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교담론의 패러다임

        최상도(Choi Sang-D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0

        누군가를 순교자로 지칭하는 행위는 특정한 죽음에 대한 호명(呼名, naming) 혹은 표지(標識, labelling)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기 때문에 ‘순교자’ 칭호는 필연적으로 사후(事後)에 산 자에 의해 주어진다. 따라서 순교자 추서(追敍, making)는 호명자의 현재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죽음 가운데서 특정한 죽음을 선택하는 행위이며, 나아가 그 죽음을 합법화하고 기념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이다. 특정 죽음에 대한 이런 호명과 표지의 행위는 죽음의 선택 그리고 해석과 관련된 힘을 수반한다. 정확히 말해서, 특정 죽음을 합법적 순교로 호명하는 사회적 행위로서의 순교는 산 자의 특정 공동체가 그들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의도된 목적을 가지고 만든 담론의 일부분이다. 순교자 추서의 이와 같은 담론적 특성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죽음사건, 기억, 해석, 힘 등 ‘추서’의 구조(mechanism)와 관련된 주제들을 면밀히 검토한다. 순교자 추서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 주제들의 상호작용을 본 소고에서는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한다.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은 세 요소(죽음사건, 기억, 해석)로 구성된 두 행위의 결합을 나타낸다. 이 두 행위는 담론의 분석을 위해서는 구분되어야 하지만, 실제로 추서의 과정에서는 불가분의 관계이며 상호의존적이다. 첫 번째 행위는 개인의 신앙 고백 혹은 선포로 인한 죽음의 선택의 행위이며, 두 번째 행위는 그 죽음을 순교로 지정하는 사회적 행위이다. 전자를 개인의 과거 신앙고백 행위로 인한 죽음사건으로 본다면, 후자는 현재 공동체의 정황에 따른 사회-정치적 죽음해석의 행위가 된다. 첫 번째 행위(죽음사건)는 특정 이데올로기적 입장의 반영과 강화로 형성되고 과거 죽음사건의 기본적 이미지를 담고 있는 기억에 의해 두 번째 행위(죽음에 대한 해석)로 전이 된다. 또한 순교자 추서의 구조에서 각각의 행위는 죽음사건 자체와 그 사건의 선택, 그에 대한 기억의 수집, 그리고 순교자 추서, 재(再)추서, 반(反)추서의 해석학적 행위와 관련된 본질적 힘의 대결을 수반한다. 순교자가 기념하는 해석 행위에 의해 최종적 지칭이 이루어진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 패러다임에서 순교자 추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두 가지 이론을 제시한다. 하나는 역사적 사건으로서, 이론적으로 그것은 과거의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나 실제적으로는 내러티브에 더 가깝다고 보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순교자 추서과정은 추서자의 이데올로기적 의도나 목적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그 순서가 해석-사건의 역순으로 진행된다는 입장이다. 본 소고에서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에 나타나는 이 두 이론을 상보적 관계로 볼 때 우리는 순교자 추서 과정의 첫 단계로서 죽음사건의 실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비록 죽음사건의 실체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없다 할지라도 순교구조의 핵심에 위치하는 사건의 실체에 대한 조사와 재구성을 통해, 순교담론이 담론에 불가피하게 작동하고 있는 지배적 힘에 의해 오용 혹은 남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본다. 실제로 순교자 추서에 수반되는 두 행위 중 개인의 죽음사건이 없이는 거짓 순교가 될 뿐이고, 동시에 한 사회가 특정 죽음을 의미 있게 기억하는 의도된 해석의 사회적 행위가 없이는 순교자가 추서될 수 없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To call someone a martyr is an act of ‘naming’ or ‘labelling’ a death. As the dead no longer speak, the title of martyr for the dead must be given posthumously by the living. To designate a death as martyrdom therefore entails selecting a specific death among various types of death and then attributing that meaning to the death through legitimating and commemorating the death in accordance with the namers’ present purpose. This act of naming or labelling a death inevitably involves power, that of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Precisely, martyrdom as a social act of calling a specific death as a legitimated martyrdom is part of making the discourse by the living groups’ predetermined purpose to construct and sustain their ruling ideologies through accepted means. Having set out the discursive figures of martyr-making, this paper has closely examined the ‘making’ mechanism of martyrdom focusing on the relevant issues: death-event, memory, interpretation, and power. The interaction of these issues in the process of making martyrs has been termed as a ‘Paradigm of Martyr-Making’ in this paper. The paradigm of martyr-making requires two basic acts made of three elements (death-event, memory, and interpretation) which are inseparable and interdependent in practice bu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analysis. One is a person’s act of confessing or proclaiming faith by choosing death rather than evading it. The other is the social act of designating the death as martyrdom. While the former act can be conceived as a death-event caused by an individual’s belief-profession behaviour in the past, the latter can be regarded as a socio-political act of interpreting the death in the present community’s context. The first act (Death-event) transits to the second act (Interpretation of the death) through memory in which the basic image of a past death-event is established by articulating and reinforcing a particular ideological stance. In the mechanism of martyr-making, each act inherently involves power contests over the death-event, the selection of that event and not others, the collection of relevant memories, and the hermeneutical activity of making, remaking or unmaking martyrs. Though a martyr is designated finally by the commemorative interpretational act, we have evoked two theories in the paradigm to comprehend martyr-making. Theoretically with a historical event, one starts from the past event but in practice it is more a narrative, while the other begins from the ideological intentions or aims of the makers and works backwards. The former claims the final interpretation should be come from the past event itself, however, the latter argues that the past event is only shaped or reshaped by intended interpretations in the particular context. This paper has argued that when we place two theories of the martyr-making process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we can draw a picture of the reality of death-event as the primary step of the martyr-making process, which takes the central position in the structure of martyrdom, though we never gain its perfect figure. By doing so, we may prevent the discourse of martyrdom from being abused or misused by the dominant power inevitably involved in the discourse. There may have been a pseudo-martyrdom without the individual’s death-event, yet at the same time it is impossible to be a martyr without the intended interpretation of the death by a society remembering the death meaningfully.

      • KCI등재

        반공주의적 순교 담론의 탈신비화 -김은국, 『순교자』론-

        선민서 ( Seon¸ Min-seo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본고는 김은국을 반공작가로 규정하거나 『순교자』(1964)를 반공주의 소설로 이해했던 그간의 관점이 지닌 한계를 넘어서고자 한다. 6 · 25전쟁 이후 한국교회에서는 경쟁적으로 순교자 추서에 열을 올렸다. 그러나 허위로 진행되는 순교추서는 반공화한 집단 기억 만들기의 일부가 되어 진실한 희생의 의미를 축소시킬 우려가 있었다. 『순교자』에서 일부 등장인물들은 반공 순교자를 조작하는 것이 국민들에게 희망을 심어주고 그들을 사랑하는 일이라 믿는다. 조국을 지키려는 목적을 지닌 장 대령, 신도들에게 환상으로나마 희망을 부여하려는 신 목사, 대중에게 한 편의 동화가 필요하다고 믿는 박인도는 나름의 진정성과 민중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졌지만, 결과적으로 그들은 백성을 기만하며 배교행위를 한 인물까지 순교자로 둔갑시킨다. 진실 없는 사랑은 결국 한계에 봉착한다. 반공주의에 경도되는 이들 등장인물들의 사랑에는 ‘진실의 부재’라는 근본적인 결핍과 결여가 내재한다. 반공주의적 믿음의 한계를 간파한 이 대위는 개신교 반공주의의 흐름과 거리를 두고 다만 고향을 그리워하는 민중의 마음을 염원한다. 『순교자』는 반공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폭력의 사용을 부추기는 행위가 진심의 사랑일 수 있는지를 우리에게 묻는다. 만약 그것 역시 사랑이라면 결국 『순교자』의 서사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그 진실 없는 사랑의 실패이자 불가능성이다. 그럼으로써 이 소설은 우리로 하여금 폭력을 재생산하지 않는 진실한 희생과 사랑의 의미를 성찰하게 만든다. This paper intends to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views that defined Richard E. Kim as an anti-communist writer or understood The Martyred(1964) as an anti-communist novel. After the Korean War, Korean churches competed to celebrate martyrs. But there is a fear that the false martyrdom will become part of the anti-communist making of collective memories, reducing the meaning of true sacrifice. Some characters in The Martyred believe that manipulating anti-communist martyrs is to instill hope in the people and to love them. It is true that Colonel Jang with the goal of defending the country, Pastor Shin who wants to give hope to the believers even through a fantasy, and In-do, Park who believes that the public needs a fairy tale, have their own sincerity and love for the people. However, as a result, they deceived the people and turned even those who committed apostasy into martyrs. In the love of these characters who are inclined to anti-communism, there is a fundamental lack and deficiency of 'absence of truth'. Captain Lee, who saw the limit of the paradox of anti-communist love, distanced himself from the flow of Protestant anti-communism and longed for the hearts of the people who only longed for their hometown. The Martyred asks us whether the act of internalizing anti-communist ideology and encouraging the use of violence can be true love. If it is also love, after all, what the narrative of this novel shows us is the failure and impossibility of love without truth. Richard E. Kim's The Martyred demystifies the anticommunist discourse on martyrdom. In this way, this novel makes us reflect on the meaning of true sacrifice and love that does not reproduce violence.

      • KCI등재

        유교 담론의 자장과 순국의 관계성 ─한말·일제강점기의 자결순국을 중심으로─

        서정화(Suh, Junghwa)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5 No.-

        본고는 한말·일제강점기에 있었던 자결순국의 유형과 역사적 연원을 탐색했는데, 자결순국은 유교 담론과 상관관계가 밀접하다는 것을 논했다. 유교문화권에서는 왕조가 바뀌거나 이민족의 침입이 있을 때 자결을 통해 투쟁 의지를 드러낸 사례가 빈번하고, 자결은 역사적 전통으로 자리 잡아 후대에도 칭송될 정도로 면면히 이어졌다. 한말·일제강점기의 자결순국자는 대략 120여 명이며, 이들의 자결순국은 전 시대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말·일제강점기 자결순국의 유형은 주로 단식, 음독, 자해, 투신, 기타로 구분할 수 있다. 전 시대의 사례가 흔치 않은 음독을 제외하고, 자결 유형의 전범이 되는 인물과 국난에 처한 유학자들이 결행했던 자결의 실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식자결은 백이와 사방득이 대표 인물로, 임진왜란 때 이양원·능성구씨, 병자호란 때 최효일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투신자결은 굴원과 노중련이 대표 인물로, 임진왜란 당시 박지화, 김천일, 고종후 등의 자결을 거론할 수 있다. 자해자결은 왕촉과 전횡이 대표 인물로, 청나라가 강화도를 함락시켰을 때 자결한 김상용, 송시영 및 이씨부인, 나씨부인 등의 사례를 근거로 제시할 수 있다. 한말·일제강점기 자결순국은 역사적 전통의 연속선상에 있으며, 자결순국자들의 언급과 행위는 다음과 같은 유교 담론과 상관성이 깊다. 첫째, 청나라 이후 중화문명의 중심을 자처하던 조선의 문화적 자존의식과 무관치 않다. 둘째, 국가의 위기에서 목숨을 바쳐야 한다는 지사 의식의 발로였다. 셋째, 의리를 실현하고 유가의 도를 보존하려는 의식의 소산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suicide martyrdom that exis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and its historical origin, and discussed that suicide martyrdom is closely correlated to Confucian discourses. In the Confucian culture, the will of fight was frequently demonstrated through suicide at the change of dynasty or invasion of other countries, and suicide settled as historical traditional and continued on ceaselessly as praised in later generations. There were approximately 120 suicide marty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ir suicides may be related to the tradition in the previous times. Suicide martyrdo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can be categorized into fast, taking poison, self-injury, leaping to death, and other type. With an exception of suicide by poison, which was not common in the previous times, the examples of figures for suicide type and the cases of suicides that Confucian scholars facing national crisis carried out are as follows. Classic examples of suicide by fast include Baekyi(伯夷) and Sa Bangdeuk(謝枋得), which can be found through the cases of Lee Yangwon(李陽元)·Neungseong Gu clan(綾城具氏) in Imjinwaeran War, and Choi Hyoil(崔孝一) in Byeongjahoran War. Examples of suicide by leaping include Gul Won(屈原) and No Jungryeon(魯仲連), and suicides of Park Jihwa(朴枝華), Kim Cheonil(金千鎰), Ko Jonghu(高從厚), etc. during Imjinwaeran War may be mentioned. Examples of suicide by self-injury include Wang Chok(王蠋) and Jeon Hoeng(田橫), and cases such as Kim Sangyong(金尙容), Song Siyoung(宋時榮) who committed suicide when Qing Dynasty captured Ganghwado, and Mrs. Lee, Mrs. Na, etc. may be presented as evidence. Suicide martyrdo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is in the continuum of historical tradition, and comments and actions of suicide martyrs are closely correlated to the following Confucian discourses. First, they are not irrelevant to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Joseon that professed itself as the center of Chinese civilization since Qing Dynasty. Second, they were the manifestation of patriotism to sacrifice their lives in the national crisis. Third, they were the result of consciousness to realize loyalty and preserve Tao(道) of Confucianism.

      • KCI등재

        한국(韓國) 근대여성소설(近代女性小說)에 나타나는 기독교적(基督敎的) 경험(經驗)의 히스테리적 변용 양상

        신수정 ( Shin Soo-j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3

        나혜석, 김일엽, 김명순 등으로 대표되는 草創期 韓國近代女性小說은 基督敎的 經驗과 무관하지 않다. 이들에게 있어 기독교는 새로운 근대이념이자 계몽의 도구로 인식되는 한편, ‘지옥불로 위협하는 아버지’의 형상이 말해주듯 일종의 恐怖機制로 작용하기도 한다. (하느님) 아버지의 뜻을 內面化하는 텍스트 表層의 殉敎者的 超自我의 樣相은 이 공포감의 산물이다. 그러나 텍스트의 深層에는 이 초자아에 수렴되지 않는 無意識이 히스테리적 양상으로 표출된다. 이 히스테리는 육체적 表現으로 번역된 여성의 心理的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家父長的 思考에서 抑壓된 여성의 무의식이 히스테리를 통해 언어와는 다른 차원의 표현수단, 즉 肉體的 記號를 얻게 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 근대여성소설에 나타나는 히스테리적 양상은 이들이 텍스트의 심층으로부터 男性的 啓蒙主義를 顚覆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한 徵候이자 女性談論의 한 可能性이다. Modern korean novels written by Korean female writers during the early period represented by such writers as Na, Hye-seok, Kim, Il-yeob, Kim, Myeong-soon are actually quite connected to the writers' Christianity experience during their childhood. Whilst Christianity is recognized by such writers as a diffuser of new ideologies and a tool for enlightenment expressed in a metaphor of “light”, it also works as a type of horror mechanism as expressed in the image of “a father threatening with hell fire.” Although this sense of horror structures the surface of texts with an aspect of the super-ego of martyrdom that internalizes a fatherly will, unconscious aspects not reflected in this super-ego are sometimes perceived from the depths of texts. That is the hysterical aspect accompanied by physical paralysis and hallucination. According to recent feminism theorists, this hysteria may be a psychological message translated in a physical expression. That is, through such hysteria, feminine unconsciousness suppressed by a patriarchy has acquired another means of expression, i.e., a physical sign,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languag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ysterical aspect expressed in Korean modern female novels is a symptom showing the female writers are overturning the male illuminism from the depths of texts and a possibility of feminine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