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주선교기지의 성립과 변화 및 선교유적의 형성과정 연구

        박보영,이찬희 한국교회사학회 2023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4 No.-

        Gongju first appeared in the official minutes as Gongju-Suwon Circuit in 1892, and built its first chapel in 1902. In 1903, when missionary McGill was dispatched, Gongju Missionary Station for missionary work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began to be built on Yeongmyeong hill. In the 1911 photograph, there are 5 western-style buildings here, and in the 1952 photograph, 8 buildings can be seen around the mission station. The mission buildings that made up the Gongju Mission Station are important symbols indicating the contents, scale and history of missions at the time, but no detailed study has been conducted so far. In this study, the beginning, history and change process of the Gongju Mission Station were traced, and the location, use, age and users of the buildings built in the Gongju Mission Station were reviewed based on various records such as photos and official minutes at the time. In Gongju Mission Station, the school and church sites where Martyr Yu Gwan-soon attended remain, and it was recorded with photos. New opinions on the origin and occupants of Gongju Jeil Church and Former Missionary House in Junghak-dong, which are well preserved and are currently registered as cultural heritage, were also presented.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missionary cemeteries and monuments with insufficient protection system was also considered. This result will be able to enhance the historicity and authenticity of Gongju Mission St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research to be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공주는 1892년에 공주⋅수원구역으로 처음 연회록에 등장한 이후 1902년에 첫 예배당을 세웠다. 1903년 선교사 맥길이 파송되면서 한국의 남부 지방 선교를 위한 공주선교기지가 지금의 영명언덕에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1911년의 사진에서는 이곳에 5채의 서양식 건물이 있었으며, 1952년의 사진에는 8채의 건물이 선교기지 안에 들어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공주선교기지를 구성한 선교건축물들은 당시 선교의 내용과 규모 및 역사를 지시하는 중요한 상징물이지만, 지금까지 상세한 연구는 이뤄진 바 없다. 이 연구에서는 공주선교기지의 태동과 역사 및 변화과정을 추적하였으며, 당시의 사진과 연회록 등 다양한 기록을 토대로 공주기지에 세워진 건물의 위치와 용도 및 연대와 사용자를 검토하였다. 공주선교기지에는 유관순 열사가 다닌 학교와 교회 자리가 남아 있어 사진과 함께 기록하였으며, 원형이 잘 보존되어 현재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공주제일교회와 중학동 구 선교사가옥의 유래와 거주자에 대한 새로운 의견도 제시하였다. 또한 보호체계가 미흡한 선교사묘지와 기념물의 의미도 고찰하였다. 이 결과는 공주선교기지의 역사성과 진정성을 제고할 수있을 것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선교사 마렌 보딩(Maren Bording)의 공주ㆍ대전 지역 유아(乳兒)복지와 우유급식소 사업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4 No.-

        여선교사 마렌 보딩(Maren Bording, 한국명 보아진)은 1923년 미 감리회 해외여선교회(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에 의해서 공주로 파송받았다. 공주로 오자마자 공주에서 의료선교를 하고 있던 파운드(Norman Found)와 함께 순회 방문 진료를 시작하였다. 집집마다 부녀자와 아기들의 진료를 하던 가운데 먹을 것이 없어 생명 부지뿐 아니라 건강하게 살아가지 못하던 한국유아들을 목격했다. 파송된 이듬해인 1924년 본격적으로 유아복지(Infant Welfare) 사업을 착수 하였다. 우선 진료소 방 한 칸에서 ‘유아진료소’를 시작하였다. 아기들의 질병과 건강관리를 주로 하였다. 유아를 위한 순회 방문 진료 역시 계속해 나갔다. 그러나 영양부족으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경우는 여전하였다. 이윽고 시작한 것이 ‘우유급식’사업이었다. 그녀는 보고서에서 “나는 1살 내지 3살짜리 아이가 하루에 1~2병의 우유를 먹을 수 있다면,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하였다. 1926년 6월에 공주에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우유급식소(Milk Station)’를 정식으로 열었다. 공주의 유아복지와 우유급식사업의 성과는 사업을 시작한지 불과 2~3년만인 1927년 보고서에서 한국의 전체 사망률 35%에 비하여 공주의 유아복지 혜택을 받는 유아 사망률은 5%라고 보고할 정도였다. 이 사업은 다른 선교지역인 서울과 제물포, 평양, 해주로 확대되었다. 공주유아복지사업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소녀들에게는 위생학을 가르쳤고, 1927년 봄에는 공주유아복지센터(영아원)에 공중위생간호 학원(Post-Graduate Course)이 설립하였다. 또 다른 새로운 특색 사업으로 산전(産前) 클리닉과 조산(Prenatal and Midwifery Care) 프로그램이 있었다. 산전클리닉과 출산, 출산 후 섭생과 신생아 돌보는 일, 우유 급식, 탁아소 그리고 더 나아가서 사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까지 자연스러운 시스템으로 진행되었다. 공주의 유아복지와 우유급식 사업은 1932년 공주에 있던 도청이 대전으로 옮겨가면서 대전지역에도 공주와 똑같은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공주와 대전에 세워진 유아복지센터를 보딩은 ‘Baby Life Saving Stations’(유아생명 구조본부)라고 불려지기를 원했다. “더 나은 건강과 더 행복한 가정을 위해 손을 펼치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를 도우며 영향력을 끼치게 하기” 위해서였다. 선교사 보딩의 ‘아기 생명 사랑’에는 국경이 없었다. 암울했던 민족적 상황에서 버려지고 방치되어 있던 충남을 아우르는 공주와 대전지역의 조선아이들 뿐만 아니라, 부모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던 일본아이들까지 돌봄으로써 그리스도의 사랑을 몸소 실천하였다. Maren Bording, who is woman missionary, was sent to Gongju in Korea by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1923. Arriving at Gongju, She began to do medical work with Dr. Norman Found who had performed medical missionary therein. During her medical missionary, she witnessed Korean babies who could not survive daily life for the lack of food. She launched infant welfare project in earnest in 1924 just one year after she came in Korea. So she opened baby clinic center at a small room in the hospital. She mainly took care of children's disease and health and kept round visiting care. But there are many children who died of malnutrition and serious disease which could not be controlled by her. She figured out new work, milk station project, to protect children's health from malnutrition. She reported, “I found that if children from 1 year to 3 year have one or two bottle of milk a day they can live well without serious disease. so finally my project may be successful.” Under this situation Milk Station opened formally in the first time at korea in 1926. The performance of Milk Station and children's welfare project in Gongju was great. By the 1927 report just 2 or 3 years after the project began, the children's death rate of Gongju was very little 5 % compared with 35 % total in korea. This project which could be good model at that time extended to seoul, Jemulpo, Pyongyang and Haeju and was kept going well variously. Girls could learn hygienics by the project and Post-graduate course of public hygienics nursing was established early in 1927. Also there are other new character projects like prenatal clinic and prenatal and midwifery care. Prenatal clinic and childbirth, care of health after delivery and care of baby, supply of milk, kindergarten, and furthermore education of manpower and so forth worked successfully with good system. The Gongju project was carried out in Daejun similar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at of a provincial main office from Gongju to Daejun in 1932. Maren Boarding wanted baby welfare center to be called ‘Baby Life Saving Stations’ so that it may help and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for the better health and family. There is no National boundary of love for the baby's life. She practiced christ's love by herself by caring children who were korean or japanese abandoned from society in Daejun and Gongju under the circumstance of National darkness and frustration.

      • KCI등재

        선교사 마렌 보딩(Maren Bording)의 공주․대전 지역 유아(乳兒)복지와 우유급식소 사업

        황미숙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4 No.-

        Maren Bording, who is woman missionary, was sent to Gongju in Korea by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1923. Arriving at Gongju, She began to do medical work with Dr. Norman Found who had performed medical missionary therein. During her medical missionary, she witnessed Korean babies who could not survive daily life for the lack of food. She launched infant welfare project in earnest in 1924 just one year after she came in Korea. So she opened baby clinic center at a small room in the hospital. She mainly took care of children's disease and health and kept round visiting care. But there are many children who died of malnutrition and serious disease which could not be controlled by her. She figured out new work, milk station project, to protect children's health from malnutrition. She reported, “I found that if children from 1 year to 3 year have one or two bottle of milk a day they can live well without serious disease. so finally my project may be successful.” Under this situation Milk Station opened formally in the first time at korea in 1926. The performance of Milk Station and children's welfare project in Gongju was great. By the 1927 report just 2 or 3 years after the project began, the children's death rate of Gongju was very little 5 % compared with 35 % total in korea. This project which could be good model at that time extended to seoul, Jemulpo, Pyongyang and Haeju and was kept going well variously. Girls could learn hygienics by the project and Post-graduate course of public hygienics nursing was established early in 1927. Also there are other new character projects like prenatal clinic and prenatal and midwifery care. Prenatal clinic and childbirth, care of health after delivery and care of baby, supply of milk, kindergarten, and furthermore education of manpower and so forth worked successfully with good system. The Gongju project was carried out in Daejun similar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at of a provincial main office from Gongju to Daejun in 1932. Maren Boarding wanted baby welfare center to be called ‘Baby Life Saving Stations’ so that it may help and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for the better health and family. There is no National boundary of love for the baby's life. She practiced christ's love by herself by caring children who were korean or japanese abandoned from society in Daejun and Gongju under the circumstance of National darkness and frustration. 여선교사 마렌 보딩(Maren Bording, 한국명 보아진)은 1923년 미 감리회 해외여선교회(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에 의해서 공주로 파송받았다. 공주로 오자마자 공주에서 의료선교를 하고 있던 파운드(Norman Found)와 함께 순회 방문 진료를 시작하였다. 집집마다 부녀자와 아기들의 진료를 하던 가운데 먹을 것이 없어 생명 부지뿐 아니라 건강하게 살아가지 못하던 한국유아들을 목격했다. 파송된 이듬해인 1924년 본격적으로 유아복지(Infant Welfare) 사업을 착수 하였다. 우선 진료소 방 한 칸에서 ‘유아진료소’를 시작하였다. 아기들의 질병과 건강관리를 주로 하였다. 유아를 위한 순회 방문 진료 역시 계속해 나갔다. 그러나 영양부족으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경우는 여전하였다. 이윽고 시작한 것이 ‘우유급식’사업이었다. 그녀는 보고서에서 “나는 1살 내지 3살짜리 아이가 하루에 1~2병의 우유를 먹을 수 있다면,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하였다. 1926년 6월에 공주에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우유급식소(Milk Station)’를 정식으로 열었다. 공주의 유아복지와 우유급식사업의 성과는 사업을 시작한지 불과 2~3년만인 1927년 보고서에서 한국의 전체 사망률 35%에 비하여 공주의 유아복지 혜택을 받는 유아 사망률은 5%라고 보고할 정도였다. 이 사업은 다른 선교지역인 서울과 제물포, 평양, 해주로 확대되었다. 공주유아복지사업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소녀들에게는 위생학을 가르쳤고, 1927년 봄에는 공주유아복지센터(영아원)에 공중위생간호 학원(Post-Graduate Course)이 설립하였다. 또 다른 새로운 특색 사업으로 산전(産前) 클리닉과 조산(Prenatal and Midwifery Care) 프로그램이 있었다. 산전클리닉과 출산, 출산 후 섭생과 신생아 돌보는 일, 우유 급식, 탁아소 그리고 더 나아가서 사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까지 자연스러운 시스템으로 진행되었다. 공주의 유아복지와 우유급식 사업은 1932년 공주에 있던 도청이 대전으로 옮겨가면서 대전지역에도 공주와 똑같은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공주와 대전에 세워진 유아복지센터를 보딩은 ‘Baby Life Saving Stations’(유아생명 구조본부)라고 불려지기를 원했다. “더 나은 건강과 더 행복한 가정을 위해 손을 펼치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를 도우며 영향력을 끼치게 하기” 위해서였다. 선교사 보딩의 ‘아기 생명 사랑’에는 국경이 없었다. 암울했던 민족적 상황에서 버려지고 방치되어 있던 충남을 아우르는 공주와 대전지역의 조선아이들 뿐만 아니라, 부모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던 일본아이들까지 돌봄으로써 그리스도의 사랑을 몸소 실천하였다.

      • KCI등재

        고려 태조의 訓要 8조에 대한 재검토

        김병인,김도영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8 島嶼文化 Vol.0 No.52

        Goryeo Taejo’s Eighth Injunction (Hunyo Paljo) points out ‘the people from the South of the Chahyun and beyond the Gongju river’ and ‘Government slaves and low class from the pier and station’ as those who should not be appointed to the public office. Existing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explaining the former part of the Injunction to find out whether it was made according to King Taejo’s intention or political situation of posterity only. This study deals with not only the former but also the latter phrase to review if there was any modification. First, the study noticed the latter phrase of the Eight Injunction which got guard against the presumption that if government slaves or low class from the pier and station got into the public office, they might rebel against the State, and understood that as King Taejo’s political policy differently from the former phrase of the Injunction, ‘the people as difficult as the terrain, the south of the Chahyun and beyond the Gongju river’. The phrase which excluded government slaves and low class from the pier and station corresponds to King Taejo’s policy that he regarded as the ‘disobedient group’ who had resisted to the end at the war for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Thus, the latter part of the Injunction is regarded as King Taejo’s dying instruction ‘left personally’. And the latter part, ‘the people as difficult as the terrain, south of the Chahyun and beyond the Gongju river’ is regarded as modified according to political interests of the descendants. Next, the time and background that the Eighth Injunction appeared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period of King Hyeonjong’s reign. The former phrase, “If the people (south of Chahyun and beyond Gongju river) participated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or got married to royal family, they would rebel against the State or break out uprising with a grudge against the unification” was resulted from the guard or alert against the complaints from the officials because the people from the region were appointed as public offices during the period of King Hyeonjong’s reign through royal weddings. That is, the former phrase of the Eighth Injunction resulted from a certain modification by adding to the existing phrase of the appointment against government slaves and low class from the pier and station made by the descendants.

      • KCI등재

        미국 북감리회 선교사 프랭크 윌리엄스 (F.E.C. Williams, 禹利岩)의 교육사업과 농촌선교사상

        황미숙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3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ject and educational ideas of F.E.C. Williams, a missionar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ho visited Korea in 1906 and conducted educational projects and evangelical projects in Chungcheong, including Gongju, until 1940. The central idea of his agricultural mission was “rice and religion.” He provided Korean farmers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farming and providedpresented an opportunity for the Christian ideology that values the firm establishment of labor to be firmly established in their minds. 본 고는 1906년에 내한하여 1940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충청지역에서 교육사업과 복음전도사업을 벌인 북감리회 선교사 프랭크 윌리엄스((F.E.C. Williams) 교육사업과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농업선교의 중심 사상은 “쌀과 종교”였다. 그는 한국의 농민들에게 농사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주었으며, 노동을 중시하는 기독교의 이념이 마음속에 굳게 자리 잡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 KCI등재

        미국 북감리회 선교사 프랭크 윌리엄스(F.E.C. Williams, 禹利岩)의 교육사업과 농촌선교사상

        황미숙 ( Hwang Mee Sook )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3 No.-

        본 고는 1906년에 내한하여 1940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충청지역에서 교육사업과 복음전도사업을 벌인 북감리회 선교사 프랭크 윌리엄스((F.E.C. Williams) 교육사업과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농업선교의 중심 사상은 “쌀과 종교”였다. 그는 한국의 농민들에게 농사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주었으며, 노동을 중시하는 기독교의 이념이 마음속에 굳게 자리 잡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ject and educational ideas of F.E.C. Williams, a missionar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ho visited Korea in 1906 and conducted educational projects and evangelical projects in Chungcheong, including Gongju, until 1940. The central idea of his agricultural mission was “rice and religion.” He provided Korean farmers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farming and providedpresented an opportunity for the Christian ideology that values the firm establishment of labor to be firmly established in their mi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