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U 私法의 전개 - EU Consumer Acquis and the European Contract Law -

        박영복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2 EU연구 Vol.- No.32

        The purpose in this paper is to provide a brief overview of development in European private law. Judicial situation of the modern European private law consists of two parallel temporal features. The development of EU contract law and EU consumer contract law are two related but distinct projects. Part Ⅱ in this article aims at placing the subject in the context of the EU consumer acquis(acquis communautaire). During the 1980s and 1990s, the resulting legislation was particular in its scope, targeted in its aims, and its main technique was the harmonization by directive of aspects of the national contract laws of Member States. Although consumer law forms a reasonably detailed set of EU rules on private law and, piecemeal developments, a lack of coordination between different areas have provoked criticism about its incoherence. In recent years, therefore, there has been increased focus on the coherence of European Union private law, starting with the field of consumer contract law. But even beyond this, steps have been taken towards increased coherence in contract law generally. Because of its potential to improve the coherence of existing legislation in this field, as well as to ensure that future legislation would fit better with existing measures, the EU Commission has been working towards a ‘common frame of reference’ intended to promote the coherence of private law in the EU. Part Ⅲ in this article describes the unification movement in the area of the private law. The piecemeal legislation of the Community cannot cope with divergencies resulting from the context of national laws and in particular with differences in structure, principles and concepts. The harmonization of the general framework which accommodates specific instruments could be carried out by legal scholarship. The important facets of the process are the contributions of legal scholarship which has turned to the analysis of general principles of private law in various fields. The Commission on European Contract Law has certainly made the greatest progress in its work. Part Ⅳ - Ⅵ i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European Commission's response. The European Commission has undertaken a series of initiatives aimed at increasing the overall coherence of European contract law:An Action Plan of the European Commission issued in February 2003 moves the development of the European contract law into a new phase. Following up the pan-European discussion, considering problems which result from differences among the national contract laws concerning the uniform application of EC contract law, the Action Plan goes a step further by regarding the academic examination of European contract law as an indispensable core component of further progress towards a coherent European contract law. The Commission is striving to erect the “common frame of reference(CFR)”. It aims to establish common principles and terminology in the field of European contract law. Over the last decade, increasing dissatisfaction with this technique prompted a move towards ‘full harmonization’ in EU consumer law. In 2008, the Commission sought in its Consumer Rights Directive Proposal to extend ‘full harmonization’ to four of the most important directives in the consumer acquis, the proposal met with very considerable opposition. The Consumer Rights Directive as promulgated in late 2011 is therefore much reduced in scope, its provisions leaving aside almost entirely change to earlier (minimum harmonization) directives on unfair terms and consumer guarantees in sale. In this regard are discussed in part ⅦHowever, the Commission has recognised that it is not desirable to continue to adopt EU legislation in the same format. And, in this regard, the Green paper on policy options for progress towards a European contract law for consumers and businesses of 1 July 2010 marked a turning point at which the prospect of an optional instrument of contract law was given particular emphasis... 본 논문의 목적은 유럽 사법의 발전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제까지 유럽의 사법의 법적 상황은 두 방향에서 전개되어 왔다. 즉 EU 지침을 통한 소비자보호법 영역에서의 소비자 계약법의 전개와 일반 사법(특히 계약법)을 평준화 내지 통일화하기 위한 작업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별개의 프로젝트로 발전되어 왔다. 제Ⅱ장에서는 소비자법에 관한 아키 코미노테의 성립 및 전개를 더듬어, 현재의 구조적 결함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본다. 그리고 제Ⅲ장에서는, 유럽계약법원칙(PECL) 등 유럽 계약법상의 작업을 소개한다. 이 원칙은 생성 중에 있는 유럽 계약법의 핵심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는 유럽 민법전 연구그룹이 이것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 있다. 유럽계약법원칙은 처음에는 순수하게 사적인 발의에 의해 전개되어 왔지만, 현재는 경제계 및 실무계에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이 원칙이 유럽연합에 있어서의 계약법의 평준화에 있어서 가지는 의의는 거의 다툼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PECL이 기존 소비자 보호법을 완전히 도외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PECL이 어느 정도 유럽 소비자 보호법의 구조적 결함의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심받고 있다. 제Ⅳ장에서는 이에 대한 유럽위원회의 대응을, 특히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여러 제안, 그리고 특히 유럽 계약법을 실현하기 위한 액션 플랜을 자세히 살펴본다. 여기서 밝혀지는 것은 위의 두 전개와 관련된 제안, 즉 소비자 보호법의 현대화와 계약법의 평준화가 평행 하면서도 서로 완전히 별개는 아닌 형태로 추구되고 있다는 것이다. 제Ⅴ장에서는 그를 통한 ‘작업 1’(공통기준)을, 제Ⅵ장에서는 ‘작업 2’(아키 코미나테의 개정작업과 그 결실)를 정리하고, 제Ⅶ장을 통하여 작업 2의 결실이라 할 수 있는 소비자권리에 관한 지침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 이들을 통합하여 제안하고 있는 ‘선택적 유럽 공통 매매법 규칙(안)’ 작업의 개요를 제Ⅷ장에서, 그리고 그 평가 및 의의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전개에 대해 제Ⅸ장에서 전망한다.

      • 유럽연합의 법체계와 EU법의 적용

        송호신 한국교통대학교 2018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3 No.-

        EU legislation has played a role in achieving European integr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the EU achieved EU integration in the form of delegating much of the authority corresponding to the sovereign rights of the member states to the EU. EU law is applied within the EU member states in the same method as the national law. Therefore, based on the EU law, the EU is binding on its members and nationals. In addition, EU law has a status as an international law in relation to third countries outside the country. There is a certain limit to explain the EU law as a conventional legal concept. Applying the legal nature of the EU, it is a quasi-federal state law with supra-nationality. As a result, EU law will have a higher status than member states laws. EU law is usually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types of legal grounds. The EC Treaty on Community Establishment, the legislation of the EU institutions, the precedents of the EU courts, and the general principles of law common to the EU member states. The Legislation in EU law is proposed by the EU Commission and legislated by resolution of the EU Council. EU Member States must comply with EU legislation. In addition, it will not be possible to enact or enforce the domestic law of the EU member states independently. Of course, according to EU law, there are also some things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EU law and the laws of the member countries or only the laws of member countries. Since the EU is a union of several Member States, there may be conflicts or conflicts with the national laws of the Member States in the application of EU law. And the application of the EU law is often complicated by the interests of the EU as a whole and the individual interests of the member countries.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EU law conflicts, the EU applies the Principle of Primacy,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 KCI등재

        영국의 EU 탈퇴와 국제사법 - 불법행위에 관한 준거법 선택규칙을 중심으로 -

        오석웅 한국국제사법학회 2023 國際私法硏究 Vol.29 No.1

        The United Kingdom decided to withdraw from the European Union through a national referendum held on June 23, 2016, and officially withdrew from the EU on February 1, 2020, with the entry into force of the 「Agreement on the Withdrawal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from the European Union and the 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Brexit) means that EU law no longer applies in all areas where EU law prevails, including the law applicable to non-contractual obligations. Consequently, the Rome II Regulation no longer applies to legal disputes involving the UK as a relevant party. Without the application of the Rome II Regulation, the choice of law rules for non-contractual obligations in the UK will return to its domestic legal system. Without appropriate transitional provisions, this may lead to an undesirable situation where different systems apply to the same set of facts based on the date of withdrawal. To ensure the maintenance of a functional legal framework in international legal disputes in response to such changes, the UK enacted the 「European Union (Withdrawal) Act 2018」. Additionally, in relation to the choice of law rules, the UK implemented 「the Law Applicable to Contractual Obligations and Non-Contractual Obligations(Amendment etc.) (EU Exit) Regulations 2019」, which replaced the existing Rome I and Rome II Regulations with UK law. This regulation explicitly states that certain provisions of the existing Rome II Regulation continue to apply as part of UK law (UK Rome II) through modifications, ensuring the preservation of its content even after the EU withdrawal.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the choice of law rules for tort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K's adoption of the Rome II Regulation as part of domestic law is based on the current legal status. EU laws, including the Rome II Regulation, can be amended in the future, and specific provisions will not automatically apply in the UK. Any amended provisions would need to be expressly adopted through UK domestic legisl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legal measures that the UK may take if the Rome II Regulation is amended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 also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UK is no longer bound by the jurisprudence of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While the UK has chosen to retain the Rome II Regulation as part of domestic law, the absence of CJEU jurisdiction raises uncertainty about how UK courts will interpret and apply retained EU law provisions. EU legislative activities have been closely linked to CJEU case law, with the CJEU primarily responsible for interpreting EU law and providing new directions for EU legislative activities.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 will inevitably remove the influence of CJEU case law on UK court decisions, and CJEU interpretations and judgments will no longer have a direct impact on UK court determinations. This also applies to the field of determining the law applicable to torts and other non-contractual obligations. While the persuasive power of CJEU rulings may still be considered to some extent, UK courts will develop their own jurisprudence in this field, and it is expected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ame Rome II provisions may arise between the CJEU and UK cour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of law rules for torts under the Rome II Regulation, which applied before the UK's EU withdrawal, and to review the modifications to the domestically enacted Rome II Regulation (UK Rome II) after the withdrawal.

      • KCI등재

        규범적 관점에서 본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천윤진(Cheon, Yunji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8 No.-

        영국의 EU잔류를 묻는 국민투표는 브렉시트를 지지하는 쪽으로 결정되었고 영국정부는 EU와 탈퇴에 따른 합의안을 만들어 하원에 부의하였지만 그때마다 부결되거나 심의가 보류되었다. 브렉시트 과정에서 영국령 북아일랜드와 맞닿은 아일랜드의 국경개방 문제가 논란의 쟁점이 되고 있으며 EU는 브렉시트 시한을 2020. 1. 31.로 연장하였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그동안 영국의 사법체계에 영향을 주어 온 EU법이 일시에 적용될 수 없게 되어 법적 공백과 혼란이 불가피하다. 영국은 유럽연합탈퇴법을 제정하여 국내법적으로 EU법 우위론이나 직접효력의 원칙 등의 근거가 되었던 1972년 유럽공동체법을 탈퇴일에 폐지하기로 하였다. 탈퇴법은 영국에서 효력을 갖는 EU법에 대한 국내 헌법적 근거를 제거하지만 동시에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도 불구하고 EU법의 영국 내 존속에 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 의회는 EU법의 영향에 있던 관련분야의 법률에 대한 개정 등 보완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그동안 EU는 역내 공통의 법을 마련하여 회원국들에게 국내법 개정을 요구해 왔는데 과거 EU 회원국으로써 EU법의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 영국 국내법을 개정했던 사례들이 다시 번복되어 이제는 영국만의 고유한 법과 기준으로 회귀할 것이다. 탈퇴방식 및 탈퇴 후 EU와의 관계 재설정에 관한 공감대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책방향 설정의 난항과 법적ㆍ제도적 혼란 및 불확실성이 탈퇴 시한인 2020. 1. 31.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Britain’s referendum on EU residuals was decided in favor of Brexit. the British government made an agreement with the EU on withdrawal and referred it to the House of Commons, but each time it was voted down or put on hold. In the Brexit process, the issue of border opening in Ireland adjacent to British Northern Ireland has become a controversial issue. The EU has extended the Brexit deadline to Jan. 31, 2020. Brexit cre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EU law, which has affected Britain"s judicial system, is not applied at one time, and makes legal vacuum and confusion unavoidable. Many of the initiatives that have led to the integration of the European Union, such as the principle of supremacy of EU law over British law and the principle of direct effectiveness, will naturally ended.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situation, British domestic legal arrangements are needed. The UK enacted the European Union (Withdrawal) Act(EUWA) to abolish the European Communities Act 1972 on the day of Brexit, which under British domestic law provided the basis for the principle of supremacy and direct effectiveness of the EU law. The EUWA removes the domestic constitutional basis for the EU law in effect in UK,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provides for the retention of some EU law in the UK in spite of Brexit. After Brexit, the House of Commons will carry out supplementary work, including amendments to relevant laws that were affected by EU law. So far, the EU has set up a common law in the region and called on member states to revise domestic law. In the past, as a member of the EU, British domestic laws were revised to meet the standards of EU law. But now British will revert to its own laws and standards.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withdrawal method and the resetting of relations with the EU after Brexit. Difficulties in setting policy directions, legal and institutional confusion and uncertainty are expected to continue until the Brexit deadline of Jan. 31, 2020.

      • KCI등재

        영국의 EU탈퇴(Brexit) 관련 법적 과제 및 전망

        김봉철(Bongchul Kim)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7 江原法學 Vol.50 No.-

        Brexit와 관련된 논란은 당분간 유럽지역뿐만 아니라 국제사회 전역에 다양한 영향을 줄 것이다. 법분야에서도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여 해결을 기다리는 상황이 되고 있다. 우선, EU법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 영국 국내법이 개정되었던 사례들이 영국만의 전통적이고 독특한 법원칙이 부활하는 부분이 발생할 것이다. 물론 금융과 같이 영국이 EU법 기준을 유지하고자 해도 다른 회원국들이 동의해야만 하는 법분야도 있다. 어느 분야에서 전통적인 영국법 기준이 부활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EU법에 근거하여 영국에서 만들어진 판례들이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판례법(Case Law)을 중요시하는 잉글랜드 중심의 이른바 ‘영미법’(Anglo-American Law) 전통에서는, EU법에 따른 판례를 따라서 앞으로도 그대로 판결을 내리는 것이 옳은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EU법의 근간을 이루는 대륙법(Continental Law) 성향을 간직했던 스코틀랜드의 법문화가 잉글랜드 법문화와 충돌할 수도 있다. 그동안 EU법으로 수렴하며 통일화되던 ‘영미법 전통’의 잉글랜드 법과 ‘대륙법 영향’의 스코틀랜드 법이 하나의 영연방국가 체계 안에서 달라지는 질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Brexit는 한국에도 영향을 준다. 법분야에서도 한-EU FTA처럼 과거 한국과 EU가 체결하였던 조약들이 한국과 영국 사이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한-영 양자간 조약들을 체결해야 한다. 따라서 한-영 협력관계는 국제법적 측면에서 새로운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영국의 국내규범 변동가능성은 한국에게도 다양한 과제를 낳는다. 영국내 한국기업의 활동에 관하여 EU기준이 아닌 영국의 기준을 먼저 살펴야 하며, 자연인의 이동에 관하여도 법적기초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런 부분은 이전의 EU법 적용시보다 더 많은 비용부담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The issue related to Brexit will not only affect Europe but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a whole.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in the law department as well, so the situation has resulted in the waiting of a solution. Foremost, in order to follow the law standards of the EU, the instances of the national laws of Britain and its traditional law principles will be restored. Of course, as is the case of finance, even in the case that Britain will maintain EU"s law standards, there must be an agreement among the other member states. If Britain"s traditional standards are restored in any field, the judicial precedents that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in Britain based on EU laws have a chance of creating confusion and chaos. This is due to that face the within the Anglo-American Law tradition which focuses on Case Law, it may be better to continue following the judicial precedents that have already followed EU law. On the other hand, the law culture of Scoltand which has retained the foundation of EU Continental Law may collide with the law culture of England. This means that within the united law system of commonwealth countries between England and Scotland, there may now be differences between the the Anglo-American and Continental Law traditions of England and Scotland. Brexit will also have and influence on Korea. Just like the the FTAs and law treaties signe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K, because the law treaties signed between the two countries do not apply, new treaties must be established. Therefore, there will be circumstances between the parternship of Korea and the UK in regards to international law. The volitality of the domestic norms of the UK provide a variety of new problems for Korea too. Korean industries within Britain will now have to look into British standards rather than the EU standards. These factors have a chance of resulting in higher costs than before.

      • KCI등재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에 따른 법적문제

        천윤진 ( Cheon Yun-ji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4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그동안 영국의 사법체계에 영향을 주어 온 EU법이 일시에 적용되지 않는 상황을 초래하여 법적 공백과 혼란이 불가피한 사항이다. EU법 우위론이나 직접효력의 원칙 등 그간 유럽연합의 통합을 이끌어 왔던 여러 가지 법원칙도 영국 내에서 효력을 상실하게 되며, 이에 대해 영국 국내법적인 대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영국은 유럽연합탈퇴법을 제정하여 영국 국내법적으로 EU법 우위론이나 직접효력의 원칙 등의 근거가 되었던 1972년 유럽공동체법을 탈퇴일에 폐지하기로 하였다. 탈퇴법은 영국에서 효력을 갖는 EU법에 대한 국내 헌법적 근거를 제거하지만 동시에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도 불구하고 EU법의 영국 내 존속에 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 의회는 EU법의 영향에 있던 영국의 관련분야의 법률에 대한 개정등의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과거 EU법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 영국 국내법을 개정했던 사례들이 다시 번복되는 상황을 맞아 영국만의 고유한 법과 기준으로 회귀할 부분도 발생할 것이다. 그동안 EU가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의 법을 마련하여 회원국들에게 국내법개정을 요구해온 사실을 고려하면, 이전의 영국법 기준이 다시 부활하는 분야가 나타날 것임은 분명하다. 브렉시트 이후에 영국과 EU회원국 간에는 새로운 통상관계를 설정해야 하는데 EU와 영국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으로 유럽경제지역(EEA), 관세동맹(Customs Union), 포괄적FTA, 세계무역기구(WTO) 옵션이 검토되고 있으며 영국이 탈퇴시한 까지 무역협정을 타결하지 못하는 협상 없는 유럽연합 탈퇴(No Deal Brexit) 까지 예상되고 있다. 영국의 정치적인 혼란 속에서 탈퇴방식 및 탈퇴 후 EU와의 관계 재설정에 관한 공감대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책방향 설정의 난항과 법적 제도적 혼란 및 불확실성이 탈퇴시한인 2019. 10. 31. 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Brexit cre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EU law, which has affected Britain's judicial system, isn’t applied at one time, and makes legal vacuum and confusion unavoidable. Many of the initiatives that have led to the integration of the European Union, such as the principle of supremacy of EU law over British law and the principle of direct effectiveness, will naturally ended.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situation, British domestic legal arrangements are needed. The UK enacted the European Union (Withdrawal) Act(EUWA) to abolish the European Communities Act 1972 on the day of Brexit, which under British domestic law provided the basis for the supremacy of the EU law and the principle of direct effectiveness. The EUWA removes the domestic constitutional basis for the EU law in effect in the UK,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provides for the retention of some EU law in the UK in spite of Brexit. After Brexit, the House of Commons will work of amending laws in relevant areas of the UK that have been affected by EU law. There had been cases in which Britain revised its domestic laws to meet EU law standards in the past, but now there will be a reversal.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U has been working on common laws in various areas and calling for member states to revise domestic laws, It is now clear that there will be a resurgence of previous British law standards. After Brexit, a new trade relationship between UK and EU is under consideration, including the EEA, Customs Union, the Comprehensive FTA, an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option, and a no-deal Brexit is expected, in which the UK is unable to reach a agreement by the deadline. Amid political turmoil in Britain, there is no consensus on how to withdraw and how to reestablish relations with the EU after Brexit. Difficulties in setting policy directions, legal and institutional confusion and uncertainty are expected to continue until Oct. 31, 2019, the date of withdrawal.

      • KCI등재후보

        독점규제법상 기업결합의 규제에 관한 고찰 - 기업결합의 개념에 관한 변화를 중심으로 -

        원용수 한국경제법학회 2008 경제법연구 Vol.7 No.2

        It is necessary to study legal systems about French and EU concentration of Enterprises in the field of competition law in order to adapt Korean Law to new legal circumstances. This article aims at researching into new legislative suggestion by analyzing the Regul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Enterprises in French and EU Competition Laws. Because some mistakes can be found in the Article 7 of Korean Fair Trade Law. The Article 7 of Korean Fair Trade Law considers acquiring or owning shares of another corporation, holding a position as an officer of a corporation while being an officer or employee of another corporation, merging with another corporation, taking over or lease the whole or a substantial part of business, undertaking the management of another corporation, or taking over the whole or a substantial part of the fixed operating assets of another corporation, or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corporation as concentration of enterprises. The legal term that can include this five patterns of the concentration of enterprises is the concentration of corporations. In short, this attitude of legislation is not apposite. For 15 years, it had been asserted by French Competition Commission that French legal system in this sphere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adapt itself to new legal surroundings. As a result of this, French legislator enacted New Economic Regulation Law May 5, 2001 by investigating EU Competition Law. New Economic Regulation Law, which is said to be an excellent law, includes various business laws. Among them, there is the concentration of enterprises in competition law that belongs to French Commercial Code. 독점규제법상 기업결합의 규제 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현재의 상황 하에서 오랫동안 발전해 온 프랑스와 EU경쟁법상 관련 제도를 심도 있게 고찰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프랑스와 EU경쟁법상의 기업결합의 개념에 관한 변화를 주목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관련 입법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독점규제법 제7조 제1항은 기업결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다른 회사의 주식의 취득 또는 소유, 임원겸임, 다른 회사와의 합병, 영업양수 및 새로운 회사설립에의 참여를 기업결합의 유형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적절하고 주도면밀한 입법태도가 아니다. 왜냐하면 위 다섯 개의 유형을 적절히 포함시킬 수 있는 용어는 기업결합이 아니고 차라리 회사결합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업결합의 의의를 명확하게 제시해 주면서 위 다섯 개의 유형을 상당한 괴리 없이 해결하는 입법이 조만간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프랑스와 EU경쟁법상의 기업결합을 고찰하고, 최근의 관련 입법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입법론에 상당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001년 5월 15일의 신경제규제법의 시행 후 프랑스 경쟁법상 기업결합의 개념은 기업의 합병, 지배권의 취득 및 공동기업의 설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랑스 경쟁법상 기업결합의 개념의 변화는 오랫동안 발전해 온 EU경쟁법상 기업결합의 개념의 영향을 상당히 받으면서 기존의 자체 개념의 해석론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프랑스 경쟁당국과 관련 전문가들이 프랑스 경쟁법 보다 EU경쟁법이 우위에 있다는 확고한 신념에 의하여 뒷받침되었다고 할 수 있다. EU경쟁법상 기업결합의 개념에 관하여 2004년 1월 20일의 규칙 제3조는 기업의 합병과 한 기업을 다른 기업의 지배하에 두는 모든 작용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이러한 EU경쟁법상 기업결합의 개념은 프랑스 경쟁법상 기업결합의 개념보다 훨씬 더 포괄적이다. EU경쟁법상 기업결합의 개념은 EU경쟁당국의 경쟁정책 집행 수준이 매우 높아져서 섬세하고 복잡한 규정을 둘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거시적으로 보아 EU경쟁법과 미국 독점금지법의 흐름이 비슷해지는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기업결합의 개념에 관한 프랑스 경쟁법과 관련 판례의 변화 및 EU경쟁법과 관련 판례의 변화는 글로벌 경쟁법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EU의 민간투자법제에 대한 연구 ― 2014년 EU 특허지침(Concession Directive)을 중심으로 ―

        김대인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6 No.3

        Over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law was launched in Korea.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PPP law, Korea has experienced many problems such as misuse of public finance due to poor Minimum Revenue Guarantee (MRG) regime and unproportionate financial burden to infrastructure -users. To address these problems, it is beneficial to see foreign PPP law and practice. To this ends, this paper sees EU PPP regime, especially EU Concession Directive which was enacted in 2014. Korea and EU PPP regimes share similarities as both regimes entail same basic principle of PPP such as fairness, transparency, and competition. However, both regimes differs from each other as follows: 1) EU PPP law more focuses on liberalization of internal market, 2) the relationship between PPP law and contracting-out law in EU is different from Korean one, 3) EU public contract law focuses on best value, meanwhile Korean public contract law focuses more on lowest price. Despite theses differences, EU PPP law, especially EU Concession Directive gives many implications to Korea in many aspects: 1) relationship between PPP law and public procurement law, 2) service focused PPP, 3) selection of the concessionaries, and 4) modification of PPP contract. 우리나라에서 민간투자법제가 시행된 지 20년이 훨씬 경과하면서 최소운영수입보장제도로 인한 재정낭비, 민간투자시설의 이용자에 대한 과도한 부담전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민간투자법제에 대한 참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2014년에 제정된 유럽연합(EU)의 특허지침(Concession Directive)을 중심으로 EU의 민간투자법제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와 EU의 민간투자법제는 공정성, 투명성, 경쟁성이라는 기본원리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여러 가지 차이점도 가지고 있다. 1) EU의 법제는 역내시장의 자유화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 2) 민간투자법제와 민간위탁법제의 관계 등 관련법제와의 관계가 다르다는 점, 3) EU의 법제는 최고가치(Best Value)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가격에 초점이 맞추어진 계약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위와 같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EU 특허지침을 중심으로 한 EU의 민간투자법제는 여러 가지 시사점을 준다. 1) 민간투자법제와 공공조달법제의 관계는 양 법제가 모두 경쟁성, 투명성, 공정성 등 동일한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점 보다는 공통점이 강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서비스분야 민관협력은 ‘시설기반형 서비스 PPP’와 ‘비시설기반형 서비스PPP’를 나누어서 볼 필요가 있다. 3) 사업자선정과 관련한 입찰공고시에는 비례원칙에 부합하는 적절한 내용의 입찰공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낙찰기준에 있어서도 가격위주의 입찰제도에서 벗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실시협약의 변경한계와 관련해서는 사업재구조화를 통해 사업주체가 실질적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재입찰 절차를 거치거나 이에 준하는 투명한 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EU항공법상 무인항공기 관련 규정의 최근 개정 동향 및 시사점

        김지훈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6 No.-

        Currently Regulation (EU) 2018/1139 has been enacted repealing the former Regulation (EC) No 216/2008 on common rules in the field of civil aviation in EU, and its draft implementing and delegated regulations have been made and are expected to be adopt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soon. In the mean tim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proposed the plan for reclassifying drones in Korean aviation laws rationally based on the risk and operation. The implications of recently amended provisions on the unmanned aircraft in EU aviation laws to Korean on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rrent revised EU aviation laws cover all kinds of drones irrespective of their mass, and there is the only legal term ‘Unmanned Aircraft(UA)’ to express drones in EU aviation laws, it is also necessary to use the one legal term ‘Unmanned Aircraft(UA)’ generally used to express drones in Korean aviation laws, in addition it is desired to amend the requirement of the unmanned aircraft from ‘without a human’ to ‘without a pilot’ because it is helpful to develop the drone industry and coincident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Secondly, while divided legal terms to express drones in Korean aviation laws are being unified into the ‘Unmanned Aircraft(UA)’, it should be reclassified based on the risk and operation like the recently amended EU aviation law. Thirdly, it is required to enact the specific provisions to make the unmanned aircraft be equipped with devices to prevent social problems such as noise damage or data hacking owing to unmanned aircraft operations in Korean aviation laws as the currently revised EU aviation laws did. The Risk-based and Operation-centric regulation to the unmanned aircraft being progressed by EU and USA is evaluated to be more rational than the former mass-based regulation to it. Therefore, we need to study and analyse the currently revised EU aviation laws especially focusing on the unmanned aircraft, and it is necessary to use their good points to improve the regulation to the unmanned aircraft in Korean aviation laws more rationally. 최근 EU에서는 기존의 항공 관련 기본 법률이 개정되어, Regulation (EU) 2018/1139가 시행되었고, 무인항공기 관련 이행규정안 및 위임규정안의 초안이 작성 완료되어 EU의 입법화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도 2018년 10월 국토교통부에서 무인항공기의 위험도 및 성능에 기초한 드론 분류기준 규제합리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최근 구체적인 규제안을 완성한 EU 개정 항공법으로부터 참고할 만한 사항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들 수 있다. 첫째, 기체의 중량과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무인항공기를 규율대상으로 하고, 세분화 된 무인항공기에 대하여 ‘무인항공기(Unmanned Aircraft)’라는 통일된 용어를 사용하는 EU를 비롯한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우리 항공안전법에서도 드론에 대한 이원화 된 용어 사용을 멈추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인항공기’라는 용어로 통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행법상 무인항공기의 정의 요건 중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을 ‘조종자가 탑승하지 않는’으로 개정하는 것이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국제표준에 부합된다고 생각된다. 둘째, 항공안전법 상 ‘무인항공기’라는 통일된 용어 하에서, 개정된 EU항공법과 같이 무인항공기의 위험도 및 운용특성을 고려하여 무인항공기를 세분화하고, 그 위험도 및 운용특성에 비례하는 합리적 규제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무인항공기로 인한 소음피해ㆍ개인정보유출ㆍ테러위협 등과 같은 사회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관련 법제를 개선함에 있어서, EU의 무인항공기 관련 개정 법률 및 규정안과 같이 우리나라 항공안전법상 무인항공기를 제작ㆍ설계 및 운용하는데 있어서 소음피해나 데이터해킹 등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장비 설치 의무화와 같은 구체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최근 무인항공기에 관한 규제안 중에서 EU나 미국과 같은 항공선진국들에 의해 추진되는 무인항공기의 위험 및 운용특성 기반 규제는 기존의 중량 기준의 규제보다 매우 합리적이라 평가된다. 최근 완성 단계에 이른 EU의 무인항공기 관련 규제안을 면밀히 검토하여, 그 장점을 우리의 관련 법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데 잘 활용하여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