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ㆍ일 3국의 정부지원 유학생정책 비교 분석

        남수경(Nam, Soo-K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compare with each other the global scholarship policy of Korea, China, and Japan, which is supported by governmen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the Global Korea Scholarship(GKS) program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study with Chinese and Japanese policies, the implications for GK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GKS program needs to be redesigned according to the boundaries of in-bound and out-bound countries. Especially, the GKS program for neighboring countries’ focusing on East Asian countries, could be developed as the Union of East Asian Nations. Secon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GKS, the government needs to cooperate more actively and systematically among related departments through all the steps as a national foreign policy, that is, from establishing goals to evaluating performance. Third, the perspectives on GKS must be expanded, not just as a kind of scholarship, but as a policy for developing Korean culture and language. Fourth, out-bound GKS programs must be greatly expanded in relation to short-term programs as well as the quality of in-bound GKS programs. Finally, out-bound GKS programs for the Asian developing countries need to be redesigned and operated under the focus of ODA, to support the invited Parties beyond the foreign resource policy. 이 연구는 한ㆍ중ㆍ일 3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부지원 유학생정책의 주요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 및 일본과 국제교육 교류 분야에서 앞으로 어떻게 경쟁하고 협동하여 갈 것인가에 대해서 시사점을 찾고 장차 우리나라 정책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ㆍ중ㆍ일 3국 정책의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Global Korea Scholarship(GKS)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KS의 초정 및 파견사업에서 선발 대상국가에 ‘주변국’을 별도의 범주로 구분하여 접근함으로써 동아시아 국가 협력의 기반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GKS를 장학금이라는 재정지원정책에서 한걸음 나아가 자국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사전 이해와 전파정책으로 이해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내국인 파견 GKS는 단기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획기적으로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아시아 개도국을 위한 GKS 외국인 초청사업은 자원외교의 관점을 넘어서 초정 당사국의 발전을 지원한다는 교육 ODA의 관점에서 설계, 운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Determinants of Global Korea Scholarship students’ word-of-mouth about Korea

        Kadir Jun Ayhan,Moamen Gouda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2 No.1

        International student-mobility programs are one of the core programs countries employ as part of their public diplomacy portfolio. Policymakers assume that sponsored foreign students would develop positive beliefs about and emotions towards the host country, which in turn would lead to favorable behavior towards it. However, evaluations of such programs from a public diplomacy perspective are rare and Western-centric. In this paper, we analyze how Global Korea Scholarship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evaluations of Korea influence their country image and word-of-mouth about Korea; i.e., in how they voluntarily share their experiences in Korea with others. We use variance-based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surveying 1107 scholarship holding foreign students. Our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evaluate Korea most positively in terms of its culture and nature, while their evaluations are not as positive in terms of the integrity and values of the country. For positive word-of-mouth, affection towards Korea plays the most significant role, while for negative word-of-mouth, the students’ beliefs about the country’s integrity and values had the most influence. Our findings help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Korea’s country image which can, in turn, inform and shape policies accordingly.

      • Thousands of Dormant Ambassador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Relationship-Building between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Recipients and South Koreans

        Varpahovskis, Eriks World Association for Triple Helix and Future Stra 2022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Vol.21 No.1

        Through the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program,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nually invites over a thousand international student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obtain a higher education degree from Korean universities. One of the program's goals is positioned within the public diplomacy framework. Korea seeks to cultivate Korea-friendly networks and transform GKS students and alumni into ambassadors to contribute to Korea's promotion abroad. However, there is no clarity on whether this mechanism works as expected. This study examines GKS students' relationship-building experiences with South Koreans during and after the exchange program. Analysis of twent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rogram's alumni reveals both what facilitates and what obstructs 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building between scholarship recipients and South Koreans at different stages (language year and degree years) of the program and after graduation. The paper concludes with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universities, GKS administrators,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garding their policies for scholarship holders.

      • KCI등재

        글로벌 코리아 외국인 장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사례 연구

        박부남(Park Pu Nahm),백송종(Baek Song Jong),정현아(Jung Hyun 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해외 거주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육부가 지원해 오고 있는 글로벌 코리아 장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국제적으로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육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전략적 주요 국가를 선정하고 그 나라의 대학생을 초청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의 위탁을 받은 서울의 한 대학에서 30명의 글로벌 코리아 외국인 장학생들에게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내용과 참여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면담을 시행해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력자로 참석한 7명의 한국인 대학생 포커스 그룹인 서포터들에게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높았고 특히 팀별로 준비한 문화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의 상호문화에 관한 관심과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간의 외국인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시행할 경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 동기를 높이면서 실질적인 한국어 학습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른 한편으로 앞으로 외국인을 위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한국어 언어 사용의 활용도가 높은 문화 활동 프로젝트와 교육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general contour of the cultural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who were selected for the Global Korean Scholarship (GKS) in Korea. 30 GKS participants from 26 different countri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Korean cultural program for 11 days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groups. They were assigned a cultural project and given a Korean supporter’ assistance. The seven Korean supporters in each group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acilitating the foreign students’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evaluate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sponses towards the program in general and the cultural project in particular. For further research,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and the Korean supporters about the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positive responses to the cultural program and the team project. The participants developed some degree of inter-cultural awareness, introducing their own language and culture and respecting each country’s culture during the team projects. This study implies that a cultural program for invited foreign students should include the active use of the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KCI등재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 -정부초청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을 중심으로-

        이진경,박영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학 Vol.16 No.2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2, 255-281. In this study, four Government invited Scholarship students from Central Asia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using a language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by Oxford (1990); their Korean learning strategies were examined through direct interviews as well. The first round of interviews included open-ended questions through which we were able to elucidate the background, learning objectives, specific learning methods and time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students’ Central Asian origi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at the familiarity of nationality associated with the ethnicities of Goryeo and Hazar people as well as the similarity of Korean culture and Korean culture have become powerful catalysts of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nd education in Korea. Furthermore, all participants from Central Asia responded that their first language was Russian, an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between Russian and Korean, they understood and learned Korean through English. The following learner strategies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ost demanding of learners was the social strategy (socio-linguistic aspect). Learners actively utilized cognitive strategy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However, in terms of the memory strategy, learners did not employ a meaning-based strategy since they only utilized mechanical memorization or repetitive strategies. In the interviews, students reported difficulties in utilizing memorization strategies. A memory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that deviates from simple memorization. Moreover, there was a lack of positive strategies that could ease the tension and stres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Most learning strategy items in the colloquial aspec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high; however, they complained about the difficulty of utilizing the memorization strategy and the high demand for social strategy through communication with Korean people in Korean. Furthermore, students indicated the low level of positive strategies to overcome learning difficulties. Korean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se difficultie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정부초청 장학제도 비교연구

        박지우,김신의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정부초청 장학제도인 GKS사업과 풀브라이트 장학제도를 중심으로, 두 제도의 운영방식이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비교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비교연구와 문헌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분석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비교준거를 도출하였으며, 정부초청 장학제도의 운영방식, 장학요건, 효과성이라는 수정 보완한 기준을 최종적으로 채택했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한국의 GKS 사업과 미국의 풀브라이트 사업은 공공성을 강조한다는 면에서는 공통점을 가졌지만 예산의 규모와 대상 국가 구성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GKS 사업이 정량적이고 획일적인 지표로 학업의 우수성을 평가한 데 반해 풀브라이트 사업은 다양한 기준으로 학생이 선발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두 사업 모두 장학생들이 본국으로 돌아갔을 때의 소프트파워를 위해 장학생들의 네트워크를 강조하며 활용했다. [결론] 한국은 정부 차원에서 유학생을 지원하는 사업을 좀 더 지속가능하고 확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국제 사회에 발맞춘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이는 대상 국가를 확대하고 장학요건들의 다각화를 통해 다양한 인재들의 선발을 통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의 GKS 사업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활발한 국제교류를 끌어냄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영향력 확장을 목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a government-sponsored international scholarship program in Korea by investigating management styles and trend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Fulbright Program. [Methods]This study selected cross-national study and literature review as research methods.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produce criteria for comparison.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criteria suggested by former research, management, selection, and influence were adopted as criteria. [Results]As the main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 purpose of the GKS Program of Korea and the Fulbright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are similar as they both emphasize public interest and diplomatic aspect. However, they show a substantial gap in the size of the budget and the composition of target nations. Next, while the GKS Program evaluated academic excellence based on quantitative and standardized indicators. the Fulbright Program affirmed that students may be selected based on multifaceted indicators. The third result is that both programs highlighted and utilized the network among scholars for the soft power that can be exercised after returning to their own countries. [Conclusion]Korea needs to promote change that can lead GKS to keep pace with global society at the government level by focusing on making it more sustainable. This change would be possible by expanding the range of target nations and diversifying the selection criteria,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attracting more quality students with diversity. Furthermore, the GKS Program should expand its influence in the global society by utilizing the existing network platform to encourage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CIS 국가와 한국의 직업고등학교 교육협력체제 운영현황과 교육만족도 분석

        Aigerim Belyalova,박선형(Park Sun Hy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4

        한국 정부는 2016년부터 ‘고등학교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CIS 국가 재외동포 고등학교 학생들을 초청하여 국내의 유관 전문계 고등학교와의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에서 선발된 직업교육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와 교육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여, 독립국가연합과 한국 간의 직업교육프로그램 운영 현황 파악과 동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향후 발전방향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CIS 국가의 직업고등학교 국제 교류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 3.92점의 높은 점수가 확인되어 양 국가 간의 전문계 고등학교 대상 직업교육 프로그램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면담 결과, 일부 교류학생들의 경우는 한국어 어학능력 습득과 준비 미비로 인해 학업 이수와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추후, 동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활성화를 발전적 미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업생활 적응준비도 제고 차원에서의 한국어 역량강화 사전 교육프로그램이 중앙·지방정부 차원과 단위학교 수준에서 적극적으로 구안 실행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what elements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invited for Vocational Education organized by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program. They are in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located in Jeollanam-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is ‘satisfaction of education level’ (M = 4.19) and ‘overall satisfaction’ (M = 4.19). In general, the averag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exchange stud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 was 3.92 points. The High School Exchange Student Program through invitation and scholarship for vocational education is aimed at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network between Korea and CIS countries and cultivating global talent. This year 10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nd supported the second time. Considering the sustain ability of the program, this study will yield the following results and will be helpful in future mentoring in school or in th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한국 청년 공공외교의 성과와 한계: 칠레 사례를 중심으로

        박윤주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3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7 No.1

        본 연구는 최근 공공외교의 새로운 주체로 주목받는 청년을 중심으로 한국의 대(對)칠레공공외교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 그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칠레에서 한국 정부는K-Pop 등 한류에 대한 칠레 청년들의 깊은 관심과 애정을 활용한 여러 문화 행사를 개최하였고,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청년 세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칠레 청년들에게 한국의 고등교육기관에서 수학할 기회를 제공하는 한국 정부 장학금 제도에 대한 홍보에도 최선을 다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對)칠레 청년 공공외교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 그러한 프로그램들이 칠레 내에서 한국의 이미지 제고 및 양국의 신뢰 강화에 어떠한 영향을끼쳤는지를 칠레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칠레에서 실시된 청년 공공외교는 기대했던 바와 달리 칠레 내에서 광범위한 반향을 일으키는 데에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그 원인은 청년 공공외교 프로그램들이 정작칠레 청년이 갖는 특수성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두지 않았던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Pop 등 한류의 소극적 소비자가 아니라 K-Pop을 기득권에 대한 저항의 도구로 소비하는 칠레 청년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한국에 대한 홍보성 공공외교를 극복하고 칠레 청년들의 행동주의에 부응할 수 있는 규범적 가치 중심의 공공외교 프로그램들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