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지연 문장에서의 국한 혼용문의 위치

        황재문(Hwang, Jae-moon)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5

        국문과 한문 또는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쓰는 ‘국한 혼용문’은, 전범이 부족하고 어문규정이 미비한 채로 근대 전환기의 우리 어문생활에 다시 등장했다. 독자를 고려하면서 ‘국문’ 또는 ‘한문’으로 글을 쓰던 당시의 지식인들 가운데에는 우리어문을 연구하면서 스스로 새로운 문체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한 이들도 있었지만, 국문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시대적 흐름과 국문 사용과 관련된 법령이나 국문 또는 국한 혼용문을 사용하는 매체의 등장과 같은 환경 속에서 복수의 문체로 힘겹게 글을 써야 했던 이들도 적지 않았다. 장지연은 다양한 문체로 많은 글을 써서 후자를 대표할 만한 인물로 판단되는데, 이에 본고에서는 장지연의 국문론과 어문생활을 개관하고 국문 및 국한 혼용문으로 쓴 글들을 검토함으로써 한문 교양을 배경으로 한 전통적 지식인이 어문생활의 과도기에서 어떠한 글쓰기를 양상을 보이는지 검토한다. 장지연은 한문 이외에도 여성에게 보내는 서간의 경우와 같은 국문 글쓰기의 전통에도 익숙했는데, 고전소설의 형식과 문체, 표기방식과 어긋나지 않는 『애국부인전』이나 ‘국문전간’으로 발간 되는 『해조신문』의 논설과 같이 순국문으로 작성한 저술 및 신문기사에서 그러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해조신문』에 수록한 일부 기사의 경우에는 순국문에서 유래한 국한 혼용문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국한 혼용문으로 간행한 다수의 저술에서는 한문과의 친연성이 주로 확인되기는 하지만, 그 가운데 『신정동국역사』의 교정 사례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한문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는 ‘국한 혼용문’의 지향과 시도도 발견할 수 있다. 다만 그 결과로 일관된 문체를 만들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며, 『만국사물기원역사』 의 사례에서처럼 과도적인 면모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장지연이 국문 또는 한문과의 관계에서 다양한 면모를 보이는 ‘국한 혼용문’을 작성한 이유로는 그러한 문체 자체의 효용성을 들 수 있을 것인데, 이때의 효용성은 당시 독자의 상황으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Kughanhonyongmun(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which is a style of writing mixed wi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reappeare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ith insufficient canonical example and incomplete normative grammar. Until then, intellectuals had to write by selecting Korean or Classical Chinese depending on the reader. They had to write in a variety of unfamiliar styles under an environment requiring use of Korean character. Jang Ji-yeon, who wrote a lot of writings in various styles, is considered to be a representative intellectual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examines traditional intellectual’s diversity of writing style in that transitional period by reviewing Jang Ji-yeon’s case. In addition to classical Chinese writing, Jang Ji-yeon was also familiar with the tradition of vernacular Korean writing such as letters. Such meaningful traces can be found in novels and newspaper articles written in Korean, such as Aegugbuin-jeon(a story of Patriotic Woman) and articles of Haejo-sinmun(Haejo Newspaper). In particular, the case of the latter is judged that it implies the possibility of a style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derived from the vernacular Korean writing. His works written in Kughanhonyongmun mainly show the relevance or similarity to classical Chinese writing. Among them, the direction of his writing style of Kughanhonyongmun, which is somewhat distant from classical Chinese writing as found in the proofreading trajectory of Shinjeong-Donggukyeoksa(Revised version of Korean Histo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 consistent writing style was created as a result, and it is true that it shows an excessive aspect.

      • KCI등재

        ‘논증 전개 짜임’을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안

        정재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As communication, log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gain importance in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argumentative writing has increased. There has been much education on argumentation, but college students still have a difficult time with logical writing. Recognizing that current education on argumentative writing had limitations in linking the concepts, methods, and procedures of argumentation to actual writing, this study focused on a process of logical thinking being converted into logical texts. Chapter 2 examined the status and problems of argumentative writing, and Chapter 3 analyzed argumentative texts written by college students. The classification of writing based on the findings can help unskilled writers with their writing and serve as a criterion of mutual correction with their teachers. 이 논문은 논증적 글쓰기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기존의 논증 글쓰기 연구는 논증 모형이나구조에 집중하여 글쓰기에 도움을 직접적으로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논증에 대한 지식’과 ‘실제글쓰기’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는 점, 논리적 사고력이 곧 논리적 글쓰기 능력으로 변환되기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논증적 텍스트가 논거의 선택과 결합으로 환원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특히 논증적 텍스트의 ‘논증 전개 짜임’을 활용하는글쓰기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논증 전개 짜임은 필자가 어떤 논거를 선택하고 이를 어떻게 결합하는지 한눈에 확인하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65편의 대학생 필자의 찬반 논증 텍스트의 논증 전개 짜임을 분석하고 이를 유형화 하였다. 시작의방법, 예상 반박의 빈도를 기준으로 하여, 찬성과 반대 논증적 텍스트를 각각 5가지로 유형화하고, 텍스트의 유형과특징을 글의 수정하기 단계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자기 글(또는 타인 글)의 논증 전개 짜임을 분석하게한 후, 글이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그 유형이 필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지를 성찰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논거 결합 방식을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도 제안하였다. 찬반 논증 텍스트에서 자주 활용되는 ‘이접적결합’과 ‘연접적 결합’을 확인시키고, 자기 글(또는 타인 글)의 논거 결합 양식의 특징과 한계를 점검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필자의 목적의식과 ‘의미화’ 능력이 글의 설득력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주지시키고, 이에 초점을 맞추어글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논증 전개 짜임을 활용한 글쓰기 방안은, 특히 교수자의 학생 첨삭 또는 학생 간 상호 첨삭의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첨삭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논리성을 중심으로글을 평가하고 지도해 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시조 텍스트를 이용한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전략

        김상진(Kim Sang-Jean)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2

        시조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학 양식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시조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 사회로 접어들며 ‘소통’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글쓰기의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글은 생각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생각을 키워줄 수 있는 많은 독서량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글쓰기 수업에서 독서에 시간을 할애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랬을 때, 시조는 글쓰기 수업에서 긴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독서를 비롯한 다양한 글쓰기의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시조를 글쓰기 텍스트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조의 고유성에 근거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시조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글쓰기 텍스트로 삼았다. 모방형 시조, 연작형 시조, 결합형 시조가 그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은 글쓰기의 절차와 단계에 따라 활용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즉, 모방형 시조는 상상력을 발전시켜 글감을 모으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준비단계의 텍스트로서 의미를 지닌다. 연작형 시조는 계획단계에 적합하다. 즉 개요 및 단락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텍스트가 된다. 특히 여기서는 시조를 서사물로 변환시키는 요령이 필요하다. 결합형 시조는 실전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써 모든 단계의 실행이 가능한 종합적 텍스트의 역할을 한다. 결합형 시조는 학습자의 의도에 따라 시조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생각의 표현’이란 글쓰기 본연의 취지에 가장 적극적으로 부합된다. 본고의 주된 목적은 대학에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시조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시조연구의 지평을 넓힘으로써, 시조의 연구에도 기여하기를 기대 한다. Sijo is the our country's leading literary form. In this paper, the writing class will be on strategies to take advantage of Sijo. In modern society, ‘communi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t is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writing has been emphasized. Writing is an expression of thought. Therefore, to write a good article, should cultivate the power of thought. If you think to raise the power of thought then you should read lots of books. But writing in class is not easy to spend time to read. In this case, sijo can be a good text. To take advantage of the text as a writing Sijo, should be based on the uniqueness of sijo. In this paper, sijo categorized into the three types. So on and I want to be writing of the text. It is that Mimetic sijo(모방형 시조), Series sijo(연작형 시조), Combined sijo(결합형 시조). These three types are the more effective u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writing. In other words, Mimetic sijo is effective in the preparation phase. This step is the process of collecting ideas. Series sijo is suitable for the planning stage. In this step, the constructs to table of contents and paragraph. In particular, the skills are needed that sijo into the narrative. Practical steps that will be used in Combined sijo. This types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ntions. So,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writing that is 'expression of thought. And, as this type of writing is to practice all the steps. So, this is a Complex 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in a college courses. However, expected to be useful that research of sijo. That is to say, this stud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founder. In addition to expanding the prospect of sijo study. So, I should expect that this article is to contribute to sijo study.

      • KCI등재

        국한문(國漢文) 병용(倂用) 표기(表記)가 한자어(漢字語) 의미(意味) 이해(理解)에 미치는 영향 연구-초등학교 5학년 읽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진철용 ( Jin Cheol-y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2

        이 연구는 國漢文 倂用 表記가 漢字語 意味 理解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연구자는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초등학교 5학년 읽기 國漢文 倂用 敎科書’를 개발하였고, 그 교과서의 효용성을 실험을 통해 알아 보았다. 실험 결과를 요약해 보면, 학생들은 漢字를 倂用하지 않았을 때 漢字語의 意味를 매우 부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그런데 漢字語에 漢字를 倂記하고 漢字의 訓을 밝혀 주었더니 학생들이 漢字語의 意味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었고, 개인별 정답률도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평균 정답률 37.8% 상승)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면, 교과서에 漢字를 병용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漢字語의 意味를 보다 더 정확하게 이해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國漢文 倂用 敎科書 개발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初等學校 國漢文 倂用 敎科書를 위한 漢字 選定, 漢字語에서 사용되는 漢字의 뜻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xtbook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used in combination for elementary school, and I developed ‘a reading textbook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used in combination for the students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and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result summary, students understood the meaning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quite incorrectly when Chinese characters were not written in combination. But when it was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and the Korean equivalent in combination,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more accurately than before and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y individuals increased substantially(37.8% increase in average correct answ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vinced that to use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and to show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by adding Korean renderings is very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more accurately.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used in combination. To this end, the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selected for a textbook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used in combination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need to be summarized.

      • KCI등재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단어 결합체 이용 방안에 관한 연구: 비즈니스 영어를 중심으로

        이지현(Lee, J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비즈니스 상황에서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단어 결합체의 지도를 제안하고 있다. 단어 결합체란 어휘 덩어리를 총칭하는 용어로 연어, 숙어 및 패턴등의 연속 혹은 비연속 단어들의 덩어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언어가 자연스러운가 (idiomatic)에 대한 기준이 된다. 대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42명과 비교집단 42명을 구성하여 쓰기에 있어 단어 결합체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두 집단에 각각 10주간 매주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쓰기 및 상품 소개하는 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비즈니스 관련 주제에 관한 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 동일하게 실제 비즈니스 상황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영화나 유튜브 등의 자료를 통해 제공하고 관련 소재에 맞는 쓰기 활동을 하게 하였다. 이후 절차에서 실험집단은 학생들에게 상황에 필요한 단어 결합체를 지도하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재와 관련된 문법 지도를 한 후에 재차 쓰기를 하도록 하였다. 단어 결합체 인식 평가와 단어 결합체 암기 평가에서 실험집단이 유의미하게 우세한 결과를 보였다. 학생들 개별로 실시한 자기소개서 쓰기평가에서도 언어적인 측면에서 실험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word combinations as a method for teaching business English. “Word combinations” is a broad term referring to various lexical units including idioms, collocations, lexical bundles, and patterns. An experiment featuring college freshme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word combinations in business English writing. The study’s materials included a textbook, movies, YouTube clips, and blogs—all of which were meant to immerse the students in a virtual business environment. The study’s experimental group (N=42) was asked to pay attention to word combinations and use them in writing, while the control group(N=42) was equipped with grammar knowledge. When the groups were tested in terms of noticing and retaining word combinations,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When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write a cover letter individually,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idiomatic writing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when asked to work with teammates to write a business plan,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paper discusses the details of the study’s procedures and results.

      • KCI등재후보

        한국어 문학 수업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방안

        신윤경 ( Yoon Kyoung Shin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7

        한국어 문학 수업을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읽기·쓰기’ 통합을 적용, 새로운 수업안을 만들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언어 기술의 통합을 통한 학습 능력 향상에 대한 논의는 이미 여러 방향에서 논의된 바 있으나, 특히 한국어 교육의 문학 수업에 적용시킨 예는 드물다. 따라서 언어 기술의 통합, 특히 ‘읽기·쓰기’를 통합함으로써 문학 텍스트 읽는 과정을 심화시키고, 내용 이해에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런 이론을 바탕으로 수업안을 개발, 고급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시켜 보았다. 결과는 ‘읽기·쓰기’ 통합으로 진행된 반의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읽기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지만, ‘읽기·쓰기’ 통합 이론의 실제 적용이라는 점과 문학 수업을 위한 새로운 수업안의 개발이라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ign new teaching methodology for Korean literature class, “Reading and Writing combined methodology”, and apply the new method to the actual class. It has been studied and discussed that the learning capability can be improved when combined language skills are used for language teaching class. however, it has not actually been use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class. Moreover, it has been discussed and proved several times that the combination of “reading” and “Writing” out of several language skill combinations is particularly important and closely related. Therefore, to combine “Reading” and “writing” can improve the literature text reading procedure,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 literature content, and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as well. Based on this thesis, I designed the teaching methodology for Literature (Non Fiction) class and applied the methodology to students in two high level class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through the “reading and writing” combined methodology had better content understanding and reading capability. Even though there is several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it can be quite meaningful as it was the first trial to apply “reading and writing” combined teaching methodology to actual teaching classes and to design new literature teaching methodology.

      • KCI등재

        대학국어 읽기자료의 국어교재화 방안과 학습전략

        강연임(Yeon-im Gang),최혜진(Hye-jin Choi),신지연(Ji-yeon Shi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1 No.-

        본 논문에서는 말하기와 쓰기를 뒷받침해 주는 읽기의 교재화 방안에 대한 접근방법을 고찰해 보았다. 기존 국어교재의 실태를 살펴보고, 읽기 자료를 중심으로 교재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교재의 활용방안과 학습전략을 소개하고, 나아가 국어교육에의 효과까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국어교육에서 읽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읽기가 말하기와 쓰기로 연계되는 초석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읽기 자료의 구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순한 사건 전달형 기사를 1차 자료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객관적 자료로 삼도록 하고, 2차 자료로는 앞선 기사에서 제시한 사건이나 사실에 대해 주장을 펼친 기사(칼럼 등)를 제공한다. 학습자는 l차 자료에서 객관적 정보를 제공받고, 2차 자료에서 상반된 주장의 글을 읽음으로써, 최종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정하도록 한다. 3차 자료에서는 1, 2차 자료에서 언급한 내용이나 주장을 뒷받침하는 문학적인 글이나 다른 장르의 글을 제시한다. 이는 같은 주장을 다른 장르의 자료에서는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비교 • 검토함으로써 학습자가 객관적 판단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함께 키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 자리한 인지정보를 바탕으로 읽기 교재에서 제공되는 다차원적 정보가 결합되면 보다 폭넓은 인지구조를 구축하게 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는 통합적인 결론을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의 읽기 교재를 활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국어교육적 효과로는 먼저 다양한 종류의 글을 읽게 된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단계별로 읽기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사고력이 증진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로는 시사적인 신문기사를 활용함으로써 현실 문제를 깊이 인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반된 정보를 자신의 관점에 맞게 해석 • 평가는 감식안을 기를 수 있다.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teaching materialization way of leading text support speaking and writing. For this, it is examined about existing Korean text, and then the method of making text is discussed. An utilization of making text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more its effect is considered. By doing this, in korean education the new understanding of an importance of reading and it could be the foundation of reading after speaking, and after writing, The main conten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existing korean text. Erstwhile korean text is the center of writing, so korean text cannot be a useful for reading or speaking education. In spite of containing of reading text, it is worn-out or for the writing theory usually. To overcome this, reading has a leg up on writing or speaking. In other words, writing or speaking of creativity and productivity is needed to reading for learning content. Second, this thesis’s reading text is consisted of four stages. first, the fact articles give an objective truth. Second, opinion articles about same thing give an subjective opinion. Third, about same thesis literature, photograph or picture give an emotional feeling. Finally for this thesis another reference is suggested. And this consist is correspond to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Third. containing information could be united of existing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n this could be a logical and rational conclusion. For this process is summarized with this. 〈그림 삽입〉 Fourth, its expected effectivenes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various kinds of writing is read. An integrated reading text could have given thinking extension to learner. Second, as using a phased reading text, so thinking ability is advanced. Third, as using a suggestive critical essay, so a practical problems could be recognized deeply. It means that an intelligence and refinement as a lively person could have combined. Fourth, a discerning eye that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directly-opposed ideas could have developed.

      • 논문 : 의천(義天)의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편찬과 그 의의

        임혜경 ( Hye Kyung Lim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12 韓國史論 Vol.58 No.-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新編諸宗敎藏總錄, the newly edited total catalogue of entire Buddhist sects` commentaries on the Tripitaka; shortened as Uicheonrok below) was compiled by Uicheon the Master of Great Enlightenment in A.D. 1090. It is a catalogue of East Asian Buddhist priests` commentaries (章疏) on me Tripitaka (三藏). Uicheonrok consists of three volumes and it as a whole has 4878 commentaries of 1010 kinds in it; 2719 commentaries of 561 kinds on Sutras (經), 467 commentaries of 142 kinds on Vinaya-(律), and 1692 commentaries of 307 kinds on Abhidharma (論). This study concerns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publication of Uicheonrok and the intention behind it, and analyzes the compositional structure of Uicheonrok. It aims to elucidate distinct features of Uicheonrok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s a catalogue of Buddhist writings. Uicheon was well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commentaries for a clear comprehension of the Tripitaka. Therefore, he collected commentaries of various Buddhist sects from Sung Dynasty, Liao Dynasty, and Japan as well as domestic sects. He published thousands of collected commentaries and distributed them in the country. Moreover, he even exported them to Sung and Liao Dynasty. During this process, he compiled Uicheonrok and he noted in the preface that he tried to emulate the spirit of Gaewon-seokgyorok (開元釋敎錄, the catalogue of Buddhist teachings written in the era of Emperor Gaewon of Tang Dynasty). Uicheonrok was compiled on the fundamental spirit of Gaewon-seokgyorok which was written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true and false. This means that Uicheonrok differentiates reference-worthy commentaries from unworthy ones so that it could suggest an academic guideline for Buddhist study. However, unlike Gaewon-seokgyorok, Uicheonrok only contain" commentaries and this fundamentally distinguishes it from Gaewon-seokgyorok, Uicheonrok is also the very first catalogue of commentaries whose sources of commentaries are not limited to certain Buddhist sects. And for the fact that Uicheonrok contains commentaries actually distributed at th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omprehend the appearance of important Buddhist writings in the Buddhist society of Koryeo Dynasty through Uicheonrok. The compositional structure of Uicheonrok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considering its connection with preceding Buddhist catalogues. It is quite interesting to find that Uicheonrok had adopted compositional merits of Chinese Buddhist catalogues and changed them to make a better structure to contain commentaries in it. Buddhist catalogues in China, since Tang Dynasty period, had put two classification methods together; one is to classify scriptures in chronological order or the order of translators` era; the other is to classify scriptures according to their distinct features. During this process, it had become very important to discriminate the authenticity of scriptures. Uicheonrok classified commentaries according to their features and removed unworthy commentaries from its contents. Through this sorting process, it had embodied the spirit of authenticity discrimination. Uicheonrok had also partially adopted merits of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method by adding an appendix of biographies of important figures in the history of Buddhism. Though Uicheonrok had emulated the compositional structure of Chinese Buddhist catalogues, its detailed structure and contents still have their own distinct features. While Chinese catalogues categorized scriptures into Mahayana and Hinayana Sections, Uicheonrok had commentaries classified into three sections of the Tripitaka and then added Mahayana and Hinayana categories under each sections. This difference could suggest that Uicheon, who thought that Mahayana Buddhism and Hinayana Buddhism were in a gradational relationship, had compiled this book from the perspective of combined studies (兼學).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commentaries under Hinayana Buddhism category in Abhidharma section were catalogued for the very first time or verified as a solitary existing copy. Thus, the fact that Uicheonrok contains such rare commentaries prov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it has as a catalogue of Buddhist writings. By examining commentaries in the Lotus Sutra and the Avatamska Sutra categories, where the biggest number of commentaries are contained, this study has discovered that Uicheon made much importance of doctrinal study and practical self-culti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bined practice of self-cultivation and doctrinal study (敎觀倂修). Commentaries in the Avatamska Sutra category are arranged in order to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entire meaning of the sutra and Kwanmun (觀門, the method of practice) first, and then learn more detailed thoughts of the sutra. Uicheon, to put it more specifically, placed commentaries of priests from the Jiron Sect at the top of the list in order to reflect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Avatamska Sutra which was initiated by the Jiron Sect and then handed down to the Avatamska Sect. The academic relations of doctrinal study among Jieom (智儼), Beopjang (法藏), and Jingkwan (澄觀) can also be verified from it. The fact that Uicheon had highly regarded writings of Jingkwan can be an evidence of his special interests on the Avatamska study of Jingkwan who emphasized the impcll1ance of practical self-cultivation. Commentaries in the Lotus Sutra category are arranged in order to help people to gain basic knowledge of the sutra and then proceed to deal with more detailed teachings as well. There is a big group of commentaries of priests from the Cheontae Sect in the category and this fact suggests that Uicheon had intended to compose the category with the study of Cheontae Sect as the center. He also included commentaries on Shamatha-vipasyana (止觀) in Abhidharma section in order to emphasize practical self-cultivation. Along with these commentaries, Uicheon added the contents of discussions between Sangapa (山家派, the orthodox school of Cheontae Sect) and Sanoepa (山外派, the unorthodox school of Cheontae Sect) to Uicheonrok from a well-balanced perspective on various Buddhist theories.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above, it is possible to say that Uiche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bined practice of self-cultivation and doctrinal study, had compiled Uicheonrok to suggest an encompassing direction in Buddhist Study whid1 embraces various thoughts from the entire Buddhist sects. It has also been verified that Uicheon had systematized Uicheonrok to accord with basic features of Buddhist catalogues and enthusiastically included new commentaries in it, on the basis of his profound knowledge about the developing process of Buddhist catalogues. In this sense, Uicheonrok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s in the history of Buddhism.

      • KCI등재

        한문과 통합 논술 수업 사례 연구

        권혁진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Combined essay refers to solving problem with multilateral and deep thinking and describing logically the given problem situations which appear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transfer of individual subject knowledge with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power. Chinese classics education can utilize the essay instru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cestors' lives and wisdoms and succeeding to and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cestors' lives and wisdoms in the frame of present times requires not only the basic knowledge but also thinking power and creativity, which are also needed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Several essay class model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Chinese classics classroom are as followed. First, teachers can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texts that are related with text of the subject and go on the topic making class.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improve their accurate comprehension of the topic and analytic power. Second,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text with the critical point of view and discussing it from the various different standpoints, students can promote their ability of discussion and self-expression. Third, after selecting reading passages related with the content of the textbook and providing topics, teachers can make students write an essay. This course will improve students' anaylitic power of topic, passage and writing. Forth,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argumentative style works,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the system of the discourse. Fifth, after finishing the instruction on the subject matter, teachers can give performance assesment assignment in which students find essay topics and related texts from the other subject textbooks. We have thought about the model of essay instruction so far, and other than these models, we can utilize other various ways for subject essay instruction. 개별 교과 지식이 통합되고 영역별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주어진 문제 상황을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사고로 재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통합 논술이다. 한문 교육은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이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논술교육을 활용할 수 있다.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현재에 적합하게 이해하는 과정은 기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사고력과 창의력을 필요로 하며,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도 동일한 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한문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논술수업 모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본문과 관계된 여러 글을 제시문으로 주고 논제 만들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정확한 논제 이해력과 분석력을 키울 수 있다. 둘째, 본문 내용을 비판적 입장에서 읽어내도록 하며, 각기 다른 입장에서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토론 능력과 자기 표현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과 관련 있는 제시문을 선별한 다음, 논제를 만들어 제시한 후 글을 쓰게 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과정은 논제와 제시문 분석,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넷째, 교과서에 실린 논변체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논술의 체제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은 글 전체 혹은 일부분의 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킬 수도 있다. 다섯째, 교과 내용에 대한 수업을 마친 후 수행평가 과제로 교과 내용과 관련 있는 논술주제를 찾고 그 주제와 관련 있는 글을 타 교과에서 찾아오게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수업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논술 수업 설계를 모색해 보았는데, 이밖에도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교과 논술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日本語学習における創作表現授業 ‒ G・ロダーリ「ファンタジーの文法」を題材に ‒

        Hayasawa Masato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7

        This paper reports on a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lass that incorporated methods of creative expression described in Gianni Rodari’s “The Grammar of Fantasy” (1973). In this work, Rodari argues that fantasy worlds are created by combining impossible ideas. Based on this argument, I let students devise stories based on (1) impossible combinations of <adjective + noun> (e.g., “sacred demon” and “peaceful war”), (2) combinations of different sensations (e.g., “cold green” and “sweet blue”), and (3) impossible combinations of <subject + predicate> (e.g., “the paper cries” and “the university soars through the sky”). Classes that teach creative expression enable students to acquire special expressions that are not commonly used (metaphor, onomatopoeia, etc.) and are suitable for fostering creative thinking and sensibilities. The aim of this lesson was to develop human resources with rich sensitivity and the ability to use language expressions correctly through a language game that involved word combinations. 本論は、G・ロダーリ(1973)『ファンタジーの文法』を参考に、日本語教育の現場に、創作表現の方法を取り入れた授業報告書である。ロダーリは、同書のなかで、ファンタジーの世界が、ありえない観念同士の<組み合わせ>によって創造されていると説いているが、筆者もまたそうした主張を参考にしながら、①<形容詞+名詞>のありえない組み合わせ(例「聖なる悪魔」、「平和な戦争」など)や、②<異なる感覚同士>の組み合わせ(例「冷たい緑」、「甘い青」など)、③<主語+述語>のありえない組み合わせ(例「紙が泣く」「大学が空を飛ぶ」など)を学生に考案させ、さらにそれをもとに物語の創作を行った。創作表現の授業は、普段あまり使わない特殊表現(比喩法、オノマトペなど)を習得したり、創造的な思考や感性を育んだりするのに適している。この講義の狙いは、言葉の組み合わせという<言語ゲーム>を行いつつ、豊かな感受性と正しい言語表現力をもった人材を育成するという所にあるの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