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는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 요인 탐색

        김유현,강옥려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The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levels: 1) personal level factors included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2) family level factors included parents’ monitoring and affectionate parenting; 3) school level factors included pe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4) and community child center level factors included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center teacher and impact assessment of center serv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th grade students. They have be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for more than one year. To analyze data,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 of 'the 2016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Survey'.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actors of person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child center. Second, factors that affect the children's happi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 were self-esteem, affectionate parenting, peer relationship, and impact assessment of center service. Self-esteem, which belongs to personal level factor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nd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happiness even after family, school, and community child center factors were inj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we should consider increasing their self-esteem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y belong.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아동 의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을 4개의 요인 즉,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에 초점을 맞추었다. 개인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를, 가족 요인으로 부모 감독과 부모 애정을, 학교 요인으로 또래관계 와 교사관계를, 지역아동센터 요인으로 센터교사관계와 센터이용영향평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 상은 지역아동센터를 1년 이상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이 보건복지부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의 위탁을 받아 수집한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종단자료 중 2기 패널의 3차년도 자료이다.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구하고, 위계적 회 귀분석을 실시하여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 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은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 요인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부모 애정, 또래관계, 센터이용영향평 가로 나타났다. 설명력의 크기는 개인 요인, 가족 요인, 학교 요인, 지역아동센터 요인 순이었다. 특히, 개인 요인에 속하는 자아존중감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에 대해 가장 큰 설명력을 나타냈고, 가 족, 학교, 지역아동센터 요인을 투입한 후에도 유의하게 아동의 행복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할 때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아동이 속한 사회적 환경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아동학대예방 관련 지역사회협력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들의 요구 분석

        고미옥,고선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5

        It is requested to provide comprehensive welfare service through community linkage so that community child center becomes a center point and can take charge of child abuse prevention and protection ro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community child center should establish the appropriate protection environment and organically cooperate with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need for community collaboration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380 living workers working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Jeollabuk-do province, the demand of community living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 was high. In order to prevent child abuse of living worker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municip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but lack of community collaboration and support.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ublicize community collaboration manual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because it is important for community collaboration to prevent child abuse even though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child-related institutions are different. In order to prevent child abuse, it was proposed to raise awareness and interest in child abuse for parents of community child centers by establishing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related institutions through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order to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it is suggested that the related organizations cooperate, voluntarily and democratically cooperate. 지역아동센터가 구심점이 되어서 아동학대 예방과 보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종합적인 복지서비스의 제공이 요청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가 적절한 보호환경을 조성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유기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는 아동학대 예방과 관련된 지역사회 협력에 대한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아동학대예방 관련 지역사회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들의 요구가 어떠한가를 분석하였다. 전라북도 소재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생활복지사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들의 지역사회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는 높았다.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들의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자치단체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체계에 대한 요구는 높았지만 지역사회협력 및 지원은 부족하였다. 아동관련 각 기관의 특성과 역할을 다르지만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지역사회협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동학대예방 관련 지역사회협력 매뉴얼을 개발하고 이를 홍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아동학대예방을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 활용을 통해 지역사회 관련기관들 간의 협력관계 구축을 이루면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부모들을 대상으로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식을 제고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기 위해서는 관련기관들이 협력적·자발적·민주적으로 상호협조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의 아동권리존중이 아동의 권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정윤미,강현아,강현주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betwee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a community child center and children’s rightsconsciousness. Methods: The 2nd wav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3rd stage) were used for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hildren's experienceof being respected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self-esteem. A bootstrapping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we found that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da direct effect on self-esteem. Second, we showed that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Third, the respect for rights in local child centers directlyeffects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partial mediating modelthat is influenced by mediating self-estee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hildren’s rights education is importantto raise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and it is important torespect children's rights in the process of actually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In addition,the self-esteem of children who use community child centers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the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 efforts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children arenecessar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이 센터에서 경험한 권리존중정도가 자아존중감을 통해 권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3기 패널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권리존중경험과 자아존중감, 권리의식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구조방정식 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역아동센터에서의 권리존중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직접적인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권리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권리존중은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권리의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의 권리의식을 높이기 위해서 권리 교육도 중요하지만, 아동이 실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권리를 존중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권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이 저소득가구 아동의 자기보호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보은,정선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a community child center on the self-care and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children. Methods: Low-income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use of local children’s centers. The survey was conducted at 13 centers in a randomly sampled region amo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n a metropolitan area. Data from the 5th year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used. 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cross tabu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time according to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Second,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school adjus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non-users. Thir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ren’s self-care time on the influence of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on school adjustment. Fourth, in the analysis of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positive effects may have come from the various servic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rather than the protection functions of community child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ought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childre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이 저소득가구 아동의 자기보호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저소득가구 아동을 지역아동센터 이용 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집단으로 수도권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중 무작위로 표집된 13개 센터의 아동을 설문조사하였다. 지역아동센터 비이용집단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초등학교 1학년 5차년도(2014)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여부에 따라 자기보호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집단은 비이용집단에 비해 학교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아동의 자기보호시간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분석에서도 지역아동센터 이용은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아동센터의 이용은 저소득가구 아동의 학교적응 수준과 정적 관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가 지역아동센터의 보호기능을 통해서라기보다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가구 아동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아동센터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피학대경험과 학교생활적응에서 지역아동센터지지의 조절효과 연구

        정정희,아영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6 학교사회복지 Vol.0 No.34

        This study observed the degree of the abuse experiences of children who utilize community child centers and it was designed to empirically show whether community child center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that abuse experiences have on school life adjustment. The research population consisted of children who utilize community child centers in the Busan area. Sampling was conducted through community child centers located in 16 districts of the Busan area by district and gaining a quota sample of 3 centers from each district totaling 48 center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to April of 2015 and of the distributed 400 surveys, 381 surveys were collected, and 363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surveys with incomplete or unfaithful responses. Data analysis was done through SPSS program and INTERACTION.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buse levels and repetitiveness of the abuse experiences of children who utilize community child centers were serious. Second, while child abuse experiences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community child cente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Also, community child center support significantly moderated abuse experiences and school life support. Research proposals were given through discussions regarding such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피학대경험을 살펴보고 피학대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의 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경험적으로 밝혀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부산지역 소재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이다. 표집방법은 부산지역 16개구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를 하나의 구에서 3개소씩 전체 48개 센터를 할당표집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3월과 4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배포된 설문지 400부 가운데 수거된 설문지는 381부로 이들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363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와 INTERACTION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피학대경험에서는 피학대 경험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학대경험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역아동센터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지지는 피학대경험과 학교생활지지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통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피학대경험 전수조사의 필요성 및 지역아동센터의 지지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시론

        홍나미,정익중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expand the public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o present realistic methods in terms of contents level of publicness that community child centers can realize. For this purpose, FGI was conducted with the representatives who were selected as the best community child centers or acted as supervisors. We have explored the public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a changing community care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lan to expand the public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was derived from 4 categories and 18 sub-categories. Specifically, it was discussed the obstacles to the expansion of public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efforts of community child centers needed to expand publicness, the way to promote publicness, and the support for community child centers expanding publicness as incentives.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for expanding public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clarifying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and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publicnes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지역아동센터가 공공성을 주체적으로 실현해갈 수 있는 내용적 공공성 측면에서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우수 지역아동센터로 선정되고 슈퍼바이저로 활동하는 시설장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변화하는 지역사회의 돌봄 환경에서 지역아동센터가 나아가야 할 공공성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방안은 4개의 상위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의 걸림돌을 확인하고, 공공성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역아동센터의 노력과 공공성 확대를 위한 추진 방법, 그리고 공공성을 확대하는 기관에 대한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공공성에 대한 개념을 명료화하고 앞으로 추진될 공공성 방향을 설정하는 데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정선욱,김희진,임희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3

        This study explored how high school students looked back upon their childhood experiences at community child centers, and how they perceived the impact of these experiences upo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7 youths selected from the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 Panel Survey Database.” The database has been developed by the Community Child Center Headquarters and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ince 2011.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a general inductive approach for qualitative data, with a focus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ir experiences at community child centers, the impact of these experiences upon their lives, and their expectations of such cent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dolescents perceived community child centers as a comfortable, home-like place and that they derived energy, and many happy memories from such centers. Some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t these centers, and felt stigmatized by using the centers. Others recalled that the centers protected them from the risk of juvenile delinquency. The youths surveyed here suggested that centers ought to develop more effective programs, employ approachable and qualified teachers, enhance centers’ physical environment, and provide more support for adolescents. These findings showed that community child centers need to provide more programs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needs of adolescents, in addition to providing after-school care programs. 본 연구는 어린 시절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들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에 대해 어떻게 회고하며 현재 자신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다고 인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1년부터 구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해 온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DB’의 패널 아동 중에서 27명의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이 있는 이들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조사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의 의미와 지역아동센터 이용이 삶에 미친 영향,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바람을 중심으로 귀납적 주제 분석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은 지역아동센터를 편안하고 가족․집 같은 곳으로 이해하였으며 센터로부터 에너지를 받았고 이곳에서 행복한 추억을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센터 내에서 차별과 배제를 경험한 청소년들이 있었으며 센터 이용으로 인한 낙인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한 청소년도 있었으나, 일부 청소년들은 지역아동센터의 보호 덕분에 나쁜 길로 빠지지 않게 되었다고 회고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선배로서 연구참여자들의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바람은 제대로 된 확실한 프로그램 제공, 좋은 선생님, 센터의 물리적 환경 개선, 전환기 청소년에 대한 관심과 더 많은 지원 등이었다. 연구 결과는 지역아동센터가 지역사회 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방과 후 돌봄 서비스만을 제공할 뿐 아니라 아동․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부합하는 적절한 프로그램과 개입 등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학교적응과 부모자녀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센터이용도움의 매개효과

        문지혜,김진숙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the chil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elp of Community Child Center by the school adaptation and parents-child activity of th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To this end, we conduct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using the data of ‘the 2016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s Panel Survey’ to examine the impact of school adaptation and parent-child activities on children's happiness in 662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school adaptation and parents-child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 The higher the school adaptation and the positive parent’s activity, the higher the happiness of the child,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ffecting the happiness of child was school adapt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aptation, parent child activity and child's happiness, help of Community Child Center played a mediating rol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inkage with the school and the parent system and to introduce a support system that can strengthen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th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적응과 부모자녀활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센터이용도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 지역아동센터아동패널’에 참여한 응답자 중 초등학교 6학년 662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 부모자녀 활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이 높고 부모자녀 활동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행복감은 높아졌으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변수는 학교적응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부모자녀활동과 아동의 행복감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센터이용도움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볼 때,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 및 부모체계와의 연계 강화 및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 지역아동복지센터 모형 개발 및 발전방안

        김형모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연구 Vol.19 No.-

        이 연구에서는 지역아동복지센터 모형을 개발하고 그 발전방 안을 모색함으로써, 아동복지전달체계 내에서의 지역사회 아동복 지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 아동복지센터 모형 개발에서는 아동복지서비스 기능들을 복합적 으로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지역아동복지 센터 모형의 명칭을 ‘아동복지관(Child Welfare Center)'로 제 안하였다. 지역아동복지센터의 모형에서는 사업목적, 사업대상, 사업지역, 사업흐름도를 제시하고, 서비스 유형으로 기본서비스, 필수서비스 및 선택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지역아동복지센 터 종사자의 인력배치 기준, 자격기준, 인건비 지급 기준을 제시 하고,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예산, 이용절차, 표준 프로그램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인 지역아동복지센터 발전방 안으로 아동양육시설과 지역아동복지센터가 함께 설치․운영되고 있는 아동복지시설들을 통합하여 ‘아동복지종합시설’로 발전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추가 설 치, 지역사회의 청소년에 대한 개입 강화, 가족에 대한 개입 강 화, 지역가정위탁지원센터로서의 역할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for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and to suggest development plan for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I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model, we tried to build a model that can reflect the functions of child welfare services and suggested the model of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as 'Child Welfare Center'. In the model of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service purpose, service object, service area and service flow chart were presented, and basic service, essential service and optional service were presented as service type. In addition, the staffing standard, qualification standard, and labor payment standard of the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were presented, and the budget, the use procedure, and the standard program composition (plan) of the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were suggest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it was proposed to develop 'Child Welfare Comprehensive Facility' by integrating a child welfare facility which is installed and operated together with child care facility and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dditional child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y, strengthening intervention for the youth in the community, strengthening family involvement, and acting as a regional family foster care support center.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빈곤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2

        본 연구는 지역사회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경험이 빈곤아동의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에 대한 인식 정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의 9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족유형, 지역아동센터 교사에 대한 만족도가 사회적회 지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 여부는 가족, 교사, 또래 지지인식 여부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유형, 친구지지, 교사지지, 지역아동센터 교사에 대한 만족도, 지역아동센터 이용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양친가정의 아동들에게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며 보다 많은 아동들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수준을 향상시켜 양질의 서비스를 아동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학교교사들이 빈곤아동의 특성을 이해하여 이들에 대한 지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빈곤아동의 사회적 지지원을 광범위하게 확보하여 사회적 지지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what effect experience in support from community has on poo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perception of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which are factors influencing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120 third‐sixth graders who were using one of 9 community child centers in Gyeongsangnamdo. According to the results, family type and satisfaction with teachers at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d an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the presence of social support had an effect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family, teacher and peer support. Furthermor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were influenced by family type,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satisfaction with teachers at the community child center, experience in the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 etc.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to children at non‐two‐parent families and to induce more of them to use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o enhance the quality of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s for providing high‐quality services to children. What is mo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ecuted so that school teachers ma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or children and play their role as a source of support to such children, and soci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by securing sources of social support extens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