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SCED 2011에 비추어본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학제의 국제 비교 연구

        박은혜 ( Eun Hye Park ),신은수 ( Eun Soo Shi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2

        UNESCO는 2011년 국제표준교육분류인 ISCED를 개정하였고, 우리나라는 2011년과 2012년 만 3-5세 어린이를 위한 보편적 유아교육인 누리과정을 발표하였다. 2000년대들어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번의 학제 개편안이 논의되었고 만 5세의 초등학교 입학은 주요 쟁점 가운데 하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CED의 기본 개념과 개정의 중점에 기초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학제를 개관하며, 나라별 각 단계의 연계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기초교육의 미래 지향적 학제 방향의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2012년 누리과정 시행을 기점으로 유아교육의 학제적 위치가 분명해졌으나 단선형 학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소학제 혹은 단위로 구분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ISCED 0 단계가 완성될 수 있도록 누리과정 담당 교사의 자격증 문제와 영아학교 구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NESCO revised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n 2011. Korean government announced public f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3- to 5-year-olds, named NURI, in 2011 and 2012. During 2000s, the structural reform of educational system was seriously considered several times, Lowering entrance age to elementary school was the most argumental issue of this reform mov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main concepts and focus of ISCED 2011 revision and compared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system in the world, Entrance age to ISCED 0 and 1, duration of ISCED 0 & 1 were discussed.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find distinguishing points of links between ISCED levels in each country. Meaningful results were foun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development of ISCED 0 level.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훤,신영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The Liberal arts only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tensive Study Course, is a new course to solve the academic problem due to the lack of ‘Korean’ ability in particular the foreign students face during their study in Korea. The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manages this course focused on ‘academic Korea’ required fo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iberal arts. The course is aimed at increasing Korean skill in short time by teaching ‘academic Korean’ for communication in each field and selecting a multiple syllabus for repeated expansion. In addition, liberal arts as well as Korean class are opened to help them increase academic ability suitable for university. It is verified that the students’ Korean ability has been increased during this course, helping them not only in academic field but also in overall university life and major subjects. In terms of objective index such as the student’s fail rate and lecture evaluation, it was verified that ‘Intensive Study Course’ for foreign students enhances their Korean ability and academic ability. 최근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유학생의 증가에 따라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대학은 유학생의 유치와 교과과정 운영 등의 제반 문제에 당면하고 있으며 외국인 유학생들 역시 대학의 적응과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국내 유학생의 증가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외국인 전용 교양교과목(학문 목적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의 개설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와 그로 인한 문제점을 살피고 둘째, 외국인 전용 교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관련 교과목의 개설 필요성을 밝히고 셋째, 2014년 1학기 성균관대학교에서 개설한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육과정인 ‘교양집중학습과정(ISC)’의 개설과 운영에 대해 소개하였다.현재 외국인 유학생이 겪는 가장 큰 문제는 도구 언어로서의 ‘한국어’ 능력의 부족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의 매개인 한국어가 일반목적 한국어와 변별되는 ‘학문목적 한국어’임을 인지하고 유학생 전용 교양 교과목으로 갖는 의미와 유효성을 지적하였다. 특히 성균관대학교의 ISC과정의 개설과 그에 따른 교과 운영 및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인 전용 교양 교과목의 개설 및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의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구성 요인 분석 : OECD 국가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신은수,박은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concepts and meanings of 2011 ISCED(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iculum components and target children's age of ISCED level 0, which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0- to 5- or 6-year-olds on OECD countries.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5-year-old NURI curriculum, 3- to 4-year-olds National Curriculum for Kindergarten, and the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the universal publ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ages 0~5, at least ages 3-5. It should take complementary measures in order to be classified as ISCED level 0 of 2011 ISCED(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Those include the unification of curriculum, the delivery and supervision system of implementing curriculum, and teachers' licence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the education regulatory framework recognized by relevant national authorities. 본 연구는 2011년 국제표준교육분류 ISCED 0 단계에 적합한 유아교육과정의 설정을 위하여 OECD국가의 0-5세 유아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ISCED 0 단계에 해당하는 유아교육과정 명칭, 관장 부서, 교육 대상 연령과 교육내용 영역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선진 6개국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대상 연령과 교육내용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의 5세 누리과정, 3, 4세 유치원교육과정, 표준보육과정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OECD 국가들은 교육부 관장의 0세에서 초등학교 입학 전의 만 6세까지 일원화된 유아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최소 3세에서 6세까지의 유아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초등교육과 연계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우리나라도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의 ISCED 0단계에 적합한 교육부 관장의 보편교육을 위한 0세에서 5세의 유아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 0단계(ISCED 0)에 기초한 누리과정의 유아교육제도로서의 의미

        박은혜,신은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2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relevance of the 2011 ISCED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More precisely, this study analyzed 7 components of the ISCED level 0, which is the basi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mongst 0~5-year-olds.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the NURI system being classified as ISCED 0 level. NURI satisfies ISCED level 0 standards partially. Even though the NURI system is the universal standard for public education amongst young children from the ages of 3~5, it should take complementary measures in order to be classified as ISCED level 0. These include, the unification of the infrastructure of delivery system, teachers' licenses, and supervision based on the education regulatory framework recognized by relevant national authorities. 본 연구는 2011년 국제표준교육분류의 개념과 의미를 이해하고, 유아교육단계에 해당하는 ISCED 0단계의 조건을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2011년과 2012년에 발표된 누리과정이 유아교육제도로 가지게 되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ISCED 0단계의 특성을 기반으로 도출한 7가지 분석 범주에 따라 누리과정을 분석한 결과 누리과정이 모든 유아의 보편교육을 위한 제도로서 의미를 갖고 있으나, 교원자격 등에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이 ISCED 0 단계를 충족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세계 유아교육과정 동향에 비추어 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 영국, 뉴질랜드,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박은혜,신은수,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concepts and meanings of Key competency. The NURI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discourses of our society’s agreements in order to provide public education for children.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iculum components of England, New Zealand, the United States, which revised their curriculum on the basis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21st citizens.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the NURI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on the basis of key competency. Second, the NURI curriculum should be connected to standard care curriculum for 0-2 year olds and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NURI curriculum should be connected on the standards based on the key competency. Fourth, the NURI curriculum should revise the content areas on the basis of the key competency. Fifth, the NURI curriculum should provide concrete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evaluation. Finally, in order to successfully revise and implement the NURI curriculum on the basis of key competency,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should also be revised. 본 연구는 만 3-5세를 위한 보편교육인 누리과정 제도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공공성에 주목하였다. 누리과정을 위한 교육과정은 보편교육을 받는 모든 어린이들에게 동일한 수준의 교육내용을 제공해야 하며, 국가와 사회가 합의한 담론에 의해 그 학습내용이 결정되어야 한다. 영국, 뉴질랜드, 미국은 국제사회에서 21세기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고 그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각 나라의 핵심역량이 제정된 배경과 의의, 개념 등을 정리하고 핵심역량과 교육과정, 유아교육과정의 연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누리과정을 위한 교육과정도 핵심역량에 기반을 두어 개정될 필요성이 있으며, 둘째 누리과정을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아래로는 표준보육과정과 연계되고, 초‧중등 교육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더 나아가서는 직업교육과 생애교육까지 연계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누리과정을 위한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은 핵심역량과 연계된 학습 표준에 기초하여야 한다. 넷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영역을 핵심 역량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제시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핵심역량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누리과정 재정 구조를 통해서 본유아교육 공교육체제 분석과 미래 방향

        박은혜,신은수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2

        This paper analyzes the financial structure of the Nuri system with a focus on the agency itself, its subjects, and its unit costs, ultimately showing the meaningfulness of the Nuri system as a type of early childhood public education system. The Nuri system satisfies the basic requirements to be recognized as free public education as it subsidizes all 3- to 5-year-old children, regardless of the parents’ SES, through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subsidy.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Nuri system to be recognized by ISCED 2011. First, it must be clarified which part of tuition the financial support (200,000 KRW) covers. Second, standard educational fees for half-day programs need to be recalculated. Third, certificates for the Nuri system teachers need to reach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salaries should be commensurate with this level. Finally, plans for maintaining transparency in the private sector’s financial system should be made. 본 연구는 2011년과 2012년에 발표된 누리과정의 재정구조를 재정지원 주체, 대상, 단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누리과정이 유아교육 공교육제도로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중고등학교의 무상교육을 지원하는 것과 동일하게, 교육재정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재정지원 주체, 의무성)을 가지고,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관계없이 만 3-5세 모든 유아를 지원하며(재정지원 대상, 공공성), 2012년의 매월 20만원을 기점으로 2015년의 30만원까지(재정지원 단가, 무상성) 지원하는 누리과정은 공교육의 기본 요건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향후 누리과정이 ISCED 2011의 기준에서 요구하는 유아기의 학교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무상성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단가 산출 기준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기본과정이라 불리우는 교육과정의 성격규명에 따른 표준교육비 산출, 유치원 교원의 자격관리 강화와 그에 걸맞는 인건비 체계 개선, 사립유치원의 재정 회계 투명성 확보 등의 추후과제가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