제를 해결하는 2명의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가 보여주는 사고 과정을 조사하고 이미지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학습자가 생성한 이미지는 개별적 사례에 대한 구체적 이미지, 구체적 이미지를 변형한 역동적 이미지와 패턴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문제 해결 과정 동안 이미지의 생성과 변형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미지는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의 상호 작용 속에서 생성되고 변형되면서, 정교화되고 구체화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시에 이미지는 시각적 사고에서 분석적 사고로, 분석적 사고에서 시각적 사고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role of images between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of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and image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hinking processe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ho solved tasks generalizing patterns and we analyzed how images affected problem solving. We found that the students constructed concrete images of each cases and dynamic images and pattern images from transforming the concrete image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images were constructed and transformed and what were the roles of images between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The results showed that images were constructed, transformed, and sophisticated through interaction of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And we could identify that images played central roles in moving from visual thinking to analytic thinking and from analytic thinking to visual thinking.

      • KCI등재

        디지털시대의 영상과 그 사회적 의미에 관하여 : 영상매체의 발달과 관련해서

        정지헌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5 No.-

        영상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면서 영상산업 전반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영상의 특징은 기저의 의미는 나타나지 않고, 의미 없는 외형적인 이미지들만 난무하여 기존의 근대적 사고방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근대성의 사고와 가치는 붕괴되기 때문에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시대의 영상은 우리의 삶을 아름답고, 편하고, 자유롭게 만들어야함에도 불구하고, 다국적 기업들 또는 정치적 목적의 수단으로 그 미래가 불투명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우리의 인간성 말살을 조장하기도 한다. 과학이 변하지 않는 진실을 사용해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로워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이데올로기에 의해서 이용되고 변질되었던 것처럼, 디지털영상은 자유로움의 추구보다는 문화제국주의적(cultural imperialism) 이데올로기가, 정치, 삶의 방식 등이 새로운 매체를 통하여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디지털시대에 영상의 지향점은 인간성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춰야한다. 누구나 영상에 접할 수 있고, 누구나 촬영과 편집, 배포를 할 수 있으며, 원활한 소통을 통한 자유로움의 추구와 개인의 존중을 실현시킬 수 있는 장이다. 디지털 영상에 의해서 휘둘리기 시작하면 이것은 큰 역효과를 내게 되며 우리는 더 이상 헤어 나올 수 없는 암울한 세계로 빠져들게 될 것이다. 이렇듯 디지털 시대의 영상은 철저한 양면성과 다원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역동적이고 무한한 잠재력을 구현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images are changing from analog to digital and the social influence of images is bigger than ever before. The uniqueness of digital images is that they don't show the connotative meanings but mainly show the denotative meanings, therefore, we need to have a new way to understand the digital images. The images in digital era, should help for our better life, but because of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s' profits and returns, the digital images are somewhat used in wrong ways.However, in digital era, the intention of the images should recover human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our life. People shouldn't be controled by manipulated digital images. Nowadays, anybody can make digital images and give out the images what they made, and also people pursu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digital images. The digital images are very close to our lives and people should grasp the digital images' real nature. As described before, The images in digital era, have two different faces which are positive way and wrong way. We will have to try to understand the real connotative meanings of digital images and those effort should make our lives better.

      • KCI등재

        21세기 이미지 시론 연구

        정끝별(Jeong Keut-Byul)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The images of today operate as like as screens in our brains. They are not sensed as like as instant and unmovable pictures or photos but thought as like as durable and movable images of cinemas or holograms. By revealing the movability, relatedness, spatiality and temporality of images, this concept of image becomes essential and basic to make the philosophical thought on pop culture in the 21st century possible, This is the same to the modern poetry into which the dramatic, narrative, and cinematic grammars, in the mixture of poetry with the features of pop culture as a whole, have been impressed naturally.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image, as a new paradigm of modern poetry, has to be set up by appropriating Gilles Deleuze s cinematic images. The poetic images of the pure movability of modern poetry are therefo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each of the types is analyzed by way of illustration. The concept of image is considered by assuming the movability and relatedness of images, and the basic units of analyzing images are presented. The analytic units are of poetic images that have been turned into the plan(frame)/scene/montage. On this ground, four poetic images are considered as follows. In Kim Gwanggyun s “A Lyric of an Autumn Day” and Kim Jongsam s “A Drumming Boy,” the perception-image outlines the whole of things which are intermingled with sensation, mind, consciousness, and memory. In Yi Yongak s “A Shabby House” and Jang Seoknam s “A Nostalgic Side of Rillet,” the action-image pursuits the communicative and performative m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verbalized ‘gestures.’ In Choi Seungja s “Cheonggyecheon Elegy” and Heo Sugyeong s “A Far-off House to Go Alone,” the affection-image closes up the forms, qualities, and situations as situational properties as emotions, sensitivities, sentiments, and impulses. In Yi Sang s “Crow s Eye View: the 13th Poem” and Kang Sungeun s “Ghost,” the cristal-image thinks the indiscernible point that is organic and impossible to describe realistically. With the concepts and typification of images useful to analyze, the poetics of images in new paradigm is tried by illustrating typical poems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is point, a possibility of the philosophic discussion to trigger poetic thoughts from the analyses of poetic images presents itself through the concept of im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movability, relatedness, spatiality, and temporality. In conclusion, the poetics of images in the 21st century is to develop itself by its analyses and thoughts of the imaginal units and processes of images as parts of one pome as a whole. 오늘날 이미지는 우리의 뇌에서 스크린처럼 작동한다. 그림이나 사진처럼 순간이나 정지된 상태의 이미지로 지각하는 게 아니라 영상이나 홀로그램처럼 지속과 운동의 상태로 사유된다. 이미지 간의 운동성과 관계성, 공간성과 시간성을 현시하는 이러한 이미지 개념은 21세기 대중문화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개념이 되고 있다. 대중문화 전반의 특징이 시에 혼종되면서 극문법, 서사문법, 영화문법이 자연스럽게 스며든 현대시에서도 마찬가지다. 들뢰즈의 영화 이미지를 전유하여 현대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미지를 개념을 세워보고자 한 이유다. 그 결과 현대시에서 순수한 운동성을 제시해주는 시 이미지를 네 가지로 유형화한 후 유형별 예시들을 통해 그 분석적 실제를 살펴보았다. 먼저, 이미지의 운동성과 관계성을 전제로 그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이미지를 분석하는 기본단위들을 제시하였다. 시 이미지의 단위를 단면/장면/몽타주로 전환하여 분석의 단위로 삼았다. 이를 토대로 김광균의 「秋日抒情」과 김종삼의 「북치는 소년」을 중심으로 감각·정신·의식·기억 등이 뒤섞여 사물 전체의 윤곽을 드러내는 지각-이미지를, 이용악의 「낡은집」, 장석남의 「그리운 시냇가」를 중심으로 동사화된 ‘동작’과 연관된 전달과 수행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행동-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최승자의 「청계천 엘레지」와 허수경의 「혼자 가는 먼 집」을 예시로 지각과 행동의 경계에서 정서·감성·감정·충동과 같은 상태적 특질로서의 형상, 성질, 상태 등이 클로즈업된 정감-이미지를, 이상의 「오감도-시제13호」와 강성은의 「Ghost」로 예시로 유기적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불가능한 식별불가능한 지점을 사유하는 크리스탈-이미지를 살펴보았다. 현대시의 이미지 분석에 유용한 이미지 개념과 유형화, 그리고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예시들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미지 시론을 시도하였다. 이로써 운동성, 관계성, 공간성, 시간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개념들을 통해 시 이미지 분석에 시적 사유를 촉발하는 철학적 논의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전체로서의 시 한 편을 통해 부분으로서의 이미지의 단위와 작동과정에 대한 분석과 사유를 통해 21세기 이미지 시론을 전개할 수 있었다.

      • Effects of Viewing Angle of Stereoscopic Images on Heterophoria and Accommodation

        Ji-hoon Kang,Soo-chul Park,Jeong-sik Son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 Vol.6 No.6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impacts of viewing angle in watching stereoscopic images on heterophoria and accommodation. It divided students in one college located in Gumi Cit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into two groups for classification by solid angle, horizontal heterophoria and accommodation before viewing, after 2D view-ing and 3D viewing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study, long distance horizontal heterophoria increased to exophoria after watching 3D images in both groups that watched them at a solid angle of 0.23sr and 0.10sr (p<0.05), and short distance horizontal heterophoria increased to exophoria in the group that watched the images at 0.23sr after watching 2D images and 3D images, and exophoria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that watched them at 0.10sr after watching 3D images. Changes in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after watching 2D images and 3D imag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changes in solid angle (p<0.05). Changes in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watching 2D images and 3D images according to solid angle. The relevance of viewing angle of 3D images with horizontal heterophoria and ac-commod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 청각 이미지와 의복 이미지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 :성격, 성별,의복관심의 영향을 중심으로

        배수정;고진아;박소현;이규혜;추호정 한양대학교 2007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27 No.1

        This study explorator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images and clothing style images of young consumers by their personality types, sex and clothing interest.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auditory images, clothing style images, personality types, clothing interest and demographic variables. Scale items were adopted from prior studies on clothing self images and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known to measure psychological types. 120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iverse majors were the respondents of the empirical study. MBTI categorized respondents into one of 3 personality types, IFT (Introversion and Thinking or Feeling, n=23), EF (Extroversion and Feeling, n=73) and ET (Extroversion and Thinking, n=24).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13 auditory images measured in the study, rational, self-confident and social imag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ree personality type groups. Overall, E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the the auditory images. Among clothing style images, social imag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E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social images. In addition, respodents' age and level of clothing interest influenced auditory and clothing style images. Correlation coefficien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ost auditory and clothing style images included in the study except for the self-confident image.

      • 자궁경부암의 병기결정에 있어서 동체코일, 경직장표면코일과 역동적 조영증강에 의한 자기공명영상의 비교 : 자궁방결합조직과 질의 침범을 중심으로 Comparison between Body Coil, Endorectal Surface Coil and Dynamic Enhanced Images on the Aspect of Parametrial and Vaginal Invasion

        백승연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6 EMJ (Ewha medical journal) Vol.19 No.2

        목적 : 자궁경부암의 병기결정에 있어서 동체코일에 의한 급속스핀에코(FSE) T2강조영상을 경직장표면코일에 의한 급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과 역동적 조영증강에 의한 FMPSPGR 영상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2월부터 1995년 8월까지 9개월동안 생검에 의해 자궁경부암으로 확진된 연속적인 20명(병기결정은 수술로서 2명,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R기기는 1.5T GE Signa를 사용하여 동체코일에 의한 FSE T2WI, 경직장표면코일에 의한 FSE T2WI로 횡단과 시상영상을 얻은 후 경부암이 가장 잘 보이는 2~3부위를 설정하여 역동적 조영증강에 의한 FM-PSPGR 의 횡단영상을 얻었다. 자궁방결합조직침범과 질벽침범 여부에 중점을 두어 후향적으로 동체와 경직장표면코일 영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고, 자궁방결합조직 내의 조영증강과 혈관의 조영증강 여부에 중점을 두어 역동적 조영중강영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자궁방결합조직 침범여부의 정확도는 병기 Ib 이하(5예) 중 동체코일은 1005에서, 경직장표면코일은 60%에서 침범이 없이 보였고, 병기 Ⅱb(10예)와 병기 Ⅲa(1예)의 11예에서는 동체코일은 64%, 경직장표면코일은 73%에서 나타났고, 병기 Ⅳa 이상의 전 4예에서 두 코일영상에서 전부 나타나 전체 정확도가 각각 80%, 75% 로 두 영상간에 차이가 없었다. 질침범여부는 병기 Ib이하에서 동체코일이 80%, 경직장표면코일이 100%로 침범이 없이 보였고, 병기 Ⅱb 이상의 전 15예(100%)에서 두 코일영상에서 나타나, 전체 정확도가 각각 95%, 100%로 두 영상간에 차이가 없었다. 역동적 조영증강영상에서는 자궁방결합조직의 조영증강이 병기에 관계없이 전 20예(100%)에서 나타났고, 자궁방결합조직 내의 혈관조영증강은 병기 Ib이하(5예) 중 4예에서, 병기 Ⅱb이상(15예)중 5예에서 나타나 45%에서 보였다. 결론 : 자궁경부암의 병기 중 자궁방결합조직과 질 침범의 결정에 있어서, 동체코일과 경직장표면코일에 의한 영상간에 차이가 없으므로 경직장표면코일은 동체코일 영상에서 불확실한 예에서만 사용하는 편이 좋으며, 역동적 조영증강영상은 자궁방결합조직의 침범에 관계없이 종양과 더불어 조영증강이 되므로 병기결정에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았다. Objectives : To compare fast spin echo(FSE) T2WI of the body coil(BC) with FSE T2WI of the endorectal surface coil(ERC) in the evaluation of parametrial and vaginal invasion and to evaluate tue dynamic enhanced images on the aspect of parametrial invasion.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consecutive patients of uterine cervical carcinomas confirmed by biops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staging was determined by the surgery (2 cases) and the radiologic and clinical studies(18 cases). 1.5T Signa(GE,USA) was used and FSE T2-weighted axial and sagittal images were obtained by the body coil and endorectal surface coil respectively. Then dynamic enhanced axial images with FMPSPGR were performed at 2-3 slices of cervical cancer level. Parametrial and vaginal invasion on the body coil images were compared with those on the endorectal coil images retrospectively. Parametrial enhancement was evaluated on the dynamic enhanced images. Results : The accuracy of parametrial invasion was 100% of BC and 60% of ERC in 5 cases below stage Ib, 64% of BC and 73% of ERG in 11 cases of stage Ⅱb and Ⅲa, 100% of BC and ERC in 4 cases above stage Ⅳa. Overall accuracy of parametrial invasion was 80% of Bc and 75% of ERC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images. The accuracy of vagianl invasion was 80% of BC and 100% of ERC below stage Ib, 100% of BC and ERC above stage Ⅱb. Overall accuracy of vaginal invasion was 95% of BC and 100% of ERC without difference between two images. On the dynamic enhanced images, parametrial enhancement was seen in all 20 cases and vascular enhancement in the parametrium was noted in 9 pf 20(45%) cases regardless of parametrial invasion. Conclusion :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C and ERC image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parametrial and vaginal invasion. Therefore, ERC should be used in the cases which revealed suspicious invasion on BC images. Dynamic-enhanced images were not useful in the evaluation of parametrial invasion.

      • KCI등재

        시신의 절단면영상을 환자의 머리 자기공명영상에 정합하기

        박진서,박효석,신동선,정민석,박준,신병석,김양욱 대한의료정보학회 2009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5 No.2

        Objective: Cadaver's sectioned images with high resolution and real color could be used as the source of realistic three-dimensional images. If the sectioned images are registered to a patient's MRIs, three-dimensional images with high resolution and real color that fit the patient, can be produced; the three-dimensional images enable realistic virtual surgery for the pati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gistration of a cadaver's sectioned images to a patient's head MRIs. Methods: The sectioned images of the heads of cadaver were associated with segmented images selected at 3 mm intervals. The patient had his head MR scanned at 3 mm intervals; the MRIs were segmented. Software to register the cadaver's sectioned images to the patient's MRIs was developed. On this software, the corresponding dots were identified on both the sectioned images and the MRIs either manually or automatically using segmented images. Results: The registered sectioned images corresponded to the patient's MRIs. Both manual and automatic registrations were satisfied. Conclusion: Further study is needed for registering sectioned images to actual patients.

      • KCI등재후보

        온몸의 연속절단면영상 여섯째 보고 : 절단해부학을 익히기 위해서 연속절단면영상을 둘러보는 소프트웨어

        박진서(Jin Seo Park),정민석(Min Suk Chung),최승훈(Hubert Choe),변호영(Ho Young Byun),황재연(Jay Hwang),신병석(Byeong-Seok Shin),박형선(Hyung Seon Park)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1

        절단해부학은 시신을 평면으로 절단해서 보이는 해부구조물을 익히는 과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속절단면영상을 둘러보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서 절단해부학을 익히는 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자기공명영상과 컴퓨터단층사진을 익히는 데에도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미 만든 한국 남성 시신의 온몸 연속절단면영상(수평 방향) 중에서 서로 들어맞고, 간격이 1mm인 해부영상, 자기공명영상, 컴퓨터단층사진, 구역화영상 1,702벌을 추렸다. 이 영상을 편리하게 둘러볼 수 있는 소프트웨어(파일 크기 377 MBytes)를 만들었으며,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다음과 같았다. 언제나 서로 들어맞는 해부영상, 자기공명영상, 컴퓨터단층사진, 구역화영상을 볼 수 있었고, 네 영상 중에서 관심 있는 것을 크게 볼 수 있었다. 소프트웨어의 단추, 두루마리막대, 영상 번호, 또는 컴퓨터의 자판을 써서 보고 싶은 영상을 편리하게 실시간에 찾아서 볼 수 있었다. 연속절단면영상에서 구역화한 해부구조물 13개의 이름을 볼 수 있었다. 의과대학 학생과 의사가 이 소프트웨어에서 해부영상을 둘러보면서 해부구조물의 입체 생김새를 따지면 해부학을 복습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자기공명영상과 컴퓨터단층사진을 해부영상과 견주어서 보면 자기공명영상과 컴퓨터단층사진에서 정상 해부구조물이 어떻게 보이는지 깨닫는 데 도움이 된다. Sectional anatomy is the course to learn anatomical structures on the sectional planes of cadav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browsing software of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which is useful not only to learn sectional anatomy but also to learn magnetic resonance (MR) images and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One-thousand seven-hundred two sets of corresponding anatomical, MR, CT, and segmented images (intervals 1 mm) were selected from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horizontal direction) of a Korean male cadaver’s whole body. We composed browsing software (file size 377 MBytes) of the images, which involved the following functions: The anatomical, MR, CT, and segmented images, which were always corresponding, were displayed; one of four images could be enlarged; images of interesting levels could be displayed in a real time conveniently either using software buttons, scroll bar, image number or using computer keyboard; names of the 13 anatomical structures, which were already segmented, could be displayed. By using this software,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can figure out stereoscopic anatomical structures from the anatomical images to review anatomy; they can compare MR and CT images with corresponding anatomical images to easily recognize anatomical structures in the MR and CT images.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도상 연구

        徐志敏(Seo Jimi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2

        이 논문에서는 창안설과 전래설이 대두되면서 쟁점화되었던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도상 문제를 새로운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 한 방법으로 그 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불상의 광배와 대좌에 표현된 도상 표현에 주목하였다. 득 비로자니불상의 광배와 대좌에 나타나는 佛ㆍ菩薩像을 인도와 중국의 중기밀교계 존상들과 비교ㆍ고찰하여 통일신라 비로자니불상에 내포된 도상의 상징적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비로자나불상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적인 배경 속에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 지권인을 결한 비로자니불상이 화엄종과 선종의 주존불상으로 조성되었던 도상의 성립배경으로는, 法身 비로자나불이 주존으로 등장하는 『八十華嚴經』이 8세기 초반 통일신라로 전래되어 80화엄 신앙에 의거히는 새로운 본존불 도상이 필요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8세기 중반에는 唐에서 중기밀교가 전래되면서 금강계 대일여래 도상에 대한 인식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새로운 도상이 전래되는 것을 계기로, 8세기 중반 통일신라 화엄종에서는 금강계 대일여래의 도상을 80화엄의 주존불 도상으로 채용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9세기에는 義林, 不可思議를 비롯한 승려들이 중기밀교를 익히고 귀국히며, 法門寺의 사리공양의식을 實見하였다는 崔致遠의 『法藏和尙傳』의 기록과 금강계 대일여래의 변화법신을 일컫는 36尊을 비로자니불과 함께 조성하라는 내용이 있는 『三國遺事』卷3의 「五萬眞身」條를 볼 때 중기밀교의 도상이 보다 직접적으로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기밀교 도상의 구체적인 이해는 9세기 중반 이후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도상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글에서는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도상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8세기 중반에서 9세기 초반에는 통일신라의 전통적인 불상양식의 토대 위에서 지권인의 수인을 비롯한 불신만이 새로운 요소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9세기 중반에서 9세기 후반에는 唐에서 새롭게 전래된 것으로 보이는 圓形에 가까운 형태의 대좌형식을 갖춘 동화사 비로암 비로자나불상 유형과 전통적인 팔각연화대좌 형식의 축서사 비로자나불상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들 두 가지 형식의 비로자나불상은 지권인의 수인 외에도 광배와 대좌에 중기밀교와 연관되는 다양한 불ㆍ보살상을 표현하고 있었다. 즉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광배에 표현되는 화불은 唐代 法門寺 출토 〈?金四十五尊造像錄頂銀函〉(871)과 비교되는 중기밀교의 금강계오불의 변용으로 보았으며, 대좌의 불ㆍ보살상은 법문사 출토 〈奉眞身菩薩像)(871)의 대좌에 나타나는 중기밀교의 변화법신보살이며, 그 외에 香爐나 三華文 그리고 七獅子 등의 표현도 중기밀교 경전에서 설한 大日如來의 도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이다.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의 비로자나불상은 9세기 중반에 정립되었던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 고유의 도상은 전승되고 있지만 각 도상의 세부적인 표현이 와해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대좌와 광배에 중기밀교 도상을 배열하는 것은 인도와 중국의 중기밀교 존상과 같이 광배와 대좌에 대일여래의 변화법신을 배열하여 주존이 갖는 교학적인 상징성을 압축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이 이러한 중기밀교의 도상 구도를 채용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모든 불ㆍ보살의 근원으로 十方에 항상 충만하다는 80화엄의 法身佛이 갖는 교학적인 의미를 보다 효과적이며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과 관련되는 조상기록을 당시 불교사적인 배경 속에서 규명해 보면, 통일신라하대 화엄종과 선종에서는 당시 불교도들과 유리된 비현실적인 교학체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기밀교적인 의례를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볼 때 통일신라하대 화엄종과 선종에서는 중기밀교의 법신불 도상을 채용하여 주존불로 봉안할 수 있는 신앙체계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중기밀교 도상의 전래과정을 추정할 때 80화엄의 법신불로서의 통일신라 비로자 나불상에 대한 이해는 경주지역에서 가장 먼저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왕실과 중앙귀족의 願刺이 경주 외곽지역에 건립되면서 현재의 경북지역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고찰을 통하여 같은 시기 중기밀교의 영향으로 菩薩形의 금강계 대일여래상이 유행하였던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통일신라의 전통을 유지하는 한편 중기밀교 도상요소를 채용하여 새로운 80화염의 법신불 도상으로 재창안하고 있는 통일신라 불교계의 뛰어난 역량과 불상조상사의 한 단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conography of Vairocana Imag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aureoles and pedestals. and thus attempts to explore their symbolic meaning of Vairocana Images. The Auatamsaka sutra in 80 fascicles and Esoteric Buddhism of the middle phase. which adopted the dbarmak??ya Vairocana as the central Buddha, must be considered with the question of when and how they were transmitted to Silla It is said that the Auatamsaha surra was already known in the early 8th century as seen in the Hwaeomgyeong munui yogyeol mundap by Pyowon or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Ojin. Since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when the illustration of the Auatamsaka sutra was created.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recognized indirectly about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by introducing the Auatarnsaka sutra in 80 fascicles. Later in the 9th century Buddhist when monks including Uirim and Bulgasaui learned the middle-phase Esoteric Buddhism and returned to Silla and as in the Biography of Fazang by Choe Chi won and the Omanjinsin 五萬眞身 of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amgukyusa 三國遺事)』, by introduction regular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t is considered that Iconographic also was understood much more concretely. This study shows on the developing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conographic, dividing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to two periods largely. From the middle of 8th century to the early of 9th century, only Mudra 法身 of Vajramudra was expressed into new factor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style of the image of Buddha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and from the middle of 9th century to the early of 10th century they were divided broadly into Biroam Vairocana Images type of Donghwa temple with Pedestal Type near the prototype that seems to have been introduced newly from Tang Dynasty and Vairocana Images type of Chookser temple with traditional Eight Angles and Lotus Flowers Pedestal Type, These two types of Vairocana Images has been expressing various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related to in Nimbus and Pedestal and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n addition to Mudra of Vajrarnudra That is to say, Nirmanakaya expressed in Nimbus was considered as expression of the five Buddhas of Vajradharm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compared with <Sarira Reliquary (Yugeumsasibojonjosangnokjeongeunham ?金四十五尊造像?頂銀函)〉 excavated from Beommun temple in Tang Dynasty (Sarira Reliquary (Yugeumsasibojonjosangnokjeongeunham ?金四十五尊造像?頂銀函)〉, and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in Pedestal was Astamahabodhisattvas Images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ppearing in Pedestal of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Bongjinsinbosalsang 捧眞身菩薩像)〉 excavated from Beommun temple. Besides, the expression of the incense burner, the pattern with three flowers, and the pattern with seven lions has also proved to be related directly to Iconographic of Maha-Vairocana recorded in the sutr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fter all, arranging Iconographic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for Nimbus and Pedestal of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Nirmanakaya is considered as showing to have been transmitted the characteristic of Iconographic from the purpose to express by condensing the doctrinal teaching symbolism that the nobility of Dharma had by arranging Dharmakaya of Maha-Vairocana for Nimbus and Pedestal like the main image of Buddh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n Indai and China. Futhermore , Iconographic of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s to interpret as expressing more effectively doctrinal teaching meaning that Dharmakaya of the 80 fascicles of Huayanjing said, fill always in all directions and places as source of all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had by adopting Iconographic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When it comes to consider the fact about the record of ancestors or creation of Mu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