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中·日 常用漢字의 比較 考察(2) -國內 通用略字의 整理를 爲하여-

        남기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1

        Hanja(Chinese Characters) is the Korean language character with Hangŭl. at the same time Hanja is the International character. For mutual understanding of character through Hanja in Korea, China is necessary the standardization of letter_form. transitionally I insist a reception of a simplified character for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But it is not to give up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I request to use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with a simplified character in China. a simplified character has be in common use from the ancient times in Korea. A contemporary simplified character of China includes traditional character, a sort of complicated character. This paper compared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character of China and the correct character of Korea. I expect that this paper becomes to call your attention to utility of Hanja as International character. 韓國人의 입장에서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생각할 때 中․日의 簡化字와 略字類를 韓國 略字로 積極 受容하여 활용함이 옳다. 동시에 韓國의 正字 중심의 漢字 생활은 유지하고 中․日에 대하여서는 韓國 正字 敎育에 誠意를 보일 것을 촉구한다. 本考에서는 中國에서는 淘汰시킨 韓國 正字를 파악하고, 韓中 文字 疏通의 편리를 도모하는 차원에서 韓國 正字와 中國 傳承字 및 繁體字를 상호 비교하여 劃數에 차이가 있는 것은 正字와 略字의 개념으로 정리하여 略字 選定 目錄에 넣었다. 本考가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喚起시키고, 三國人의 文字 疏通을 위한 苦悶 解決에 약간의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韓·中·日 常用漢字의 比較 考察(1) -國內 通用略字의 整理를 爲하여-

        남기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4

        Hanja(Chinese Characters) is the Korean language character with Hangŭl at the same time Hanja is the International character. For mutual understanding of character through Hanja in Korea, China, Japan is necessary the standardization of letter_form. transitionally I insist a reception of a simplified character for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But it is not to give up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I request to use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with a simplified character in China. a simplified character has be in common use from the ancient times in Korea. I expect that this paper becomes to call your attention to utility of Hanja as International character. 漢字는 國語 속의 文字를 넘어서는 國際文字이며,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생각할 때 더 이상 韓中日 三國 漢字生活의 異質化를 放置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韓國人의 입장에서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생각할 때 中日의 簡化字와 略字類를 韓國 略字로 積極 受容하여 활용함이 옳다. 동시에 韓國의 正字 중심의 漢字 생활은 유지하고 中日에 대하여서는 韓國 正字 敎育에 誠意를 보일 것을 촉구한다. 中國 常用字 3,500字 檢討의 일환으로 簡化字總表의 簡化字를 檢討한 바, 총 2,235字 中 496字가 簡化의 基本字가 되며, 中國의 基本 簡化字는 상당수가 현용 韓國 略字와 일치하거나 韓國 古文獻에서 그 사용 실례가 확인된다. 本考가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喚起시키고, 三國人의 文字 疏通을 위한 苦悶 解決에 涓滴의 도움이라도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 KCI등재

        韓·中·日 常用漢字의 比較 考察(3)-國內 通用略字의 整理를 爲하여-

        남기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2

        本 論文은 지난 2009년 12월(144호)과 2010년 3월(145호)에 발표된 「韓․中․日 常用漢字의 比較 考察(1), (2)」의 後續 論文이다. 韓國人의 입장에서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생각할 때 中日의 簡化字와 略字類를 韓國 略字로 積極 受容하여 활용함이 옳다. 동시에 韓國의 正字 중심의 漢字 생활은 유지하고 中日에 대하여서는 韓國 正字 敎育에 誠意를 보일 것을 촉구한다. 日本 常用略字는 248字 정도에 불과하고 거의 100% 가까이 韓國 略字와 일치한다. 韓國 略字는 韓國語文敎育硏究會에서 배포한 略字 目錄을 중심으로 하여 中日 略字 目錄에 없는 韓國에서만 쓰이는 略字들만 선별하여 159字 정도를 살펴보았다. 本考가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喚起시키고, 三國人의 文字 疏通을 위한 苦悶 解決에 약간의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Hanja(Chinese Characters) is the Korean language character with Hangŭl. At the same time Hanja is the International character. For mutual understanding of character through Hanja in Korea, China, Japan is necessary the standardization of letter form. transitionally I insist a reception of a simplified character for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Japanese character. But it is not to give up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I request to use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with a simplified character in China, Japan. a simplified character of Korea and Japan is the same nearly. Only a simplified character of Korea is about 159 characters. I expect that this paper becomes to call your attention to utility of Hanja as International character.

      • KCI등재

        韓․中․日 常用漢字의 比較 考察(4) -國內 通用略字의 整理를 爲하여-

        남기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3

        Hanja(Chinese Characters) is the Korean language character with Hangŭl. at the same time Hanja is the International character. For mutual understanding of character through Hanja in Korea, China, Japan is necessary the standardization of letter-form. transitionally I insist a reception of a simplified character for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Japanese character. But it is not to give up the correct form of a char- acter. I request to use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with a simplified character in China, Japan. a simplified character has be in common use from the ancient times in Korea. A letter requesting a new Learning in commonly used character is no more than 260 characters in Korea. I expect that this paper becomes to call your attention to utility of Hanja as International character. 韓國人의 입장에서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생각할 때 中日의 簡化字와 略字類를 韓國 略字로 積極 受容하여 활용함이 옳다. 동시에 韓國의 正字 중심의 漢字 생활은 유지하고 中日에 대하여서는 韓國 正字 敎育에 誠意를 보일 것을 촉구한다. 本考 제시 略字는 正字 기준으로 總 715字이다. 이 중 450餘字는 이미 韓國에서 통용되고 있는 略字이거나 蹟 迹, 輓 挽 등 韓國에서 두 글자 모두 사용되는 同字類의 略字이다. 따라서 추가 학습이 필요한 漢字는 260字 정도이다. 260字 정도만 추가로 익히면 中日의 漢字 字形까지 대부분 알아볼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나아가 이에서 類推되는 漢字들도 모두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된다. 本考가 國際文字로서의 漢字의 效用을 喚起시키고, 三國人의 文字 疏通을 위한 苦悶 解決에 약간의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古今釋林·東韓譯語·釋親』朝鮮親戚稱呼用語淺析

        黃慧,이춘영 대한중국학회 2023 중국학 Vol.85 No.-

        The “古今釋林” (Gugjin Seoknim) compiled by the Korean scholar Yi Yifeng (1732-1801) i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compilation of various language dictionaries from the pre-19th century Joseon period that recorded Hanja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is analysis focuses on the entries found in “古今釋林·東韓譯語·釋親”, which includes words related to Hanja characters. These entries consist of words that have the same literal meaning as their Hanja characters, such as “阿父, 别室”, words that borrow Hanja characters’ phonetics for annotation, like “阿兒, 南人”, and words that borrow Hanja characters’ forms and meanings to create vocabulary expressing native Korean culture, like “兩主, 冷背拜”.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onetic Hanja character words borrowed for annot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combines them with phonetic analysis, revealing the transitional phase of using Hanja for phonetic representation and the coexistence of Hanja and the Korean language during that time. The adaptation of Hanja characters’ forms and meanings to create Korean terms enriches our understanding of the Hanja vocabulary created during the Joseon perio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meanings and definitions of Hanja characters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is study offers a deeper and mor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Hanja’s usage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its impact on modern Chinese and modern Korean.

      • KCI등재

        漢字의 학습효과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양희용 한국한문교육학회 2006 한문교육논집 Vol.26 No.-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learning effect in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攀 * Woosuk High school, Teacher / dragonyhr@hanmail.net 攀攀Yang Hee-ryoung*As the improvement methods of learning effect in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 studied the fundamental radicals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radicals preceeding learning, analytical chinese characters learning, glyph coloring learning, procedural writing learning, Quiz or puzzle learning, and comic books or picture learning. If I made an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I understood the radicals as the smallest unit in the co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I tried to purse the improvement methods of retention effect through the making use of radicals.If a student first the radicals of chinese characters, it is useful for him to learn the complex chinese characters or make an analytical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n through the coloring of radicals, it is useful for him to improve the visual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procedural writing, it is useful for him to improve the exact writing ability of the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Quiz or puzzle, it is useful for him to stimulate interest in the lear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comic books or pictures, design or sketch, it is useful for him to find the hidden chinese characters or meanings. If a teacher use such the methods in the instruction-learning chinese characters, I convince the improvement of learning the chinese characters. 漢字 학습의 기초가 되는 部首를 살펴보고, 이어서 1)部首 선행 학습법과 2)破字 학습법, 그리고 3)字形[字素]의 색깔화(Color化) 학습법 및 4)(필순에 따라) 쓰기 학습법, 5)수수께끼[퍼즐] 학습법과 6)만화(그림) 학습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한자를 破字하여 보면 한자가 최소 단위인 部首나 字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部首나 字素를 활용하여 한자의 把持효과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한자의 기본인 부수를 먼저 배우면 획이 많은 한자의 학습이나 破字로 한자를 익히는 학습에도 도움이 되며, 이 때 字形[字素]을 색깔화(Color化)하면 한자 하나하나를 分合하여 볼 때 낯설지 않고 익숙한 모양이 많아 한자가 쉽게 느껴지고 오래 기억하는 把持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필순에 따라서 한자를 정성들여 직접 써보면 컴퓨터 시대에 눈으로만 익히는 학습방법보다는 그 파지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나아가 수수께끼를 풀이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한자를 익히는 것도 흥미를 갖고 효과를 높이는 좋은 방법의 하나이며, 만화(그림)나 삽화, 그리고 한자를 도안화하여 학습에 이용하거나, 도안 또는 포스터 등에서 숨은 한자를 찾는 학습방법도 흥미와 효과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한자를 교수-학습하면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확신한다.

      • KCI등재

        유니코드 한자-한글 자동 변환 연구 및 구현

        이도길 한성어문학회 2024 漢城語文學 Vol.51 No.-

        텍스트의 가독성과 검색의 용이성을 위해 한자를 한글로 변환하여 병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은 유니코드 텍스트에서의 문자 정규화에 대해 논하고 한자-한글 변환을 위해 필요한 언어 정보로서 한자-한글 테이블과 한자어-한글 사전을 구축하였다. 한자 음가 사전으로부터 한자-한글 테이블을 정의하고 우리말샘 사전으로부터 추출한 약 48만 개의 어휘를 포함하는 한자어-한글 사전을 구축하였다. 최장일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두음법칙 및 예외 규칙 등을 적용한 자동 한자-한글 변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1970년~2019년까지의 동아일보 코퍼스를 대상으로 구현한 시스템과 문자 단위의 변환 방법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For the readability and ease of search of text, it is desirable to convert Hanja (Chinese characters) into Hangul (Korean characters) and write them together. This paper discusses the normalization of characters in Unicode texts and constructed a Hanja-Hangul table and Hanja word dictionary as language information necessary for Hanja to Hangul conversion. The Hanja-Hangul table was defined from the Chinese character phonetic dictionary and the Hanja word dictionary including about 480,000 vocabularies was constructed which were extracted from Korean language dictionary named Urimalsaem. Based on the longest matching algorithm with applying the initial law and some exception rules, an automatic Hanja-Hangul conversion system was implemented. I executed the system in the Dong-A Ilbo corpus from 1970 to 2019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ystem and those of character unit conversion method.

      • KCI등재

        『韓國漢字字典』의 국자 구조 양상 고찰

        이해윤 ( Lee Haeyoon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4 東洋學 Vol.- No.95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에서 최근 2023년 12월에 출판한 『韓國漢字字典』의 수록자 중에서 자형, 자음, 자의 모두 우리나라의 고유한 특징이 있는 국자 자형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국자의 외부구조와 내부구조의 결합 양상과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국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분석 결과 국자는 合體字 위주이며 외부구조적으로는 국자의 약 68%가 ‘좌우구조’ 유형에 해당하고, 내부구조적으로는 ‘義音구조’가 국자의 약 84%를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중국 한자의 구조적인 양상과 국자의 구조적인 양상이 비슷한 점을 알 수 있었다. 국자의 외부구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외부구조 유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유니코드에서 제정한 IDC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평면 도식으로는 포괄할 수 없는 국자의 구조도 존재하여 □, □, □와 같은 구조를 고안하였고, 이를 정리해서 국자의 결합구조를 평면 도식으로 시각화하면 □, ⿰, ⿱, ⿲, □, ⿳, □, ⿴, ⿵, ⿸, ⿹, ⿺와 같이 12개로 나타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자의 문자 체계는 상당히 자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部件의 결합 양상이 다양할뿐더러 고정된 正字가 없으며 다양한 異體 현상이 보인다. 이는 우리말을 표기하고자 하는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진 글자이기 때문에 문자의 규범보다는 실사용적인 측면이 강하여 그러한 것이었다. 또한 국자를 만들어 사용하는 과정에서 선조들은 심리적으로 글자를 ‘漢字化’하는 것을 지향하였다. 심미적으로도 국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정방형에 맞춰서 글자의 안정감이나 균형감을 추구하려는 의도를 볼 수 있었다. 선조들은 한자와 한글 구조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한자로는 표기할 수 없는 우리말의 고유어를 한자라는 문자 체계를 기반으로 한국어의 언어체계를 도입하여 자유자재로 국자를 만들기도 하고 변용해서 풍부한 언어생활을 향유한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n the combination of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s of Gukja (國字) font styles.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ukja words that have features unique to Korean in font styles, consonants, and characters from the words compiled in HanGuk-hanja-jajeon, published in December 2023 by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First, a database for Gukja was made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Gukja are mostly Hapcheja (a character made by combining radicals and other elements); in the external construction, about 68% of Gukja are “components laid side by side, or Left-Right construction,” while in the internal construction, about 84% of Gukja are “constructions of meaning and s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Gukja are similar to those of the Chinese versions. The analysis of the external construction of Gukja was conducted by use of the Ideographic Description Characters defined by Unicode Standard to visually represent external construction patterns of Chinese characters. For some Gukja constructions not representable by existing plane diagraphs, additional forms were created, such as: □, □, □. These constructions are organized into 12 plane visual graphics: □, ⿰, ⿱, ⿲, □, ⿳, □, ⿴, ⿵, ⿸, ⿹, ⿺. In conclusion, the character system of Gukja is clearly self-regulative. The Gukja show variance in the combination of character components, have no fixed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are in diversified variant forms. These characteristics are understood to signify that, as Gukja were made from the need to write out Korean words, practical usage was prioritized before the norms of characters. In making and using Gukja, our ancestors sought to psychologically “Chinesize” the characters. In the aesthetic sense, it was identified that, in the process of making Gukja, there was pursuit for the sense of balance and security of characters in a square form. Koreans of the past had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of Chinese and Korean characters. As a result, they enjoyed an enriched lingual life by either making Gukja or modifying them by adopting the Korean linguistic system to the Chinese character system as a base.

      • KCI등재

        漢字傳來ル―トにおける朝鮮半島の役割

        兒島慶治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8 No.-

        本論は、4~8世紀の古代朝鮮(三國時代を中心に) 時代の金石文、木簡、經文などに殘存する「鹽」字の異體字「鹽」字形の有無及び字形狀況の確認を行い、8世紀半ばに中國では使用されていなかった異體字「鹽」字形が日本の聖武天皇直筆の書に出現する經緯として、中國·唐から遣唐使(又はその前の遣隋使) を通して、直接日本へ漢字が傳播したのではなく、多くの異體字(當時の俗字、通用字) が古代朝鮮半島を經由することで、古代朝鮮社會の文化的影響を受けて、變形した字形が日本に傳播したという假說が成立するかを述べるものである。特に、當時の日本·大和朝廷や奈良朝廷と深く關係を持っていたと推測される百濟及び新羅の古文資料の中に變形の痕跡があるかを探った。 This article is about to discuss the possible route of the introduction of Chinese character to Japan is from Chosun Peninsula other then from China. The existence and the usage of the Kanji“鹽”, that is the variant form of Chinese character “鹽”(salt), from epigraph, wooden tablet and Buddhist scriptures of the ancient Chosun 4~8 century (The Three Kingdoms Period will mainly be focused) will be discussed. In general, Chinese character was believed to introduce into Japan through Japanese envoy to Tang dynasty (or through Japanese envoy to Sui dynasty). However, the variant form of Kanji“鹽” was not use in China in the late 8th century, existed in the handwriting of Japan Emperor Syoumu. From this fact, it shows the importance of another route of spreading Chinese character-through Ancient Chosun Peninsula. Under the influence of Chosun culture, Chinese characters gone through certain changes. Therefore, not only those original Chinese character, but also some variant form of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popular character and general character of that time) spread into Japan through Chosun. Therefore, the proposal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s and Japan`s Chinese character. The variant form of Chinese character from Ancient writing materials of Baekje(百濟) and Silla(新羅), where are believed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Yamato Kingdom and Nara Kingdom, will mainly be discussed.

      • KCI등재

        당대 자료로 본 훈독법의 생성 시기 고찰

        백두현 ( Paek Doohyeon ) 구결학회 2020 구결연구 Vol.45 No.-

        훈독법은 음독법과 음가법을 뛰어넘어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창안한 차자법이다. 훈독법의 생성 시기를 밝히는 연구는 차자법 발달사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글은 금석문과 목간 등 당대 자료를 중심으로 하고, 역사서에서 당대적 성격이 뚜렷한 사료를 이용하여 훈독법의 생성 시기를 나라별, 자료별로 나누어 고찰한 것이다. 고구려의 당대 자료에서는 훈독법의 증거를 찾기 어렵다. 이두 성격이 비교적 뚜렷한 중원고구려비에서 훈독법의 존재 가능성을 엿볼 수 있으나 확정적 증거는 아니다. 고구려 지명의 2차 자료인 『삼국사기』 권37의 압록강 이북의 성 이름에 ‘鉛:乃勿’ 및 ‘忽:城’의 대응이 존재한다. 이를 근거로 7세기 이전의 고구려에 훈독법이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고구려인이 ‘淵蓋蘇文’이라 표기한 인명을 『일본서기』에서 ‘伊梨柯須彌’(iri kasumi)로 음차 표기한 것은 연개소문이 활동했던 7세기 전기에 고구려에 훈독법이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4세기 초기에 광개토왕릉비문과 같은 뛰어난 한문을 구사한 것으로 보아 고구려에서 훈독법은 이미 이 시기에 존재했을 듯하나 당대 자료에서 명백한 증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백제의 당대 자료로서 훈독법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은 6세기 전기 이전 자료로 추정된 부여 능산리사지목간의 인명 표기자 ‘猪耳’이다. ‘猪耳’는 백제 고유어 ‘돗귀/돝귀’를 훈역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6세기 전기의 백제에 훈독법이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백제의 2차 자료 『일본서기』는 백제 사서 『百濟新撰』을 인용하여, 무령왕(462~523)의 이름 ‘斯麻’(sima)를 한자어 ‘嶋君’이라 표기해 놓았다. 한자어 ‘嶋’와 백제어 ‘斯麻’(sima)의 대응 관계에서 훈역을 엿볼 수 있다. 이 예는 무령왕 시대(6세기 전후)에 훈역과 함께 훈독도 존재했음을 암시한다. 신라의 당대 자료로서 훈독법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은 6세기 금석문 울주천전리추명(539)과 을축명(545) 그리고 단양적성비(540)에 나타난 ‘波珎’[*patɔr](海)이다. 여기에 쓰인 ‘珍’은 ‘*돌’로 훈독된 것이다. 백제 지명에 ‘石:珍:突’의 대응관계가 나타나는 사실은 ‘珍’의 훈을 ‘*돌’로 보는 증거가 되어 왔다. ‘珍’을 ‘돌~□’로 읽은 것은 분명하지만 ‘돌~□’을 ‘珍’의 훈독으로 확정하기 위한 근거가 더 필요하다. 대구 무술오작비의 ‘文作人’은 ‘글 지은 사람’, 남산신성비의 ‘文尺’은 ‘글자(ㅎ)’로 훈독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단정하기 어렵다. 8세기 자료인 황복사석탑금동사리함명(706)의 ‘韓舍’와 ‘韓奈麻’, 화엄경사경조성기(755)에 공존하는 ‘大舍’와 ‘韓舍’는 ‘大’를 ‘한’으로 훈독한 명백한 증거이다. 따라서 8세기 초기 혹은 직전 시기의 신라에 훈독법이 존재했음은 확실하다. 울주천전리원명(525)의 ‘大舍’와 창녕진흥왕척경비(561)의 ‘大奈末’의 ‘大’도 ‘한’으로 훈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7세기 자료 월성해자목간 149호의 ‘白’은 훈독되었을 가능성은 있으나 이 한자의 본뜻(사뢰다)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이 자료의 ‘在’(겨-)는 이두자로 쓰인 것이어서 훈독자로 볼 수 있다. 2차 자료이기는 하지만 『삼국유사』에서 ‘當時人’이 모두 ‘원효’의 이름을 鄕言으로 ‘始旦’이라 칭했다는 기록에서 원효 시대(617~686)인 7세기 중엽의 신라에 훈독법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genesis of the Hundok reading system(訓讀法), which consists of read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vernacular Korean,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in particular epitaphs,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from each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Regarding Goguryeo, there is little evidence of Hundok in the materials of the time. The Jungwon Goguryeo Stele(중원고구려비), which is relatively more characteristic of the Idu writing system, offers a glimpse of the potential existence of the Hundok reading system without nonetheless providing any conclusive evidence. The passage on Goguryeo’s place names in the Volume 37 of secondary source Samguk sagi gives two equivalent names, ‘鉛 (lead): 乃勿 [na-mɨl]’ and ‘城 (castle): 忽 [hol]’, for the castle situated on the north bank of Amnokgang(Yalu river). On the basis of this equivalence,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existed in Goguryeo prior to the 7th century. General Yeon Gaesomun, written ‘淵蓋蘇文’ in Hanja, is transliterated by ‘伊梨柯須彌’ [iri kasumi] in Nihon Shoki. This means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was used in 7th-century Goguryeo, which was then marked by the activities of General Yeon Gaesomun. However, the inscription on the Gwanggaeto Stele(광개토대왕비문) shows a good command of Chinese characters as early as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which seems to suggest that the Hundok system might have already existed in Goguryeo at that time. Nonetheless, clear evidence has yet to be found in the materials of that period.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on Baekje, the existence of the Hundok reading system is suggested by the name ‘猪耳’ (pig’s ears) inscribed on a wooden tablet excavated from the Buyeo Neungsanri Temple site(부여능산리사지목간), which is estimated to date back to early 6th century. From the native Baekje translation of ‘猪耳’, that is, [toskui/tothkui] (돗귀/돝귀), it can be supposed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existed in early 6th-century Baekje. Citing Baekje Sinchan (百濟新撰), which is a book on the history of Baekje, secondary source Nihon Shoki mentions that King Muryeong(462~523) was named ‘斯麻’[sima] because he was born on an island and ‘斯麻’ could be written ‘嶋君’(island-born man) in Hanja. The equivalence between the Hanja character ‘嶋’(island) and the Baekje word ‘斯麻’ shows evidence for the use of Hundok. It can be concluded from this example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existed from King Muryeong’s reign (i.e. 6th century) onwards. Among the historical data for Silla, we can mention ‘波珎’[*patɔr](海) inscribed on the 6th-century epigraphs of the Uljoo Cheonjeon-ri Second Inscription(울주천전리추명, 525) and the Danyang Jeokseong Stele(단양적성비, 540), wherein the character ‘珍’ can be read as [tɔr](* 돌). The equivalence between ‘石(stone): 珍[tɔr]: 突[tor]’ which appears in Baekje’s place names also proves that ‘珍’ was read as [tɔr]. While it is certain that ‘珍’ was read as [tɔr/tΛr](돌/□), more evidence is required to prove that it is indeed a Hundok reading. The inscriptions ‘文作人’ and ‘文尺’ on the Tag-Gu Musul Ojak Stele(대구 무술오작비) and the Namsan Sinseong Stele(남산신성비) respectively might have been read as [kɨlja(h)](글자(ㅎ)), but this remains inconclusive. However, the coexistence of the inscriptions ‘韓舍’ [hansa] and ‘韓奈麻’ [hannama] on the 8th-century Gilt Bronze Reliquary of the Hwangboksa Pagoda(황복사석탑금동사리함명, 706), as well as that of ‘大舍’[dεsa] and ‘韓舍’ [hansa] on the Hwaeom-gyeong Copy(화엄경사경조성기, 755) constitute compelling evidence that ‘大’ was read [han] (한).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undok system had existed in Silla from early 8th century or just before it. The character ‘白’ from the 7th-century Wooden Tablet no.149 of Wolseong Moat(월성해자목간149호) may have been read according to the Hundok reading system but it is also correct to understand it according to the original meaning of this Hanja, i.e. [saroida](사뢰다, to tell honorific). The character ‘在’ [kjə], however,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Idu script and, therefore, can be seen as a Hundok character. Although SamgukYusa remains a secondary source material, it is recorded that Won-hyo(617~686) was designated by his contemporaries with the Silla name ‘始旦’(seol 설), which shows that the Hundok reading system existed in mid-7th-century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