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제약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코스닥 고성장 기업을 중심으로

        이기세,강다연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4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KOSDAQ pharmaceutical firms through DEA analysis and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high-growth companies and those that did not. And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ology]The efficiency was evaluated by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commitment elements were assets, personal expenses, R&D expenses, Advertising expenses, and output element were sales, the operating income, net income. A number of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using t-test & various statistical methods. [Findings]There are a total of 16 efficient DMUs with a BCC of 1. Nine firms are not high-growth firms, while seven are high-growth firms. There are a total of 7 efficient DMUs with a CCR of 1. Two firms are not high-growth firms, and five are high-growth firms. A total of seven DMUs were 1 in Scale Efficiency, two were not high-growth companies, and five were high-growth firms. However, efficiency does not differ between high-growth firms and not high-growth firms. [Implications]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propose growth pla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efficiently the pharmaceutical companies operate. So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was evaluated and a variety of empirical analyzes (especially efficiency of high-growth firms) were conducted to derive meaningful resul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orporation decision makers and investors.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닥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더 나아가 표본을 고성장 기업과 그렇지 않는 기업으로 구분하여 이들 간에 경영효율성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DEA(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제약기업의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기업의 효율성 뿐 만 아니라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통해 집단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효율적인 집단에 대해서는 경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투사값들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분석결과 BCC가 1인 효율적인 DMU는 총 16개 기업이며, 이 중 고성장 기업이 아닌 기업은 총 9개 기업, 고성장 기업은 7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CCR의 효율성을 살펴보면 효율성이 1인 DMU는 총 7개 기업이며, 이 중 고성장 기업이 아닌 기업은 총 2개 기업, 고성장 기업은 5개를 보였다. 규모 효율성을 살펴보면 효율성이 1인 DMU는 총 7개 기업이며 이 중 고성장 기업이 아닌 기업은 총 2개 기업, 고성장 기업은 5개를 보였으며, 규모수익성(RTS)은 고성장 기업에서는 CRS가 6개, IRS가 5개인 반면 그렇지 않는 기업에서는 CRS가 3개, IRS가 16개를 보였다. 그러나 고성장 기업과 그렇지 않는 집단 간 차이분석결과에서는 BCC, CCR 그리고 규모수익성(RTS)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집단 간 경영효율성은 차별적이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제약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성장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약기업들이 어느 정도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약회사들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제약기업 중 고성장 기업의 경영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서는 해당 기업 의사결정자와 투자자 그리고 기업평가 의사결정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DEA와 Tobit모형을 활용한 충청북도 일반계고등학교 효율성 분석

        김민희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42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using DEA and to suggest the means to improve efficiency by investigating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In addition, this study explains the differences in relative efficiency by 4 factors using the Tobit model. To this end, a DEA model was established with 3 input and 3 output variables. Then, output maximization was applied to models with CCR and BCC methods. 4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Tobi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ve efficiency among the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ale efficiency (CCR/BCC) by DEA analysis model among the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Third, according to the Tobit analysis results, efficiency of public high schools in c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private high schools. 본 연구는 충청북도내 42개 일반계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대학 진학에 따른 효율성 차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교간 효율성 차이 분석을 위해 3개의 투입변수와 3개의 산출변수를 사용하여 DEA 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절단회귀모형인 Tobit모형을 통해 효율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학교알리미(2009)’에 공시된 학교정보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북도 일반계고등학교는 모형별로 학교간 상대적 효율성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효율성의 차이에 기여한 투입, 산출변수는 학생당교육비와 대학진학률이었다. 둘째, 충청북도 일반계고등학교의 순수 규모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규모와 기술로 인한 비효율이 높은 학교가 많았다. 셋째, 충청북도 일반계고등학교의 효율성에는 소재지 및 설립유형 변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지역에 소재한 국 · 공립고등학교가 그렇지 않은 사립학교에 비해 효율성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일반계고등학교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규모, 소재지, 설립유형, 학생당교육비 등을 동시에 고려한 학교정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High-efficiency deep geological repository system for spent nuclear fuel in Korea with optimized decay heat in a disposal canister and increased thermal limit of bentonite

        이종열,김광일,김인영,주희재,정종태,이창수,김정우,조동건 한국원자력학회 2023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55 No.4

        To use nuclear energy sustainably, spent nuclear fuel, classified as high-level radioactive waste and inevitably discharged after electricity generation by nuclear power plants, must be managed safely and isolated from the human environment. In Korea, the land area is limited and the amount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including spent nuclear fuels to be disposed, is relatively large. Thus, i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maximize disposal efficiency. In this study, a high-efficiency deep geological repository concept was developed to enhance disposal efficiency. To this end, design strategies and requirements for a high-efficiency deep geological repository system were established, and engineered barrier modules with a disposal canister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type and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type Canada deuterium uranium (CANDU) plants were developed. Thermal and structural stability assessments were conducted for the repository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system was suitable for the established strategies and requirem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nuclear safety assessment showed that the radiological safety of the new system met the Korean safety standards for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in terms of radiological dose. To evaluate disposal efficiency in terms of the disposal area, the layout of the developed disposal areas was assessed in terms of thermal limits. The estimated disposal areas were 2.51 km2 and 1.82 km2 (existing repository system: 4.57 km2) and the excavated host rock volumes were 2.7 Mm3 and 2.0 Mm3 (existing repository system: 4.5 Mm3) for thermal limits of 100 °C and 130 °C,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rea and the excavated volume of the new repository system were reduced by 40–60% compared to the existing repository system. In addition, methods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were derived for the disposal area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a national high-leve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olicy, and for the design of a commercial deep geological repository system for spent nuclear fuels.

      • KCI우수등재

        국내 고성장 ICT 서비스기업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박이숙,고대영 한국경영학회 2024 經營學硏究 Vol.5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hange in productivity of high-growth ICT service companies before and after being selected as a high-growth company,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productivity chang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 of analysis was high-growth ICT service companies on the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high-growth company list, and productivity changes were measured using the DEA-Malmquist model.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2 years before the high-growth company selection to 2 years after the high-growth company selection based on the year of each company's high-growth company sele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annual productivity increased during the entire analysis period (t-2~t+2). However, looking at each period, the average annual produ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after(t~t+2) it was selected as a high-growth compan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efficiency after selection as a high-growth company was due to companies that were selected as high-growth companies whose efficiency decreased after selec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policies related to ICT service companies, to support high-growth companies, and to derive selection criteria guidelines.

      • KCI등재

        부산시내 고등학교의 효율성 평가 및 효율성 결정요인분석

        진하수(Jin, Ha-Soo),강상목(Kang, Sang-M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의 고등학교의 효율성과 그 결정요인을 측정하고자 함이다. 분석대상의 기간은 2014-2018년이고 모집단은 부산시 일반고등학교 총 80개를 대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부산시 고등학교의 평균효율성은 0.93이고, 평균규모효율성은 0.98이다. 규모경제 관점에서 규모체증 상태는 약 34개교, 규모불변 26개, 규모체감상태 19개이다. 효율성을 높이려면 부산시 고등학교의 운영규모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도 필요하다.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교장 공모제, 기간제 교사 수, 학업중단 총 학생수는 학교 효율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평준화와 총학생수는 부(-)의 영향을 주었다. 학업중단 학생수가 많은 학교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학교와 교육청 차원의 면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반면 학원수의 급증이 효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실증결과에 기초할 때, 교장공모제의 확대 실시, 기간제교사 제도의 양성화 등은 고등학교 효율성 향상에 필요한 반면에 많은 학생수는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iciency and determinants of high schools in Busan. We focused on 80 general high schools in Busan for 2014-2018. As a result of analysis, the average efficiency of Busan high school was 0.93 and the average scale efficiency was 0.98. In terms of scale economy, there are approximately 34 schools in increasing return to scale(IRS), 26 schools unchanged, and 19 schools in decreasing return to scale(DRS).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or reduce the operation scale of Busan high schools. In the analysis of determinants, the principal open recruitment system, the number of contract teachers, and the number of dropouts had a positive (+) effect on school efficiency, but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y(HSEP) and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had a negative effect. Schools with a large number of dropout stud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fficiency, so close management from the school and education office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ivate academies in some distric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fficiency.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results, the expansion of the principal open recruitment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contract teacher system, and the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 KCI등재

        충청북도 특성화 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취업률을 중심으로

        정진철,이건남,이종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ve efficiency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which focused on employment rates as a result of educational outcomes,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employment rates. Employment rates, population, and business statistics were analyzed through the data envelope analysis(DEA). The Tobit model was also introduc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relative efficiency 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school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overall efficiency and individual circumstances of the schools,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efficiency are required for mos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in Chungcheong-Do. It is required even for the schools with 1.00 efficiency index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o benchmark other school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per efficiency. Secondly, a distinguished strategy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rate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vocational high school. Thirdly, inefficient schools with less than 1.00 efficiency index need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Those schools can improve their own efficiencies by benchmarking the schools in the criteria group. Inefficient schools can improve the output elements by adjusting the input elements at first, which should be improved. Fourthly, an easy way to reach an efficient school is to follow the results of the Tier analysis. The government and local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rovide consulting services, which can help each school establish a long-term developmental plan. 이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 효율성이라는 지표를 바탕으로 교육성과로 나타나는 취업률을 중심으로 충청북도에 소재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취업률 개선 등을 포함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알리미 사이트와 충청북도청의 인구통계, 사업체 통계를 활용하였다. 또한, 토빗모형을 이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의 차이를 학교의 내적요인, 외부요인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북도에 소재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반적인 효율성 수준이나 학교가 처한 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대다수의 학교는 효율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효율성 값이 1.00으로 나타난 학교도 초효율성 결과를 토대로 학교의 발전을 위해 개선 및 벤치마킹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별 차별화된 취업률 제고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DEA 분석 결과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학교들(효율성 값이 1.00 미만인 학교)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비효율적인 학교로 하여금 효율적인 학교가 되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모델, 즉, 준거집단으로 제시된 학교를 벤치마킹하여 효율성 개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비효율적인 학교에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투입요소를 조정하여 산출요소를 개선할 수 있다. 넷째, Tier 분석에 따라 나타난 단계를 거쳐서 다음 단계로 도달하는 것이 쉽게 효율적인 학교로 갈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학교의 장기발전계획을 수립을 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컨설팅 등을 정부 및 교육청 차원에서 지원해 주어야 한다.

      • High Efficiency DC-DC Converter With High Step-Up Gain for Low PV Voltage Sources

        Woo-Young Choi,Ju-Seung Yoo,Jae-Yeon Choi 전력전자학회 2011 ICPE(ISPE)논문집 Vol.2011 No.5

        This paper proposes a high efficiency dc-dc converter with high step-up gain for low PV voltage sources. The proposed converter converts the low dc voltage to a high dc voltage with a high-efficiency. The proposed converter uses the active-clamping circuit and voltage-doubler rectifier in order to achieve a high step-up ratio and soft-switching operation. The output diodes are turned off at zero-current,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witching power losses at high output voltage application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verter is evaluated on a 260 W photovoltaic module integrated converter (PV-MIC) system. A high-efficiency of 97.5 % is achieved to generate 350V high output voltage from 36 V low PV module voltage.

      • KCI등재

        DEA를 활용한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 효율성 분석

        오영교,차성현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efficiency and its chan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is, the study employed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 the data of 2014~16 provided by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system and schoo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electronically by the government. For the DEA approach, the study calculated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highly efficient schools. Input variables for DEA includ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chool expenditure per student, while the employment rate and dropout rate were used for output variabl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ve efficiency among schools exist, while 5 of 10 schools achieved 100% efficiency. Second, school inefficiency was mainly caused by pure technical efficiency rather scale efficiency.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gnificant efficiency by school ownership, academics, and mixed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tailored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higher efficiency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wangju. 이 연구는 자료포락기법(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활용하여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및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학교알리미와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서 제공하는 2014~16년 학교수준 자료를 활용하였다. DEA 분석을 위한 투입요소로는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 학급당 학생 수,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사용하였으며, 산출요소로는 취업률, 학업중단율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광역시 특성화고등학교 간 상대적 효율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의 비효율성은 규모의 효율성보다는 주로 순수기술효율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00% 효율성 나타낸 학교는 5개 학교였으며, 학급당 학생 수는 44.4%,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는 42.3~100%,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3.2~100%까지 효율성 달성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설립유형, 남녀공학, 계열 등 학교배경 특성에 따른 학교 간 상대적 효율치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및 학과개편 등 특성화고등학교의 자체적인 효율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교육청의 전문적 컨설팅 및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5[kW]급 풀-브릿지 고주파 공진형 인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유도가열 히터 개발

        신대철,권혁민 전력전자학회 2005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10 No.5

        Proposed induction-heated system is innovative system which applied special high-frequency power circuit technique for thermal converse technique and IH(Induction-Heating) magnetic induction heating generated from induction-heated metallic package that is for distillation unit. In this occurs not burning, so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can be improved. This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technique is used high frequency inverter. By using high frequency inverter high frequency alternative current in the range of [kHz] can be made with conventional alternative current. In this contribution IGBT module is used for high frequency inverter. This paper proposes new fluid heating method. Which is operated as follows. Working coil, which is wrapped outside of pipeline, makes the eddy current. Inside of heating vessel in isolated pipeline the specially designed stainless metallic package is inserted, which can be heated by eddy current losses. And then In this paper are discussed action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5[kW] class full-bridge resonant inverter system and resonant metallic package. In addition, by using this system, how high-efficiency heater is developed and application of system are also discussed. 제안한 유도가열 시스템은 증류탑 장치에 사용되는 특수충진체에 의한 열교환기술과 IH(Induction-Heating)전자유도가열용의 특수한 고주파 전력회로 기술을 응용한 차세대 가열방식이다. 특히 일체의 연소과정이 없다는 점에서 작업환경의 개선이 가능하며 본 기술은 IGBT대응의 고주파 인버터를 사용하여 상용교류로부터 수[kHz]의 고주파교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절연체 용기 내에 특수 스텐레스 발열체부하를 수납하여 용기 외부의 고주파 공진형 인버터 접속의 워킹코일로부터 비접촉 상태로 전자유도 와전류를 구조체에 흘림으로서 발열하게 되는 새로운 유체가열방식을 제안한다. 그리고 5[kW]급 풀-브릿지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과 공진부하의 동작해석, 특성분석 및 본 시스템을 이용한 고효율 스팀 발생장치의 개발과 시스템의 응용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경영전략과 혁신성과가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안미강,이기세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3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and expenditure on asset acquisition are the basis for innovation activities and continuous growth, providing opportunities for firm’s monopoly and innovation. However, because the effects of firm's innovative activities don’t appear immediately and uncertainty exis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irm's investment tendency and efficiency in the innovative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management's investment strategy was measured by the type of management strategy and the decision to select a high growth firm announced by the STEPI's(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s) was verified as a proxy for its innovative performance and its impact on investment efficiency. The study uses a total sample of 5,650 firm-year observation listed on KOSDAQ from 2011 to 2018.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anagement strategy and high growth firms on investment tendency and efficiency among sample firms. As a result, the more firms that management strategies that are close to the prospector type or the better the innovation performance as high growth firm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to invest. However, the analysis of investment efficiency showed that investment efficiency increased when selected as a high growth firm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only firms that do not have high growth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rategy scores and investment efficiency, but the analysis of high growth selected firms showed that higher management strategy scores increased investment efficienc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efficient over-investments are made when high growth firms take active strategic behavior.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기술의 수용과 함께 자산 취득 등의 투자지출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지출은 혁신활동 및 지속적인 성장의 바탕이 되어 해당 기업의 독점성 또는 혁신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업의 혁신활동 투자는 그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불확실성이 존재하여 관련 지출에 신중함이 필요하므로 투자에 대한 기업의 성향과 혁신활동의 투자효율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의 투자전략을 경영전략 유형으로 측정하고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하는 고성장기업 선정 여부를 혁신성과의 대용치로 하여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이며,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전략과 고성장기업 선정 여부가 투자성향 및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업의 경영전략점수와 고성장기업 여부가 투자성향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어 선도형에 가까운 전략을 행하는 기업일수록 또는 고성장 선정기업으로 혁신성과가 우수할수록 과잉투자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투자효율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경영전략점수가 높을수록 투자효율성은 감소하였지만 고성장 선정기업의 투자효율성은 그렇지 않는 기업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장이 아닌 기업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경영전략 점수와 투자효율성은 음(-)의 관계를 나타냈지만 고성장 선정기업에 대한 분석에서는 경영전략점수가 높을수록 오히려 투자효율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고성장기업으로 선정되어 혁신활동의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업집단에서 선도형에 가까운 적극적인 전략행태를 취할 경우 효율적인 과잉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