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of groundwater environment in a mining area based on fuzzy set theory

        Zhiqiang Li,Binghua Zhou,Debin Teng,Wei-min Yang,Daohong Qiu 한국자원공학회 2018 Geosystem engineering Vol.21 No.2

        Disordered mining activitie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eco-geological environment of groundwater in mining area. Based on the fuzzy set theory, this paper considered three factors: the quantity of groundwater resources, groundwater environmental quality and groundwater vulnerability, and established a multi-index and multi-parameter non-linear evaluation system to mak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groundwater environment in the mining a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ndwater eco-geological environmental issues in this region were serious. The distribution area of poor quali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was very large, accounting for 72.5% of the studied area, and it mainly distributed in the middle and southern regions. The areas with general groundwater quality covered about 19.0% and mainly distributed in the central and northern parts in a strip shape. The areas with good groundwater quality covered about 8.5% and distributed sporadically. Moreover, in the study area, because the groundwater vulnerability was at a high level and the groundwater environmental quality was poor, the groundwater was extremely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Therefore, the groundwater environment in the area should be significantly protected during coal mining. In addition, the predicted results can provide a scientific reference for the plann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large coalfields.

      • 국내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평가기준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GBCC와 일본CASBEE를 중심으로-

        정연용,전채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This paper is to provide problems and changes to be done about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which is similar to Japanes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reorganizing and comparing Japanese system with domestic system. Firstly, Both systems are similar, but it is considered that evaluation clauses of GBCC are still inadequate. Secondly, CASBBC can result vaguely in case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explaining way. However, GBCC evaluation clauses can make it possible to evaluate objectively by allotting marks, considering importance of each clause. Thirdly, while GBCC simply includes existence of facilities, Japanese way of system indicates more developed forms than Korean system, evaluating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buildings's existence, from operation, managing, changes, removal, to recycling of buildings. Fourthly, evaluation clauses of GBCC is considered that they don't reflect Korean specifics. Overall, still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has problems, because it is now in the process of revision and supplement. It doesn't appear to be settled in construction field, but certificated green buildings are expected to increase by making supported provisions of building law, providing incentives about apartment, increasing consumer's demands.

      • KCI등재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 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주진철(Jin Chul Joo),윤정임(Jeong Im Yun),이승은(Seung Eun Lee),김유민(Yu Min Kim),채창우(Chang U Chae),김영석(Young Seok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재생산단계와 시공단계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또한, 시공단계의 배출원은 각각 해양수송과 내륙수송, 건설장비 사용, 건설캠프 운영으로 분류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구체적으로 산정하였다. 전과정평가 개념을 도입해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에 투입되는 자재생산을 통해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기지 건설에 따른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23.8%에 해당하는 8,933 ton (as CO₂eq)으로 산정되었으며, 향후 남극 신규기지의 건설 시 자재생산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남극 장보고기지 시공단계(총 2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단계에 비해서 2단계에 비교적 많이 배출되었으며, 이는 2단계 때 수송화물선이 부산까지 회항하여 정박하므로 연료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시공단계의 온실가스 배출원 가운데 해양수송이 내륙수송, 건설장비 사용 및 건설캠프 운영에 비해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에 따른 자재생산단계와 시공단계를 통합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34,486 ton (as CO₂eq)으로 기존 남극기지 포괄적 환경영향평가(CEE)상에 제시된 온실가스 총배출량과 비교 시 다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CEE상에 제시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건설에 투입되는 자재생산을 통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고려되지 않고, 단순히 자재수송 및 시공단계만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greenhouse gas emissions occurring from the construction of Jang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were estimated in terms of material production stages and building stages, respectively. In detail,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building stages were estimated in terms of marine transportation, inland transportation, construction equipment utilization, and construction camp operation, respectively. As a result,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material production stages with life cycle assessment were 8,933 ton (as CO₂eq), equivalent to the 23.8% of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construction of Jang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a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occurring from material production stages should not be ignored. During the building stages, greenhouse gas emissions occurring from first year were greater than those from second year due to the increase in fuel consumption of freighter during second year. Additionally, marine transportation compared to inland transportation, construction equipment utilization, and construction camp operation was found to be the greater contributor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building stages. The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s estimated from both material production stages and building stages was 34,486 ton (as CO₂eq), and greater than those estimated from comprehensive environmental evaluation (CEE) of existing other research stations, This difference is mainly attributed from approximat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f existing other research stations without considering material production stages.

      • KCI등재

        교통계획 분야 성과평가를 위한 성과감사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택,오창석 대한교통학회 2011 대한교통학회지 Vol.29 No.2

        Nowaday OECD countries actively introduce the performance audi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ublic policies. Motivated by the current trend in practice, this paper presents performance audit indices and methodology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transportation investment projects and policie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would be twofold:1) key performance indices, 5Es + 4Cs rule, and methodology of performance audit are derived from foreign (GAO, NAO) and domestic (BAI) audit reports; 2) checklists (key issues and focuses) of performance audit are suggested as ranks. It is also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maintain the indices and the methodology to achieve sustainable performance of transportation projects and policies. 최근 OECD 국가에서는 공공투자사업과 정책의 성과를 감사행정을 통해 적극 평가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통투자사업 및 정책의 성과를 사전적으로 평가·점검할 수 있는 교통계획 분야의 성과감사 평가기준 및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 교통분야 감사 실태를 조사하여 중요도분석(IPA)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 교통행정분야(계획-건설-운영관리-기타) 중 교통계획 분야의 감사가 부족하였고 특히 민자, 항공 및 물류 분야는 감사빈도 및 접근방법의 변경 등 성과감사 방법론의 개선이 필요한 분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 감사원의 교통계획 분야 감사사례를 분석하여 성과감사 평가기준 및 감사방법론을 고찰한 후 주요국의 교통계획 분야 성과감사 평가기준 및 성과감사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성과감사 평가기준으로 영국 PPG13의 교통계획 지침, 미국의 3C 교통계획수립 지침 등 영·미의 교통계획의 수립원칙과 영·미 감사원의 교통계획 분야 성과감사 평가기준을 고찰한 후 교통계획의 정책성과(형평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정책수단(인과성), 행정절차(일관성, 협조성, 종합성)를 점검할 수 있는 5Es+4Cs 기준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향후 교통계획 분야 성과감사 시 적용 가능한 교통계획 분야 성과감사 방법론을 정립하기 위한 주요국의 교통계획 분야 감사 초점과 분석지표를 체크리스트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국내 교통계획 분야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각 체크리스트에 대한 중요도를 순위로 제시·활용토록 하였다. 향후 과제로 교통 및 물류분야의 정책 및 사업이 지속가능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성과감사 평가기준 및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보완·정비하여 나가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공동주택 사례평가를 통한 국내와 일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비교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승희,조태근,이정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2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사례평가를 통하여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인 GBCC와 일본 건축물 종합환경성능평가도구 CASBEE를 비교분석하고, 국내 GBCC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GBCC), CASBEE 순으로 각 부문별 평가결과를 점수 획득비율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토지이용 부문에서는 7.1%, 6.7%, 교통 부문에서는 3.5%, 0.8%, 에너지 부문에서는 7.4%, 1.9%, 재료 및 자원 부문에서는 4.5%, 2.7%, 수자원 부문에서는 3.5%, 2.3%, 환경오염방지 부문에서는 1.8%, 2.9%, 유지관리 부문에서는 3.5%, 15.2%, 생태환경 부문에서는 15.9%, 0.4%, 실내환경 부문에서는 21.2%, 23.5%로 나타났다. 2) 전체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GBCC)는 61.2점으로 나타나 우수등급에 적정하였고, CASBEE의 경우 B+등급(Good)으로 나타났다. CASBEE에서 도출된 최종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할 경우 국내 GBCC의 일반등급에 적정한 52.8점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