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농업스타트업 성공요인 모델링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박진환,김상순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해외 농업스타트업(Agricultural startup)을 대상으로 그 성공요인을 검토 및 도출하고 이의 통합적 연구모델(Model)에 관해 연구하였다. 농업스타트업과 일반 스타트업은 창업 이후 자원기반관점에서 열악한 자원과 인프라가 존재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농업 스타트업은 1차 산업 특성상 일반 스타트업과는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내부요인(인적자원/비전/유통망역량/자본역량/재배작물/물적자원/영농기술력 등)과 기업외부요인(농업인프라/법·규제/주변사회와의 관계 등)으로 접근하고 기존의 다양한 연구모델, 성공요인, 기업가정신을 중심으로 통합 가능한 연구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 농업스타트업(agricultural Startup) 창업준비자, 창업가 등의 기업가들과 사업관련자, 그리고 통합적 이해를 필요로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통합모델(Model)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농업스타트업 성공요인 모델링(Modeling)을 위해 규모와 특성에 따라 3가지 형태(기존 농업스타트업, 중소규모기업 스타트업, 다국적기업 및 포괄적 접근)를 통해 표준모델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총 9개(영농관리, 외부환경, 경영자/창업자 특성, 기업정체성, 경영관리, 조직문화, 인프라, 사업화 역량, 지속가능성장)의 성공요인을 도출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양한 국내외 농업스타트업 사례에 대해 ‘기업가정신’을 기반으로 농업스타트업 성공요인을 통합적으로 제시한점, 기존연구가 사례별 연구로 인해 나열식 성공요인 제시였다면 내용분석을 통한 의미적 범주화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농업스타트업 성공요인에 대한 표준모델을 제시한 점, 그 결과 향후 관련연구의 체계적 연구와 실무적 실효성 확보를 위한 토대를 제시했다는데 있다. This study reviewed and derived the success factors of overseas agricultural startups and studied their integrated research model. Agricultural startups and general startups have in common that poor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exist from a resource-based perspective after startup, but a differentiated approach from general startups is required due to the nature of the primary industry of agriculture. In this study, we approach the company internal factors (human resources/vision/distribution network capacity/capital capacity/cultivated crops/physical resources/farming technology, etc.) and external factors (agricultural infrastructure/laws/regulations/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society, etc.) We tried to build a research model that can be integrated by focusing on various existing research models, success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esent an integrated model that is practically helpful to business performance to entrepreneurs, business-related persons, and researchers who need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agricultural startups at home and abroad. made for purpose In this paper, a standard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three types (existing agricultural startup,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startup, multinational company, and comprehensive approach) according to size and characteristics for modeling agricultural startup success factors. Through this, a total of 9 success factors (agricultural management, external environment, manager/founder characteristics, corporate identity, business management, organizational culture, infrastructure,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nd sustainable growth) were deriv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uccess factors of agricultural startups were comprehensively presented based on 'entrepreneurship' for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agricultural startup cases. By confirming the systematic categorization, a standard model for future agricultural startup success factors was presented, and as a result, a foundation was presented for systematic research and practical effectiveness of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인터넷 신생기업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Amazon.com 사례 중심으로

        김장훈 ( Janghoon Kim ),김주태 ( Joot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1

        전략경영(Strategic management)은 기업의 성과와 경쟁우위의 관련성을 다룬다. 즉, 경쟁우위의 창출과 유지를 토대로 기업간 초과 수익의 차이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본 논문은 인터넷 신생기업(New-comer)이 어떻게 성장통을 극복하고 지속성을 유지하는지 분석하고 있다. 즉,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관점에서 신생기업의 성공사례에서 핵심성공요인(Key success factor)을 도출하는 연구이다. 즉, 아마존닷컴의 지속성에 대한 원천을 비즈니스 모델의 역동적 진화에서 찾고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마존닷컴은 온라인 서점, 온라인 소매점, 웹 서비스, 전자상거래 인프라에 이어 지금 현재 비즈니스 모델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온라인 서점(Online bookstore)은 아마존 사이트에서 도서를 염가로 판매하고 배송하는 단순한 비즈니스 모델이다. 단일 아이템 서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결과 비용절감과 호의적 입소문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온라인 소매점(Online retailer)은 도서 이외의 내구재(Consumer goods)처럼 공산품을 박리다매로 판매하는 사업으로 진출하였다. 취급 품목의 다양성과 신속 정확한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온라인 서점’ 모델의 성공적 확장 버전이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자사의 잉여 IT자산을 개인 또는 기업고객들과 함께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즉, 기업고객을 중심으로 수익기반을 확대하는 동시에 내부 핵심역량(예. IT자산)을 외부 고객들과 공유하는 의미를 갖는 사업 모델이다. 한편, 전자상거래 인프라 모델(Amazon Marketplace)은 개인 또는 기업고객들에게 전자상거래 구축, 운영 및 유지보수에 관한 토털 솔루션(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즉 구매, 결제, 배송 물류 및 고객관리처럼 자사의 가치사슬 활동을 외부 고객들과 공유함으로써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적 진화를 제시하는 사례이다. 가장 최근의 전자책 사업(e-Book)은 디지털 컨텐츠 유통과 단말기 제조를 결합함으로써 이업종 참여자들간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하려는 시도이다. 고객, 저작권자, 출판사, 제조업체, 유통업체 및 통신사업자를 참여시켜 상호 공존과 공동 번영의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향후 아마존닷컴의 전자책 사업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아마존닷컴은 감동적인 고객 경험을 전달하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해 오고 있다. 개인 또는 기업고객들에게 맞춤형 고객 경험을 전달하려는 아마존닷컴의 비즈니스 모델은 성공적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결국 기존 역량의 활용(Exploitation)과 신규 역량의 탐색(Exploration)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 수립과 실행에 집중한다. 아마존닷컴의 성공은 역량 축적과 개발, 핵심역량, 가치사슬 활동 및 비즈니스 모델을 상호 공유하는 진화 과정의 결과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제품/서비스 시장에서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경험을 창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업만이 성공가능성을 제고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고객 경험을 창출하고 전달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적 진화는 국내 IT산업의 재도약과 기업의 장기적 지속성에 필요한 현실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연구결과의 일반화가능성을 위해서라도 성공 또는 실패의 다수기업에 대한 다중사례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최소한 경성자료(Hard data), 또는 연성자료(Soft data)를 바탕으로 연구명제의 체계적 검증이 가능하도록 통계적 실증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It has been interesting issues that find out the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to create abnormal rate of return in strategic management. In other words, strategic management has been finding way to create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as a source of above-average rate of return.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source of sustainability of internet newcomer. In accordance with business model perspective, it was recognized that the sustainability could be resulted from business model evolution of dot.com play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se analysis, Amazon.com could successfully extend online bookstore, online retailer, web service, and marketplace model to business model convergence, in due order. Early stage, online bookstore model is to sell books to target customers at a low price via Amazon.com site. The model could build favorable brand image as a result of carrying on viral marketing and cost reduction, i.e. first-mover advantage. Next, online retailer model is to build best practice as a low price, high volume that basic commodities, or consumer goods are heavily sold at cheap price. This one tried to apply online bookstore success formula to other product items. Unlike the first two models, Amazon Web Service(AWS) Model intends to rent its own IT assets like servers to external customers - individual and corporate. AWS could expand cloud computing which is a kind of sharing service to take out a lease on servers to corporate clients. Whereas, Amazon Marketplace is a unique business model in that agency service are offered to build, operate and sustain e-marketplace system for corporate clients to build e-Commerce platform. This model was designed to share business activities like buying, payment, shipping or after-service with external customers. At last, e-book business looks like simply business model to sell Amazon Kindle to the target customer. On the contrary, the model represents business convergence in that it was to sell digital hardware and contents simultaneously. Furthermore, it could lead to create business ecosystem to attract several participants such as customer, publisher, writer, manufacturer, retailer, and telecom service provider. However, business forecast of the e-Book is lingering issue to wait and see expected outcomes in the near future. Until now, as a result of business model evolution, Amazon.com has been capable of delivering individualized customer experience to target audience, integrating its own core competence into newly business model. That is, success or failure of business model evolution depends on resource building mechanism how to exploit existing competence or explore new resources. After all, internet newcomer can have ability to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to create total customer experience to individual customers. The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rms or managers of e-business industry in Korea. Future research are required to carry on empirical study or multiple case studies in order to generalize the above results.

      • 대형급식조직에서 최적급식인원을 위한 적절한 수요예측모델을도입하는데 있어서 주요성공요인들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eong Beom Kim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4 유통정보학회지 Vol.17 No.5

        본 연구는 대형급식을 하는 조직에서 최적급식인원을 위한 적절한 수요예측모델을 도입하는데 있어서 주요성공요인들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의 예측에 대한 연구문헌은 연구 및 개발(R&D) 환경상황에서 예측도구들 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는 수요예측 담당자들에게수요예측모델 사용의 실제적 사례에서 함축적인 흥미와 조직 전체적인 견지에서 종종 매우 중요한사업결과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산업현장 수요자들에 부터의 설문지 결과를 통해, 대형급식을 하는 사업장에서최적의 수요예측도구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주요성공요인들을 찾아내는데 있다. 가설검증을 통하여,본 연구의 실증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주요성공요인(요구사항에 맞는 시스템선정, 숙련된 SI 프로젝트팀, 교육훈련 및 기슬이전)은 사용자 만족 과 수요예측모델 수용에 영향을 준다. 둘째, 조직적 주요성공요인(최고경영층 지원, 전략적 결정, 변화관리팀)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준다. 셋째, 환경적인 주요성공요인(실행수준, 시스템 인프라: 하드웨어, 통신네트워크, 소프트웨어)은 수요예측모델 수용에 영향을 준다. 넷째, 사용자 만족(만족수준, 이익, 가치)은 수요예측모델 수용(응답시간, 사용도, 적절성)에 영향을 준다. 다섯째, 사용자 만족과 수요예측모델 수용은 ROI(새로운 음식메뉴 개발시간 단축, 메뉴변경 시간감축, 이익증가, 자료조사 시간감축, 자료입력 시간감축, 자료 정확도, 음식물쓰레기 감소, 오류 감소)에 영향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o the case study of the optimized forecasting model for feedingnumber of persons in large feeding facilities. Much of the forecasting literature concentrates onforecasting tools in R&D environment. This study envisions the forecasters with intensive interestin real cases of demand forecasting model use, and often with highly significant business resultsfrom the perspective view points. The focal point of this case study is to find out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implementation ofoptimum forecasting tools at large feeding business company using demand forecasting model withsurvey results from business users. Through conducting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sult of thisempirical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echnical Critical Success Factors(Selection of System addressing requirements, Experienced SI project team, Education training & Technology Transfer)ha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and 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 Second, OrganizationalCritical Success Factors(Top management Sponsorship, Strategic Decision, Change Managementteam) ha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Third, Environmental Critical Success Factors(Level ofdeployment, System Infra: H/W, Network, S/W) have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ForecastingModel. Forth, User Satisfaction(Level of Satisfaction, Benefit, Value) have influence on the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Response time, Usability, Suitability). Fifth, User Satisfactionand 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 have influence on the ROI(Reduction of time for new menudevelopment, Reduction of time for menu change, Profit Increase, Reduction of time for data search,Reduction of time for data input, Data Accuracy, Reduction of Scrap, Error Reduction).

      • KCI등재

        An Empirical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Implementing Appropriate Demand Forecasting Model for Optimum Feeding Number of persons in Large Feeding Organization

        김정범 한국유통경영학회 2014 유통경영학회지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o the case study of the optimized forecasting model for feedingnumber of persons in large feeding facilities. Much of the forecasting literature concentrates onforecasting tools in R&D environment. This study envisions the forecasters with intensive interestin real cases of demand forecasting model use, and often with highly significant business resultsfrom the perspective view points. The focal point of this case study is to find out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implementation ofoptimum forecasting tools at large feeding business company using demand forecasting model withsurvey results from business users. Through conducting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sult of thisempirical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echnical Critical Success Factors(Selection of System addressing requirements, Experienced SI project team, Education training & Technology Transfer)ha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and 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 Second, OrganizationalCritical Success Factors(Top management Sponsorship, Strategic Decision, Change Managementteam) ha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Third, Environmental Critical Success Factors(Level ofdeployment, System Infra: H/W, Network, S/W) have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ForecastingModel. Forth, User Satisfaction(Level of Satisfaction, Benefit, Value) have influence on the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Response time, Usability, Suitability). Fifth, User Satisfactionand Acceptability of Forecasting Model have influence on the ROI(Reduction of time for new menudevelopment, Reduction of time for menu change, Profit Increase, Reduction of time for data search,Reduction of time for data input, Data Accuracy, Reduction of Scrap, Error Reduction).

      • KCI등재

        A Study of Mobile and Internet Banking Service: Applying for IS Success Model

        구철모,율리아 와티,정남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3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Understanding success factors in electronic banking is important to helping banks succeed. In this study, we extend DeLone and McLean’s IS success model to the electronic banking by adding trust as a success variable. We tested the extended model by comparing internet banking and mobile banking in Indonesi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We found that system quality had positive impact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nd-user satisfaction for both internet banking and mobile banking. The development of e-banking (internet banking and mobile banking) in Indonesia is in its initial stage. Finally, although we tested for the common method bias to relieve concern, further research may use multiple methods when collecting the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each dimension of IS success in the electronic banking environment. While the original IS success model emphasiz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impacts, we have argued that trust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IS impact on an individual socially in the banking industry. The contribution of our study is two-fold. Conceptually, the study is the first to extend the IS success model to the e-banking context. We provide an extension of the updated IS success model by adding trust as an outcome variable in the research model.

      • KCI등재

        A Study of Mobile and Internet Banking Service: Applying for IS Success Model

        Koo, Chulmo,Wati, Yulia,Chung, Namho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2013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Understanding success factors in electronic banking is important to helping banks succeed. In this study, we extend DeLone and McLean's IS success model to the electronic banking by adding trust as a success variable. We tested the extended model by comparing internet banking and mobile banking in Indonesi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We found that system quality had positive impact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nd-user satisfaction for both internet banking and mobile banking. The development of e-banking (internet banking and mobile banking) in Indonesia is in its initial stage. Finally, although we tested for the common method bias to relieve concern, further research may use multiple methods when collecting the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each dimension of IS success in the electronic banking environment. While the original IS success model emphasiz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impacts, we have argued that trust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IS impact on an individual socially in the banking industry. The contribution of our study is two-fold. Conceptually, the study is the first to extend the IS success model to the e-banking context. We provide an extension of the updated IS success model by adding trust as an outcome variable in the research model.

      • KCI등재

        인터넷뱅킹 성공모형에 관한 연구

        이경근(Kyeung-Keu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과 전자상거래 성공모형을 바탕으로 인터넷뱅킹의 특성과 성공요인을 반영한 인터릿뱅킹 성공모형을 설계하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이용하여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 사용의 용이성은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성은 신뢰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효익과 유용성, 신뢰는 사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은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뱅킹 사용이 급격히 증대됨에 따라 인터릿뱅킹의 성공을 위해서는 다른 인터릿뱅킹 사이트보다 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뿐만 아니라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인터넷뱅킹 사이트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인터넷뱅킹 성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인터넷뱅킹 성공모형을 통하여 다른 은행보다 훨씬 더 우수한 인터넷뱅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속적인 평가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pose and empirically assessed Internet Banking success model. This was deriv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quality evaluation factors of Internet Banking services and review of TAM model, IS success model, e-Commerce success model literature. The research model consists of exogenous variables(ease of use, economic benefits, safety) and endogenous variables (usefulness, user satisfaction, trust,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ease of use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trust. Safety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rust. Economic benefits and usefulness, trust a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a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is study provide the initiative of Internet Banking success model. Internet banking finm will support the competitive service through strategic quality evaluation and improverrent using Internet Banking success model.

      • KCI등재

        스마트폰 게임의 비즈니스 모델 및 성공요인 분석

        홍동숙(Dong-Suk Hong),조성남(Sung-Nam Cho),김한국(Han-Gook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7 No.4

        스마트폰 관련 산업의 급격한 성장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을 요구하게 되었고, 특히 소비자의 기호가 빠르게 변하는 스마트폰 게임 관련 산업에서의 성공을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통찰이 필요하지만,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나 성공 요인에 대해서는 아직 활발한 논의가 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게임의 비즈니스 모델과 그에 따른 성공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국과 국내의 비즈니스 모델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게임의 비즈니스 모델 설명에 적절한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국내 스마트폰 게임 성공의 견인차 역할을 한 카카오를 중심으로 스마트폰 게임 분야에서의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성과를 요약하면 우선 스마트폰 게임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제시하였고, 스마트폰 게임의 비즈니스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본 스마트폰 게임의 성공요인과 함께 대표적인 성공 사례를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rapid growth of industries related to smartphone requires the emergence of a new business model. In particular,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insight about business model are required for success because of the rapidly changing consumer preferences in the smartphone game industrie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yet been reported on specific business model and success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provides an appropriate model for explaining the business model in smartphone and derives success factors of Kaka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uccess of smartphone game, after investigating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bout business model for figuring out the business model and success factors in smartphone game fields. For summarizing the main achievements of this paper, a trend and prospect of the smartphone game market, a definition of business model in smartphone game, success factors of smartphone game based on the business model are presented.

      • KCI등재

        공공부문 EA 서비스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신다울,박주석,박재홍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4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1 No.4

        Korea has won 3 times in a row in the evaluation of e-government services in 2014. Andthe last year, the government-EA has been awarded the UN Public Service Award. Because of thedevelopment and execution of personalized integrated services based on the government-EA,Korea has won the two award from the UN. EA has been selected and proceeded as one of the 31e-Government projects in early period, in 2005 the law which public sector must adopt the EA forefficient informatization had been enacted. Many public agencies in which actively utilized toderive such as internal and external performance through the EA. On the other hand, in the last10 years, some public agencies have still been as recognized level of management in the EA. In thisstudy, the main purpose is that to find out what is a major factor for successful use and result ofEA, what is the EA success Model and how to examine it. To do that, this study will study therelated prior research such as EA services, information systems success factors, performance measures,and develop the success model for EA and then examine the model. This study will contribute great implications in practical and theoretical in EA success model because this is thenation's first research that SERVQUAL model and the IS Success Model(DeLone & McLean 2003)has been combined and examined. 2014년 UN의 전자정부 서비스 평가 3회 연속 한국이 우승하였으며, 지난해에는 범정부 EA가UN공공행정상을 수상하였다. 이는 범정부 EA기반 범정부 차원의 맞춤형 서비스 연계·통합 과제 발굴 및 수행에 따른 성과라고 볼 수 있겠다. 이와 같은 EA는 과거 전자정부 31대 과제 중 하나로 선정되어 추진해왔으며, 2005년 법제화 이후 공공부문에서 본격적으로 도입 및 운영·활용되었다. 많은공공기관에서 EA를 통한 대내외 성과를 도출하는 등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반면, 10여년이 지난지금에도 몇몇 공공기관은 EA를 아직 인식수준에서 관리하고 있다. 더불어, 개별 공공기관의 EA를통한 성과는 다시, 범정부 차원의 성과로 확산되어 범정부EA를 세계의 표준으로 성장시키는 데 톡톡한 기여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관에서 EA를 통해 도출 되고 있는 성과의 주요 요인이 무엇이며,어떠한 요인이 개별기관 및 범정부 EA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관련하여 EA 성과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규명을 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EA, EA서비스, 정보시스템 성공요인,정보시스템 성과 측정 등 이론적 선행여구를 고찰하고 논리적 추론과정을 통해 모형개발 및 검증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품질 측정·평가 모델인 서브퀄 모형(SERVQUAL Model) 및DeLone & McLean의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을 EA 서비스 성과에 접목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서 실무적 및 이론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