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 부문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정혁(Hyuk Jeong)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3

        세계적으로 증가일로인 플라스틱 폐기물의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럽연합은 플라스틱 폐기물 부문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포장재 폐기물 부문 재활용률 향상을 위해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시행의 확대와 장려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이를 배경으로 유럽연합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 부문에서 시행되고 있는 EPR의 현황과 주요유형인 PFS체계의 회원국 주요 사례, 주요 공통 특징, 그리고 한계점들을 분석, 논의해보고 그 개선방안들과 한국정부로의 시사점을 도출해 본다. 유럽연합 회원국의 중앙정부로부터 독립적이며 규제적인 성격의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EPR의 PFS유형 사례들은 재활용률보다는 포장재 폐기물 무게만의 기준 적용, 공동책임제도하의 책임 부담 비용 결정 및 산정과 EPR 자체 영향평가에 대한 어려움, 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재 개발 부진 가능성, 그리고 폐기물 누출이라는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는 걸로 보인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들로는 포장재 재질의 위해성 및 유해성 기준 지표 시스템 정립을 위한 EU차원의 가이던스 마련, 각 행위자 별 폐기물 최종 처리 비용 산정방식의 공식화 후 지침으로의 조항 마련, 회원국 내 별도의 EPR 영향평가 주무 기관 설립 후의 지속적인 영향평가, 지방정부의 분류 또는 수거업체, 재활용업체들의 수익 보장 성격의 지원 강화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 EPR제도의 한계점으로도 논의된 폐기물 누출 문제 개선을 위해서 기업들 및 건물들의 그룹 군 단위 화 후의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의 수거 목표 설정 후 그 달성률 기준에 근거한 법인세 인하 범위 조정은 그 주요 개선방안으로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the concern of environmental pollution triggered by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lastic wastes is growing in the world, the European Union is emphasizing the encouragement and the expansion of EPR to improve recycling rates in packaging waste sector, the biggest share of the plastic waste. The paper is aimed at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current state of play of EPR, and the notable examples of the main type of the EPR called PFS, the primary common features, the limitations followed by the possible ways to improve them, and ultimately seeking for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Government The PFS cases in which the regulatory organizations independent of the central governments are centered in terms of functioning show the schematic limitations such as the application of the waste weight based criteria, the difficulties in estimating and deciding the accountable cost for each actor in the shared responsible scheme, and in separately assessing the impacts of the EPR, and the possibility of falling behind in developing plastic packaging with eco-design, and waste leakage beyond the coverage. As for the ways to improve them, laying out the EU guidance for putting in place the index system of the environmental hazardousness and harmfulness based criteria of the packaging material, setting up the provision concerning the official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final treatment costs of packaging waste for each actor in the scheme and putting it into the Directive, establishing the separate EPR impact assessment body and its continuous impact assessment on EPR, and increasing support for waste sorting or waste collecting companies and recyclists by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profit security in the system. In particular, regarding the waste leakage that the EPR of South Korea have in common as a limitation, adjusting the range of reduction in local taxes based on how well the grouped businesses and buildings achieve the collection targets of plastic packaging waste after setting them could be a way to improve the limitation.

      • KCI등재

        EU의 2017년 ePrivacy규칙(ePR)안의 검토와 시사점

        함인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ajor contents of a Proposal for a Regulation on Privacy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2017(‘2017 ePR’)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relevant legal system in Korea. More specifically, prior to the full-scale review of the 2017 ePR, I reviewed the legislative process until the 2002 e-Privacy Directive(‘2002 ePD’) was established in 2002, the outline of the relevant legal system, and the need to establish an 2017 ePR separately from the 2016 GDPR. After introducing the main contents of the 2017 ePR, I pointed out implications for the legal system in Korea. Thos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 firstly, the need to establish an individual law of personal data protection law in electronic communications sector, secondly, the need of function sharing between general law and special law, thirdly, the need to harmonize the protection and use of personal data, fourthly, the need of protection of corporation's electronic communications data, fifthly, the need for independence of personal data supervisory authorities. 2017년 ePR안은 EU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일반법인 1995년 지침이 2016년 5월에 GDPR로 새로 대체된 것에 대응하여, 2002년 ePD의 대체입법을 위하여 유럽위원회(EC)가 2017년 1월 10일에 입법기관인 유럽의회와 이사회에 제출되었으며, 현재 입법절차가 진행 중에 있다. 2017년 ePR안은 EU의 디지털단일시장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의 핵심목적인 디지털단일시장에서의 신뢰와 보안을 강화하고자 하며, 또한 2016년 GDPR의 글로벌 수준과 정합시키고자 하는 것을 그 입법목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GDPR과의 관계는 ePR안 제1조제3항이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반법과 특별법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ePR안은 GDPR의 특별법적 지위를 갖는다는 측면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규율에 있어서 GDPR의 다수의 규정을 적용 또는 준용하고 있다. 한편, 2017년 ePR안의 구성은 7장 29개조로 이루어졌는바, 장별 제목을 살펴보면, 총칙(제1장), 자연인 및 법인의 전자통신 및 그들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보호(제2장), 자연인 및 법인의 전자통신 통제권(제3장), 독립감독기관과 집행(제4장), 권리구제, 책임 및 벌칙(제5장), 위임법령과 집행법령(제6장) 및 최종규정(제7장)으로 되어 있다. 조문수가 전 29조인데 비하여 장수가 많은 편인데, 이는 GDPR의 형식을 도입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2017년 ePR안의 주요내용을 검토한 결과, 우리나라 관련법제에의 시사점으로서는 첫째로, 전자통신분야 개인정보보호법을 개별법으로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 둘째로, 개인정보 관련입법에서 일반법과 특별법간의 역할분담과 관련하여, 2017년 ePR안이 하나의 모범사례를 제시해 주고 있다는 점, 셋째로,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의 조화(균형)가 필요하다는 점, 넷째로, 법인의 전자통신정보의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점, 다섯째로, 개인정보보호 감독기관의 독립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폐기물 EPR 제도의 평가 및 개선에 관한 연구

        閔達基(Dal-Ki Min) 한국환경관리학회 2006 環境管理學會誌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국내에서 시행된 EPR 제도와 관련된 출고량, 의무량, 이행율 등의 자료를 평가하여 EPR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매년 협의에 의하여 결정되던 재활용의무율은 향후 일정기간 동안의 재활용의무율로 중ㆍ장기 고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EPR제도에는 재활용비용에 대한 예치규정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공제조합이 재활용업체에 지급하는 재활용보조금은 환경부가 고시한 재활용단가의 몇% 이내로 하한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EPR의 수혜자는 재활용업체가 되어야 하며, 공제조합이 중간에서 비용을 낭비하는 형태가 되어서는 안된다. 이 경우 환경부 또는 한국환경자원공사가 어떤 형태가 되었든간에 재활용 공제조합에 대한 감독권을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Waste deposit and refund system that applied at past changed by EPR(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system since 2003. In this study goods production, recycling quantity and ratio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get data connected with problem and improvement of EPR system. As a results, the recycling duty ratio by negotiation every year must change by the special recycling duty ratio during schedule period. And deposit fund for recycling dues should be supplemented in EPR system. EPR-mutual benefit association must manage capital limpidly, and recipient of EPR system must become recycling trade. In case is not so, MOE (ministry of environment) and/or KORECO(korea recycling cooperation) must control EPR-mutual benefit association compellingly.

      • KCI등재

        자원순환형사회 구축의 일환으로서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에 관한 소고

        김세규(Kim Se-Kyu) 한국비교공법학회 2011 공법학연구 Vol.12 No.4

        The world stands at the turn from an unilateral logistics system of "resource, development,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position" to a resource-cycling society where resources and products and recycled and reused, and natural resources are no longer was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it Korea's legal system in order to transform the society's waste treatment practices from burning and burying to recycling. In addition, a resource-cycling society will be based on the cycle of resources before they become wasted, a new notion of resource cycling that is "free from wastes." As conforming to previous studies that have promoted the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as an effort to develop a resource-cycling society, this study is to quote and summarize key points as follows. The first point is the needs to reform Korea's recycling policies. The reform must upgrade the EPR as an overarching principle for all recycling policies, utilize it as a tool to integrate recycling policies and promote integration of policies governing manufacturers' products and processes. Qualitative change is also required.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autonomous growth of the recycling industry, government regulations should be replaced with evaluation on consumers and markets;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consider EPR performances as a key factor in rendering credit ratings; and policies should shift their focus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growth, such as improving evaluation standards that include qualitative factors like added values of recycling activities. Secondly, in the same context, the objective of the EPR is to reinforce producers' responsibilities for recycling used-products and used-packages. Therefore, policies should be designed to encourage producers to choose eco-friendly materials and designs in their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es, and to enhance the possibilities of recycling and reducing wastes (Article 16 of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ECD's guidance manual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A Guidance Manual for Governments) published in March 2001, EPR policies bear two following characteristics. One is to transfer upstream recycling responsibilities (both physical and financial) from local governments to producers, and the other is to motivate producers to consider the environment from the beginning of product design process. Desirable is to enact EPR Act and to enforce administrative orders and punishments accordingly under the shared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Lastly, regarding amendments to law for the establishment of resource-cycling society, it may be causes for confusion in the legal system that "waste recycling" is governed by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rather than by Waste Control Act, while "recycling, " which is the pillar of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is defined and governed by Waste Control Act. In order for the general public to better understand and access law, and for the government to more efficiently enforce law, some experts insist that the two acts should be integrated or at least amended. The integration approach is justifiable on its own. However, in order to establish a resource-cycling society, a new act, namely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stablishing resource-cycling society, " should be enacted to replace the existing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so that the new act serves as a framework for waste and recycling management.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stablishing resource-cycling society may define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establishment of resource-cycling society, the process and design of a resource-cycling society, and effective policies to realize the society. In this regard, the argument that the existing Waste Control Act should be amended and renamed a 지금까지의 「자원의 개발, 제품의 생산, 소비, 폐기」에 의한 일방통행형의 물류시스템으로부터, 폐기물을 재자원화·재상품화로서 자원의 유효이용을 꾀하고, 천연자원의 낭비를 철저히 억제하는 「자원순환형사회」로의 전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각·매립을 중심으로 하는 폐기물처리에서 자원순환형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법정비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자원순환형사회의 형성은 폐기물 이전의 순환자원을 기초로 할 것이므로 "폐기물로부터 독립한" 순환자원의 개념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즉 폐기물적 개념이 아닌 자원순환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지향하는 자원순환형사회 구축의 일환으로서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를 신장시키고자 하는 선행연구에 공감하면서, 이하 다음점들을 원용·정리하고자 한다. 먼저, 우리나라의 재활용정책의 변화의 필요성이다. 생산자책임재활용을 모든 재활용정책을 포괄하는 상위정책으로 격상시키고 재활용정책의 통합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며 제품 정책과 과정 정책의 융합을 도모하여야 한다. 아울러 재활용정책의 질적 변화도 요청되는 것이다. 재활용산업의 자율 성장 기반 구축을 목표로 정부의 규제를 소비자와 시장에 의한 평가로 대체하고 금융기관에 의한 생산자책임재활용 성과를 신용평가의 중요 요소로 하는 평가 체제의 정착과 함께 재활용실적의 평가에 재활용 부가가치 등 질적 요소를 포함하도록 평가기준 개선 등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변화를 위한 정책추진이 요구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음, 그같은 맥락에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의 목적은 생산자의 폐제품, 폐포장재의 재활용 책임을 강화하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설계·제조과정에서 친환경소재 및 디자인의 선택을 촉진하고 또한 구조개선을 통하여 폐기물의 감량화와 재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있다(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6조). 또한 OECD의 2001년 3월 가이던스 매뉴얼(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A Guidance Manual for Governments)에 따르면 EPR 정책에는 다음의 두 가지 특징이 있다고 한다. 첫째는 자치단체에서 생산자에게 상류단계의 재활용 책임(물리적/재정적)을 전가한다는 것이며, 둘째는 생산자에게 제품설계에서 환경을 배려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을 들고 있다. 바람직한 것은 환경부와 관계행정청과의 공동관할로써 일반적인 EPR법의 제정을 통한 개선명령, 조치명령, 충분한 벌칙을 규정하는 것이다. 끝으로, 자원순환형사회 구축을 위한 법제정비와 관련하여, 폐기물 처리의 한 방법인 폐기물 재활용이 폐기물관리법에서 보다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다루어지고, 정작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핵심 개념을 이루는 "재활용"이 폐기물관리법에서 개념 정의를 하고 있는 것은 법체계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의 법적 접근 및 이해를 쉽게하고, 효율적인 법집행을 위해서는 두 개의 법이 통합 또는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그와 같은 하나의 법률로의 통합론의 시각도 충분한 타당성을 지니고 있지만, 보다 더 나아가 여기서의 자원순환형사회구축을 위해서는 현행의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을 대신하여 가칭 '자원순환형사회형성촉진법'을 제정함으로써 폐기물법제를 아우르는 기본법 역할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곧 이러한 '자원순환형사회형성촉진법'에서는 자원순환형사회 형성의 이념, 기본원칙 등의 내용과 자원순환형사회 구축을 위한 계획의 수립, 기본원칙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실효성있는 시책 등을 규정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함으로써 종래의 폐기물관리법은 가칭 '폐기물안전처리법'이라 하여 폐기물처리에 관한 법으로 축소·개정하여야 한다는 견해가, 자원순환형사회 구축의 일환으로서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의 신장에 좀 더 기여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 휴대폰 산업의 역공급망 구조를 고려한 EPR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기만,김기범,정봉주 한국경영과학회 2008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5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산업대상으로 현재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휴대폰산업의 역공급망 구조를 고려한 개선된 EPR 제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EPR제도는 정부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환경관련규제로써 단말기 생산자에게 의무재활용율을 적용하고 미준수시 범칙금을 부과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의무재활용율을 부과 받고있는 휴대폰 단말기생산자에게는 EPR제도가 부담으로써 작용하고 있다. 이는 법적으로 규제를 받지 않는 이동통신사업자에서 단말기생산자로의 재활용을 위한 폐휴대폰 물류흐름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고, 이는 휴대폰 산업의 역공급망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제도를 만들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급망의 관점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EPR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부의 목적을 달성하고 역공급망 전체의 수익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개선된 EPR제도를 제안한다. 개선된 EPR제도의 제안을 위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의무회수율과 단말기생산자의 의무재활용율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들을 결정하기 위한 역공급망 최적화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와 단말기생산자, 이동통신사업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개선된 환경정책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휴대폰 산업의 역공급망 구조를 고려한 EPR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기만,김기범,정봉주 대한산업공학회 2008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5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산업대상으로 현재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휴대폰산업의 역공급망 구조를 고려한 개선된 EPR 제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EPR제도는 정부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환경관련규제로써 단말기 생산자에게 의무재활용율을 적용하고 미준수시 범칙금을 부과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의무재활용율을 부과 받고있는 휴대폰 단말기생산자에게는 EPR제도가 부담으로써 작용하고 있다. 이는 법적으로 규제를 받지 않는 이동통신사업자에서 단말기생산자로의 재활용을 위한 폐휴대폰 물류흐름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고, 이는 휴대폰 산업의 역공급망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제도를 만들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급망의 관점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EPR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부의 목적을 달성하고 역공급망 전체의 수익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개선된 EPR제도를 제안한다. 개선된 EPR제도의 제안을 위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의무회수율과 단말기생산자의 의무재활용율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들을 결정하기 위한 역공급망 최적화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와 단말기생산자, 이동통신사업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개선된 환경정책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Copper(Ⅱ) Sorption Mechanism on Kaolinite : An EPR and EXAFS Study 전자상자성공명 및 EXAFS 연구

        Hyun, Sung Pil,Kim, F. Hayes 한국광물학회 2004 한국광물학회지 Vol.17 No.1

        캐올리나이트(KGa-lb) 표면에 수착된 구리를 전자상자성공명(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과 ExAFS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분광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수착된 구리는 상온에서 g_(iso)=2.19의 등방성 전자상자성공명 흡수 신호를 보여 준다. 77 K에서 이러한 등방성 신호는 g_(∥)=2.40, g_(i)=2.08, 그리고 A_(∥)=131 G의 전사상자성공명 파라미터를 가지는 축대칭 이방성 신호로 바뀐다. 전자상자성공명 분석 결과로부터 수착된 구리 이온이 찌그러진 CuO_(6) 팔면체구조의 외부권착물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수착 실험에서 용액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수착된 구리의 양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등방성 신호는 수착된 구리의 양에 단순 비례하지는 않았다. 수착된 구리 이온이 높은 pH 조건에서 표면 침전을 형성함을 가정함으로써 이러한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EXAFS 결과로부터 이러한 표면 침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의 fitting 결과는 수착된 구리 이온이 1.96Å 거리에 결합된 4개의 수평 방향 산소와 2.31 Å 거리에 결합된 2개의 축방향 산소로 이뤄진 첫 번째 산소 껍질과 함께 3.08 Å 거리에 평균 6.8개의 구리 이웃 원자들을 가짐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캐올리나이트에 수착된 구리 이온의 국소 환경이 용액의 pH와 표면 농도에 따라 변화하며 그러한 변화를 연구하는데 전자상자성공명과 EXAFS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Copper(Ⅱ) sorbed on kaolinite (KGa-1b) was studied using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 and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EXAFS) spectroscopy. The sorbed copper(Ⅱ) had an isotropic EPR signal with g_(iso)= 2.19 at room temperature. At 77 K, the isotropic signal converted to an axially symmetric anisotropic signal with g_(∥) = 2.40, g_(l) = 2.08, and A_(∥) = 131 G. These EPR results suggest that the sorbed copper(II) forms an outer-sphere surface complex with a tetragonally distorted CuO_(6) octahedral structure on the kaolinite. In the sorption measurement, the amount of sorbed copper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of the solution. However, the intensity of the isotropic EPR line was not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sorbed copper. This discrepancy was resolved by assuming the formation of a surface precipitate at higher pH that is invisible by EPR. The EXAFS data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surface precipitate. The best fit for the EXAFS of the sorbed copper showed that each copper on the kaolinite had 6.8 copper neighbors located 3.08 A from it, in addition to the first shell oxygen neighbors, including 4 equatorial 0 at 1.96 A and 2 axial 0 at 2.31 A. This work shows that the local environment of the copper sorbed on the kaolinite changes as a function of pH and surface loading, and that the EPR and EXAFS are useful in studying such changes.

      • 대도시 S구의 EPR대상 포장재 선별현황에 관한 연구

        박대식,김혜진,최우석,유문박,박성민,임성호,정경수,김도완,신형모,배재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2003년부터 시행된 EPR(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재활용제도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기반 조성 및 재활용산업을 활성화하는 견인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재활용업체를 중심으로 한 지원정책은 폐기물의 수요시장을 확대하여 폐자원 가격을 상승시킴으로 인해 폐자원은 모으면 돈이 된다는 시장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EPR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재활용 프로세스는 수집운반, 선별, 재생품생산의 단계로 나누어 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 선별단계에 대하여 대도시 S구의 종합선별장을 집중조사ㆍ분석, EPR대상 포장재의 선별현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조사ㆍ분석한 내용은 종합선별장에서 EPR포장재 재활용품 반입, 선별, 잔재물처리까지의 물질흐름을 파악하고, 포장재별 반입량에 따른 선별량의 비율조사 및 분석, 버려지는 잔재물의 성상분석을 실시하여 재활용품의 발생부터 선별까지의 물질수지량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대도시의 EPR대상 포장재의 수집운반, 선별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도시 S구의 종합선별장의 2013년 재활용폐기물의 총 반입량은 13,855.680톤이며, 이 중 38.89%의 양인 5,388.309톤만이 품목별로 선별되어 재활용업체로 판매되는 실정이다. 선별된 재활용품의 품목은 파지, PET, PP, PE, PS, 철캔, 알루미늄캔, 백색폐병, 갈색폐병, 녹색폐병, 잉고트, 따대기, 고철, 의류, 비철, 잡선, 작업철, 생활철, 양은, 스템레스, 고무통, 신주, 필터, 생수통, 옷걸이, 키판, 중철, 잡병, 파동, 샷시, 아크릴로 나위어 선별되고 있었다. 이 중 EPR대상 포장재의 선별량은 PET병이 964.340톤으로 가장 많았으며(17.9%), 플라스틱 단일재질인 PS(요구르트병 등)가 40.810톤으로 가장 적은양이 선별되고 있었다(0.76%). 또한 선별되지 않고 버려지는 선별잔재물에 대하여 성상분석을 한 결과, 복합재질 필름류인 포장비닐이 가장 많은 양인 3,696.272톤으로 가장 많이 재활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재생가치가 높은 철캔, 알루미늄캔의 경우 거의 잔재물이 발견되지 않는 것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대도시의 선별장에서는 재활용쓰레기 중 약 39%의 재활용품만이 선별되어 재생용품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재생가치가 낮은 필름류의 경우 거의 재생되는 양보다 버려지는 양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버려지는 필름류의 경우에도 제대로 선별되어 재활용 된다면 양질의 고형연료 또는 재생유로 재활용되어 유용한 자원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버려지는 재홀용품의 선별량 확대를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도시 S구의 EPR대상 포장재 선별현황에 관한 연구

        박대식,김혜진,최우석,유문박,박성민,임성호,정경수,김도완,신형모,배재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2003년부터 시행된 EPR(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재활용제도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기반 조성 및 재활용산업을 활성화하는 견인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재활용업체를 중심으로 한 지원정책은 폐기물의 수요시장을 확대하여 폐자원 가격을 상승시킴으로 인해 폐자원은 모으면 돈이 된다는 시장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EPR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재활용 프로세스는 수집운반, 선별, 재생품생산의 단계로 나누어 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 선별단계에 대하여 대도시 S구의 종합선별장을 집중조사・분석, EPR대상 포장재의 선별현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조사・분석한 내용은 종합선별장에서 EPR포장재 재활용품 반입, 선별, 잔재물처리까지의 물질흐름을 파악하고, 포장재별 반입량에 따른 선별량의 비율조사 및 분석, 버려지는 잔재물의 성상분석을 실시하여 재활용품의 발생부터 선별까지의 물질수지량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대도시의 EPR대상 포장재의 수집운반, 선별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도시 S구의 종합선별장의 2013년 재활용폐기물의 총 반입량은 13,855.680톤이며, 이 중 38.89%의 양인 5,388.309톤만이 품목별로 선별되어 재활용업체로 판매되는 실정이다. 선별된 재활용품의 품목은 파지, PET, PP, PE, PS, 철캔, 알루미늄캔, 백색폐병, 갈색폐병, 녹색폐병, 잉고트, 따대기, 고철, 의류, 비철, 잡선, 작업철, 생활철, 양은, 스템레스, 고무통, 신주, 필터, 생수통, 옷걸이, 키판, 중철, 잡병, 파동, 샷시, 아크릴로나위어 선별되고 있었다. 이 중 EPR대상 포장재의 선별량은 PET병이 964.340톤으로 가장 많았으며(17.9%), 플라스틱 단일재질인 PS(요구르트병 등)가 40.810톤으로 가장 적은양이 선별되고 있었다(0.76%). 또한 선별되지 않고 버려지는 선별잔재물에 대하여 성상분석을 한 결과, 복합재질 필름류인 포장비닐이 가장 많은 양인 3,696.272톤으로 가장 많이 재활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재생가치가 높은 철캔, 알루미늄캔의 경우 거의 잔재물이 발견되지 않는 것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대도시의 선별장에서는 재활용쓰레기 중 약 39%의 재활용품만이 선별되어 재생용품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재생가치가 낮은 필름류의 경우 거의 재생되는 양보다 버려지는 양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버려지는 필름류의 경우에도 제대로 선별되어 재활용 된다면 양질의 고형연료 또는 재생유로 재활용되어 유용한 자원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버려지는 재홀용품의 선별량 확대를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NMR과 EPR을 이용한 천연, 합성, 그리고 처리된 보석용 다이아몬드의 특성 연구

        김종랑 ( Jong Rang Kim ),장윤득 ( Yun Deuk Jang ),김선하 ( Sun Ha Kim ),김종화 ( Jong Hwa Kim ),백윤기 ( Youn Kee Paik ) 한국광물학회 2008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1 No.4

        천연, 합성, 그리고 처리된 보석용 다이아몬에 대한 NMR과 EPR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비교적 짧은 100 분의 실험시간 동안에 얻어진 13C NMR 스펙트럼을 통해 천연과 합성다이아몬드, 처리된 다이아몬드와 처리되지 않은 다이아몬드, 그리고 고온고압 처리된 다이아몬드와 전자빔 처리된 다이아몬드가 각각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보석용 합성 다이아몬드는 촉매제로 흔히 사용되는 전이금속의 상자기성 영향으로 13C NMR의 선폭이 1.6 ppm 이상으로 얻어졌고, 보석용 천연 다이아몬드는 처리방법에 무관하게 그 선폭이 0.5 ppm 이하로 얻어졌다. 고온고압 처리된 보석용 천연 다이아몬드의 선폭(0.5 ppm)은 전자빔 처리된 다이아몬드의 선폭(0.2 ppm)보다 두 배 이상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된 보석용 천연 다이아몬드의 13C NMR 신호 세기는 처리되지 않은 보석용 천연 다이아몬드의 신호 세기에 비해 10배 이상 높게 얻어졌다. EPR 스펙트럼을 이용해 얻은 각 다이아몬드의 상자기성 결함(전자)의 농도와의 상관성을 검토해 본 결과, 13C NMR 신호의 상대적 세기는 각 시료들에 함유되어 있는 상자기성 전자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만 전자빔 처리된 다이아몬드의 경우는 예외임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전자빔 처리된 다이아몬드의 경우 NMR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인자로 상자기성 불순물 성분 이외에 격자 성분도 고려해야 됨을 알 수 있었다. Natural, synthetic, and treated diamonds were studied by NMR and EPR. It was demonstrated that natural and synthetic diamonds, treated and non-treated diamonds,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HPHT) treated and electron beam treated diamonds could be distinguished among each other based on the 13C NMR spectra acquired for relatively short periods of 100minutes. The 13C NMR linewidths of gem quality synthetic diamonds were broader than 1.6ppm due to the paramagentic effects of transition metals, generally used as catalysts, while the linewidths of gem quality natural diamonds were narrower than 0.5ppm regardless of the methods of treatment. The linewidth (0.5ppm) for a HPHT treated, gem quality natural diamond was as broad as more than twice of the linewidth (0.2ppm) of an electron beam treated diamond. The 13C NMR signal intensities of treated, gem quality natural diamonds were as strong as more than 10 times of the intensities of non-treaed, gem quality natural diamonds. When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the paramagnetic defects (electrons) obtained from the EPR spectra, the relative 13C NMR signal intensitie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s of the paramagnetic electrons contained in each sample but the electron beam treated diamond was an exception. This suggested that the lattice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paramagnetic defect component,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13C NMR signal intensity of the electron beam treated diamo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