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와 EU법 - EU 사법재판소의 주요사례를 중심으로 -

        오석웅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4 스포츠와 법 Vol.27 No.1

        스포츠는 2009년 12월 리스본 조약이 발효되기 전에 EU 및 EC 조약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경제활동으로서의 스포츠는 시장의 자유와 경쟁법과 같은 EU 법률의 적용을 받는다. 즉 스포츠 활동이 방송권, 경쟁법, 운동선수 및 전문가의 자유로운 이동과 같은 경제적 요소와 관련된 경우 스포츠의 특정 측면에 대해서는 EU법과 교차하게 된다. EU 사법재판소의 Bosman 판결이 보여주듯이 스포츠가 상업적 행위 또는 노동행위와 연관되어있는 경우에 EU는 스포츠에 직접적으로 관여해 왔다. 또한 EU 경쟁법은 특히 반경쟁적 관행을 방지하는 등 스포츠의 특정 측면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스포츠에 대한 EU법의 적용에 있어서는 스포츠의 특수성, 스포츠가 자발적 활동에 기반한 구조라는 점, 스포츠가 가지고 있는 사회, 교육적 기능의 고려가 요청된다. 스포츠에 대한 EU 사법재판소의 사례에서 보면 ‘순수한 스포츠의 이익’에 관한 규칙은 EU 조약의 적용 범위에 속하지 않지만, 노동자의 자유로운 이동과 자유로운 서비스 제공과 경쟁 제한에 관한 규칙에는 EU 조약이 적용된다. 이를 통하여 사람과 물건의 자유 이동과 경쟁의 자유를 관철하는 유럽 단일시장의 형성이라는 EU의 방향성이 스포츠 정책에서도 단적으로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스포츠는 EU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경제활동으로서의 스포츠는 EU법상의 기본적 자유나 경쟁법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에 관한 EU의 규범을 개관하는 것과 동시에, EU 조약이 직접 적용된 EU 사법재판소의 사례를 통하여 EU 조약이 스포츠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한다. 동시에 EU 조약을 적용한 EU 사법재판소의 판결에서 EU의 스포츠 규범들이 강조하고 있는 스포츠가 가지고 있는 사회, 교육적 기능에 기반한 특수성이 어떻게 고려되었는지도 살펴본다. Sports were not explicitly mentioned in EU and EC treaties before the Lisbon Treaty came into force in December 2009. However, sports as an economic activity are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EU laws such as the principles of market freedom and competition law. In other words, certain aspects of sports intersect with EU law when they relate to economic factors such as broadcasting rights, competition law, and the free movement of athletes and professionals. As demonstrated by the Bosman ruling, when sports are associated with commercial or labor activities, the EU has intervened directly in sports. Additionally, EU competition law plays a role in regulating specific aspects of sports, particularly in preventing anti-competitive practices. However, the application of EU law to sports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sports, its voluntary structure, and the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it serves. In cases heard by the EU Court of Justice concerning sports, rules regarding the 'pure benefit of sports' fall outside the scope of EU treaties, but rules concerning the free movement of workers, the provision of services, and competition restrictions fall under EU treaty jurisdiction. This underscores the direction of EU policy towards the formation of the European single market, which emphasizes the free movement of people and goods and competition, a direction evident even in sports polic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ports today do not fall outside the scope of EU law; rather, sports as an economic activity are subject to the fundamental freedoms of EU law and competition law.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EU law regarding sports while also examining the impact of EU treaties on sports law through cases directly handled by the EU Court of Justice. It also explores how the specificity of sports based on its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emphasized by EU sports norms in judgments applying EU treaties, has been considered.

      •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상 신의성실의 원칙 - 적용범위와 내용을 중심으로 -

        오석웅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27 No.4

        Das Prinzip des 'guten Glaubens' wirkt heutzutage allgemeiner Rechtsgrundsats im nicht nur auf das national, sondern auch internationale Vetragsrecht. Gegenstand dieser Arbeit ist das Prinzip des 'guten Glaubens' im UN-Üereinkommen üer Verträe üer den internationalen Warenkauf(UN-Kaufrecht) bezülich seines Anwendungsbereiches und Inhalts nach Art. 7 UN-Kaufrecht. Art. 7. Abs. 1 7 UN-Kaufrecht stellt das Prinzip des 'guten Glaubens' als eine Auslegungsgrund des UN-Üereinkommens auf. Fraglich ist, ob der 'gute Glaube' nur fü die Auslegung des UN-Üereinkommens oder auch in Bezug auf die Parteierkläungen und -pflichten relevant sein kann. Obwohl der 'gute Glaube' nach dem Art. 7 Abs. 1 des UN-Kaufrechts lediglich fü die Auslegung des UN-Üereinkommens, richtet sich die Bezugnahme auf den 'guten Glauben' nicht nur auf die Auslegung des Üereinkommens, sondern auch auf das Verhalten der Parteien. Nach Art. 7 Abs. 2 sind die Fragen des UN-Kaufrechts nach den allgemeinen Grundsäze entscheiden, die Üereinkommen zu grunde liegen. Zu den allgemeinen Grundsäzen nach Art. 7 Abs. 2 zälen auch das Prinzip des 'guten Glaubens'. Das Prinzip des 'guten Glaubens' des Üereinkommens lassen sich auch aus einzelnen Vorschriften entnehmen, wie etwa Art. 16 Abs. 2 b), Art. 21 Abs. 2, Art. 29 Abs. 2, Art. 37, Art. 40, Art. 48, Art. 49 Abs. 2, Art. 64 Abs. 2, Art. 82, Art. 85, und Art. 88. Bei der Auslegung und Anwendung des Üereinkommens bedarf das Prinzip des 'guten Glaubens' fü den internationalen Charakter und den Vereinigungszweck närer Ausfülen.

      • KCI등재

        국제계약규범상 예견되는 계약위반에 있어서의 법적구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CISG, PICC 및 PECL을 중심으로 -

        오석웅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圓光法學 Vol.30 No.3

        ‘예견되는 계약위반’이란 상대방의 의무이행기가 아직 도래하지 아니하였으나, 상대방의 이행능력 또는 신뢰 성에 중대한 결함이 생겼거나 계약의 이행을 준비하는 상대방의 행위로부터 판단할 때, 그 이행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CISG),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UNIDROIT원칙(PICC) 및 유럽계약법원칙(PECL)은 영미법계의 예견되는 계약위반의 법리를 도입하여 공통적으로 계약의 당사자가 스 스로 계약상의 채무를 이행했다고 해도 상대방에게 채무이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되는 사정이 계약체결 후에 판명된 경우에 있어서의 넓은 법적 구제가 인정되고 있다. 특히 구게수단으로서 이행정지권뿐 만 아니라 이행기 전 계약해제권에 관한 내용을 규정함으로써 예견되는 계약위반의 상태가 발생했을 때에 계 약관계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권리행사의 절차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견되는 계약위반에 있어서의 법적구제에 관한 CISG, PICC 및 PECL의 규정체계와 그 해석론을 정리하고, 예견되는 계약위반상태에 빠진 계약관계의 취급에 관한 주요논점을 비교·고찰한다. Kann eine Partei bereits einen Vertragsbruch begehen, bevor die andere die Leistung verlangen kann? Und wenn ja, welche Rechtsfolgen ergeben sich daraus? Diese Fragen beschäftigen das UN-Kaufrechr(CISG), UNIDROIT Prinzip(PICC) und das Prinzip europäisches vertragsrecht(PECL) unter Schlagwörtern wie ‘vorzeitige Erfüllungsverweigerung’ und ‘Antizipierter Vertragsbruch’. Gegenstand diser Arbeit ist es, einen Vergleich zwischen CISG und PICC sowie PECL bezüglich der Rechte des Gläubigers bei einem bevorstehenden Vertragsbruch durch die andere Partei. Art. 71 CISG sowie Art. 7.3.4 PICC, Art. 8:105 Abs. 1 PECL regelt ein Recht auf Erfüllungsverweigerung bei bevorstehender Vertragsverletzung fest. Bei drohender wesentlicher Vertragsverletzung gewährt Art. 72 CISG, Art. 7.3.3 PICC und Art. 9:304 PECL unter engeren Vorauszetzungen ein Vertragsaufhebungsrecht. Anders als das Aussetzungsrecht unter den PICC und den PECL findet Art. 71 CISG nicht nur Anwendung, wenn die Leistungen Zug um Zug zu erfüllen sind oder der Schuldner vorleistungspflichtig ist, sondern auch dann, wenn den Gläubiger eine Vorleistungspflicht trifft. Artt. 9:304, 8:105 Abs. 2 PECL sowie Artt. 7.3.3, 7.3.4  PICC weisen Ähnlichkeiten zu Art. 72 CISG auf, weichen aber insofern davon ab, als sie nicht zwischen der Erfüllungsverweigerung nach Art. 72 Abs. 3 CISG und sonstigem künftigem wesentlichen Vertragsbruch nach Art. 72 Abs. 1 unterscheiden. Auch sehen Artt. 7.3.4 PICC, 8:105 PECL keine Anzeigepflicht des Gläubigers vor, die Art. 72 Abs.2 CISG entsprechen würde; der Gläubiger darf vom Schuldner ausreichende Sicherstellung verlangen, ist dazu jedoch nicht verpflichtet, sondern kann den Vertrag auch direkt aufheben.

      • KCI등재

        국제상사중재에 있어서 중재지의 의미

        오석웅 한국중재학회 2008 중재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research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lace of arbitration for the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For this purpose is to analyse regal issu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lace of arbitration on the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relating to the arbitration law and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In this Article is dealt with Art. 2 para. 1 of the Korean Arbitration Act(KAA). The KAA corresponds with the connection to the place of arbitration, the internationally prevailing ‘the principle of territoriality’. The place of arbitration is therefore great practical relevance, as there is not only the existing legal supplements on the arbitration procedure applies, but also in the state courts rule for the support and control of the tribunal are responsibl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first intends the importance of the place of arbitration for determination of the applicable procedural law. Secondly, this article intends the importance of the place of arbitration for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New York Convention)”. In conclusion, this article stresses, that the place of arbitration setting under Article 21 para. 1 KAA determine not only the applicable arbitration law, but also the jurisdiction of state courts in lawsuit for repeal of arbitration and qualification as a domestic or foreign arbitration award.

      • KCI등재

        싱가포르조정협약상 조정에 의한 국제화해합의의 집행에 있어서 준거법 - 협약의 소개를 겸하여 -

        오석웅 한국국제사법학회 2022 國際私法硏究 Vol.28 No.1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Settlement Agreements resulting from Mediation(‘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was negotiated by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 on 20 December 2018 and entered into force on 12 September 2020. It currently has 55 signatories and 10 parties have ratified it. The Singapore Convention establishes a legal framework for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commercial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s(MSA) similar to that provided by the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New York Convention’) for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It is an instrument for the facilitation of international trade and the promotion of mediation as an alternative and effective method of resolving trade disputes. Contracting States are obliged to ensure that international commercial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s are enforced by their courts. Like the New York Convention concerning arbitral awards, the Singapore Convention identifies limited grounds to decline summary enforcement of a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 Article 5 of the Singagpore Convention defines the grounds upon which a competent court may fail to grant relief at the request of the disputing party against whom it is invoked. This articles introduces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and analyzes the applicable law in the the enforcement of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s under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UN 국제상거래법위원회(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는 2018년 12월 “조정에 의한 국제화해합의에 관한 UN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Settlement Agreements Resulting from Mediation: 싱가포르조정협약)”을 채택하였고 2020년 9월 발효되었다. 싱가포르협약은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중국 등 55개국이 서명하고 싱가포르 등 6개국이 비준했다. 싱가포르협약은 국제적 성격을 갖는 조정의 결과로 도출된 당사자 간의 화해합의를 동 협약의 체약국에서 집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국제상사중재의 경우 외국중재판정은 1958년의 “외국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UN협약(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뉴욕협약)”에 의하여 그 승인 및 집행이 국제적으로 널리 보장된다. 싱가포르조정협약은 뉴욕협약의 내용을 차용하여 새로운 분야로 확산하기 위한 시도로서, 뉴욕협약과 같이 단순하고 정형적인 절차에 의하여 조정에 의한 화해합의의 집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동 협약의 체약국에서는 소송 등을 제기하는 일 없이 해당 화해합의에 근거해 강제집행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싱가포르협약의 성공적인 수용을 위해 각 체약국은 화해합의의 강제집행에 관한 국내 이행법률을 제정하여야 한다. 국내법이 제정되면 체약국의 법원은 소정의 절차를 거침으로써 별개의 판결이나 중재판정 없이 화해합의 내용을 즉시 집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협약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싱가포르협약은 국제적인 상사조정에 의한 화해합의에 적용된다. 즉 협약은 외국적 요소를 가지는 상사분쟁을 조정에 의한 화해합의를 통해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준거법에 관한 문제가 제기될 수 밖에 없다. 싱가포르협약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준거법으로서 크게 조정합의의 준거법, 조정절차의 준거법 및 화해합의의 준거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화해합의를 체결할 수 있는 당사자능력의 준거법, 분쟁대상의 조정가능성의 준거법, 화해합의의 집행절차의 준거법 등도 거론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협약의 성립배경과 주요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 협약 제5조에 따른 집행거부사유의 판단에 있어서 준거법에 관한 문제를 주요 검토대상으로 한다.

      • KCI등재

        디지털 네트워크시대의 저작권분쟁과 준거법

        오석웅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3 스포츠와 법 Vol.16 No.4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and dispute have been widely expanded in the era of digital and network.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in the environment of digital and network takes on the character of ubiquitous infringement that occurs simultaneously in more than one country. Art. 5(2) of Berne Convention and art. 24 of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adopts the principle of the lex loci protectionis under the territorial principle in the choice of law. However, the principle of lex loci protectionis in the choice of law is not sufficient to solve international copyright disputes related the ubiquitous infringement of copyri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ule of lex loci protectionis to some extent, especially for an international case of ubiquitous infringement to copyrigh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the change to the principle of the lex loci protectionis in the choice of law for an international infringement on copyrights in the environment of digital and network and to suggest how to determine the governing law. 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간단하게 저작물의 작성, 복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문화활동의 상호작용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이러한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저작물의 무형적이고 쌍방향적 이용으로 인하여 저작권에 관한 분쟁도 급격하게 늘고 있으며, 특히 저작권의 전 세계적 유통과 침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에 관한 국제적인 분쟁도 증가하고 있다. 저작권침해의 준거법에 관한 우리나라 국제사법이나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은 유형적인 복제물에 대한 저작권의 침해를 전제로 하는 보호국법주의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단일의 준거법결정원칙으로는 저작권의 편재적 침해에 있어서 심각한 한계를 드러낼 수 밖에 없다. 즉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의 도래에 따른 저작권의 편재적 침해에 대하여 보호국법주의를 적용하면 보호가 요구되는 국가의 법을 병렬적으로 적용하게 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저작권의 특수성과 기술의 발전을 고려하여 적절한 연결원칙을 도출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저작권침해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종래의 국제저작권분쟁의 준거법결정에 관한 일반론을 바탕으로 저작권의 편재적 침해에 있어서 보호국법주의를 어떻게 수정 내지는 보완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을 모색한다.

      • CISG에 있어서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오석웅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1

        Culpa in contrahendo is meaning "fault in conclusion of a contract". Introduced in Germany by Rudolf von Jhering for the first time in the modern-law civil era in 1861, the doctrine of culpa in contrahendo advanced the thesis that “damages should be recoverable against the party whose blameworthy conduct during negotiations for a contract brought about its invalidity or prevented its perfection.” It is an important concept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ract law and refers to the principle that parties must act in good faith during preliminary contract negotiations. It recognizes a clear duty to negotiate with care, and not to lead a negotiating partner to act to his/her detriment before a firm contract is concluded. However, the CISG does not have explicit provisions adopting the general duty of good faith and pre-contractual liability due to the conflicting positions between different legal system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culpa in contrahendo doctrine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s of Goods (CISG).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culpa in contrahendo)이란 계약의 성립과정에서 당사자의 일방이 그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상대방에게 손해를 준 때에 부담하여야 할 배상책임을 말한다. 당 사자는 계약체결을 위한 교섭과정에 있어서도 신의칙에 기하여 주의의무·보호의무·충실의무· 설명의무 등 부수적 의무를 부담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의무위반의 경우에 당사자는 계약체 결상의 과실책임을 지게 된다. 종래 판례나 관습법에 의해 인정되어 오던 계약체결결상의 과실책임의 법리는 현재 대륙 법계 및 영미법계의 여러 국가에서 허용되고 있으며,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UNIDROIT원칙 (Unidroit 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PICC)이나 유럽계약법원칙 (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PECL)과 같은 국제계약규범등도 이에 관한 명시적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은 입법과정에서의 한계로 인하여 계약체결상의 과실책 임에 대하여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의 흠결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동 협약의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에 관한 일반이론과 대륙법계 및 영미법계 국가와 대표적 국제계약규범인 PICC 및 PECL상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에 관한 관련규정을 살펴보 고, CISG가 적용되는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계약체결을 위한 교섭단계에 있어 과실책임의 귀속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CISG의 어떠한 규정을 적용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CISG상 매수인측 국가의 공법적 규제에 적합한 물품의 인도의무

        오석웅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9 No.3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있어서 물품의 품질에 관련된 소비자 보호, 노동 및 환경, 제조물 안전 등에 관한 법규에 합치하지 않은 물품이 인도된 경우에는 해당물품의 시장가치가 감소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물품의 사용이나 전매가 금지되고 시장에서의 유통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매수인이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품의 계약부적합에 대한 매도인의 책임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매수인측 국가의 국내법상의 공법적 규제의 내용은 국제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매수인측으로 부터 자국의 공법적 규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고지가 없는 한, 계약 체결 당시에 그러한 규제의 내용을 예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매도인이 그러한 규제의 내용을 예견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매수인측 국가의 다양한 공법적 규제를 조사하여 엄격하고 불합리한 기준까지 충족한 물품의 인도를 매도인에게 강요하는 것은 불합리한 면이 있다.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CISG)이 적용되는 매매계약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는 물품의 계약적합성의 문제로 논의되고 있는데, 공법적 규제기준에의 적합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쟁점은 매도인이 일방적으로 매수인측 국가의 공법적 규제규정에 적합한 물품을 인도해야 할 의무를 부담하는가의 여부이다. 본 연구는 국내 공법적 규제의 판단기준을 CISG에 있어서 물품적합성의 문제에 관한 규정의 내용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공법적 규제기준에 적합한 물품인도와 관련된 중요한 각국 법원의 판례를 검토함으로써 CISG가 적용되는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있어서 각국의 공법적 규제기준의 차이에 따른 하자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 is a very important question whether the seller in order to meet the obligation to deliver goods in conformity with the contract under Article 35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has to comply with the local public law regulation for the use of certain goods. Do this public law regulations have to be observed in the export country or in the buyer‘s import country or are those requirements valid in the third country to which the goods are destined to be delivered. These standards are different in each country. Consumer protection, labor, environmental protection, product safety provisions affect fitness of purpose. The problem of conformity of goods to the public law regulations was overlooked at the creation of the CISG. The CISG contains conformity of the goods in Art. 35. The treatment of conformity within its meaning is based on the subjective understanding of a defect. Art. 35 (1) CISG refers to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and Art. 35 (2) contains provisions when the parties rules are incomplete. Purpose of this paper is how public law regulations affect delivery of goods according to Art. 35 CISG. The main question is whether the seller in order to meet his obligation to deliver goods according to the contract has to comply with the public law regulation of his seller’s country or the public law of the buyer’s country. Therefore present this paper a summary of case la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law regulation and seller‘s obligation to deliver goods.

      • KCI등재

        영국의 EU 탈퇴와 국제사법 - 불법행위에 관한 준거법 선택규칙을 중심으로 -

        오석웅 한국국제사법학회 2023 國際私法硏究 Vol.29 No.1

        The United Kingdom decided to withdraw from the European Union through a national referendum held on June 23, 2016, and officially withdrew from the EU on February 1, 2020, with the entry into force of the 「Agreement on the Withdrawal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from the European Union and the 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Brexit) means that EU law no longer applies in all areas where EU law prevails, including the law applicable to non-contractual obligations. Consequently, the Rome II Regulation no longer applies to legal disputes involving the UK as a relevant party. Without the application of the Rome II Regulation, the choice of law rules for non-contractual obligations in the UK will return to its domestic legal system. Without appropriate transitional provisions, this may lead to an undesirable situation where different systems apply to the same set of facts based on the date of withdrawal. To ensure the maintenance of a functional legal framework in international legal disputes in response to such changes, the UK enacted the 「European Union (Withdrawal) Act 2018」. Additionally, in relation to the choice of law rules, the UK implemented 「the Law Applicable to Contractual Obligations and Non-Contractual Obligations(Amendment etc.) (EU Exit) Regulations 2019」, which replaced the existing Rome I and Rome II Regulations with UK law. This regulation explicitly states that certain provisions of the existing Rome II Regulation continue to apply as part of UK law (UK Rome II) through modifications, ensuring the preservation of its content even after the EU withdrawal.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the choice of law rules for tort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K's adoption of the Rome II Regulation as part of domestic law is based on the current legal status. EU laws, including the Rome II Regulation, can be amended in the future, and specific provisions will not automatically apply in the UK. Any amended provisions would need to be expressly adopted through UK domestic legisl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legal measures that the UK may take if the Rome II Regulation is amended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 also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UK is no longer bound by the jurisprudence of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While the UK has chosen to retain the Rome II Regulation as part of domestic law, the absence of CJEU jurisdiction raises uncertainty about how UK courts will interpret and apply retained EU law provisions. EU legislative activities have been closely linked to CJEU case law, with the CJEU primarily responsible for interpreting EU law and providing new directions for EU legislative activities.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 will inevitably remove the influence of CJEU case law on UK court decisions, and CJEU interpretations and judgments will no longer have a direct impact on UK court determinations. This also applies to the field of determining the law applicable to torts and other non-contractual obligations. While the persuasive power of CJEU rulings may still be considered to some extent, UK courts will develop their own jurisprudence in this field, and it is expected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ame Rome II provisions may arise between the CJEU and UK cour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of law rules for torts under the Rome II Regulation, which applied before the UK's EU withdrawal, and to review the modifications to the domestically enacted Rome II Regulation (UK Rome II) after the withdrawal.

      • KCI등재

        국제거래에 있어서 상관습의 해석기준에 관한 검토 - CISG 제9조를 중심으로 -

        오석웅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國際去來와 法 Vol.- No.31

        A trade usage may be defined as a general or at least widespread regular observance of a particular line of conduct amongst those engaged in a particular branch of international trade. It has alway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sales. Traders and business people around the world constantly rely upon trade usages across avariety of industrie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 expressly deals with trade usages and business practices under Article 9. It allows for the application of usages to which the parties have agreed as well as those that the parties merely “ought to” have known would apply. The CISG addresses only their applicability(Art. 4 a); thus the validity of usages is governed by applicable domestic law. Under Art. 9(1), the parties are bound by any usage to which they have agreed and by practices that the parties have established. The CISG does not define ‘usage’ and ‘practice’. Art. 9(1) unlike Art. 9(2) does not require that a usage be internationally accepted in order to be binding; thus the parties are bound by local usages to which they have agreed as much as by international usages. Practice is established by a course of dealing that creates an expectation that this conduct will be continued By virtue of Art. 9(2), parties to an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may be bound by a trade usage even in the absence of an affirmative agreement thereto, provided the parties “knew or ought to have known” of the usage and the usage is one that, in international trade, “is widely known to, and regularly observed by, parties to contracts of the type involved in the particular trade concern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value and scope of the usages and practices as a regulatory source of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under the framework of the 1980 United Nations Convention. 상관습은 현대의 국제거래에 있어서 계약의 해석기준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계약이 국경을 넘어 이루어지는 국제거래에 있어서는 다양하고 복잡한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사안에 대하여 계약상의 권리와 의무 관계를 명확히 규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국제거래의 당사자에게는 국가 단위의 법제도나 규칙보다 오히려 해당 업계나 단체 내의 관습으로서 축적되어 확립되어 있는 합리적이고 자주적인 규칙이나 자치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되어 있다.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이하 CISG)은 제9조에서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적용할 수 있는 관습과 관행의 해석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즉 동조 제1항은 “당사자는 그들이 합의한 모든 관습과 당사자간에서 확립되어 있는 모든 관행에 구속된다”고 규정하고, 제2항은 “별도의 합의가 없는 한, 당사자가 알았거나 또는 당연히 알았어야 하는 관행으로서 국제무역에서 해당되는 특정무역에 관련된 종류의 계약당사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준수되고 있는 관습은 당사자가 이를 그들의 계약 또는 계약성립에 묵시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본다”고 규정한다. CISG 제9조는 국제물품매매계약을 규율하는 관습과 관행을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는데, i) 당사자들이 합의한 관습, ii) 당사자간에 확립된 관행, 그리고 iii) 국제거래의 당사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고 또한 그 당사자에 의한 국제거래에서 통상적으로 준수되고 있는 관습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거래에 있어서 상관습의 의미를 살펴보고, CISG 제9조에 있어서 관습과 관행의 해석기준을 고찰함으로써, CISG의 적용범위에 속하는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있어서 관습과 관행이 매매계약의 당사자에게 현실적으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